KR960009938B1 -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38B1
KR960009938B1 KR1019940005169A KR19940005169A KR960009938B1 KR 960009938 B1 KR960009938 B1 KR 960009938B1 KR 1019940005169 A KR1019940005169 A KR 1019940005169A KR 19940005169 A KR19940005169 A KR 19940005169A KR 960009938 B1 KR960009938 B1 KR 96000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key
filament
display tube
vacuum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409A (ko
Inventor
구자회
Original Assignee
구자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회 filed Critical 구자회
Priority to KR101994000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38B1/ko
Publication of KR95002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4Testing of discharge tubes
    • G01R31/25Testing of vacuum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의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의 전면판넬부에 장착된 표시수단 및 키보드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의 제어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필라멘트전압 발생수단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제3도의 애노드전압 발생수단 및 그리드전압발생수단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제3도의 필라멘트핀, 애노드핀 및 그리드핀 선택수단의 상세회로도.
제7도는 파형정형기에서 파형정형된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착수단12 : 핀접촉부
13 : 지그핀100 : 제어수단
102 :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4 : 키이보드
105 : 파형발생기112 : 메인키이
114 : 모델키이116 : 필드설정키이
118 : 커서이동키이120 : 메뉴선택키이
122 : 판독/기록키이124 : 숫자키이
126 : 스페이스키이128 : 엔터키이
130 : AC 키이132 : DC 키이
136 : 극성절환키이138 : 실행키이
140 : 구동키이142 : 클리어키이
144 : 필라멘트전압제어키이146 : 애노드전압제어키이
148 : 그리드전압제어키이150 : 그리드드롭전압제어키이
152 : 그리드전압상승/하강키이161 : 메인스위치
162 : LCD 표시관164 : 그리드전류표시관
166 : 제1필라멘트전류표시관168 : 제2필라멘트전류표시관
170 : 애노드전류표시관304 : 출력데이타래치수단
306 :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308 : 애노드전압발생수단
310 : 그리드전압발생수단312 : 필라멘트리이드핀선택수단
314 : 애노드리이드핀선택수단316 : 그리드리이드핀선택수단
320 : 그리드전압순차주사수단322 : 절연저항측정수단
324 : 표시수단.
본 발명은 디지탈 계측기나 전자계산기등에서 숫자나 기호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 절연저항 및 정전기특성을 검출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는 각각의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단자. 예를 들면 필라멘트핀(또는 필라멘트리이드단자), 애노드핀(또는 애노드단자) 또는 그리드핀(또는 그리드단자) 등에 수동작업에 의해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또는 그리드전압을 인가하여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을 검사하거나 에이징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동작업의 방법에 의해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을 검사하거나, 에이징시킬 경우에는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의 저하에 따른 인건비상승으로 인해 진공형광표시관의 제조코스트가 상승되며, 또한 수동작업에 의해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을 검사하므로, 정밀성이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을 쉽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검사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생산능률을 향상하여 제조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는 진공형광표시관을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에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 및 접지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리이드핀선택신호, 절연저항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에 장착된 진공형광표시관의 정전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정전기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는 진공형광표시관을 장착하는 장착수단(10)과, 상기 장착수단(10)에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 및 접지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리이드핀선택신호, 절연저항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100)과, 상기 장착수단(10)에 장착된 진공형광표시관의 정전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수단(1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정전기 측정수단(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이 장착되는 장착수단(10)은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장착하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오목부가 형성된 핀접촉부(12) 및 상기 핀접촉부(12)에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이 놓여질때,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 및 접지전압을 순차적으로 진공형성표시관의 필라멘트단자. 애노드단자. 그리드단자 및 접지단자에 인가하여 진공형광표시관의 쇼트(단락)여부, 휘도(BRIGHTNESS), 실장(외관)검사, 차단(CUTOFF) 전압을 검사하도록 상기 리이드핀 상부를 압압하는 지그핀(13)과, 상기 지그핀을 수동으로 상하동시키는 상·하제어키이(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여러종류의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을 입력시키고, 또 상기 각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에 따라 필요로하는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 접지전압을 발생함과 동시에, 필라멘트리이드핀, 애노드리이드핀 및 그리드리이드핀등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이들 데이타를 입력시키는 키이보드(104)와, 상기 키이보드(1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24)과 메인스위치(1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수단(324)은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타, 예를 들면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 절연저항 및 순차적으로 리이드핀을 선택하는 데이타등을 표시하는 LCD 표시관(또는 액정표시관이라고도 함)(162)과, 필라멘트에 인가되는 전류를 표시하는 그리드전류 표시관(164)과, 그리드에 인가되는 전류 및 흐르는 전류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필라멘트전류 표시관(166)(168)과,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류를 표시하는 애노드전류표시관(1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그리드전류표시관(164), 제1 및 제2필라멘트 전류표시관(166)(168), 애노드전류표시관(170)에는 후술하는 AC 키이 및 DC 키이를 작동시켜서 AC 전류 또는 DC 전류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키이보드(104)는 모든 키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키이(112)와,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을 세팅할때 사용함과 동시에 모델명을 판독/기록하는 모델키이(114)와, LCD 표시관(162)의 필라멘트전압(Ef)·애노드전압(Eb). 그리드에 걸리는 전압(Ec) 및 차단전압(Ek)의 설정영역(field)을 상·하 이동하면서 설정하는 필드설정키이(116)와, 상기 필드설정키이(116)에 의해 설정된 영역내에 소정의 데이타를 기록 또는 수정하도록 커서를 상·하 및 좌·우 이동시키는 커서이동키이(118)와, 테스트하고자 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종류에 따른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키이(120)와,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별 데이타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판독/기록키이(122)와, 0~9까지의 숫자데이타를 입력하는 숫자키이(124)와, 상기 모델키이(114)의 온시, 모델명의 데이타기록시에 스페이스를 부여하는 스페이스키이(126)와, 상기 모델명, 필라멘트전압·애노드전압·그리드전압등의 데이타를 모델키이(114) 또는 숫자키이(124)에 의해 입력하였을 경우 이들 데이타를 메인프로세서(120)에 기억시키거나 또는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별 데이타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엔터키이(128)와, 필라멘트전압을 교류(AC)로 선택하는 AC 키이(130)와, 필라멘트, 애노드 및 그리드전압을 직류(DC)로 선택하는 DC 키이(132)와, 상기 DC 키이(132)에 의해 필라멘트전압을 직류(DC)로 선택하였을 경우 필라멘트 전압의 극성을 절환하는 극성절환키이(136)와, 상기 모델키이(114)에 의해서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이 선택되고, 이 모델명에 따른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이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되어 있고, 또 상기 특성을 검사하여야 할 진공형광표시관이 장착수단(10)의 핀접촉부(12)에 놓여있는 상태에서 상기 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에 지시를 행하는 실행(RUN) 키이(138)와, 상기 장착수단(10)에 배설되어 있는 핀접촉부(12)에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를 순차적으로 행하고, 또 특성검사종료 후 상기 핀접촉부(12)로부터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을 꺼낼 수 있도록 지그핀(13)을 수동 및 자동으로 상하동시키는 지그핀상하동용 구동키이(140)와, 상기 모델키이(114)에 의해 메인프로세서(102)에 기록되어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을 삭제하는 클리어키이(142)와, 필라멘트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필라멘트전압제어키이(144)와, 애노드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애노드전압제어키이(146)와, 애노드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그리드전압제어키이(148)와, 그리드에 걸리는 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그리드드롭 전압제어키이(150)와, 상기 차단전압을 상승(up) 및 하강(down)시키는 차단전압 상승/하강제어키이(152)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54는 예비키이이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수단(100)의 블록도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와, 상기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타, 예를 들면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등을 입력하는 키이보드(104)와, 제7도에 도시한 구형파(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의 톱포인트(top point) 및 블랭크포인트(blank point)에서의 타이밍(t1, t2)을 조정해서 일정한 레벨과 주기를 가진 구형파 펄스의 파형을 발생하는 파형발생기(105)와, 상기 파형발생기(105)에서 발생된 구형파펄스를 받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출력되는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의 생성제어신호를 받아 일정시간동안 기억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데이타 래치수단(304)과, 상기 출력데이타 래치수단(304)으로부터 출력되는 필라멘트전압 생성제어신호를 받아서 필라멘트전압을 발생하는 필라멘트전압 발생수단(306)과, 상기 출력데이타 래치수단(304)으로부터 출력되는 애노드전압 생성제어신호를 받아서 애노드전압을 발생하는 애노드전압 발생수단(308)과, 상기 출력데이타 래치수단(304)으로부터 출력되는 그리드전압 생성제어신호를 받아서 그리드전압을 발생하는 그리드전압발생수단(310)과, 상기 장착수단(10)의 핀접촉부(12)에 놓여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리이드핀에 상기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306)에서 발생된 필라멘트전압을 인가하도록 필라멘트핀을 선택하는 필라멘트핀선택수단(312)과,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애노드리이드핀에 상기 애노드전압발생수단(308)에서 발생된 애노드전압을 인가하도록 애노드핀을 선택하는 애노드핀선택수단(314)과,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그리드리이드핀에 상기 그리드전압발생수단(310)에서 발생된 그리드전압을 인가하도록 그리드핀 선택수단(316)과, 상기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의 제어에 의해 진공형광표시관의 그리이드전압을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그리드전압순차주사수단(320)과,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단자간 및 리이드핀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절연저항측정수단(322)과, 상기 키이보드(1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 예를 들면 키이보드(104)에 의해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된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을 표시함과 동시에, 장착수단(10)의 핀접촉부(14)에 놓여진 진공형광표시관에 인가되는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을 표시하고, 또한 절연저항측정수단(322)에 의해서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간 절연저항 및 리이드핀과 본체 사이의 절연저항을 표시하는 표시수단(324)과, 상기 장착수단(10)에 장착된 진공형광표시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측정하는 정전기측정수단(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수단(324)에는 키이보드(104)에 의해 입력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 및 이들 모델명에 따른 각종데이타등도 표시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전압 발생수단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필라멘트전압 발생용 제어신호를 받은 출력데이타래치수단(304)은 일정시간 기억을 유지하고 있다가 포토커플러(PC1)에 출력하여 포토커플러(PC1)를 동작시키고, 포토커플러(PC1)의 출력신호를 받아 D/A 변환기(200)에서 60Hz 발진부(196)에서 발생된 기준신호를 디지탈값에 의해 가감하여 아날로그 신호 60Hz로 출력되어 버퍼(202)를 통해서 OP 앰프(204)에서 저항(R18)을 통해 입력되는 기준신호와의 차를 증폭하여 아날로그스위치(206), 비교기(208), 푸쉬풀증폭기(210)를 통해서 필라멘트전압을 구동하는 출력구동부(212)에 인가된다. 이때 필라멘트전압제어키이(144)의 온(동작)시에 저항(R13)을 통해 포토커플러(PC13)에 신호를 출력하여 포토커플러(PC13)의 동작에 따라 아날로그 스위치(206)가 도통상태에 있다.
상기 필라멘트를 구동하는 출력구동부(212)에 접속된 트랜스포머(T1)에서 교류(AC)의 필라멘트전압을 유기해서 필라멘트전류를 검출하는 전류센서저항(R35)을 통해 AC 필라멘트전압을 출력한다.
한편, DC 필라멘트전압은 스위치(SW1)을 상기 AC의 필라멘트전압발생부(306)에서 60Hz 발진부를 오프하고 DC 기준전압부(195)의 DC 기준전압을 공급하여 AC 필라멘트전압을 발생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발생해서 출력한다.
즉, 키이보드(110)의 DC 키이(132)를 온시키면 전류제한저항(R57)을 통해서 포토커플러(PC14)가 구동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14)의 베이스단에 저항(R50)을 통해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4)가 도통된다. 이때 릴레이코일(RY1)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고정접점(C)에 접속되어 있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에 접속됨으로써 출력단(P)에는 DC 필라멘트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AC 필라멘트전압을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106)의 출력단(P)에서 출력하려면, 상기 키이보드(110)의 DC 키이(132)를 오프시킴으로써, 릴레이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으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고정접점(C)에 접속되어 60Hz 발생기(196)의 출력신호가 D/A 변환기(200)에 입력되므로써,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106)의 출력단(P)에서 전류센서저항(R35)에 드롭된 AC 필라멘트전압이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306)의 전파정류부(215) 및 전류증폭부(219)의 구성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트랜스포머(T1)의 출력신호(구체적으로는 AC 필라멘트전압)를 저항(R37)을 통해 OP 앰프(216)에서 정류하고 OP 앰프(218)에서 증폭하여 전류증폭부(219)에 출력한다. 상기 전류증폭부(219)에서는 전파정류부(215)의 OP 앰프(218)의 출력신호를 저항(R43)을 통해 받아서 OP 앰프(220)에서 증폭한 후, 발진부(222)에서 전류리미트를 걸기 위하여 발진해서 출력한다. 상기 발진부(222)의 출력신호는 포토커플러(PC15)를 구동시킴으로써 아닐로그스위치(206)의 온/오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저항(R53)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1)를 발광하여 전류가 리미트에 걸린것을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포토커플러(PC15)의 도통시에는 전류가 리미트에 걸린 상태이므로, 아날로그 스위치(206)를 오프시킨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애노드전압 발생수단(308) 및 그리드전압발생수단(31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애노드전압발생용제어신호를 받은 출력데이타래치수단(304)은 일정시간 기억을 유지하고 있다가 포토커플러(PC20)에 출력하고 포토커플러(PC20)의 출력신호를 받아 D/A 변환기(25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D/A 변환기(250)에서 출력되는 정전압제어용 제어신호는 저항(R15)을 거쳐서 정전압제어용 OP 앰프(252)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고 기준전압은 +Vcc의 전압이 가변저항(VR5)을 통해서 OP 앰프(252)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어 OP 앰프(252)에서 비교되어 기준전압이 클 경우에 다이오드(D5)가 도통상태가 되어 정전압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OP 앰프(252)에서 하이레벨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경우에도 다이오드(D5)가 역방향으로 정전압제어용 OP 앰프(252)에 접속되어 있어 OP 앰프(252)는 비동작상태에 있다. 이때, +Vcc에서 저항(R26)을 통해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다이오드(D7)를 거쳐 트랜지스터(TR3~TR6)를 도통시킴으로써 정류신호(254)에서 정류된 DC 전압이 상기 트랜지스터(TR5, TR6)의 에미터단에 접속되어 있는 전류센서저항(R37, R36)에 드롭되어 전류가 검출됨과 동시에 전류센서저항(R37)의 출력측에서 그리드전압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전류센서저항(R37)에 과전압이 걸릴 경우에는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정전압제어용 OP 앰프(252)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다이오드(D5)가 도통상태가 되어 +Vcc로부터 저항(R26)을 통해 출력되는 그리드전압발생용 신호는 다이오드(D5)를 통해서 정전압제어용 OP 앰프(252)의 출력단에 인가되므로, 다이오드(D7) 측으로는 인가되지 않아 트랜지스터(TR3~TR6)가 오프되어 출력단에는 애노드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애노드전압제어키이(146)를 오프시킴으로써 포토커플러(PC19)가 도통되어 애노드전압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전류리미트의 설정은 D/A 변환기(25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리미트기준전압을 가변저항기(VR7)에서 최대로 설정되어서 전류리미트 설정용 OP 앰프(256)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고, 트랜지스터(TR5, TR6)의 에미터단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저항(R66)을 통해 OP 앰프(256)의 비반전단자(-)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TR5, TR6)의 에미터단에 흐르는 전류는 D/A 변환기(260)에서 아날로그의 전류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하고, 메인마이크로 프로세서(102)의 제어에 의해 표시수단(324)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OP 앰프(252, 256)의 입력단자에 접속된 다이오드(D1~D4)는 OP 앰프(252, 256)의 입력신호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출력단에 과전류가 흐를때 OP 앰프(256)의 출력에는 부전압이 출력되어 트랜지스터(14)를 구동하여 발광다이오드(LED2)를 발광시켜 전류리미트가 걸린 것을 외부로 표시한다.
그리고, 그리드전압의 파형을 발생하는 파형발생기(105)는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그리드전압발생용 제어신호를 받은 출력데이타래치수단(304)의 그리드출력제어신호에 의해 애노드전압 발생시와 같은 동작을 함과 동시에,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 출력되는 파형발생제어신호를 받은 포토커플러(PC21)가 도통되어 저항(R41)을 통해 상기 포토커플러(PC21)의 출력신호가 OP 앰프(257)의 비반전단자(+)에 입력되고,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42)을 통해서 기준전압이 입력됨에 따라 이들 차신호를 증폭하여 하이레벨의 파형정형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OP 앰프(257)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접속된 저항(R45)은 저항(R42)와 함께 OP 증폭기(257)의 증폭도를 결정하는 저항이다. 그리고 상기 OP 앰프(257)의 출력신호는 바이어스저항(R46)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8)를 도통시킨다. 이때, 포트커플러(PC21)의 출력신호는 OP 앰프(257)에서 증폭되어 저항(R47)을 통해서 트랜지스터(R49)의 베이스단에 인가해서 트랜지스터(TR9~TR13)를 도통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TR12, TR13)의 에미터단에 접속된 에미터저항(Re)에서 그리드전압을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그리드전압 또는 애노드전압이 낮을 경우에는 출력단의 트랜지스터(TR5, TR6)를 열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로부터의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저항(R29)을 통해 트랜지스터(TR15)의 베이스단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5, TR16)를 도통시키므로, 릴레이코일(RLY3)에 전류가 흐르게 한다. 이대 릴레이의 고정접점(C3)에 접속되어 있던 가동접점(a3)은 고정접점(b3)에 접속되어 그리드전압 또는 애노드전압을 소정레벨로 증가시킨다. 즉, 정류회로(254)에 인가되고 있던 AC 40V를 AC 70V로 바꾸어준다.
다음에,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라멘트선택수단(312), 애노드핀선택수단(314) 및 그리드핀선택수단(316)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필라멘트핀선택수단(312), 애노드핀선택수단(314) 및 그리드핀선택수단(316)의 회로는 동일하고 또한 동작도 같으므로,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선택수단을 예를들어서 설명한다.
출력데이타래치수단(104)에서 출력되는 리이드핀선택제어신호 필라멘트리이드핀, 애노드리이드핀..... 및 그리드리이드핀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바이어스 저항(R100, R102....R10n)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80, TR82....TR8n)의 베이스단에 입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80, TR82....TR8n)가 도통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80, TR82....TR8n)의 콜렉터간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릴레이크일(RY10, RY12....RY1n)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고정접점(C10, C12....C1n)에 각각 접속되어 있던 릴레이의 가동접점(a10, a12....a1n)이 고정접점(b10, b12....b1n)에 접속되므로, 필라멘트리이드핀·애노드리이드핀...그리드리이드핀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의 전기적특성 검사를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모델명,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의 입력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스위치(161)를 온시킨 상태에서 키이보드(104)의 메인키이(112)를 누르면 모든 키이가 동작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모델키이(14), 필드설정키이(116), 커서이동키이(118) 및 숫자키이(124)를 눌러서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 8MSO2를 입력시킨 후 엔터키이(12)를 누르면,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됨과 동시에, LCD 표시관(162)에 표시되며, 필드설정키이(116)를 사용하여 필라멘트전압을 설정한 후, AC, DC를 설정하는 AC 키이(130) 또는 DC 키이(132)를 눌러서 AC 또는 CD 전압을 표시한 다음 엔터키이(128)를 누르면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 필라멘트전압 및 AC, DC의 필라멘트전압이 메인마인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됨과 동시에 LCD 표시관(162)에 표시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서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을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시킨다. 이들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은 LCD 표시관(162)에 표시되는 것을 물론이다.
다음에, 필드설정키이(116)에 의해서 필라멘트리이드핀, 애노드리이드핀 및 그리드리이드핀의 번호를 표시한 후, 엔터키이(128)를 누르면, 각 리이드핀의 핀번호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됨과 동시에, LCD 표시관(162)에 표시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필라멘트전압은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306)에 의해서 발생되며,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은 제5도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발생수단(308)(310)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진공형광표시관의 각 모델(종류)에 따른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306), 애노드전압발생수단(308) 및 그리드전압발생수단(310)에 의해서 각각 발생된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은 AC 또는 DC 상태로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장기간 기억시킬려면, 실행키이(138)를 오프시킨 후 모델키이(114)를 2회 누르면, LCD 표시관(162)에 판독/기록화면이 표시되며, 이 상태에서 판독/기록키이(122)를 기록모드로 선택한 후, 커서이동키이(118)의 좌·우이동키이를 사용하여 빈자리에 커서를 이동시킨 다음, 엔터키이(128)를 2회 누르면 된다.
한편, 진공형광표시관의 한 종류의 모델을 검사한 후, 다른 종류의 모델을 판독하고 싶을 경우에는 모델키이(114)를 2회 누른 다음, 판독/기록키이(122)의 판독모드를 선택한다. 그후 커서이동키이(22)의 좌우이동키이를 판독해 내고자 하는 모델명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엔터키이(128)를 누르면 검사하여야 할 새로운 진공형광표시관의 새로운 모델명이 나타나며, 이 모델에 대한 필라멘트전압 그리드전압 및 애노드전압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미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때 설정키이(128)를 누르면 후술하는 바와같이 진공형광표시관의 전기적 특성검사가 행해지는 것이다.
한편,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 입력된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 및 이 모델명에 따른 검사데이타, 예를들면,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을 삭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모델키이(114)를 2회 누른 다음, 삭제하고자 하는 모델명에 커서이동키이(118)의 좌·우이동키이를 입력되어 있는 모델명의 위치에 이동시킨 다음, 클리어키이(142)를 2회 누르면 해당하는 모델명 및 그 모델의 각종 검사데이타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102)에서 삭제되며, 또한 LCD 표시관(162)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각종데이타가 입력된 상태에서, 메뉴선택키이(120)를 검사하여야 할 각종 데이타, 즉 리이드핀의 개방, 리이드핀의 단락, 진공형광표시관의 휘도,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의 출력준비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후, 메뉴선택키이(120)를 오프한 다음, 지그핀 상하동용 구동키이(140)의 자동 또는 수동중 자동을 선택하면, 장착수단(10)에 배설되어 있는 핀접촉부(12)에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이 놓여지면 자동으로 지그핀(13)이 하강되어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가능 상태가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특성검사가 종료되면 지그핀(13)은 자동으로 상승되어 다음의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이 핀접촉부(12)에 다시 놓여지면, 지그핀(13)이 하강하여 특성검사준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지그핀 상하동용 구동키이(140)를 수동으로 선택하면, 장착수단(10)의 전면에 배치된 상·하제동키이(1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지그핀(13)의 도시하지 않은 상·하구동제어회로의 동작에 지그핀(13)을 수동으로 상·하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그핀 상·하동용 구동키이(140)를 자동에 설정한 다음,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핀접촉부(12)에 놓으면, 지그핀(13)이 하강하여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에 전기적으로 접속상태가 된다.
이때 실행키이(138)를 누르면 필라멘트리이드핀 선택수단(112), 애노드리이드핀 선택수단(114), 그리드리이드핀선택수단(116)에 의해서 선택된 핀순서에 따라 제4도 및 제5도에서 설명한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306), 애노드전압발생수단(308) 및 그리드전압발생수단(310)에서 각각 발생된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이 해당핀에 인가하여 진공형광표시관의 전기적 특성검사를 수행하며, 그리드전압순차주사수단(120)에 의해서 그리드핀에도 순차적으로 테스트 전압이 인가되어 진공형광표시관의 전기적 특성검사를 수행함과 동시에,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정전기발생기(130)의 프로브를 각리이드핀 또는 본체에 접촉시킴으로서 진공형광표시관의 정전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을 대응하는 핀에 인가시킨 상태에서,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 애노드핀 및 그리드핀의 개방·단락을 검사함과 동시에, 휘도, 실장검사(외관검사) 및 차단전압등의 전기적 특성도 검사하는 것이다.
다음에, 지그핀(13)이 핀접촉부(12)에 놓여진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에 접촉된 상태, 즉 진공형광표시관의 사용상태의 조건하에서 정전기측정수단(330)의 프로브를 진공형광표시관의 전면 및 후면에 스위핑하므로써 진공형광표시관의 정전기 양부를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진공형광표시관의 전기적특성검사의 수행중에 필라멘트라이드핀, 애노드리이드핀 및 그리드리이드핀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AC 또는 DC 전압 및 AC 또는 DC 전류는 AC 키이(130) 또는 DC 키이(132)를 누름으로써 바꾸어지며, 상기 각 핀에 인가되는 전류는 표시수단(160)의 그리드전류 표시관(164), 애노드전류표시관(170), 제1 및 제2필라멘트전류표시관(166, 168)에 각각 표시되며, 또한 LCD 표시관(162)에도 표시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에 의하면, 장착수단에 배설된 핀접촉부에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올려높은 상태에서 지그핀상하동용 구동키이를 누름으로써 상기 리이드핀에 지그핀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때 필라멘트전압 발생수단, 애노드전압발생수단 및 그리드전압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이 필라멘트리이드핀선택수단, 애노드리이드핀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리이드핀에 지그핀에 개재해서 순차적으로 인가되므로,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의 개방, 단락, 휘도, 실장검사 및 차단검사등이 전기적 특성검사는 물론 절연저항 측정수단 및 정전기측정수단에 의해서 절연저항 및 정전기 발생등을 일괄적으로 단시간에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적특성검사를 일괄적으로 단시간에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어,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따라 진공형광표시관의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진공형광표시관을 장착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에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 및 접지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리이드핀선택신호, 절연저항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에 장착된 진공형광표시관의 정전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정전기 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을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을 장착하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오목부가 형성된 핀접촉부 및 상기 핀접촉부에 진공형형광표시관의 라이드핀이 놓여질때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 및 접지전압을 순차적으로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단자, 애노드단자, 그리드단자 및 접지단자에 인가하여 진공형광표시관의 쇼트(단락)여부, 휘도(BRIGHTNESS), 실장(외관)검사, 차단(CUTOFF) 전압을 검사하도록 상기 리이드핀 상부를 입압하는 지그핀과, 상기 지그핀을 수동으로 상·하동시키는 상·하제어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메인프로세서에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타를 입력하는 키이보드와, 구형파펄스의 톱포인트(top point) 및 블랭크포인트(blank point)에서의 타이밍(t1, t2)을 조정해서 일정한 레벨과 주기를 가진 구형파 펄스의 파형을 발생하는 파형발생기와, 상기 파형발생기에서 발생된 구형파펄스를 받은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의 생성제어신호를 받아 일정시간동안 기억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데이타 래치수단과, 상기 출력데이타 래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필라멘트전압 생성제어신호를 받아서 필라멘트전압을 발생하는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과 상기 출력데이타 래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애노드전압생성제어신호를 받아서 애노드전압을 발생하는 애노드전압발생수단과, 상기 출력데이타 래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그리드전압발생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의 핀접촉부에 놓여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필라멘트리이드핀에 상기 필라멘트전압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필라멘트전압을 인가하도록 필라멘트핀을 선택하는 필라멘트핀선택수단과,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애노드리이트핀에 상기 애노드전압발생수단에 발생된 애노드전압을 인가하도록 애노드핀을 선택하는 애노드핀선택수단과,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그리드리이드핀에 상기 그리드 전압발생수단에서 발생된 그리드전압을 인가하도록 그리드핀을 선택하는 그리드핀선택수단과,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진공형광표시관의 그리이드전압을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그리드전압순차주사수단과,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의 단자간 및 리이드핀간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절연저항측정수단과, 상기 키이보드에 의해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된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을 표시함과 동시에, 장착수단의 핀접촉부에 놓여진 진공형광표시관에 인가되는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그리드전압을 표시하고, 또한 절연저항측정수단에 의해서 진공형광표시관의 리이드핀간 절연저항 및 리이드핀과 본체 사이의 절연저항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보드는 모든 키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키이와,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을 세팅할 때 사용함과 동시에 모델명을 판독/기록하는 모델키이와, LCD 표시관(162)의 필라멘트전압(Ef)·애노드전압(Eb)·그리드에 걸리는 전압 및 그리드전압의 설정영역을 상·하이동하면서 설정하는 필드설정키이와, 상기 필드설정키이에 의해 설정된 영역내에 소정의 데이타를 기록 또는 수정하도록 커서를 상·하 및 좌·우 이동시키는 커서이동키이와, 테스트하고자 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종류에 따른 메뉴를 선택하는 메뉴선택키이와,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별 데이타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판독/기록키이와, 0~9까지의 숫자데이타를 입력하는 숫자키이와, 상기 모델키이의 온시, 모델명의 데이타기록시에 스페이스를 부여하는 스페이스키이와, 상기 모델명, 필라멘트전압·애노드전압·그리드전압등의 데이타를 포델키이 또는 숫자키이에 의해 입력하였을 경우 이들 데이타를 메인프로세서에 기억시키거나 또는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별 데이타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엔터키이와, 필라멘트전압을 교류(AC)로 선택하는 AC 키이와, 필리멘트, 애노드 및 그리드전압을 직류(DC)로 선택하는 DC 키이와, 상기 DC 키이에 의해 필라멘트전압을 직류(DC)로 선택하였을 경우 필라멘트전압의 극성을 절환하는 극성절환키이와, 상기 모델키이에 의해서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의 선택되고, 이 모델명에 따른 필라멘트전압, 애노드전압 및 그리드전압이 메인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되어 있고, 또 상기 특성을 검사하여야 할 진공현광표시관의 장착유니트의 핀접촉부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에 지시를 행하는 실행키이와, 상기 장착수단에 배설되어 있는 핀접촉부에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를 순차적으로 행하고, 또 특성검사종료 후 상기 핀접촉부로부터 상기 진공형광표시관을 꺼낼 수 있도록 지그핀을 수동 및 자동으로 상하동시키는 지그핀 상하 구동용구동키이와, 상기 모델키이에 의해 메인프로세서에 기록되어 있는 진공형광표시관의 모델명을 삭제하는 클리어키이와, 필라멘트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필라멘트전압제어키이와, 애노드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애노드전압제어키이와, 그리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그리드전압제어키이와, 그리드에 걸리는 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 그리드드롭전압제어키이와, 상기 그리드전압을 상승(UP) 및 하강(down)시키는 그리드전압상승/하강제어키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KR1019940005169A 1994-03-16 1994-03-16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KR96000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169A KR960009938B1 (ko) 1994-03-16 1994-03-16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169A KR960009938B1 (ko) 1994-03-16 1994-03-16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409A KR950027409A (ko) 1995-10-16
KR960009938B1 true KR960009938B1 (ko) 1996-07-25

Family

ID=1937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169A KR960009938B1 (ko) 1994-03-16 1994-03-16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409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5830B2 (ko)
US63015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cquiring a waveform measurement
US3437928A (en) Self-contained test probe with indicator lamp responsive to continuous or pulsed voltages
KR960009938B1 (ko) 진공형광표시관의 특성검사장치
US4878016A (en) Soldering iron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19392B1 (ko) 기능 검사가 가능한 범용 계측기
KR100277895B1 (ko) 형광 표시소자의 다목적 검사시스템
KR101986554B1 (ko) 원격 소 단말 장치의 시험 장치
JPH1010186A (ja) 電流センサのコネクタピン配線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CN212379473U (zh) 一种电路板在线电流测量装置
JP2597580B2 (ja) 半導体測定装置
CN219417598U (zh) 一种高精度回路电阻测试仪
KR100843353B1 (ko) 번-인 장치
KR200198892Y1 (ko) 경보기능을 구비한 전자회로 비교검사장치
CN208399599U (zh) 一种手持式二次核相辅助装置
JP3436138B2 (ja) 半導体試験装置用バイアス電源回路
CN117630488A (zh) 一种微波组件的电装焊点自动测试方法
CN112946364A (zh) 一种电阻测试笔和电阻测试方法
JP3011471U (ja) 高周波電力測定及びグラフィック表示装置
KR0168067B1 (ko) 제너다이오드의 동작검사장치
KR100197675B1 (ko) 실리컨 제어소자의 동작 검사장치
SU737559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исследовани грунта виброударным зондированием
JPH1090322A (ja) 可変抵抗器の摺動雑音測定装置
KR940006602B1 (ko) 포탄 근접 신관의 하이브리드 회로(hybrid IC) 측정장치
JPH03341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