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655Y1 -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 Google Patents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655Y1
KR960009655Y1 KR92005212U KR920005212U KR960009655Y1 KR 960009655 Y1 KR960009655 Y1 KR 960009655Y1 KR 92005212 U KR92005212 U KR 92005212U KR 920005212 U KR920005212 U KR 920005212U KR 960009655 Y1 KR960009655 Y1 KR 960009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istor
high voltage
resis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156U (ko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안시환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환,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시환
Priority to KR92005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655Y1/ko
Publication of KR930022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6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플래시(flash)가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의 플래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스트로보(strobo)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동작가능한 상태로 방치할 경우 충/방전동작에 의한 계속적인 발진동작으로 소모되는 전원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플래시가 동작 가능하도록 스트로보 회로의 고전압충전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계속적인 충/방전 동작을 실행하였다. 이때 카메라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방치할 경우에도 충/방전 동작을 계속적으로 실행하므로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많은 용량의 건전지를 소모하였다.
그러므로 수명이 거의 3년이 되는 리튬 건전지를 내장한 후 동작 가능한 상태로 카메라를 방치할 경우에 건전지의 수명이 1개월로 단축되므로 필요없는 전원의 손실과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방치할 경우에 스크로보 회로의 동작에 의하여 소모되는 전원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 제91-18831호(출원일자 : 서기 1991년 11월 7일)의 카메라용 스트로보 발진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한 고안은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이용하여 스트로보의 발진동작을 제어하였으나 이 고안은 릴리즈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발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지속적인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짧은 주기의 트리거 신호가 인가되어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가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계속적인 스트로보의 발진 제어부의 동작에 의하여 소모되는 전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통상의 범용소자로 구성된 회로의 동작에 의해서도 충분히 제어되므로 제조비용의 상승을 방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가 내장되지 않은 중/보급형의 카메라에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고전압을 발진하는 고전압 발진부와, 고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와, 정류부와 연결되어 정류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되는 네온램프부와, 정류된 고전압을 충전하는 고전압 충전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은 입력단자(IN1)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부(10)와, 스위칭부(10)의 동작에 따라 고전압을 발진하는 고전압 발진부(20)와, 고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30)와, 정류부(3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네온램프부(40)와, 정류된 고전압이 충전되는 고전압 충전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스위칭부(10)는 전원(V)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10, R11)과, 저항(R10, R11)의 공통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전원(V)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0)와, 저항(R11)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0)의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에 입력단자(IN1)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4)과,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에 저항(R14)의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5)과, 저항(R15)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저항(R16)과, 저항(R15)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10)와, 저항(R15)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5)와,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저항(R101)과,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단자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에 입력단자(IN2)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9)과, 저항(R15)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 저항(Q16)의 베이스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02)과, 트랜지스터(Q16)의 베이스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저항(R103)과, 전원(V)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2, R13)과, 저항(R12, R13)의 공통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전원(V)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2)와, 트랜지스터(Q12)의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7)과, 전원(V)에 에미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3)와, 전원(V)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에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8)과, 저항(R18)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단자에 저항(R17)의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4)와, 캐소우드 단자가 트랜지스터(Q14)의 에미터 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너다이오드(ZD10)로 이루어져 있다.
고전압 발진부(20)는 스위칭부(10) 트랜지스터(Q13)의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제1코일(L20)과, 제너다이오드(ZD10)의 캐소우드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 및 제3코일(L21, L22)과, 제3코일(L2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저항(R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류부(30)는 고전압 발진부(20)의 제1코일(L21)의 타측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30)로 이루어져 있다.
네온램프(40)는 정류부(30) 다이오드(D30)의 캐소우드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40)과, 저항(R40)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네온램프(NE40)와, 네온램프(NE40)의 타측단자와 상기 스위칭부(10) 저항(R102)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저항(R41)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전압 충전부(50)는 정류부(30) 다이오드(D30)의 캐소우드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부의 환경조건에 의하여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하여 입력단자(IN1)가 L에서 H가 되고 카메라의 릴리즈(release) 1단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자(IN2)가 H에서 L가 되면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가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를 동작하기 위하여 릴리즈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입력단자(IN1)로 저레벨인 L가 인가되면 저항(R1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단자에 L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1)는 턴온상태가 되므로 저항(R10, R11)과 저항(R12, R13)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이 L상태로 되므로 트랜지스터(Q10, Q12)가 턴온상태가 되고 커패시터(C10)에 전하가 충전된다. 트랜지스터(Q12)가 턴온됨에 따라 저항(R1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 단자에 고레벨인 H가 인가되므로 역시 트랜지스터(Q14)는 턴온상태가 되어 전원(V)의 전류가 저항(R18)을 통하여 고전압 발진부(20)의 제2코일(L21)과 저항(R20)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Q14)가 턴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 단자로 L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3)가 턴온된다.
이때 입력단자(IN1)로 입력되는 고레벨인 H신호가 불안정하여 L로 전압 강하되더라도 커패시터(C1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Q11)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펄스신호가 아닌 트리거 신호로도 스트로보의 충전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불안정한 입력단자(IN1)의 신호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Q13)가 턴온되어 전원(V)의 전류가 고전압 발진부(20)의 제1코일(L20)에 흐르게 되어 고전압이 유기되며 제1코일(L20)이 유기됨에 따라 권선비가 매우 큰 제2코일(L21)이 유기되어 고전압을 발생하게 된다.
고전압 발진부(20)의 제2코일(L21)에 고전압이 유기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4)의 에미터 단자에 H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4)가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Q14)가 턴오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3)도 턴오프되어 고전압 발진부(20)의 제1코일(L21)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발진동작이 정지된다. 발진되지 않으면 다시 트랜지스터(Q14)의 에미터 단자가 저레벨인 L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14)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15)가 턴온됨에 따라 다시 고전압이 유기된다.
그리고 발생된 고전압은 정류부(30)의 다이오드(D30)에 의하여 정류되어 고전압 충전부(50)의 커패시터(C50)에 고전압을 충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발진동작을 통하여 고전압 충전부(50)의 커패시터(C50)에 전하가 모두 충전되어 네온램프(NE40)의 점등 가능한 전압에 이르면 저항(R40)을 통하여 네온램프(NE40)가 도통되어 네온램프(NE40)가 점등된다.
그러나 네온램프(NE40)가 방전함에 따라 저항(R10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6)의 베이스 단자에 고레벨인 H가 인가되어 턴온되고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릴리즈1단 스위치를 동작시켜 입력단자(IN2)로 H가 저항(R1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5)가 턴온되어 커패시터(C1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를 방전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11)를 턴오프 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1)가 턴오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10, Q12)도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Q14, Q13)가 차례로 오프되어 고전압 발진부(20)의 코일(L20, L21)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고전압이 유기되지 않아 발진동작을 정지한다.
그러므로 고전압 충전부(50)의 커패시터(C50)를 단 1회로 충전 완료시킬 수 있고 커패시터(C50)가 충전완료된 후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릴리즈1단 스위치가 동작하여 입력단자(IN2)로 H가 인가되면 커패시터 (C50)에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플래시를 발광시키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입력단자로 동작신호를 가하면 커패시터(C50)의 충전전하가 도시되지 않은 크세논방전관으로 방전하여 크세논 방전관을 이온화시켜 플래시가 발광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전압 충전부를 단 1회의 동작으로 충전시킨 다음 릴리즈 스위치가 동작하면 고전압 충전부에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플래시를 발광하게 되며 고전압 충전부에 전하가 모두 충전된 후 사용자의 부주의로 카메라의 전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건전지를 내장한 후 카메라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릴리즈스위치가 동작되지 않으므로 고전압 충전부(50)에 충전된 전하가 네온램프(NE40)가 방정하게 되어 발진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고 있는 펄스 신호뿐만 아니라 트리거 신호로 스트로보를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정확한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뿐만 아니라 일반 범용소자를 이용한 전자회로의 제어에 의하여도 충분히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제품이외에 범용소자를 이용한 범용의 제품에도 호환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효과는 단 1회의 동작으로 플래시 발광을 위하여 커패시터가 충전완료될 수 있고 충전완료후 릴리즈 스위치가 동작할 경우에만 재충전을 시키지 않고 플래시가 발광하게 되고 릴리즈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패시터의 방전동작을 통하여 발진동작을 정지시키므로 카메라의 동작 가능한 상태로 제품을 방치할 경우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속적인 제어신호가 아닌 단한번의 트리거 신호로도 동작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범용소자로 이루어져 있는 중/보급형의 범용 제품에도 호환 가능하게 하며 불안정한 입력신호에 의한 전압강하에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므로 미충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부(10)와, 스위칭부(10)의 동작에 따라 고전압을 발진하는 고전압 발진부(20)와, 고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30)와, 정류부(30)와 연결되어 정류된 고전압에 의하여 방전되는 네온램프부(40)와, 정류된 고전압을 충전하는 고전압 충전부(50)로 이루어져 있는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10)의 동작이 릴리즈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과 네온램프(NE40)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불필요한 건전지의 소모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10)는 저항(R11)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1)와, 트랜지스터(Q10)의 컬렉터 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자에 력단자(IN1)가 연결되어 있는 저항(R14)과, 저항(R14)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C10)와, 저항(R14)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단자에 입력단자(IN2)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5)와, 저항(R14)의 타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단자에 네온램프(NE40)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6)을 포함하여 고전압 충전부(50)가 충전을 완료할 경우나 릴리즈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발진동작이 제어되며 입력단자(IN1)로 트리거신호가 입력될 경우나 전압강하가 발생할 경우에도 정상적인 고전압 충전부에 전하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KR92005212U 1992-03-31 1992-03-31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KR960009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212U KR960009655Y1 (ko) 1992-03-31 1992-03-31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212U KR960009655Y1 (ko) 1992-03-31 1992-03-31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56U KR930022156U (ko) 1993-10-16
KR960009655Y1 true KR960009655Y1 (ko) 1996-10-25

Family

ID=1933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212U KR960009655Y1 (ko) 1992-03-31 1992-03-31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6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56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5335A (en) Constant light intensity electronic flash device
KR960009655Y1 (ko) 스트로보 발진 제어부
US4099100A (en) Neon tube flashing device
US4258297A (en) Voltage indicator for a stroboscope
JPS5842970B2 (ja) 近接スイッチ
JPH07220766A (ja) バッテリ−放電回路
KR920008986Y1 (ko) 카메라의 스트로브 발진 제어회로
US3768085A (en) Blinker light control unit
KR940001704Y1 (ko) 플래쉬 회로
KR0128022Y1 (ko) 카메라용 스트로보 발진제어장치
JP2548342B2 (ja) オートストロボ装置
JPH0119127Y2 (ko)
JPS628032Y2 (ko)
JPH02177299A (ja) 帰還巻線を有さない閃光装置の電源回路
JPH0112255Y2 (ko)
KR950006056Y1 (ko) 리모콘 마이콤의 역전압 보호회로 동작시 건전지 용량 보호회로
JPS5842971B2 (ja) 近接スイッチ
KR890000653Y1 (ko) 밧데리 충전제어 및 표시회로
US5003229A (en) Flashing device
JPS6322639Y2 (ko)
JP3511630B2 (ja) 電子閃光装置のigbtゲート電圧生成回路
JPS6036906Y2 (ja) 電源電圧変動表示回路
JPH0583868A (ja) 過放電防止回路
JPS6346267Y2 (ko)
JPS63448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