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704Y1 - 플래쉬 회로 - Google Patents

플래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704Y1
KR940001704Y1 KR2019910008400U KR910008400U KR940001704Y1 KR 940001704 Y1 KR940001704 Y1 KR 940001704Y1 KR 2019910008400 U KR2019910008400 U KR 2019910008400U KR 910008400 U KR910008400 U KR 910008400U KR 940001704 Y1 KR940001704 Y1 KR 940001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lash
capacitor
discharge tub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754U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704Y1/ko
Publication of KR930001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Landscapes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래쉬 회로
제1도는 종래의 플래쉬 회로.
제2도는 이 고안의 플래쉬 회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진 승압부 2 : 승압 및 트리거회로
3 : 마이크로 콘트롤러 4 : 메인 스위치
V : 전원 NE : 네온 방전관
XE : 크세논-플래쉬 벌브
본 고안은 플래쉬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래쉬용 캐패시터의 충전된 전하의 방전을 제어하여 전원소비를 억제하고 플래쉬 강도의 저하가 없도록 한 개선된 플래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진촬영은 주위조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실내 또는 야간과 같은 저휘도의 환경하에서는 임의로 섬광을 만들어내어 주위조도의 영향을 감쇄시킨다. 이를 위해 카메라는 플래쉬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셔터와 연동하여 순간적인 섬광(플래쉬)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섬광 즉 플래쉬를 내기 위해서는 통상 크세논-플래쉬 벌브가 사용되며, 이 벌브는 고압의 전원을 요구하는 반면 최근의 카메라는 대부분 포터블 타입이기 때문에 전원공급을 위해 경량의 저전압 건전지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 건전지로 고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절충안으로 승압을 위한 트랜스를 사용한다.
즉, 건전지와 트랜스 및 크세논 플래쉬 벌브 그리고 고압 캐패시터는 플래쉬 회로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설계에 따라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절합히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종래의 구체적인 구성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이 회로에는 기본구성 요소로서 전원부(V)와, 발진 승압부(1) 및 크세논-플래쉬 벌브(XE) 그리고 도시는 없으나 블록으로 표시된 승압 및 트리거 회로(2) 내에 트랜스가 포함되고, 크세논-플래쉬 벌브(XE)의 방전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캐패시터(C1)가 또한 상기 승압 트리거회로(2) 및 크세논-플래쉬 벌브(XE)에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회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블록으로 도시한 직류/교류 변환 및 승압회로인 발진승압부(1)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예르 들면, 260 내지 270V의 높은 교류전압의 발진신호는 정류용 다이오드(D1)를 거쳐 정류된 후, 캐패시터(C1)에 충진된다.
한편, 충전완료 표시를 위한 네온 방전관(NE)은 캐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네온방전관(NE)은 캐패시터(C1)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네온 방전관(NE)은 일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야만 방전을 개시하므로 전하 축적을 개시한 캐패시터(C1) 전압이 소정전압에 이르렀을 때 그 적정레벨에서 네온 방전관(NE)은 점등을 시작한다. 그러나, 네온 방전관의 일측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는 전원에 연결된 스위치(MS)의 '온'에 의해 스위칭 '온'되므로 메인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연결된 저항(R3)과 네온 방전관과의 접점 노드(N)에는 전류 흐름로가 형성됨에 따른 일정레벨 전압이 검출된다. 이 검출된 전압은 발진승압부에 공급되어 충전이 완료되었으므로 전원 소비억제를 위해 발진동작을 못하도록 스위칭 오프시키나, 캐패시터(C1)의 전압은 네온 방전관을 따라 계속 방전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는 네온 방전관이 소등된다. 이때 접점 노드(N)는 전압이 없기 때문에 발진승압부는 이것에 트리거되어 다시 발진 승압동작 및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접점 노드(N)의 전위를 검출하여, 노드(N)의 전위가 로우상태이면 하이상태가 될 때까지 카메라 릴리즈 록킹(release locking)상태로 되어 종래 회로는 순간 장면의 포착을 놓치게 하거나 또는,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1), 네온 방전관(NE), 저항(R3), 트랜지스터(TR1)로 이루어지는 전기흐름로를 통해 계속 방전하므로 소비전류가 크게 되므로 건전지 사용수명이 짧게되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충전이 아닌 촬영 시에도 메인 스위치(MS)가 온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는 도통 상태로 되어 캐패시터의 전압이 낮아지는 것이다. 아울러 발진정지가 이루어지게 하는 전압에 있어서도 네온 방전관 점등전압 직후에 검출되는 것으로 네온 방전관 점등과 소등사이의 히스테리시스도 작게되는 이와 같이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고안은 상기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이 고안에서는 캐패시터 충전완료 시점을 검출하여 이 시점보다 여유시간 동안 더욱 충전을 가하므로써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이 고안의 목적은 전원 소비억제에 적합하고 충전전압의 유지를 위해 충전완료 시점 검출 및 여유시간 동안 충전 계속후 전원공급을 단속하도록 한 플래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제2도를 참고하여 이 고안의 회로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고안에 따른 회로는 직류전원(V)과, 이 직류전원을 받아 고압의 교류전원을 발생하는 발진승압부(1)와, 이 발진승압부의 출력을 받아 충전하는 캐패시터(C1) 및 이 캐패시터에 병렬 연결되는 섬광발생을 위한 크세논-플래쉬 벌브(XE), 그리고 충전완료 표시를 위해 네온 방전관(NE)을 갖는 플래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승압 발진부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3)를 구비하여, 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상기 네온 방전관(NE)의 일측의 접점 노드(N)로부터 충전완료 검출신호를 받고, 이 노드점과 저항(R3)을 거쳐 접지로 직렬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충전완료 검출된 시점에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발진 승압부에 전원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전원소비억제 및 캐패시터 전압을 유지하도록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의 메인 스위치(MS)는 이 고안회로에서 마이크로 콘트롤러(이하 CPU)의 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이 스위치가 온되면 CPU는 이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에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네온 방전과 동작이 가능하도록 폐회로를 형성케 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에 병결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는 네온 방전관 점등직후 트랜지스터가 파괴될 경우를 고려하여 부가된 보호용 다이오드이다.
전원투입과 동시에 CPU로부터 Neo로 표기된 데이터 출력이 하이레벨로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온시켜두고, CPU는 접점 노드(N)의 전원 변동여부를 검색한다.
그러나 현재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하가 없기 때문에 어떠한 신호도 검출되지 않으므로 CPU는 OSC로 표기된 데이터 출력단자를 통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발진승압회로를 동작시켜 충전를 개시토록 한다.
저전압의 직류전압은 발진 승압부에 의해 고전류 교류원으로 변환되어 정류용 다이오드(D1)를 거쳐 콘덴서(C1)에 전압이 충전되고 만족할 만한 전압까지 충전되며 이 전압에 의해 네온 방전관(NE)은 점등된다. 그러면 접점 노드(N)에서는 전압변동이 일어나고 이 전압은 CPU가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콘트롤러 내부에 풀업저항(도시없음)과 함께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있어 신호가 검출되고 더욱이 다이오드는 노드상의 이상전압이 콘트롤러 유입됨을 방지한다. 또한 이 전압은 저항(R3)을 거쳐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작용하므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CPU로 부터의 하이레벨 신호에 의해 온되어 폐회로를 형성한다. 충전완료 검출신호는 CPU로 하여금 인터럽트 요구신호 또는 입력포트에 입력된 신호 검출로서 인식 가능하다.
인터럽트 또는 입력포트 신호검출에 의해서 CPU는 내부에서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소프트웨어적 지연루프 또는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이 고안에 따르면 적합한 지연시간은 0.5 내지 1초 정도로 취해졌다. 물론 이 시간은 설계된 회로로부터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다.
이 지연시간동안 CPU는 OSC 출력단자에 신호레벨 변경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발진 승압부(1)는 계속 동작하므로 캐패시터는 적정레벨의 충전전압 이상으로 충전이 계속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상기 지연 시간에 맞추어 네온 방전관 점등전압의 10 내지 20%이상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준비된 자료로부터 설정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연시간 종료시점에서 CPU는 OSC 출력단자를 로우레벨로 변경하여 발진승압부의 동작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 때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는 온상태에 있으나 충전완료 신호 검출시점에서 Neo출력단자로 CPU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캐패시터의 충전전압은 방전로가 없어 충전전압이 강하되지 않는다. 단지 고려될 사항은 캐패시터(C1) 자체의 누설방전 전압이나, 이를 고려하더라도 방전시간은 종래보다 더욱더 길어지므로 상기한 스위칭 변이를 참고할 때 총체적인 방전시간은 증가된 10내지 20%의 방전시간과 네온 방전관의 히스테리스 시간이 된다.
상기 동작의 흐름은 마이크로 프로그램 작성을 가능케하고 길지않은 코드로 용이하게 작성될 수 있다.
이 고안에서 채용되고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카메라의 셔터내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미 장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고안에서는 소비전류의 경감과 플래쉬 세기의 저하가 없어 발광량도 기존회로도보다 10 내지 20% 상승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2)

  1. 직류전원(V)와, 이 직류전원을 받아 고압의 교류전원을 발생하는 발지승압부(1)와, 이 발진승압부의 출력을 받아 충전하는 캐패시터(C1) 및 이 캐패시터에 병렬 연결되는 섬광 발생을 위한 크세논-플래쉬 벌브(NE), 그리고 충전완료 표시를 위한 네온 방전관(NE)을 갖는 플래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승압 발진부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3)를 구비하여, 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상기 네온 방전관(NE)의 일측의 접점 노드(N)로부터 충전완료 검출신호를 받고, 이 노드점과 저항(R3)을 거쳐 접지로 직렬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충전완료 검출된 시점에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키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도 발진 승압부에 전원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전원소비억제 및 캐패시터 전압을 유지하도록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네온 방전관 점등전압의 10 내지 20%이상 더욱 충전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회로.
KR2019910008400U 1991-06-08 1991-06-08 플래쉬 회로 KR940001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400U KR940001704Y1 (ko) 1991-06-08 1991-06-08 플래쉬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400U KR940001704Y1 (ko) 1991-06-08 1991-06-08 플래쉬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754U KR930001754U (ko) 1993-01-21
KR940001704Y1 true KR940001704Y1 (ko) 1994-03-23

Family

ID=1931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400U KR940001704Y1 (ko) 1991-06-08 1991-06-08 플래쉬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744A (ko) * 2002-07-30 2002-10-05 박영석 자동 전압 변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744A (ko) * 2002-07-30 2002-10-05 박영석 자동 전압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754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3822A (en) Electric flash device
JPH0121598B2 (ko)
KR940001704Y1 (ko) 플래쉬 회로
JPS6365929B2 (ko)
JPS629890B2 (ko)
KR920008986Y1 (ko) 카메라의 스트로브 발진 제어회로
KR0157519B1 (ko) 자동 충전 완료 플래시 장치
KR0157518B1 (ko) 접속 관계가 용이해진 외부 장착용 플래시 제어 장치
GB2067032A (en) Power supply arrangement for electric flash device
JPH0715551B2 (ja) 閃光装置
JP2639824B2 (ja) 閃光放電発光器
KR930002203Y1 (ko) 플래쉬 회로
JPS595854Y2 (ja) 電子閃光装置
JPH0119127Y2 (ko)
JPS6218906B2 (ko)
KR920008983Y1 (ko) 스트로브 플래쉬 회로
JPS634195Y2 (ko)
JPS5723925A (en) Flash emitting device incorporated in camera
JPH06203986A (ja) オートストロボ装置
JPS6139496A (ja) 電子閃光装置
JPH0712979Y2 (ja) 持続放電防止電子閃光装置
JPH0547814B2 (ko)
JPH0128496Y2 (ko)
JPS6335078B2 (ko)
GB2088157A (en) Electric Flas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