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372Y1 - 브이티알(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브이티알(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372Y1
KR960009372Y1 KR2019930004921U KR930004921U KR960009372Y1 KR 960009372 Y1 KR960009372 Y1 KR 960009372Y1 KR 2019930004921 U KR2019930004921 U KR 2019930004921U KR 930004921 U KR930004921 U KR 930004921U KR 960009372 Y1 KR960009372 Y1 KR 960009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haft
diameter
sm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011U (ko
Inventor
시게오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시게오 다까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오 다까하시 filed Critical 시게오 다까하시
Publication of KR940008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6Bearings self-adju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3/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이티알(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제1도는 실시예1의 확대 종단정면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2의 확대 종단정면도이다.
제3도는 지지구와 베어링볼 부의 확대 종단정면도이다.
제4도는 지지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 종단확대 정면도이다.
제5도는 핀치롤러를 구비한 레버의 정면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기술의 확대 종단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러 12 : 심철 슬리브
13 : 대내경부 14 : 소내경부
15 : 단부 20 : 볼베어링
21 : 아우터링 23 : 베어링볼
30 : 지지축 31 : 대경축부
31 : 소경축부 33 : 테이퍼면
34 : 대경슬리브 35 : 소경슬리브
36 : 테(플랜지) 40 : 유지구
본 고안은 주로 VTR 핀치 롤러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기테에 대해서 위치고정의 구동롤러(캡스턴이라고함)에 압접하는 핀치롤러의 지지구조에 관한다.
종래 이 종의 소형의 세로형 롤러는 제6도에 표시와 같이 외주면이 탄성층(11)이 고착된 심철슬리브(12)의 내면에 아우터링(1) 및 이너링(2)을 갖는 레이디얼 볼 베어링(3)을 끼우고, 이너링(2)을 지지축(4)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이 종의 롤러는, 외경치수가 좁은 12 내지 13mm 또는, 7.7mm로 가늘고, 또한 상술과 같이 아우터링 및 이너링을 갖는 레이디얼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해도 지지축의 외경이 가늘어진다.
또한 볼베어링의 지름도 작기 때문에 아우터링, 이너링은, 롤러나 지지축에 압입할때 변형되기 쉽고, 아우터링의 내경 및 이너링의 외경치수까지 변화될 우려가 있고, 조립후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일이 발생하고 상기의 축지름의 가늘기와 더불어 진동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들의 끼워 맞춤은 압입 조립을 하지 않고 슬라이딩 끼워맞춤 조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심철슬리브와 아우터링 및 이너링과 지지축과의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고, 소위 크리프 현상이 생기고, 조립후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
또 이들의 슬리이딩 끼워맞춤 부분은 마모의 원인과 끼워맞춤 오차에 의한 편심오차도 중첩하고 센터정밀도의 저하도 상기의 진동의 원인이 되고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다른 한편 이 종의 VTR에 있어서는 기테가 판금 프레스 성형품이고, 극히 소형이기 때문에 상술한 구동 롤러축의 부착 정밀도의 아무리해도 0.3o정도의 오차가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에 압접시키는 핀치롤러도 자동센터링성이 없으면 구동 롤러와 핀치롤러와 전 길이에 있어서 압접될 수 없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레이디얼 볼 베어링도 그 축에 대해서 최대 약 5o의 범위에서 자동 센터링 작용은 하지만, 핀치롤러 자체의 가동 가능 각도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핀치롤러가 불안정해지고, 반송되는 테이프나 지나치게 치우치는 우려가 있었다.
또 종래의 기술의 것은 레이디얼 방향의 하중은 모두 볼 베어링만으로 받기 때문에 아무리해도 지지력이 부족하고 내구성이 부족한 것이었다.
그래서 본 공안은 상술과 같이 극히 작지만 불가피하게 경사되어 있는 VTR의 구동롤러에 압접하는 핀치롤러의 지지구조로서는 자동 센터링성을 갖게하고, 또한 경사된때의 안정성과 지지력을 높이고, 또한 지지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조립이 쉽고,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진동이 적은 회전이 원활하고 내구성이 풍부한 핀치롤러의 지지구조를 시장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주면에 탄성층이 고착되고, 내면이 단이 있는 심철 슬리브가 형성된 안내 롤러에 있어서, 상기 단이 있는 심철 슬리브의 대내경부를 아래에 소내경부를 위로하고, 상기 단이 있는 곳에는 볼 베어링용의 아우터링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내면에 복수개의 베어링 볼이 장비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볼 열의 위치는 상기 안내 롤러의 길이의 바로 중간 위치로 하고 있고, 다른쪽 지지축은 상부에 소경축부, 하부에 대경축부를 가지며, 중간에 이들을 연이은 테이퍼면의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축이 상기 핀치롤러의 아래측으로 부터 이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 볼은 상기 테이퍼면에서 소경축부의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져 있고,
상기 지지축의 대경부에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합성수지 대경의 슬리브가 압입되어 있고,
또 소경축부에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소경 슬리브가 압입되어 있고, 그 외단에는 핀치롤러의 심철슬리브 소내경보다도 대경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 슬리브와 심철 슬리브의 대내경면 및 소경 슬리브와 심철 슬리브의 소내경면 간 롤축과 지지축과가 경사된때, 이들의 일부가 접촉하기에 충분한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 센터링 지지구조로 한다.
또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의 상기 틈의 치수는 롤러와 지지축의 최대경사각이 최대 1o내지 1.5o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공안의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의 상기 틈의 치수는, 상기 2개의 대경 및 소경 슬리브의 재질로서는 불소 수지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의 상기 각 베어링볼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유지구의 지지공 내지 지지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에 각각 1개꼴로 독립되어 지지되어 있고, 지지부의 베어링 볼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과 같이 구성하고 있는 청구항 1 내지 4 기재의 고안의 것에 있어서, 이것을 사용하면 이들의 지지축은 수직방향으므로 롤러의 자중은 단이 있는 심철 슬리브의 단부, 아우터링, 수개의 베어링 볼 및 지지축의 테이퍼면으로 지지되고, 직경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상기 베어링 볼이 아우터링의 내주면과 상기 테이펴면과의 전동 접촉에 의하여 받는다.
또 이 핀치롤러의 외주면을 상기 구동롤러에 압접하면, 핀치롤러로 구동롤러의 경사에 따라 함께 경사한다. 이때 핀치롤러와 그 지지축은 축선이 상대적으로 경사하고, 심철 슬리브의 내주면과 상하의 대경 슬리브 및 소경 슬리브의 일부가 슬라이딩 접촉한다.
대경 슬리브 및 소경 슬리브는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므로 심철 슬리브와의 슬라이딩 접촉이라고 접촉저항은 극히 적고, 또한 접촉한 상태의 핀치롤러는 슬라이딩축승형의 지지와 볼 베어링부와의 쌍방에 의하여 지지시키고 회전은 안정되고 있다.
아우터링은 심철 슬리브의 단부와 베어링볼 군과에 끼워 들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중 상기 심철 슬리브에 대해서 축방향에의 이동은 없다.
또 상술한 구동롤러의 핀치롤러의 압접력에 의하여 핀치롤러에 레이디얼(직경) 방향에의 힘이 작용하고, 각 베어링 볼의 궤도 위치는 테이퍼면에서 소경축부로 이동하고, 각 베어링볼 군은 소경축부의 외주면에도 접하고, 이 소경축부와 전동접촉하고, 이 소경축부에서 상기 레이디열 방향의 하증을 받고, 이 이상의 축방향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가령 예를 들면 VTR 장치 전체의 자세가 상하 전도하여 사용되는 등의 무엇인가의 외력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는 힘이 가하여지고, 핀치롤러와 지축과의 축방향의 이동이 생겼다해도 소경 슬리브의 플랜지에 의하여 그 이동은 저지된다.
청구항 2기재의 고안에 있어서는 지지축과 롤러축과의 최대 경사각은 1o내지 1.5o로 하였기 때문에, 이 이상 함부로 경사하지 않고 롤러가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다.
청구항3기재의 고안에 있어서는, 수지 슬리브의 재질은 불소수지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경사한 상태에서 심철 슬리브와 대경 슬리브와, 소경 슬리브가 슬라이딩 접촉상태에도 경쾌하게 롤은 회전한다.
청구항 4기재의 고안에 있어서는 각 베어링볼은 유지구의 각 지지공 내지 지지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내에서 독립하여 회전하고, 또 지지축과 롤러축이 경사한때 각 베어링 볼의 구동 궤도는 근소하게 타원궤도가 되는 베어링볼 상기 지지부와는 약간 헐거운 치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볼의 전동에는 지장이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도에 표시하는 것이고, 10은 롤러이고, 외주층은 탄성고무층(11)으로 형성되고, 내층은 놋쇠등의 금속으로된 심철 슬리브(12)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내경은 대내경부(13)와 소내경부(14)와가 형성되고, 대내경부(13) 및 소내경부(14)는 각각 그 전길이에 걸쳐서 동등지름으로 형성하고 그 경계부에 단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의 치수는 VTR이 VHS의 경우에 길이가 약 17 내지 18mm, 외경 12 내지 13mm정도이고, 8mmVTR의 경우는 롤러의 길이가 10mm, 외경 약 7.7mm이다.
20은 볼 베어링이고, 그 외측의 아우터링(21)은 상기 심철 슬리브(12)의 대내경부(13)측에서 삽입되고, 상기 단부(15)에 걸어 맞춤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링(21)은 경탄소크롬강(SUJ2)으로 되고, 프레스로 소내경부(14)측이 단면 L자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펼쳐나간 리브(2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아우터링의 형상은 트러스트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쪽의 단부가 벽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고, 앵귤러 콘택트형의 아우터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23은 복수개의 베어링 볼이고, 상기 아우터링(21)의 내주면 및 상기 리브(22)와 전동 접촉한다.
이 아우터일(21)의 베어링 볼(23)이 전동 접촉하는 면에 볼소수지계의 도전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층을 형성하는 경우도 이 실시예에 포함된다.
30은 지지축이고, 동등지름의 대경축부(31)와 동경의 소경축부(32) 사이에 테이퍼면(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33)과 소경축부(32)의 범위에 상기 베어링 볼(23)군이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테이퍼면의 중심각은 약 60o로 되어 있지만 각도에 한정적 의미는 없다.
베어링 볼(23)이 테이퍼면(33)에 맞닿는 위치는 베어링 볼(23)이 소경축부(32) 방향으로 근소하게 0.1 내지 0.5mm 이동한때, 이 베어링 볼(23)이 소경축부(32)에 접촉하도록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전에 설계되어 있다.
34, 35는 대경 슬리브 및 소경 슬리브이고, 대경 슬리브(34)는 대경부(31)에 한편 소경 슬리브(35)는 소경축부(32)에 각각 압입되어 있다.
또 소경슬리브(35)의 외단에는 심철 슬리브(12)의 내경보다도 크게 뻗어나간 플랜지(36)가 형성되어 있고, 롤러(10)가 소경측에 빠져 낙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심철 슬리브(12)의 내주면고, 대경 슬리브(34) 및 소경슬리브(35)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10)과 지지축(30)의 축선이 1o내지 1.5o경사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약 1o경사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롤러의 길이가 18mm인때, 상기 틈 치수는 135미크론, 롤러의 길이가 10mm인때는 상기 틈 치수는 약 75미크론되어 있다.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베어링볼(20)부에는 사전에 그리스를 충전하여 둔다(예를 들면 액상의 불소 그리스를 주입해둔다). 또 조립완료 후에, 베어링 볼(23)열의 위치는 롤(10)의 축 방향의 길이의 바로 중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의 대경축부(31) 측의 축단은 레버(37)의 선단부에 견고하게 한쪽이 고정되어 있고, 이 레버(37)의 타단은 VTR의 기테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8)에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레버(37) 선단의 핀치롤러(10)가 구동롤러 C에 압접하도록 레버(37)에는 스프링(39)이 장치되어 있다.
상술한 대경슬리브(34) 및 소경 슬리브(35)를 지지축(30)에 끼워 넣고, 조립후는 핀치롤러(10)는 약간 지지축(3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이고, 상기 베어링 볼(23)은 테이퍼면(33) 내지 소경축부(32)에 맞닿는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 이동 가능치수는 0.5mm 내지 1mm로 되어 있다.
상술한 대경 슬리브(34) 및 소경 슬리브(35)의 재질로서는 불소 수지계의 도전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했다. 이 일례로서는 니짜아스 주식회사제 엑셀라이드-D(등록상표 엑셀라이드)를 사용했다.
상기의 엑셀라이드-D의 물서으로서는 다음과 같다.
항 목 측정치
밀 도 2.70g/㎤
인장강도 250.㎏/㎠
신 도 15. %
경 도 68(D)
압축강도 80~170kgf/㎠
압축 탄성율 9.8×103kgf/㎠
열팽창계수
-100~25oC 8.5×10-5/oC
25~100oC 1.2×10-4/oC
100~200oC 1.2×10-4/oC
200~250oC 1.4×10-4/oC
체적 전기 저항율 5.0Ω·㎝
이 실시예의 작용은 대체로 청구항 1기재의 작용과 동일하다.
특히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핀치롤러(10)가 구동롤러 C에 압접되면, 구동 롤러의 외주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핀치롤러의 축선과 지지축(30)의 축선이 경사하고, 심철 슬리브(12)의 내주면과 대경슬리브(34) 및 소경 슬리브(35)가 접촉되어 회전할때, 이들 대경 슬리브 및 소경 슬리브(35)로서 불소수지계의 도전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므로, 마찰계수가 적고 이부분은 슬라이딩축승으로서 경쾌하게 회전하고, 또 마찰에 의한 정전기의 발생은 없다.
또 핀치롤러(10)축선과, 지지축(30)의 경사가동 범위는 최대 1o내지 1.5o로 근소하므로, 경사된 채로의 회전이 계속되었다해도. 이 핀치롤러(10과 구동롤러 C와의 접촉상태는 안정하고 구동롤러 C에 걸어맞춤하는 테이프를 벗길우려없이 안내한다.
또 상기 핀치롤러(10)의 구동롤러 C에의 압접에 의하여, 테이퍼면(33)에 맞닿는 베어링 볼(23)군은 그 테이퍼면(23)에 압접하면서, 소경축부(32) 방향으로 근소하게 이동하고 베어링 볼(23)군은 소경축부(32)의 외주면과 접동접촉하고, 레이디얼 방향의 힘을 소경축부(32)에서 받아 회전하고, 그 이상 축방향으로 핀치롤러는 닿지 않는다. 이 축방향에의 이동치수는 0.5mm 내지 1.0mm로 극히 근소하다.
VTR의 상하를 반대로 하는 등에 의하여 상기 이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해도 소경슬리브(35)의 플랜지(36)에 의하여 그 이상의 이동은 저지된다.
실시예2
실시예1과 상이한 바는, 아우터링(20)이 윤활제를 함침 내지 일체 성형한 소결 심철로된 성형품을 사용하고 있는 점과, 각 베어링볼(23)은 서로 이웃하는 볼이 접촉하지 않도록 링상의 유지구(40)를 사용하고 있는 점이디.
기타, 실시예1과 동일 부호의 곳은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부재 내지 구성부분을 표시하고 동일작용을 한다. 아우터링(20)은 상기의 재질외에 스테인레스제 혹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여도 이 고안의 실시예에 포함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는 불소수지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니찌아스주식회사제 엑셀라이드-D(등록상표 엑셀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지구(40)의 재질은 마모계수가 작은 에어링 플라스틱에 특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예를 들면 듀폰사제의 등록상표 델-린, 폴리플라스틱주식회사제의 등록상표 듀라콘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으로서 미쓰이 석유화학 공업주식회사의 등록상표 하이젝스 ·밀리온, 불소계 수지로서는 니찌아스주식회사의 엑셀라이드 9550S등이 바람직하다.
유지구(40)의 구조는 상기 재질로된 성형품이고, 예를 들면 제3도 또는 제4도의 구조로 하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는 유지구(40)는 전체로서 테이퍼 실린더상이고, 이 실린더부의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볼 지지공(41)이 등각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볼 지지공(41)은 지지되는 각 볼과 그 직경의 3내지 5% 정도의 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4도에 표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테이퍼 실린더상의 유지구(40)의 대경측의 단면(42)으로부터 각 볼 지지홈(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각 볼 지지홈(43)의 나비도 사용되는 볼 외경보다 3~5% 정도크고, 각 볼이 지지홈(43)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2에 있어서는, 각 베어링볼(23)이 아우터링(21)과 테이퍼면(33)내지 소경 축부(32)와의 사이에서 전동할때 각각 독립하여 유지구(4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서로 가까운 볼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회전저항은 실시예1보다 작다.
또한, 유지구(40)은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각 베어링 볼(23)과의 마찰저항을 적게하고, 각 베어링 볼(23)은 유지구(40)의 볼 지지공 내지 볼 지지홈에 대해서, 볼의 직경의 3~5% 정도 헐거운 치수(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러(10)의 축선과 지지축(30)의 축선이 경사하고, 각 베어링 볼의 전동 궤도가 약간 타원형 궤도로 되어도 원활하게 회전하고 또한 베어링볼의 궤도를 유지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이 공안의 것은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의 것에 있어서는, 롤 지지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시에 가해지는 롤러에의 추력은 심철 슬리브의 단부, 아우터링, 베어링 볼을 통해서 지지축의 페이퍼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위치결정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시에 아우터링의 내경이 다소 작게되었다 할지라도, 베어링 볼은 테이퍼면에 닿는 위치가 다소 닳을 뿐이고 아우터링과 테이퍼면과의 사이에서 적절한 압력을 받아서 회전될 수 있다.
또 구동롤러에 압접할때에 받는 직경 방향의 힘은 아우터링, 베어링볼을 통해서 상기 지지축의 테이퍼면에 감압되어 그 테이퍼면에 경사각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분력이 되어 롤을 들어올리는 힘이 되고, 핀치롤러는 소경 축부 방향으로 근소하게 닿고, 베어링 볼군은 테이퍼면 뿐만 아니라 소경축부와도 전동 접촉하고, 그 이상의 레이디얼 방향의 힘을 받아도, 핀치롤러는 출방향으로 닿는 적이 없고, 바로 지지축 둘레로 회전한다.
또 시동시에 있어서는 각 베어링볼은 지지축 및 아우터링과의 사이에 있어서 이들과 전동접촉이기 때문에 시동시에 필요한 토오크는 극히 적고 회전은 극히 경쾌하다.
또 상기 롤러가 구동롤러와 압접하므로서, 상기 베어링볼 열보다도, 상측 또는 하측에 치우친 힘이 작용한때는 롤러축과 지축은 그 경사 가능한 틈의 범위에서 경사하고, 심철 슬리브의 내주의 일부 상단과 소경 슬리브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또 심철 슬리브의 내주의 일부의 하단과 대경 슬리브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지지력은 크고, 내구성이 풍부하고, 상기 베어링볼 열 부분의 전동접촉과 더불어 지지되고, 이 경사위치에서 핀치 롤러는 안전자세가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지지축의 하부는 대경부이므로 측방에의 늘어짐도 없고 진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핀치롤러가 지지축에 대해서 경사되어 있을때도, 지지력은 크고, 내구서이 풍부하다. 또 구조도 이너링을 불필요하고, 구조도 단순화되고 코스트도 종래품에 비해서 저렴해진다.
또 이 슬라이딩축승 효과를 발휘할때의 접촉부재의 한쪽인 대경 슬리브 및 소경 슬리브는 마찰계수가 작고 마모계수도 작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이 상태에 있어서의 롤의 회전은 극히 경쾌하고 내구성이 풍부하다.
청구항 2개지의 고안에 있어서는, 청구항 1기재의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롤러와 지지축의 경가 가능한 최대 각도는 1o내지 1.5o로 근소하기 때문에 롤러는 거의 경사하지 않는다.
상기 청구항 3기재의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대경 및 소경 슬리브는 불소수지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하였으므로 더한층 슬라이딩 효과가 있고, 이들이 슬리브와 접촉을 해도 롤러의 회전은 경쾌한 상태를 유지한다.
청구항 4기재의 고안에 있어서는 각 베어링 볼은 유지구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서로 가까이 있는 베어링볼은 접촉하지 않과, 또한 그 지지부와 각 베어링볼과는 약간의 틈이 있으니까 롤러가 지지축이 경사한 경우에도 각 베어링볼의 회전히 불능 또는 불완전하게 되지 않는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청구항 1, 2 및 3 기재의 고안의 효과를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2에 있어서는 청구항 1, 2, 3 및 4 기재의 고안의 효과를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1 및 2의 것에 있어서는 외층이 탄성층, 내장이 심철 슬리브로 된 핀치롤러(10)는 종래의 기술로서 사용되고 있는 롤러(10)을 그대로 혹은 근소한 치수변경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지지구조만 근소한 변경을 가하는 것뿐이고, 실용성은 극히 높은 것이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롤러 C와 핀치롤러(10)과의 경사와 대략같은 정도 경사 가능한 핀치롤러(10)를 사용했기 때문에 상호의 롤러의 밀착성 및 운전중의 핀치롤러(10)의 안정성 및 지지력은 크고 내구성이 풍부하다.

Claims (4)

  1. 외주면에 탄성층이 고착되고, 내면이 단이 있는 심철 슬리브가 형성된 안내롤러에 있어서, 상기 단이 있는 심철 슬리브의 대내경부를 아래에 소내경부를 위로하고, 상기 단이 있는 곳에는 볼 베어링용의 아우터링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내면에는 복수개의 베어링볼이 장비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볼 열의 위치는 상기 안내롤러의 길이의 바로 중간 위치로 하고 있고, 다른쪽 지지축은 상부에 소경축부, 하부에 대경축부를 가지며, 중간에 이들을 연결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축이 상기 핀치롤러의 아래측으로 부터 이속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 볼은 상기 테이퍼면에서 소경축부의 범위내로 이동가능하게 맞닿아져 있고, 상기 지지축의 대경부에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합성수지 대경의 슬리브가 압입되어 있고, 또 소경축부에 마찰계수 및 마모계수가 작은 소경 슬리브가 압입되어 있고, 그 외단에는 핀치롤러의 심철 슬리브 소내경보다도 대경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슬리브와 심철 슬리브의 대내경면 및 소경 슬리브와 심철 슬리브의 소내경면 사이 롤축과 지지축이 경사된때, 이들의 일부가 접촉하기에 충분한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의 치수는 롤러축과 지지축의 경사각이 최대 1o내지 1.5o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대경 및 소경 슬리브의 재질로서는 불소 수지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링볼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제의 유지구의 지지공 내지 지지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에 각각 1개 꼴로 독립되어 지지되어 있고, 지지부와 베어링 볼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KR2019930004921U 1992-09-24 1993-03-30 브이티알(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KR9600093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2072089U JP2547009Y2 (ja) 1992-09-24 1992-09-24 Vtrのピンチローラの滑り軸承型自動調芯支承構造
JP92-72089 1992-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011U KR940008011U (ko) 1994-04-18
KR960009372Y1 true KR960009372Y1 (ko) 1996-10-21

Family

ID=1347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921U KR960009372Y1 (ko) 1992-09-24 1993-03-30 브이티알(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73982A (ko)
JP (1) JP2547009Y2 (ko)
KR (1) KR960009372Y1 (ko)
GB (1) GB22709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9045A1 (de) * 1993-08-28 1995-03-02 Philips Patentverwaltung Vorrichtung zum Wickeln von bandförmigem Material
DE4405154A1 (de) * 1994-02-18 1995-08-24 Philips Patentverwaltung Umlenkrolle für ein Magnetband eines Magnetbandgerätes
KR0137172Y1 (ko) * 1995-03-29 1999-04-1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US5803335A (en) * 1995-04-18 1998-09-08 Daewoo Electronics Co., Ltd. Pinch roller assembly having a rubber cushion for making a contact surface thereof pivotable
US5833106A (en) * 1995-12-05 1998-11-10 The Servants, Inc. Web tension equalizing roll and tracking apparatus
US5727753A (en) * 1995-12-05 1998-03-17 The Servants, Inc. Web tension equalizer roll
KR0181091B1 (ko) * 1996-03-28 1999-04-1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JPH1153787A (ja) * 1997-08-06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EP1368809A1 (en) * 2001-03-06 2003-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gnetic-tape apparatus with a pressure-roller device and pressure-roller unit
JP2002352488A (ja) * 2001-05-25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ピンチローラ装置
US7961430B2 (en) * 2006-09-19 2011-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pe path control system with precision-aligned conjugated rollers
JP2008095910A (ja) * 2006-10-16 2008-04-24 Tok Bearing Co Ltd 自動調心型玉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915239B (zh) * 2021-09-30 2022-11-18 大连理工大学 一种滑动和滚动轴承耦合设计的抗大冲击复合结构轴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12446A (en) * 1924-03-25 1924-10-21 Charles J Barnes Moving-picture machine
US3154260A (en) * 1962-11-02 1964-10-27 Darlington Fabrics Corp Capstans
US3420590A (en) * 1966-10-31 1969-01-07 Forano Ltd Dustproof bearing for idler roller
US3945693A (en) * 1975-04-25 1976-03-23 Caterpillar Tractor Co. Track roller
JPS56141207A (en) * 1981-02-14 1981-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Underground warehouse
US4403720A (en) * 1982-02-05 1983-09-13 Bell & Howell Company Bidirectional tape advanc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129100A (ja) * 1983-12-16 1985-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イロン収納装置
JPS6366751A (ja) * 1986-09-08 1988-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テ−プガイドロ−ラ
JPH056416Y2 (ko) * 1987-03-19 1993-02-18
GB2197933B (en) * 1986-09-30 1990-08-29 Shigeo Takahashi Roll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73982A (en) 1994-12-20
KR940008011U (ko) 1994-04-18
GB2270957A (en) 1994-03-30
JP2547009Y2 (ja) 1997-09-03
JPH0630523U (ja) 1994-04-22
GB9310948D0 (en) 1993-07-14
GB2270957B (en) 199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372Y1 (ko) 브이티알(vtr)의 핀치롤러의 슬라이딩축승형 자동센터링 지지구조
US4770550A (en) Automatically tiltable small roller structure of slide bearing type
EP2682620B1 (en) Sliding bearing
JPH0452173Y2 (ko)
KR970001605B1 (ko) 롤링부재를 구비한 슬라이딩/롤링 베어링
KR100356698B1 (ko) 볼 부시
NL8801262A (nl) L-vormig legersamenstel.
JPH0914263A (ja) 組立て型リニヤベアリング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0320548A (ja) 転がり軸受
US5896240A (en) Pinch roller and pinch roller apparatus having a self-alignment function
JP2009041651A (ja) 円錐ころ軸受
JP2529981Y2 (ja) 滑り兼推力軸受ユニット及びこのユニットを用いた軸支持構造
GB2197933A (en) Roller structure
KR930002888Y1 (ko) 미끄럼 베어링식의 자동 중심 조절 소형 로울러
JP2012145187A (ja) 滑り軸受
JP5717065B2 (ja) 滑り軸受
JPH026515Y2 (ko)
JPH06105094B2 (ja) クラツチレリーズ軸受装置
JPH026518Y2 (ko)
JP2011247293A (ja) 転がり軸受
JP2007298184A (ja) アンギュラ玉軸受
JP2655994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US6896414B2 (en) Ball roller
KR200254108Y1 (ko) 베어링
JPH0650833Y2 (ja) ピンチロー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