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202Y1 -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 Google Patents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202Y1
KR960009202Y1 KR2019940013205U KR19940013205U KR960009202Y1 KR 960009202 Y1 KR960009202 Y1 KR 960009202Y1 KR 2019940013205 U KR2019940013205 U KR 2019940013205U KR 19940013205 U KR19940013205 U KR 19940013205U KR 960009202 Y1 KR960009202 Y1 KR 960009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guide
support
su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006U (ko
Inventor
박증춘
Original Assignee
오태한
박증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한, 박증춘 filed Critical 오태한
Priority to KR2019940013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202Y1/ko
Publication of KR9600000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01C7/042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using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노즐이 씨앗을 흡착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노즐이 씨앗을 낙하시키는 상태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 (a)는 노즐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4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사용되는 자동파종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제6도는 자동파종 시스템의 요부 확대도.
제7도는 종전의 드럼식 파종장치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파종기 100 : 함체
102 : 지지봉 103 : 바이브레이터
104 : 씨앗공급대 105 : 수평 지지대
106 : 가이드지지판 107 : 가이드
108 : 수직지지대 109 : 낙하안내판
109a : 씨앗낙하공 110 : 고압 실린더
111 : 피스톤 113 : 흡착 파이프
115 : 흡착 노즐 116 : 흡착노즐 가이드
117 : 흡착공
본 고안은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에 관한 것인데,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건 출원인의 선출원 내용인 93년 특허출원 제15938호 (명칭 : 자동파종 시스템)에서 자동파종기 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선출원 특허 94-15938호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토충전기(91)상토진압기(30), 자동파종기(5), 복토기(70), 살수기(90)등이 벨트콘베어 (9)(40)(81)(92)들로 서로 맞물려진 자동파종시스템으로서 상토충전기는 혼합된 상토를 트레이에 담아주는 장치이고, 상토전압기는 트레이에 담겨진 상토를 씨앗이 들어갈 수 있도록 1회의 동작으로 홈을 내어 주는 장치이며, 자동파종시는 진공드럼을 이용하여 트레이에 씨앗을 1열씩 떨어트려주는 장치이다. 그리고 자동복토기는 파종이 끝난 씨앗 위로 흙으로 살며시 덮어주는 장치이고, 자동관수기는 씨앗이 뿌려진 트레이에 스프레이 장치를 통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이상과 같은 자동파종시스템은 모든과정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력을 줄일 수 있어 육묘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모든 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자동파종 시스템에서 자동파종기는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진공드럼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함체(51)의 내부에 흡착공(57)이 무수히 천공되어진 진공드럼(56)의 측면으로 안내로울러(55)를 설치하고, 안내로울러(55)의 상방에는 씨앗안내판(53)을 설치하였으며 진공드럼(56)의 상측에는 분출관(59)을 설치한 구조로서 씨앗안내판(53)을 통하여 진공드럼(56)을 회전시키면 진공드럼이 회전하면서 흡착공(57)으로 씨앗(다)을 흡착하고서 회전하다가 하측방에서는 차단판(58)에 걸려서 씨앗이 직하방으로 떨어져 이송되는 트레이에 낙하하도록 되어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파종속도는 매우 빠른 장점이 있는 반면 흡착공(57)이 진공드럼(56)의 표면에 직접천공된 상태이므로 고추 씨앗 등과 같이 구상형의 종자가 아닌 납작한 형태의 씨앗을 파종할 때는 흡착공(57)에 2개~3개의 씨앗이 흡착되기 때문에 트레이의 한 개의 셀(cell)에서 2~3개의 묘가 자라나는 폐단이 발생한다.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트레이의 규격에 따라(73홀, 128홀, 288홀)파종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진공드럼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며, 씨앗의 크기에 따라 흡착공의 경을 바꾸고자 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파종장치를 노즐식으로 구성한 것인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치는 제1도, 제2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02)위에 두 개의 수평지지대(105)(105a)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105a)위에는 함체(101)가 설치되어 내부에는 바이브레터(103)가 설치되고, 외측에는 씨앗공급대(104)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다른 수평 지지대(105)위에는 위에는 중앙으로 씨앗낙하공(109a)이 천공되어 있는 낙하안내판(109)과 수직지지대(107)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낙하안내판(109)의 좌우측면에는 수평지지대(105)상에 가이드 지지판(106)이 고정 설치되고 이의 내측면에는 가이드(107)가 고정되었으며, 수직지지대에는 고압실린더(110)가 상하 회전이 자유롭게 축고정 되었으며 고압실린더(110)의 피스톤(111)끝단에는 연결구(114)로서 흡착파이프(113)가 고정설치되었으며,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흡착파이브(113)에는 흡착공(117)이 뚫려진 흡착노즐가이드(116)를 끼워고정시키고 이에는 다시 흡착노즐(115)을 끼운 것이다. 그리고 연결구(114)에는 리턴 스프링(114a)을 걸어서 수직지지대(108)와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본 고안 장치에서는 제2도,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씨앗공급대(104)와 낙하 안내판(109)의 씨앗낙하공(109a)은 거의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고압실린더(110)의 동작으로 피스톤(111)이 전 후진 할 때는 리턴스프링(114a)의 동작으로 흡착파이프(113)는 가이드(107)의 상면을 따라 전 후진을 하게 되며 바이브레터(103)는 함체(101)와 씨앗공급대(104)를 흔들어 씨앗(다)이 공급대(104)의 전방으로 모이게 한다.
따라서 제3도의 상태에서 고압호스(118)를 통하여 고압이 고압실린더(110)에 공급되면 피스톤(111)은 하강을 하는데 이때 리턴 스프링(114a)의 동작으로 흡착파이프(113)는 가이드(107)면을 따라 이동전진하여 제2도의 상태와 같이 흡착 바늘(115)이 씨앗공급대(104)의 씨앗(다)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동시 진공호스(119)를 통해서는 강력한 진공압이 작용하여 흡착노즐(115)끝단에는 씨앗(다)이 흡착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고압실리더(110)의 고압호스(118a)에 압이 걸리면 피스톤(111)은 상승하여서 제3도와 같은 상태로되고 이때 진공호스(119)를 통해 작용하는 진공압을 제거하면 흡착 노즐(115)끝단에 흡착되어 있는 씨앗(다)은 낙하하여 낙하안내판의 씨앗낙하공(109a)을 통하여 하측에서 이동되는 트레이(나)의 셀 내부에 정확히 씨앗이 파종된다. 그리고 씨앗(다)이 낙하된 다음에는 전술한 동작이 반복되며 연속적으로 씨앗을 흡착하여다가 트레이 위에 정확히 낙하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장치에서는 흡착노즐(115)이 가늘고 길기 때문에 매번 씨앗을 흡착학 때 꼭 1개씩의 씨앗만이 정확히 흡착되므로 트레이에 파종할 때 94%이상의 파종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노즐을 손쉽게 빼고 끼울 수 있어 노즐경의 변화가 용이하고, 파종간격의 조절이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두 개의 수평 지지대(105)(105a)를 지지봉(102)위에 고정설치하여 일측의 수평지지대(105A)에는 내부에 바이브레이터(103)가 고정설치되고 외부에는 씨앗공급판(104)가 부착되어 있는 함체(101)를 고정설치하였으며, 타측의 수평지지대(105)에는 씨앗낙하공(109a)이 천공된 낙하안내판(109)과 수직지지대(107)를 설치하여 낙하안 내판의 좌우측면에는 가이드지지판(106)으로 가이드(107)를 고정설치하고, 수직지지대에는 고압실린더(110)를 상하 회전될 수 있게 설치하되, 피스톤(111)끝단에는 연결구(114)로서 흡착파이프(113)가 고정설치되고 흡착파이프(113)에는 흡착공(117)이 뚫려진 흡착노즐 가이드(116)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이에는 흡착노즐(115)을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KR2019940013205U 1994-06-08 1994-06-08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KR960009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205U KR960009202Y1 (ko) 1994-06-08 1994-06-08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205U KR960009202Y1 (ko) 1994-06-08 1994-06-08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006U KR960000006U (ko) 1996-01-17
KR960009202Y1 true KR960009202Y1 (ko) 1996-10-16

Family

ID=1938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205U KR960009202Y1 (ko) 1994-06-08 1994-06-08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2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87B1 (ko) * 2008-04-18 2010-08-17 오창준 자동 파종 장치
KR101020849B1 (ko) * 2008-05-19 2011-03-09 오창준 자동 파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87B1 (ko) * 2008-04-18 2010-08-17 오창준 자동 파종 장치
KR101020849B1 (ko) * 2008-05-19 2011-03-09 오창준 자동 파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006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41000B (zh) 自动化育秧设备
US6142086A (en) Air seeder singulation system
KR960009202Y1 (ko)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JP3624297B2 (ja) 播種装置
JPH09107732A (ja) 手動点播機
KR100491169B1 (ko) 대립종자 정렬파종기
JP2758430B2 (ja) 真空播種機
KR20210045041A (ko) 중력 정렬식 마늘 파종기
CN214338590U (zh) 一种农业用种子播撒装置
JP3512888B2 (ja) 偏平種子用播種機
KR100687218B1 (ko) 파종기용 입상물 산포장치
CN211406822U (zh) 一种均匀播种的农业撒种装置
US20230363304A1 (en) Planter having a seeding system
KR100455631B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KR950005145A (ko) 자동 파종 시스템
JP3512859B2 (ja) 偏平種子用の播種機
KR100285289B1 (ko) 씨앗 낱알 파종기
JP2592626B2 (ja) 点播き播種機
KR200287460Y1 (ko) 시비 겸용 파종장치
RU2060619C1 (ru)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JP2565261Y2 (ja) 真空播種機
JP3073895B2 (ja) 播種装置
JP3563470B2 (ja) 偏平種子播種機用鎮圧具
CN115643867A (zh) 一种滚筒气针吸附式穴盘播种装置
SU1480781A1 (ru)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