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66B1 -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방법 - Google Patents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66B1
KR960009066B1 KR1019870007743A KR870007743A KR960009066B1 KR 960009066 B1 KR960009066 B1 KR 960009066B1 KR 1019870007743 A KR1019870007743 A KR 1019870007743A KR 870007743 A KR870007743 A KR 870007743A KR 960009066 B1 KR960009066 B1 KR 96000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c acid
fermentation
produce
fermentation process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820A (ko
Inventor
유타까 무라까미
사끼꼬 야즈
야스쯔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도 가부시끼가이샤
우다다 가쯔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도 가부시끼가이샤, 우다다 가쯔히로 filed Critical 아지노모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4Glutamic acid; Glut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3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5Corynebacter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방법
본 발명은 조미료로서 널리 사용되는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L-글루탐산은 산업적 규모로 브레비박테륨(Brevibacterium) 또는 코리네박테륨(Corynebacterium)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사용하여 발효 공정으로 제조하여 왔다.
발효 공정에 의한 L-리신의 제조와 관련하여, 당해 아미노산은 L-리신을 생성시킬 수 있고 고농도(30g/dl)의 에틸렌 클리콜에 대해 내성이 있는 브레비박테륨 또는 코리네박테륨 속에 속하는 몇몇 균주에 의해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115,186 호(1983)]. 그러나, L-글루탐산 발효에 관하여, 고농도(10g/dl)의 염화나트륨에 내성이 있는 L-글루탐산 생성 미생물이 L-클루탐산을 고수율로 생성한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산업적 규모로 L-아미노산을 제조하는 새로운 발효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통상적인 발효공정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에 의해, 브레비박테륨 또는 코리네박테륨의 L-글루탐산 생성 종으로부터 유도된 돌연변이체로부터 탁월한 L-글루탐산 생성 능력을 갖고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 성장할 수 있는 균주를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본 발명은 액체 배양 배지중에서, L-글루탐산을 생성시킬 수 있고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브레비박데륨 또는 코리네박레륨 속에 속하는 돌연변이체 균주를 성장시키고 ; 상기 액체 배지중에서 형성되어 축적된 L-글루탐산을 회수함을 포함하는,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신규한 발효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사용되고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돌연변이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고농도 염화나트륨의 존재하에서 성장할 수 있는 브레비박테륨 락토페르멘툼(AJ 12300, FERM P-8846, FERM BP-1363)[기탁번호 : KFCC-10448, 기탁일 : 1987년 10월 23일, 기탁기관 : 한국종균협회] 및 코리네박테륨 글루타미컴(AJ 12301, FERM P-8847, FERM BP-1364)[기탁번호 : KFCC-10499, 기탁일 : 1987년 10월 23일, 기탁기관 : 한국종균협회]이 포함된다. FERM-P 번호로 상기 정의한 돌연변이체는 일본국 이바라기켄 쓰쿠바군 야타베마치 히가시 1쵸메 1-3소재의 국제 통상 산업성 산업 과학 기술국 발효 연구소(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s and Technology, Ministy of InternationaI Trade and Industry : FRI)에 1986년 7월 10일자로 최초로 기탁되어 상기한 FERM-P 번호를 부여받았다. 그후 상기 돌연변이체 기탁물은 1987년 5월 15일에 부타페스트 조약하의 기탁물로 전환되었고, 이에따라 상응하는 FERM-BP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균주는 브레비박테륨 락토페르멘툼(ATCC 13869)과 코리네박테륨 글루타미컴(ATCC 13032)으로부터 돌연변이화 방법을 사용하여 유도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되는 돌연변이체가 유도되는 다른 모균주는 브레비박테륨종[예를 들면, 비. 플라범(B.flavum)(ATCC 14067), 비.데바리카텀(B.devaricatum)(NRRL B-2311) 및 비. 사카롤리티컴 (B. saccharoliticum) (ATCC 14066) ], 코리네박테륨종[예를들면, 씨.아세토애씨도필럼(C. acetoacidophilum)(ATCC 13870) 및 씨. 아세티글루타미컴(C. acetiglutamicum)(ATCC 15806)] 및 마이크로박테륨 암모니아필럼(Microbacterium ammoniaphilum)(ATCC 15354)과 같은 L-글루탐산 생성 미생물이 포함된다.
자외선, X-선 및 기타 방사선의 조사, 변이 유발소를 사용한 처리 및 미생물의 돌연변이화에 통상 사용되는 기타 기술을 상술한 모균주로부터 본 발명의 돌연변이체 균주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30℃에서 250μg/ml의 N-니트로-N'-메틸-N-니트로소구아니딘으로 2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이 그 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고농도의 염은 액체 배지에 가할 경우, 배지의 삼투압을 증가시키며 이에 의해 배지에서 미생물의 성장이 지연되거나 억제되는 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제 1철, 염화제 2 철, 염화망간(II),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제 1 철, 황산제 2 절, 황산마그네슘, 인산일칼륨, 인산이칼륨, 인산일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암모늄, 글루탐산나트륨, 글루탐산암모늄, 솔비톨, 자당, 과당, 포도당, 푸마르산, 시트르산 및 에틸렌 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 성장할 수 있는 돌연변이체는 각각의 모균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조건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고농도의 염을 함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 배양 배지에서 성장할 수 있는 돌연변이체 균주를 의미한다. 예로서, 고농도의 염화나트륨 존재하에서의 배양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1
(+++) : 매우 잘 성장한다 ; (++) 잘 성장한다 ; (+) : 약간 성장 한다 ; (±) : 거의 또는 전혀 성장하지 않는다.
표 1에 나타낸 각 균주의 성장조건은 다음과 같이 평가되었다.
1%의 폴리펩톤, 1%의 효모 추출물, 0.5 내지 20.0%의 염화나토륨 및 2%의 한천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pH 7.0)를 120℃에서 20분 동안 멸균시켜 한천 플레이트를 제조한다.
육즙 사면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미리 배양시킨 각각의 균주를 멸균수에 현탁시키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현탁액을 상기 제조한 각 한천 플레이트에 접종하고(플레이트당 100 내지 200개의 세포), 31.5℃에서 48시간 동안 계속 배양하고, 발현된 클로니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선택된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 성장할 수 있는 균주는 성장하여 L-글루탐산 발효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에 의해 L-글루탐산을 생성시킬 수 있다.
탄소공급원, 질소공급원, 무기 이온 및 기타 영양소를 함유하는 통상적인 배양 배지를 본 목적에 사용할수 있다.
탄소공급원의 예로서 사탕무우 및 사탕수수 즙, 폐 당밀, 전분 가수분해물 기타 당 물질 ; 및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암모늄염, 암모니아수, 우레아 및 L-글루탐산 발효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의 질소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무기 이온(예를들면, 인산염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을 배양 배지에 가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틴(또는 바이오틴-활성 물질)을 그의 양이, 배양되는 균주의 만족할만한 성장에 대해 허용할수 있는 최고 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다 ; 폐 당밀 또는 과량의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기타 물질을 탄소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페니실린(G, F, K, O, V 또는 X) 또는 고급 지방산 형태의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슈크로즈 모노팔미테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를 바이오틴 억제제로서 가한다. 또한, 배양조건은 30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6 내지 8.5 범위의 pH에서의 호기성 조건으로서 L-글루탐산 발효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양조건과 같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포도당 50mg/ml, 우레아 2mg/ml, KH2PO41mg/ml, MgSO4, 7H2O 0.4mg/ml, FeSO4, 7H2O 10μg/ml, MnSO4, 4H2O 10μg/ml, 콩단백질의 산 가수분해물(미에키) 5μg/ml, 티아민 염산염 100μg/l, 바이오틴, 2.5μg/ml 및 NaCl 25mg/ml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를 제조한다. 상기 배지 20ml를 500ml들이 진탕플라스크에 분배하여 넣고 115℃에서 10분동안 가열하여 멸균시킨다. 표 2에 열거한 각각의 균주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내 31.5℃에서 30시간 동안 계속 발효시킨다. 이 기간 동안 우레아 수용액 450mg/ml를 소량씩 가하여 배양 배지의 pH를 6.0 내지 8.5의 범위로 유지시킨다. 소모된 당에 기초한 발효액에 축적된 L-글루탐산의 수율을 표 2에 열거하였다. 표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돌연변이체 균주가 다량의 L-글루탐산을 축적시킨다.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2]
폐 당밀(포도당으로서 ) 60mg/ml, KH2PO41mg/ml, MgSO4, 7H2O1mg/ml, 티아민 염산염 100μg/l 및(삼투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NaCl 25mg/ml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를 제조한다(pH 7.0). 상기 배지 20ml를 500ml들이 진탕 플라스크에 분배하며 넣고 115℃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멸균시킨다. 표 3에 열거한 각각의 균주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기내 31.5℃에서 36시간 계속 발효시킨다.
이 기간동안 우레아 수용액 450mg/ml를 소량씩 가하여 배양 배지의 pH를 6.0 내지 8.5의 범위로 유지시킨다. 발효액의 1 : 26 회석액의 흡광도가 562mμ에서 0.30에 달하는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PESP)를 가한다.
소모된 당에 기초한 발효액에 축적된 L-글루탐산의 수율은 표 3에 열거하였다. 표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고농도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돌연변이체 균주가 다량의 L-글루탐산을 축적시킨다.
[표 3]
Figure kpo00003
[실시예 3]
폐 당밀(포도당으로서) 150mg/ml, KH2PO41mg/ml, MgSO4, 7H2O 1mg/ml, 티아민 염산염 100μg/l, 소포제 0.02ml/l 및 솔비톨 50mg/ml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를 제조한다(pH 7.0). 상기 배지 300ml를 11용병 발효기에 충전시키고 12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멸균시킨다.
표 4에 열거한 각각의 균주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고 통기 및 진탕시키면서 31.5℃에서 계속 발효시킨다. 암모니아 기체를 주입하여 배양 배지의 pH를 7.8로 유지하고, 발효액의 1 : 26 희석액의 흡광도가 562mμ에서 0.35에 달하는 경우, PESP를 가한다. 소모된 당에 기초하여 발효액에 축적된 L-글루탐산의 수율을 표 4에 열거하였다. 표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고농도 염의 존재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돌연변이체 균주가 다량의 L-글루탐산을 축적시킨다.
[표 4]
Figure kpo00004

Claims (1)

1.0%의 폴리펩톤, 1.0%의 효모 추출물, 2.0%의 한천 및 10g/dl 이상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배양배지중 31.5℃에서 48시간 동안 성장할 수 있고 L-글루탐산을 생성시킬 수 있는, 브레비박테륨 락토페르멘툼(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또는 코리네박테륨 글루타미컴(Corynebacterium glutamicum)에 속하는 돌연변이체를 호기성 조건하에 액체 배지중에서 성장시킨 다음, 액체 배지중에서 형성되어 축적된 L-글루탐산을 회수함을 포함하여,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 방법.
KR1019870007743A 1986-07-18 1987-07-16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방법 KR960009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69555A JPH0822235B2 (ja) 1986-07-18 1986-07-18 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JP169555 1986-07-18
JP169555/1986 198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820A KR880001820A (ko) 1988-04-27
KR960009066B1 true KR960009066B1 (ko) 1996-07-10

Family

ID=1588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43A KR960009066B1 (ko) 1986-07-18 1987-07-16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0822235B2 (ko)
KR (1) KR960009066B1 (ko)
BR (1) BR8703741A (ko)
FR (1) FR2601691B1 (ko)
MY (1) MY102872A (ko)
PH (1) PH239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2019B2 (ja) * 1996-11-21 2006-08-23 味の素株式会社 連続発酵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FR2885900B1 (fr) * 2005-05-20 2009-02-13 Omya Development Ag Matieres minerales contenant du carbonate a emission en gaz carbonique combustible fossile reduite lors de leurs decompositions ainsi que leur procede de synthese et leurs utilis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87908A (fr) * 1966-07-27 1967-07-07 Kyowa Hakko Kogyo Kk Procédé de production de la l-glutam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820A (ko) 1988-04-27
PH23987A (en) 1990-02-09
FR2601691B1 (fr) 1990-12-28
BR8703741A (pt) 1988-03-29
MY102872A (en) 1993-03-31
FR2601691A1 (fr) 1988-01-22
JPH0822235B2 (ja) 1996-03-06
JPS6324896A (ja) 198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1997A (en) Method for producing L-lysine by fermentation
JPH0870879A (ja) 発酵法によるl−ロイシンの製造法
US3825472A (en) Method of producing l-lysine by fermentation
JP3008565B2 (ja) 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EP0698668B1 (en) Process for producing L-leucine
EP0595163B1 (en) Process for producing L-isoleucine
KR960009066B1 (ko) L-글루탐산을 제조하는 발효방법
US3763008A (en) Process for producing ribosides of heterocyclic organic bases by fermentation
US4389483A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by fermentation
US3971701A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by fermentation
JP2578463B2 (ja) 発酵法によるl−リジンの製造法
EP0117740B1 (en) Process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by fermentation and mutant microorganisms for use therein
EP0694614B1 (en) Process for producing L-amino acid
US5302521A (en) Process for producing L-lysine by iodothyronine resistant strains of Mucorynebacterium glutamicum
EP0076516B1 (en) Method for fermentative production of l-proline
JPH0665314B2 (ja) 発酵法によるl−バリンの製造法
EP0336387B1 (en) Process for producing l-arginine
US5362636A (en) Process for producing L-lysine by fermentation with a bacteria having selenalysine resistance
EP0567644B1 (en) Process for producing l-alanine by fermentation
EP0469517A2 (en) Process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EP0138526B1 (en) Method of producing l-phenylalanine by fermentation, and bacteria therefor
JPH0561914B2 (ko)
JPH0692A (ja) 発酵法によるl−アルギニンの製造法
EP0081107A2 (en) Process for producing L-tryptophan by fermentation
JP2578496B2 (ja) 発酵法によるイノシン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