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98Y1 -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 Google Patents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98Y1
KR960008698Y1 KR92002814U KR920002814U KR960008698Y1 KR 960008698 Y1 KR960008698 Y1 KR 960008698Y1 KR 92002814 U KR92002814 U KR 92002814U KR 920002814 U KR920002814 U KR 920002814U KR 960008698 Y1 KR960008698 Y1 KR 960008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 clutch
flat
outer frame
rolling memb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2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146U (ko
Inventor
마사유끼 우에하라
가즈오 히라노
노부유끼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모리 히데다로오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히데다로오,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히데다로오
Publication of KR920016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제1도는 제1실시예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배면도.
제2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3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간 넣어져 조립된 단면 측면도.
제4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로우터의 배면도.
제5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주요부 단면 정면도.
제6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정면도.
제7도는 제2실시예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배면도.
제8도는 제3실시예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배면도.
제9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10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로우터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바깥틀체 2, 2' : 유지체
3 : 원반형상 구름부재 H : 높이치수
D : 외경치수
이 고안은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부재의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하여, 구름부재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도가 적을 것 및 간단히 회전부재와 지지체와의 사이에 장착할 수 있는 일방향 클러치로서, 외륜내에 복수개의 봉형상의 원기둥 구름부재를 유지체로 유지함과 동시에 외륜내에 끼워넣은 일방향 클러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일방향 클러치는 축방향 높이가 높고, 외경이 가는 수많은 구름부재가 넣어져 조립되어 있다. 이 일방향 클러치는 내륜체의 외경이 가늘며, 제품의 축방향의 길이를 불문하고 회전수가 비교적 늦은 제품에 넣어 조립할 때에는 지장은 없지만 내륜체의 외경이 비교적 크고, 제품의 축방향의 길이가 짧으며, 회전수가 비교적 빠른 제품에 넣어 조립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지장이 발생한다.
1) 내륜체의 외경이 비교적 클 때에는, 구름부재의 외경을 종래와 같은 직경의 봉형상 원기둥대로 축방향의 높이를 낮게한 일방향 클러치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구름부재의 면압이 높아져 회전 충격으로 구름부재가 외륜체와 내륜체에 먹어들어가 로크하여 버리거나, 또 국부적인 상처, 변형, 마모 등을 촉진하여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2) 일방향 클러치는 구름부재가 내륜체와 꽉 눌러져, 서로 미끄럼 상태에 있지만, 구름부재의 수가 많으면, 회전력이 무거워지고, 구름부재의 수를 줄이면 전달허용토오크가 비례하여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3) 통상 고속회전에 사용하는 경우는, 내륜체측을 고속회전시키지만, 외륜체 측을 고속회전시키면, 구름부재의 자중에 의하여 원심력이 작용하고, 구름부재가 내륜체측으로부터 떨어져 클러치 작용이 늦어지는 결점이 있다. 더욱 봉형상의 원기둥 구름부재의 자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짧게 하면, 상기 1)과 같이 구름부재가 외륜체와 내륜체에 깊이 먹어들어가 로크해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종래 구조의 일방향 클러치를 내륜체의 외경이 비교적 크게, 제품의 축방향의 길이가 짧게, 외륜체측의 회전수가 비교적 빠른 제품에 넣어 조립하면 일방향 클러치로서 기능이 손상되어 클러치 기능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에 비추어, 내륜체의 외경이 비교적 크고, 제품의 축방향의 길이가 짧으며, 바깥틀체쪽의 회전수가 비교적 빠른 제품에 넣어조립하여 양호한 일방향 클러치 기능이 얻어지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바깥틀체내에 복수개의 구름부재를 유지하는 유지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의 형상을 높이보다 외경 치수를 크게 형성한 원반형상 구름부재로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바깥틀체(1)가 제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바깥틀체(1)의 내부면의 모서리부(1b)로 이루어지는 자유회전영역(α)에 위치되어 바깥틀체(1)의 회전이 가능하게되고, 바깥틀체(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내주면의 변부(1c)로 이루어지는 저지면(β)에 맞닿아져서 바깥틀체(1)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제1도, 제2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제1실시예로, 제1도는 편평형 클러치의 확대 단면 배면도, 제2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제1도, 제2도에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는, 강재를 침탄 담금질한 경질재를 사용하여 그후 예를들면 질화처리 또는 다른 내식성을 향상하기 위한 내식처리가 이루어진 바깥틀체(1)와 합성수지의 유지체(2)와 복수개의 원반형상 구름부재(3)와 내륜체(10)와 스프링(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깥틀체(1)는 외주가 원형으로 내주면이 도면에서 정 8각형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유지체(2)의 일측 플랜지부(2a)가 끼워맞춤되어, 유지체(2)의 다른쪽 플랜지부(2b)의 내측면이 바깥틀체(1)의 일측면(1a)에 맞닿아져 있다. 바깥틀체(1)의 내주면에 유지체(2)의 일측 플랜지부(2a)는 압입 등의 끼워 맞춤으로 고정하여도 좋다. 유지체(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2c)에는 복수개, 도면에서는 4개의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삽입되어 유지됨과 동시에 내륜체(10)의 외주에 얹혀지고, 스프링(4)으로 누름가압되어 있다. 더욱 제1도, 제2도에서는 유지체(2)의 내주면은 직접 내륜체(10)의 외주에 얹혀진 구름부재(3)에 대한 축받이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깥틀체(1)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의 모서리부(1b)로 구름부재(3)의 자유회전 영역(α)이 구성되고, 내주면의 변부(1c)에서 구름부재(3)가 맞닿아져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이 구성되어 있다.
바깥틀체(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잘린부분(1d)이 형성되어 있다. 원반형상 구름부재(3)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 등의 경질재로 제2도와 같이 높이치수(H) 보다 외경치수(D)가 크게 형성되어 외표면에 2㎛∼20㎛정도의 두께로 니켈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스프링(4)은 N형으로 굴곡형성되어 일측(4a)이 구름부재(3)이 외주면에 맞닿아지고, 타측(4b)은 유지체(2)의 구멍(2d)에 끼워져 있다.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클러치 작용은 바깥틀체(1)가 제1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바깥틀체(1)의 내주면의 모서리부(1b)로 이루어지는 자유회전영역(α)에 위치되어 바깥틀체(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바깥틀체(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원형상 구름부재(3)가 내주면의 변부(1c)로 이루어지는 저지면(β)에 맞닿아져서 바깥틀체(1)의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바깥틀체(1)의 내주면이 정 8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정다각형이라도 괜찮다. 제3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단면측면도, 제4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되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로우터의 배면도, 제5도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주요부 단면정면도, 제6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정면도이다. 제2도로부터 제5도에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은, 리일본체(5)의 앞쪽으로 돌출한 회전축봉(11)의 외주에 칼러(12)가 끼워맞춤되고, 그 앞쪽으로 로우터(6)가 회전정지끼워맞춤되어 너트(13)로 고정되고, 로우터(6)는 핸들(1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통(11)내에 끼워맞춤되어 돌출된 스풀축(15)의 선단부에 스풀(16)이 지지되고, 스풀(16)은 핸들(14)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로 왕복운동한다. 로우터(6)의 오목부내의 내주면에는 제4도와 같이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바깥틀체(1)의 복수의 잘린부분(1d)이 끼이는 볼록부(6a)와, 제2도, 제3도와 같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냅링(17)이 걸림되는 훅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칼러(12)의 외주에는 역전방지체(7)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역전 방지체(7)의 외주에 상기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내륜체(10)가 회전정지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역전방지체(7)에 역전방지 래칫휠(7a)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휠(7a)에는 제3도, 제5도와 같이 역정방지의 걸림클로오(8)의 클로오끝(8a)이 걸어맞춤가능하게 임하게 하고, 걸림클로오(8)는 리일본체(5)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스프링부재(18)로 걸어맞춤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더욱 걸림클로오(8)는 캠부(9)에 형성된 캠(9a)로 래칫휠(7a)에 걸어맞춤 가능 또는 걸어맞춤 불능위치에 제어되고, 캠부(9)의 스프링 걸기부와 리일 본체(5)와의 사이에 토오션 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 캠부(9)는 조작간(20)의 앞끝에 고정되어 리일본체(5)의 후방으로 돌출한 조작간(20)에는 손잡이(21)가 고정되어 있다.
제5도에서는 손잡이(21)가 ON방향으로 눕혀져서 래칫휠(7a)에 걸림클로오(8)의 클로오끝(8a)이 걸어맞춤되어 있다. 로우터(6)의 오목부내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될 때에는, 펠트, 피혁 등의 완충재(22)가 집어넣어진후 유지체(2)의 다른쪽 플랜지부(2b)가 제2도, 제3도에서 앞쪽이 되도록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삽입된 유지체(2)와 바깥틀체(1)가 집어넣어져 복수의 잘린부분(1d)이 볼록부(6a)에 끼워지고, 스냅링(17)이 훅부(6b)에 걸림된다.
상기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역전 방지동작은, 손잡이(21)가 ON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이 스풀(16)에 두루감기는 방향으로 핸들(14)이 회전되면, 제5도, 제6도에서 회전축통(11) 및 로우터(6)가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된다. 더욱, 이 회전에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바깥틀체(1)가 제6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바깥틀체(1)의 내주면의 모서리부(1b)로 이루어지는 자유회전영역(α)에 위치되어 바깥틀체(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역전방지체(7)는 스프링 부재(18)로 가압된 걸림클로오(8)의 클로오끝(8a)과 래칫휠(7a)과의 걸어맞춤으로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다음에 포획물의 당김질로 스풀(16)에 두루감겨진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풀려나오면, 로우터(6)가 제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고, 이 회전에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바깥틀체(1)가 제6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자유회전영역(α)위치로부터 내주면의 변부(1c)로 이루어지는 저지면(β)에 이동되어 맞닿아져 원반형상 구름부재(3)의 쐐기 작용으로 내륜체(10)에 대하여 바깥틀체(1)의 역회전이 저지된다.
이때, 역전방지체(7)는 스프링 부재(18)로 가압된 걸림클로오(8)의 클로오끝(8a)과 래칫휠(7a)과의 걸어맞춤으로 리일본체(5)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역전방지체(7)의 외주에 고정된 내륜체(10)의 회전도 정지되어 로우터(6)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더욱 이때, 원반형상 구름부재(3)의 쐐기작용에 의한 역전시의 유극도가 적을 것 및 역전방지체(7)가 걸림클로오(8)에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 극히 신속히 로우터(6)의 역회전이 정지된다. 손잡이(21)가 OFF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캠부(9)의 캠(9a)으로 걸림클로오(8)가 제5도에서 2점 쇄선과 같이 스프링 부재(18)에 저항항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있으므로, 로우터(6)는 역회전이 가능하다.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원반형상 구름부재(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반형상 구름부재(3)는 높이치수(H)보다 외경치수(D)크게 형성되고, 소수의 원반형상 구름부재(3)의 외경치수가 크게된 것으로, 원반형상 구름부재(3)와 바깥틀체(1)의 내주면의 변부(1c)로 이루어지는 저지면(β) 및 내륜체(10)와의 면압이 낮아져서 회전충격을 받더라도 깊이 먹어들어 로크해 버리는 것이 없음과 동시에 전달허용토오크의 저하를 피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원반형상 구름부재(3)의 수가 적으므로 회전력이 가볍게 됨과 동시에 경량화된다. 더욱 상기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낚시용 스피닝 리일 등에 넣어져 조립되면, 축방향이 박형으로 컴백트화된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제7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제2실시예로, 제7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배면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유지체(2)의 내주면은 내륜체(10)의 외주로부터 떨어져 있을 것과 원반형상 구름부재(3)에 관통구멍(3a)이 뚫어설치되어 경량화되어 있는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제8도, 제9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제3실시예로 제8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단면 배면도, 제9도는 낚시용 스프닝 리일에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된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제8도, 제9도에서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바깥틀체(1')는 강판을 침탄담금질한 경질재를 사용하여 드로잉가공으로 밑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밑면 중심으로 내륜체(10)의 외주가 끼이는 투시구멍(1e)이 뚫어설치됨과 동시에, 외주에 복수개의 돌출부(1f)가 형성되어 그 내주면의 모서리부(1g)에서 구름부재(3)의 자유회전영역(α)이 구성되고, 내주면의 변부(1h)에서 구름부재(3)가 맞닿아져서 회전이 저지되는 저지면(β)이 형성되어 변형 다각형이 구성되어 있다. 바깥틀체(1') 내에는 유지체(2')가 삽입되고, 유지체(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2e)에는 복수개, 도면에서는 4개의 원반형상 구름부재(3)가 삽입되어 유지됨과 동시에 내륜체(10)의 외주에 놓여지고, 스프링(4')으로 눌려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4')은 유지체(2')의 외측에 복수매 놓여져서 양쪽에 형성된 형모양의 설편(4c)을 되접어 꺾어 유지체(2')에 부착되어 있다. 더욱 스프링(4')에는 4각형의 투시구멍(4a)과 투시구멍(4a)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름부재(3)를 누르는 스프링편(4e)이 형성되어 있다. 바깥틀체(1')의 개방구멍에는 유지링(23)이 끼워맞춤고정되어 있다. 구름부재(3)의 양측면은 제9도와 같이 높이가 극히 낮은 구면으로 하여도 좋다. 제3실시예의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클러치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10도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가 넣어져 조립되는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로우터 배면도이다. 로우터(6)의 오목부내의 내주면에는 제10도와 같이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의 바깥틀체(1')의 복수개의 돌출부(1f)가 끼이는 오목부(6c)와, 제9도와 같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냅링(17)이 걸림되는 훅부(6b)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원반형상, 구름부재는 높이 치수보다 외경치수가 크게 형성되고, 소수의 원반형상 구름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반형상 구름부재의 외경치수가 크게된 것으로 원반형상 구름부재와 바깥틀체의 내주면 및 내륜체와의 면압이 낮아져서 회전충격을 받더라도 깊이 먹어들어가서 로크해 버리는 일이 없는 것과 동시에 전달허용토오크의 저하를 피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원반형상 구름부재의 수가 적으므로 회전력이 가볍게 됨과 동시에 경량화 되는 등 실용상 우수한 효과를 이루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바깥틀체내에 복수개의 구름부재를 유지하는 유지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의 형상을 높이보다 외경치수를 크게 형성한 원반형상 구름부재로 한 것을 특지어로 하는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KR92002814U 1991-02-28 1992-02-25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KR9600086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7023 1991-02-28
JP1991017023U JP2586756Y2 (ja) 1991-02-28 1991-02-28 偏平型一方向クラッチ付き魚釣用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146U KR920016146U (ko) 1992-09-16
KR960008698Y1 true KR960008698Y1 (ko) 1996-10-07

Family

ID=1193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2814U KR960008698Y1 (ko) 1991-02-28 1992-02-25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86756Y2 (ko)
KR (1) KR9600086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903Y2 (ja) 1996-01-22 2000-04-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偏平型一方向ク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522A (ja) * 1983-08-25 1985-03-13 Masayasu Negishi 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06531U (ja) 1992-09-14
JP2586756Y2 (ja) 1998-12-09
KR920016146U (ko)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733B1 (ko) 낚시용 릴 베어링 및 부품 지지구조
US4770054A (en) Apparatus for providing limited backlash rotation of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US5503343A (en) Reverse rotation preventive device for fishing reel
KR100476574B1 (ko) 일방향 래칫 클러치 조립체
US5176232A (en) High-speed roller one-way clutch
KR960008698Y1 (ko) 편평형 일방향 클러치
US5221057A (en) Spinning reel with one-way clutch mechanism
US5370330A (en) One-way clutch for a fishing reel with an improved contact surface configuration
DE2658615A1 (de) Automatischer buegelverriegelungs- und -loesemechanismus fuer eine aufwickelspule
KR970002856Y1 (ko) 일방향 클러치
JP303475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332053B1 (ko)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US5485969A (en) Reverse rotation preventive mechanism for fishing reel
KR900010252Y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역전 방지기구
JPH081250U (ja) 偏平型一方向クラッチ
JPH04117574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逆転防止装置
DE102018209144B4 (de) Rollensperrkupplung für Angelrolle
KR950009172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전방지장치
JP7155198B2 (ja) トルクリミッタ
JP2529873Y2 (ja) 魚釣用リール
JPH0728863Y2 (ja) 魚釣用リール
JPH03132813A (ja) カムハンドルロック
JP3465240B2 (ja) スラストベアリングの取付構造
JP3012344U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JP3566243B2 (ja) 一方向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