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03B1 -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편향기 - Google Patents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편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03B1
KR960008603B1 KR1019880002983A KR880002983A KR960008603B1 KR 960008603 B1 KR960008603 B1 KR 960008603B1 KR 1019880002983 A KR1019880002983 A KR 1019880002983A KR 880002983 A KR880002983 A KR 880002983A KR 960008603 B1 KR960008603 B1 KR 96000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nding
core
coil
ra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874A (ko
Inventor
피에르 포르쉐 쟝
Original Assignee
아르레뜨 다낭제
소시에떼 디뜨 : 비디오 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레뜨 다낭제, 소시에떼 디뜨 : 비디오 칼라 filed Critical 아르레뜨 다낭제
Publication of KR88001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1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winding or co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편향기
제1도 내지 4도는 플라스틱 노치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프레임 코일을 각기 도시하는 도면.
제5도 및 6도는 와이어를 보유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 프레임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코일의 제1층을 만드는 동안의 종래 권선기의 부분적인 평면도.
제8도는 비방사층의 권선동안 본 발명에 따라 감겨진 페라이트 하프-코어의 측면도.
제9도 및 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층으로 된 프레임의 배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21 : 페라이트 하프-코어 3, 4 : 프레임 하프-코일
6, 16 : 접착제 19 : 편향기
22 : 플라이어 24 : 제1층
본 발명은 음극관 편향기의 비방사상 권선의 권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렬된 3색 총 음극관은 스스로 전자 빔의 자가-수렴(self-convergence)을 실행하며 영상 구성을 정전하는 편향기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인장형 코일(saddle-shaped coils)에 의해 생성된 라인 필드는 정극성 비점수차(positive astigmatic) 필드라 불리며 반면에 프레임 필드는 확실히 수렴할 때 부극성 평균 비점수차(negative astigmatic) 필드라 불리우며 또한 기하학적 구성의 정정을 행할 때를 정극성 전면 비점수차(positive front astigmatic) 필드라 불리운다.
상기 기술된 요구사항에 다른 프레임 권선을 만들기 위하여 광역의 시청자 텔레비젼 분야에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이것은 인장형 코일 또는 도닛 코일(doughnut coil)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닛 코일은 필드 성형기(field formers)(편향기에 부착된 강자성 부품)와 함께 작용하는 방사상 프레임으로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물매 권선 방법(inclined winding method)을 이용하여 전면 각도(front angle)보다 더 큰 배면(rear angle) 각도를 갖게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코일은 자성 정정 수단과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자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음 세가지 기술 중 하나가 권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노치가 있는 플라스틱 부품은 페라이트 코어의 정면 및 배면에 고정되며, 이들 노치는 권선 와이어의 경사를 결정한다. 이 방법은 권선의 급격한 경사를 제공하지만 특정 부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값이 비싸고 상기 특정 부품을 조작하기 위해 부가적인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생산 시간이 증가된다.
와이어를 홈이 나 있는 베아 페라이트 코어(bare ferrite core)에 감는다. 그러나 와이어의 경사는 와이어가 비대칭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크게 제한받는다(최대 약 15°정도).
또, 마지막으로,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페라이트 코어의 정면 및 배면에 바른다. 이들 접착제는 접착 테이프, 아교 밀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방법은 비싸다. 자동화가 어려우며 와이어의 경사는 약 20°이상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치가 없는 베아 페라이트 코어 위에 어떠한 부품 또는 어떠한 접착 소재를 참가하지 않고도, 코일의 모서리 부분에서 약 30°에 달하는 권선 와이어의 경사를 얻기 위해 사용된 권선 방법으로, 이 방법은 쉽게 자동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대략적으로 방사상으로 되어 있고 넓은 코일 피치를 가지고 있는 코일의 제1층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제1층의 적어도 일부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그 다음의 비방사층(the following non-radial layers)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그 다음의 비방사층을 배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총망라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예로서 취해지고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상세히 이해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각기 프레임 하프-코일(3,4)을 구비하고 있는 두 페라이트 하프-코어(1,2)의 분해 정면도 및 분해 배면도이다. 하프-코일(3,4)의 와이어는 방사상으로 정렬되지는 않는다. 즉, 이들은 페라이트 하프-코어(1,2)에 의해 형성된 원추면(conical surface)의 발생선과 평행하지 않다. 이들 와이어는, 코일의 와이어 받침대의 위치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고 노치와 각도 위치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는 상기 발생선으로 경사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제 위치에서 두 하프-코일의 모든 턴(turn)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홈이 나 있는 플라스틱 부품(5,6 및 7,8)은 각 페라이트 하프-코일의 각 전면 및 배면의 평평한 면에 고정된다. 하프-코일(3,4)의 연속적인 턴은 상기 노치에 의해 제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리하여 턴을 넓은 경사 각도로 감기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소자를 가지고 만들어진 완성된 편향이 각각에 대하여 180°에서 주시한 두 측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 기술 편향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여덟 부분(9 내지 16)의 접착제,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성분은 두 페라이트 하프-코어의 전면 및 배면에 놓이거나 또는 상기 페라이트 하프-코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면 및 배면에 가깝게 놓이게 된다. 이들 부분들은 편향기(19)의 하프-코일(17,18)의 단부, 즉 가장자리에 놓이며 코일들을 약간 벗어나서 외부로 연장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다음 층의 턴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층의 선단에서 턴이 충분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제 제7도 내지 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 제7도에 부분 도시된 권선기(winding machin)는 페라이트 하프-코어(21)를 유지시키고 이 페라이트 하프-코어를 선회 구동시키는 장치(20) 및 선회 와이어 가이드(rotary wire guide)(22)(통상적으로 플라이어(flyer)라 칭함)를 구비하며, 상기 플라이어의 선회축(23)은 방사상 권선 위치에서 페라이트 하프-코어(21)의 축 B에 수직이다.
제7도는 플라이어(22)가 넓은 피치로 방사상 권선층(24) 위에 놓여 있는 페라이트 하프-코어(21)를 도시한다. 상기 권선층의 제1층의 턴온 실제로 방사상이며(즉, 약간의 각도로 경사져 있음), 상기 턴온 페라이트 하프-코어에 의해 형성된 원추링의 부분에 대하여 안정한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발생선도 또한 방사상이다. 이들 턴온 다음의 비방사상층(또는 적어도 다음 층을 안내하는 제2층)을 놓을 때 움직이기가 어려우며, 이를 위해 유지 노치(holding notches)를 제공한다.
물론, 방사상 권선 및 비방사상 권선은 아무런 간섭없이 동일한 와이어로 행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층(24)의 피치(페라이트 코어 또는 한개의 턴에 대한 축 B 둘레의 플라이어의 선회 각도)는 일정하며 또한 동일한 와이어로 빽빽하게 감겨진 코일의 피치의 약 두배 내지 다섯배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피치는 일정치 않은데, 즉 상기 제1층의 단부에서 제1값 P1을 가지며, 상기 제1층의 중간에서 상기 P1보다 더 큰 제2 값 P2를 갖는다. 양호하게, P1은 빽빽히 감겨진 코일의 피치의 약 두배 내지 다섯배와 같으며 P2는 P1의 두배 내지 세배와 같다.
제8도 내지 10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층(24)은 특히 페라이트 코어의 배면에서 충분히 넓어야 하며, 그 다음 층의 전면을 넘어서 약간(약 둘 내지 다섯 턴만큼) 연장되어야 하며 그리하여 비방사상 권선(25)의 제1턴을 층(24)에 대하여 아주 정확히 위치시키지 않아도 비방사상 권선의 가장 먼 런은 층(24)의 턴에 의해 제위치에서 항상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비방사상 권선을 만들기 위하여, 페라이트 하프-코어(21)는 파단면(breaking plane) P(전체 페라이트 코어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두 페라이트 하프-코어 사이의 분리면)에 내포된 축 둘레에서 경사진다. 이 축은 제8도에서 선 T로 도시된다(이것은 도면 평면과 수직이다). B를 권선기의 축(권선기가 페라이트 하프-코어로 하여금 방사상 권선이 행해지도록 선회시키는 축)으로 생각하자. B 및 P에 의해 형성된 각도 1은 페라이트 코어의 경사 각도이다. 비방사상 권선(25)의 여러 턴의 경사 각도는 각도 I 및 권선에서의 상기 턴의 각도 위치에 의존한다.
결과적인 권선(24+25)의 여러 턴의 각도 분배는 여러층의 분배의 합성이며, 제1층의 외형은 소수의 턴을 갖기 때문에 작다.
본 발명에 따라서 만들어진 비방사상 권선을 실행하는 페라이트 하프-코어의 평균 경사는 모든 턴에 대하여 경사진 페라이트 코어에서 얻어진, 즉 제1층이 경사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의해 감소된 경사와 등가이다. 만약 전체 권선(24+25)이 N턴을 가지며, 제1층이 n턴을 갖는다면, 페라이트 하프-코어(21)의 등가경사(equivalent inclination)는 Ieq=I(N-n)/N이 되며 I는 페라이트 하프 코어의 경사 각도이다(제8도).
예를 들어, I=20°의 각도로 경사진 페라이트상에서, 중심에서의 각도가 110°이고, 1°의 피치에서 4층으로된 440턴을 갖는 종래 기술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코일은, 제1방사상층을 3, 4°의 피치에서 40턴으로 하고(그러므로 그 중심에서의 각도는 약 136°) 그 위에 4개의 비방사상층을 100턴으로 하여 각각의 턴은 I'=22°만큼 경사진 페라이트 상에서 1.1°의 피치로 감겨진,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코일과 같다.
더욱이, 이들 배열에 과도한 간섭이 없이 제1방사층의 와이어를 코일의 그 다음 층의 턴 사이에 배치하기 위해서 비방사층의 코일 피치가 제1방사층 없이 얻어지게 되는 피치보다 더 크게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배면 전개각도(rear spread angle)(즉, 페라이트의 평평한 전면 또는 평평한 배면을 통과하는 평면 PA에 대한 각도)보다 더 큰전면 전개각도(front spread angle)(페라이트 코어의 축에 수직인 평면 PA에서 코일의 가장 먼 두 턴에 의해 형성된 중심에서의 각도)를 갖는 코일을 얻고자 할 때, 그리고(상기 층(24)과 같은) 제1방사상 층을 구비하여 행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1층의 권선 이후, 페라이트 하프-코어는 제8도에서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 형태의 권선은 아주 균일한 선명도를 갖는 영상을 나타나게 하는 자동 수렴 편향기(auto-convergent deflector)를 만드는 것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4)

  1. 음극관용 편향기의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음극관용 편향기는 적어도 제1하프 코어(21)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제1하프 코어는 반경 중심을 가져, 와이어를 비방사상 권선으로 권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제1층(24)을 상기 제1층의 단부보다 그 중앙에서 더 큰 피치로 상기 반경 중심까지 거의 방사상으로 감는 단계 및, 상기 제1층(24)상에 비방사상으로 제2층(25)을 감아서 상기 제1층의 와이어를 적어도 일부가 제2층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상기 제2층을 감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제1층(24)을 상기 반경 중심까지 거의 방사상으로 감는 단계; 및 상기 제1층(24)의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해서 상기 코일의 제2비방사층(25)을 상기 제1층상에 감아서 상기 제2층(25)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상기 제2층을 감는 단계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제2층(25)의 권선은 제1층(24)의 단부 앞에서 2 내지 5턴으로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3. 환형체의 코어(21)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코어를 방사상으로 감는 제1층(24)과 이 제1층상에 감겨진 제2층(25)을 구비하며, 상기 제2층(25)은 비방사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층(24)은 상기 제1층의 단부보다 상기 제1층의 중간에서 더 큰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관 편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24)은 2 내지 5턴을 갖는 상기 제2층(25)으로부터 나와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관 편향기.
KR1019880002983A 1987-03-23 1988-03-21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편향기 KR960008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03992A FR2613128B1 (fr) 1987-03-23 1987-03-23 Procede de bobinage pour bobinage non radial de deviateur de tube cathodique
FR8703992 1987-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74A KR880011874A (ko) 1988-10-31
KR960008603B1 true KR960008603B1 (ko) 1996-06-28

Family

ID=934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983A KR960008603B1 (ko) 1987-03-23 1988-03-21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편향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65614A (ko)
EP (1) EP0286484B1 (ko)
JP (1) JP2950828B2 (ko)
KR (1) KR960008603B1 (ko)
CN (2) CN1020059C (ko)
DE (1) DE3884035T2 (ko)
FR (1) FR2613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2980B1 (fr) * 2009-03-13 2011-04-08 Amada Europ Presse plieuse pour le pliage de feuilles
US8689705B2 (en) 2010-06-02 2014-04-08 Steelcase, Inc. Reconfigurable table assemblies
US8667908B2 (en) 2010-06-02 2014-03-11 Steelcase Inc. Frame type table assemblies
US9185974B2 (en) 2010-06-02 2015-11-17 Steelcase Inc. Frame type workstation configurations
US9210999B2 (en) 2010-06-02 2015-12-15 Steelcase Inc. Frame type table assemblies
US10517392B2 (en) 2016-05-13 2019-12-31 Steelcase Inc. Multi-tiered workstation assembly
WO2017197395A1 (en) 2016-05-13 2017-11-16 Steelcase Inc. Multi-tiered worksta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073A (en) * 1953-03-31 1956-07-31 Du Pont Process for making pulverulent silica powder
US3299379A (en) * 1962-10-22 1967-01-17 Muter Company Deflection yoke
FR2481002A1 (fr) * 1980-04-22 1981-10-23 Videocolor Procede et machine de bobinage permettant de realiser un bobinage ameliore notamment des bagues de deviation pour tubes cathodiques
JPS58133744A (ja) * 1982-02-03 1983-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ロイダル形偏向コイルの製造方法
US4469285A (en) * 1982-09-01 1984-09-04 Universal Manufacturing Co., Inc. Coil winding machine with multi-axis positioning for winding television deflection coils
US4511871A (en) * 1983-07-18 1985-04-16 Rca Corporation Modified deflection yoke coils having shootback wind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50828B2 (ja) 1999-09-20
CN88100317A (zh) 1988-10-05
DE3884035D1 (de) 1993-10-21
FR2613128A1 (fr) 1988-09-30
CN1021714C (zh) 1993-07-28
FR2613128B1 (fr) 1989-05-26
CN1067137A (zh) 1992-12-16
JPS6471033A (en) 1989-03-16
DE3884035T2 (de) 1994-02-24
US5165614A (en) 1992-11-24
CN1020059C (zh) 1993-03-10
KR880011874A (ko) 1988-10-31
EP0286484A1 (fr) 1988-10-12
EP0286484B1 (fr) 199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603B1 (ko) 음극관 편향기의 권선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편향기
US3601731A (en) Coil form for a magnetic deflection york
JPH02209703A (ja) コイルボビン
US4038621A (en) Precision vertical deflection coil for a hybrid television yoke
US5631615A (en) Free wound electromagnetic deflection yoke
JPH07288090A (ja) サドル形偏向コイルとその製作方法
US4126842A (en) Toroidal deflection winding for cathode ray tube having in-line guns, wide deflection angle and large screen
JP2824029B2 (ja) コイル捲線装置
US4368528A (en) Pickup cartridge
JPS6119032A (ja) 偏向ヨ−ク
US409798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ductive coil
JP2840721B2 (ja) 鞍型コイルの巻線方法
US6469458B1 (en) Deflection yoke and a method of winding a deflection coil
JP3109241B2 (ja) 偏向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20986B2 (ko)
JP3410491B2 (ja) 偏向ヨーク用集合撚線及び偏向ヨーク
EP0090108B1 (en) Convergence unit for in-line colour cathode ray tube
JPS642020B2 (ko)
JPH01107436A (ja) 偏向ヨーク
JPH02235315A (ja) 閉磁路磁心の巻線方法
JPS63261657A (ja) 偏向ヨ−ク
JPH0855587A (ja) 偏向ヨーク装置
JPH0729513A (ja) 水平偏向装置
JPH0773035B2 (ja) 偏向ヨーク
JPH09237591A (ja) 偏向ヨー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