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921B1 -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7921B1 KR960007921B1 KR1019920026567A KR920026567A KR960007921B1 KR 960007921 B1 KR960007921 B1 KR 960007921B1 KR 1019920026567 A KR1019920026567 A KR 1019920026567A KR 920026567 A KR920026567 A KR 920026567A KR 960007921 B1 KR960007921 B1 KR 960007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ty
- signal
- power supply
- power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모니터의 전원공급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의 실시예 블록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의 실시예 회로도.
제5도는 각 모드에 따른 본 발명 회로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듀티/타임 검출수단 5 : 듀티제어수단
6 : 초기스타트수단 7 : 전원변환수단
본 발명은 멀티모드(Multi Sync Mode)모니터에서 다양한 수평주파수에 따라 모니터에 공급되는 전원(애노우드 공급 고압)을 각 모드에 맞게 가변시켜 안정화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니터 고압 인가회로는 제1도를 참조하면, 수평동기신호(Hsync)를 입력받아 수평구동펄스를 출력하는 수평구동부(1)와, 상기 수평구동펄스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수평편향 및 모니터고압을 공급하는 수평출력부(2)와, 상기 수평출력부(2)로부터 고압을 공급받아 영상신호의 표시하는 수행하는 모니터(3)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모이터 고압 인가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수평구동부(1)는 .입력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주기로 하는 수평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수평출력부(2)는 입력 수평구동펄스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수평편향과 고압공급을 수행한다. 즉,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1)는 수평구동펄스에 의하여 스위칭 온/오프되고 이에따라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1차측 권선(N1)에 공급되는 전원(B+)이 스위칭되어 수평편향코일(L1)에 수평편향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은 1차측 권선(N1)의 스위칭에 의하여 2차측 권선(N2)에서 고압이 유기되고, 유기된 고압은 다이오드(D1)를 통해 모니터(3)의 애노우드에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C1은 수평편향을 위한 충/방전 콘덴서이다.
그러나 다양한 수평주파수를 갖는 멀티모드 모니터에서는 수평구동부(1)에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의 주기가 각 모드에 따라 달라지고, 이에 따라 수평출력부(2)의 스위칭 주기가 변화되므로 모니터 인가전압이 변동되어 균일한 편향을 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평주파수에 비례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전원전압(B+)도 상승해야만 균일한 수평편향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종래의 모니터 고압 인가회로는 수평주파수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므로 수평주파수가 높아졌을때 고압이 낮아지게 되어 화상의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멀티모드 모니터의 수평주파수 변화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 플라이백 트랜스에 인가되는 전원레벨을 다양하게 가변시켜 공급해 주므로서 플라이백 트랜스 2차측에서 모니터 애노우드에 공급되는 고압을 수평주파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화시켜 공급해줄 수 있고, 이에 따른 균일한 수평편향의 확보와 화면왜곡 방지를 기할 수 있도록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전압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는, 수평동기신호(Hsync)를 입력받아 수평구동펄스를 출력하는 수평구동부(1)와, 상기 수평구동펄스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수평편향 및 모니터 고압을 공급하는 수평출력부(2)와, 상기 수평출력부(2)로부터 고압을 공급받아 영상신호의 표시를 수행하는 모니터(3)와, 상기 수평구동펄스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수평주파수 변화에 대응하는 듀티정보로 출력하는 듀티/타임 검출수단(4)과, 상기 듀티/타임 검출수단(4)의 출력신호를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2차측 전원검출신호(H/V Det)와 비교하여 변동된 수평주파수에 알맞게 전원듀티를 가변시키는 듀티제어수단(5)과, 상기 듀티/타임 검출수단(4)의 출력신호를 동작초기에 감지하여 듀티제어수단(5)의 초기스타트 동작을 제어하는 초기스타트수단(6)과, 상기 듀티제어수단(5)에서 듀티비 가변되어 출력된 전원으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공급전원(B+)레벨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원변환수단(7)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니터 전원전압 제어회로 동작을 제5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구동부(1)는 입력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주기로 하는 수평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수평출력부(2)는 입력 수동구동펄스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수평편향과 고압공급을 수행한다. 즉, 수평출력 트랜지스터(Q1)는 수평구동펄스에 의하여 스위칭 온/오프되고 이에 따라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1차측 권선(N1)에 공급되는 전원(B+)이 스위칭되어 수평편향코일(L1)에 수평편향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와같이 1차측 권선(N1)이 스위칭에 의하여 2차측 권선(N2)에서 고압이 유기되고, 유기된 고압은 다이오드(D1)를 통해 모니터(3)의 애노우드에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C1은 수평편향을 위한 충/방전 큰덴서이다.
이때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1차측 권선(N1)에 공급되는 전원(B+)은 수평주파수(모니터 동작모드)변화에 대응하여 전원변환수단(7)으로부터 알맞은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어지며, 이 동작은 다음과 같다.
수평구동부(1)에서는 제5도의 (a)의 같은 수평구동펄스가 출력되고, 이 수평구동펄스의 듀티/타임 검출수단(4)에 공급된다.
듀티/타임 검출수단(4)은 입력된 수평구동펄스의 펄스폭(하이구간)을 검출하여 그 1주기마다 제5도의 (c)와 같은 소정의 슬로우프(SLOPE)로 증가하는 타임검출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이 타임검출신호는 수평주파수에 해당되는 수평구동펄스의 듀티비를 시간정보로 하여 1주기마다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수평주파수 검출정보가 된다.
듀티/타임 검출수단(4)의 출력신호는 듀티제어수단(5)과 초기스타트수단(6)에 공급되고, 초기스타트수단(6)은 듀티/타임 검출신호가 최초의 회로동작시에 입력되었을때 소정의 지연시간을 갖고 전원검출신호(H/V Det)가 듀티제어수단(5)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였다가 회로 안정시간이 경과되면 듀티제어수단(5)에서 전기적으로 분이(스위칭 오프)되므로서 전원검출신호(H/V Det)가 듀티제어수단(5)에 입력되도록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er)로 동작한다.
여기서, 전원검출신호(H/V Det)는 수평출력부(2)에 구비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2차측에서 유기되는 검출전압이고, 이 전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주파수 증가에 비례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2차측에서 모니터(3)에 공급되는 전압증가분에 해당되는 전압이며, 통상 6 내지 7V가 된다.
이 전원검출전압(H/V Det)은 듀티제어수단(5)에 비례기준전압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듀티제어수단(5)은 제5도의 (c)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듀티/타임 검출신호와 전원검출전압(H/V Det : 6V 또는 수평주파수 증가레 따른 7V)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제5도의 (d)와 같이 수평주파수에 따라 듀티(펄스폭 T1 또는 T2)가 달라지는 전원 듀티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제5도의 (e) 및 (f)에서와 같이 증폭/변환될 수도 있다.
제5도의 (d)와 같은 전원듀티 제어신호는 전원변환수단(7)에 공급된다. 전원변환수단(7)은 입력된 전원 듀티 제어신호의 듀티비에 따라 제5도의 (a)에서와 같이 듀티비(A1/(A1+B2) 또는 A2/(A2+B2)가 수평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전원을 직류로 평활하여(빗금친 부분의 면적=공급전원레벨)수평출력부(2)의 플라이백 트랜스(FBT) 1차측 전원(B+)공급해 준다.
이로써 수평주파수 변화에 따라 전원듀티비 즉, PWM(펄스폭 변조)제어에 의한 전원(B+)의 안정화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니터 전원 제어회로에서, 상기 듀티/타임 검출신호(4)은, 수평구동펄스를 미분하는 미분기(4A)와, 미분신호에 안정화 정전류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정전류원(4B)과, 상기 미분신호와 상기 정전류 전원을 합성하는 합성부(4C)와, 합성된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기(4D)와, 적분된 신호의 최고 상한레벨을 제한하는 레벨제한부(4E)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듀티/타임 검출수단(4)에서는, 입력 수평구동펄스를 미분기(4A)에서 제5도의 (b)와 같이 미분하고 미분된 신호는 정전류원(4B)에서 공급되는 안정화 정전류에 합성부(4C)에서 합성되며, 합성된 신호는 적분기(4D)에서 제5도의 (c)와 같이 적분되고, 적분된 신호는 레벨 제한부(4E)에서 그 상한레벨(제5도의 (c)에서 8.2V)이 제한(클리핑)되어 출력된다.
한편,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초기스타트수단(6)은, 듀티/타임 검출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6A)와, 상기 지연된 신호에 의하여 듀티제어수단(5)의 전원검출신호(H/V Det)입력을 통제하는 스위칭부(6B)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기스타트수단(6)에서는, 최초에 입력되는 듀티/타임 검출신호를 지연부(6A)에서 소정시간 지연시키고, 이 지연시간동안은 스위칭부(6B)가 온되어 듀티제어수단(5)에 공급되는 전원검출신호(H/V Det)를 바이패스시켜주고,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지연부(6A)에 의하여 스위칭부(6B)를 오프시켜 전원검출신호(H/V Det)가 듀티제어수단(5)에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동작초기에 회로의 안정화 시간이 경과되면 본 발명에 의한 듀티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듀티제어수단(5)은, 듀티/타임 검출신호와 전원검출신호(H/V Det)를 비교하는 비교부(5A)와, 비교결과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5B)와, 증폭된 신호를 후단에 출력해주는 출력부(5c)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듀티제어수단(5)에서는, 제5도의 (c)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듀티/타임 검출신호를 전원검출신호(H/V Det. 6V 또는 7V)와 비교부(5A)에서 비교하고, 비교결과로 제5도의 (d)와 같은 수평주파수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펄스를 출력하며, 이 펄스신호는 증폭부(5B)에서 (e)도와 같이 증폭되고, 출력부(5C)를 통해 (f)도와 같이 변환되어 출력된다.
한편, 제3도응 참조하면 상기 전원변환수단(7)은, 입력된 전원듀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전원 공급신호를 변환처리 출력하는 DC/DC변환부(7A)와, 변환된 전원공급신호를 직류로 평활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 공급전원(B+)으로 출력하는 평활부(7B)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원변환수단(7)에서는, 제5도의 (f)와 같이 입력된 전원듀티 제어신호를 DC/DC변환부(7A)에서 (g)도와 같이 입력 듀티비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전원공급 신호를 변환시켜주고, 변환된 전원공급신호는 평활부(7B)에서 직류로 평활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전원(B+)공급되는 것이다.
제4도는 상기한 본 발명의 모니터 전원전압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구성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미분기(4A)는 입력신호의 미분을 위한 콘덴서(C2) 및 저항(R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정전류원(4B)은 일정한 전압공급을 위한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로 설정된 전압에 의하여 정전류를 흘려주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부(4C)는 상기 전전류 전원을 공급받아 미분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고, 상기 적분기(4D)는 트랜지스터(Q3)에 의하여 충/방전되는 콘덴서(C3)로 구성되고, 상기 레벨제한부(4E)는 콘덴서(C3)충전의 상한레벨을 설정해주는 재너다이어드(ZD2)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 회로에서는, 입력된 듀티/타임 검출신호(제5도의 (a) 참조)는 콘덴서(C2)로 미분되어 저항(R4)양단에 제5도의 (b)와 같은 파형으로 나타나고, 이 미분신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3)가 온/오프되며, 트랜지스터(Q3)가 온되면 콘덴서(C3)는 방전되고 오프되면 충전되어 제5도의 (c)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며, 이때 콘덴서(C3)의 충전레벨은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VZD2=8.2V)으로 제한되고, 제너 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는 전원(B1+)전압을 일정레벨로 하여 트랜지스터(Q2)에 공급하므로서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콜렉터간에는 정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R1-R3은 바이어스 저항이다.
한편, 상기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지연부(6A)는 입력신호의 지연 충전경로를 이루는 다이오드(D3) (D4) 및 콘덴서(C4)와, 콘덴서(C4)충전 전압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4) 및 그 바이어스 저항(R5) (R6) (R11)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6B)는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5)와 다이오드(D5)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 회로에서는, 듀티/타임 검출신호가 다이오드(D3) (D4)를 통해 콘덴서(C4)에 충전되고, 이때 트랜지스터(Q4)의 턴-온 레벨에 도달하기전까지는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며,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5)가 온되어 전원검출신호(H/V Det)는 다이오드(D5)와 트랜지스터(Q5)를 통해 바이패스되므로 비교부(5A)의 입력단(-)이 로우레벨이 되므로서 듀티제어수단(5)은 동작히지 않는다.
이후에 콘덴서(C4)의 충전레벨이 턴-온 레벨리 되면 트랜지스터(Q4)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므로 전원검출신호(H/V Det)가 비교부(5A)의 입력단(-)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증폭부(5B)는 비교부(5A)의 비교결과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6) (Q7) 및 그 바이어스 저항(R7) (R8)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5C)는 DC/DC트랜스(T1)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6) (Q7)는 SEPP(Single Ended Push-Pull)증폭회로가 된다.
도면에서 C5는 전원 콘덴서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 회로에서는, 비교부(5A)에서 듀티/타임 검출신호와 전원검출신호(H/V Det)를 제5도의 (d)와 같이 검출하여 트랜지스터(Q6) (Q7)베이스에 공급하면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6) (Q7)가 스위칭 온/오프되어 제5도의 (e)와 같이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며, 이 증폭된 신호는 DC/DC트랜스(T1)를 통해 제5도의 (f)와 같이 전원변환수단(7)에 공급되어 진다.
한편,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DC/DC변환부(7A)는 입력신호를 전원(B2+)레벨로 변환시키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저항(R9) (R10) 및 다이오드(D6) (D7)로 구성되고, 상기 평활부(7B)는 리플제거를 위한 코일(L2) (L3) 및 콘덴서(C8) (C9)와 다이오드(D8)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 회로에서는, 제5도의 (f)와 같이 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된 신호가 콘덴서(C6)를 통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이 게이트 인가신호에 의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스위칭 온/오프되어 상기 제5도의 (g)와 같은 듀티비를 갖는 전원공급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코일(L2) (L3) 및 콘덴서(C8) (C9)에 의하여 직류로 평활되어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전원(B+)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하면 멀티모드 모니터에서 수평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모니터 전원 전압을 자동적으로 가변 제어해주므로 수평주파수 변동시에도 안정된 전원공급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균일 수평편향과 화질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수평구동펄스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수평주파수 변화에 대응하는 듀티정보로 출력하는 듀티/타임 검출신호(4)과, 상기 듀티/타임 검출수단(4)의 출력신호를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2차측 전원검출신호(H/V Det)와 비교하여 변동된 수평주파수에 알맞게 전원듀티를 가변시키는 듀티제어수단(5)과, 상기 듀티/타임 검출수단(4)의 출력신호를 동작초기에 감지하여 듀티제어수단(5)의 초기스타트 동작을 제어하는 초기스타트수단(6)과, 상기 듀티제어수단(5)에서 듀티비가변되어 출력된 전원으로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공급전원(B+)레벨을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원변환수단(7)으로 구성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타임 검출신호(4)은, 수평구동펄스를 미분하는 미분기(4A)와, 미분신호에 안정화 정전류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정전류원(4B)과, 상기 미분신호와 상기 정전류 전원을 합성하는 합성부(4C)와, 합성된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기(4D)와, 적분된 신호의 최고 상한레벨을 제한하는 레벨제한부(4E)로 구성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제어수단(5)은, 듀티/타임 검출신호와 전원검출신호(H/V Det)를 비교하는 비교부(5A)와, 비교결과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5B)와, 증폭된 신호를 후단에 출력해주는 출력부(5C)로 구성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스타트수단(6)은, 듀티/타임 검출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6A)와, 상기 지연된 신호에 의하여 듀티제어수단(5)의 전원검출신호(H/V Det)입력을 통제하는 스위칭부(6B)로 구성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변환수단(7)은, 입력된 전원듀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의 전원공급신호를 변환처리 출력하는 DC/DC변환부(7A)와, 변환된 전원공급신호를 직류로 평활하여 플라이백 트랜스(FBT) 공급전원(B+)으로 출력하는 평활부(7B)로 구성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4A)는 입력신호의 미분을 위한 콘덴서(C2) 및 저항(R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정전류원(4B)은 일정한 전원공급을 위한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2)로 설정된 전압에 의하여 정전류를 흘려주는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부(4C)는 상기 정전류 전원을 공급받아 미분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고, 상기 적분기(4D)는 트랜지스터(Q3)에 의하여 충/방전되는 콘덴서(C3)로 구성되고, 상기 레벨제한부(4E)는 콘덴서(C3)충전의 상한 레벨을 설정해주는 제너다이오드(ZD2)로 구성된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26567A KR960007921B1 (ko) | 1992-12-30 | 1992-12-30 |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26567A KR960007921B1 (ko) | 1992-12-30 | 1992-12-30 |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7706A KR940017706A (ko) | 1994-07-27 |
KR960007921B1 true KR960007921B1 (ko) | 1996-06-15 |
Family
ID=1934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6567A KR960007921B1 (ko) | 1992-12-30 | 1992-12-30 |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79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164B1 (ko) * | 1997-12-27 | 2005-04-06 |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 멀티 싱크 모니터용 공진형 전원 장치 |
US6114817A (en) * | 1998-08-07 | 2000-09-05 | Thomson Licensing S.A. | Power Supply for a deflection circuit operating at multi-scan frequencies |
KR20010035721A (ko) * | 1999-10-01 | 2001-05-07 | 박종섭 | 전압전환 전원회로 |
KR100385994B1 (ko) * | 2001-07-04 | 2003-06-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편향력 보정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편향력보정 방법 |
KR100418902B1 (ko) * | 2001-09-06 | 2004-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원제어장치 |
KR100865033B1 (ko) * | 2007-01-05 | 2008-10-2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화면 떨림 방지를 위한 전원주파수 보정장치 및 방법 |
-
1992
- 1992-12-30 KR KR1019920026567A patent/KR9600079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7706A (ko) | 1994-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37727A (en) |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transformer-coupled feedback | |
KR960007921B1 (ko) |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 |
JP2559282B2 (ja) | スイッチモード電源 | |
JP4059942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 | |
KR100190165B1 (ko) | 광대역 고압 안정화 회로 | |
US5973940A (en) | Switched-mode power supply for a load having a low power supply | |
GB2230114A (en) | A switch-mode power supply | |
US5142206A (en) | Slow turn-on in a deflection circuit | |
US4812719A (en) | High voltage regulator in a television apparatus | |
US4000441A (en) |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s having an auxiliary power supply | |
US6917225B2 (en) | Driver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 |
KR200164490Y1 (ko) |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 |
KR20010010989A (ko) |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 |
JP2002135615A (ja) | フィードバック制御型容量性変圧機能を備えた偏向回路 | |
KR950000152Y1 (ko) | 고압안정화 회로 | |
KR200155180Y1 (ko) | 영상디스플레이어의 화면명암 및 밝기 자동제어회로 | |
KR200251508Y1 (ko) |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 |
KR200179720Y1 (ko) |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주파수 제어장치 | |
JPS6184971A (ja) | 水平偏向装置 | |
KR100302127B1 (ko) | 모니터의오버스캔방지회로 | |
KR100207183B1 (ko) | 수직화면사이즈 감응식 자동휘도제어회로 | |
JP3183168B2 (ja) | 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0239122B1 (ko) | 수평드라이브 펄스폭 가변 제어장치 | |
KR19980056290A (ko) |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 |
KR19990019101U (ko) | 모니터의 b+ 전압 안정화 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21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