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508Y1 -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508Y1
KR200251508Y1 KR2019990004063U KR19990004063U KR200251508Y1 KR 200251508 Y1 KR200251508 Y1 KR 200251508Y1 KR 2019990004063 U KR2019990004063 U KR 2019990004063U KR 19990004063 U KR19990004063 U KR 19990004063U KR 200251508 Y1 KR200251508 Y1 KR 200251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rt
pulse
circu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200U (ko
Inventor
박원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90004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50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50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출력회로의 구동에 따라서 브라운관(CRT)의 애노드(Anode)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트랜스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1차측으로 펄스전원을 인가함으로서 브라운관의 고압변동 제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플라이백 트랜스로 직류전압(B+)을 공급하여 브라운관의 고압변동을 제어하였는데, 고압변동 제어속도가 늦어서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고전압이 인가되 화면의 일그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전원회로로부터 전원전압(Vcc1)을 인가받고 전압제어회로(60)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해 일정레벨의 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펄스 발생부(40)를 구성하여 전압제어회로(6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펄스에 대한 응답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응답속도가 빨라진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 lation)신호로서 FBT를 제어하여 브라운관의 고압변동 제어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Circuit for controlling high voltage of CRT using pulse power}
본 고안은 고압출력회로의 구동에 따라서 브라운관(CRT)의 애노드(Anode)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의 1차측으로 펄스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브라운관의 고압변동 제어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직류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회로(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직류전압(V1)을 입력받고 전압제어회로(30)의 제어를 받아 소정 레벨의 B+전원을 플라이백 트랜스(FBT)로 공급하는 직류/직류 변환기(10)와, 수평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되어 플라이백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평출력회로(20)와, 상기 B+전원을 인가받고 수평출력회로(20)의 구동에 따라서 CRT의 애노드 전원을 출력하는 FBT와, 상기 애노드 전원을 저항(R3)을 통해 검출하며 검출된 전원을 전압제어회로(30)로 피이드백 시켜주는 연산증폭기(OP1)와, 수평구동신호에 동기되고 피이드백된 애노드 전원 레벨에 따라 직류/직류 변환기(10)의 출력전압 레벨을 조정해 주는 전압제어회로(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직류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류/직류 변환기(10)에서는 전원회로(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압(V1)을 전압제어회로(30)의 제어를 받아 소정 레벨 조정하여 B+전압을 FBT의 1차측 권선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수평출력회로(20)에서는 수평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수평귀선기간에서 플라이백펄스를 발생시켜 FBT로 공급한다.
FBT는 입력된 플라이백 펄스를 승압하여 이를 고압 정류해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원으로 공급하는 한편, 상기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원은 저항(R3)을 통해 검출되어 연산증폭기(OP1)를 거쳐 전압제어회로(30)로 피이드백된다.
이때, 전압제어회로(30)는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고 피이드백된 애노드 전원 레벨에 따라 직류/직류 변환기(10)의 출력전압(B+) 레벨을 적절하게 가변제어하여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원 레벨을 조정해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FBT의 1차측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압(B+)의 제어에 의해 브라운관의 고압변동이 작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직류전압이 직류/직류 변환기(10)내의 콘덴서(C1)에서 직류전압화 된후 FBT로 공급되므로, 콘덴서(C1)의 충방전 시간에 의해 고압변동의 제어가 지연되어, 그 지연기간 중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고전압이 인가되어 모니터 화면의 좌우 일그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전원회로로부터 전원전압(Vcc1)을 인가받고 전압제어회로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해 일정레벨의 펄스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펄스 발생부를 구성하여 상기 스위칭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하는 펄스 전압을 FBT의 1차측에 인가함으로써,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 lation)신호로서 FBT를 제어하여 브라운관의 고압변동 제어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직류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각 부의 출력파형도
본 고안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회로로부터 전원전압(Vcc1)을 인가받고 전압제어회로(60)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해 일정레벨의 펄스전압을 발생시키고 내부에 신호전달을 위한 콘덴서(C15)가 구성된 스위칭 펄스 발생부(40)와, 수평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되어 플라이백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평출력회로(50)와, 상기 스위칭 펄스 발생부(40)로부터 펄스전압이 입력되면 수평출력회로(50)에서 공급된 플라이백 펄스를 소정레벨 조정하여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원으로 공급하는 FBT와, 상기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제어회로(60)로 피이드백 시켜주는 연산증폭기(OP1)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고 연산증폭기(OP1)에 의해 피이드백된 애노드 전원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칭 펄스 발생부(40)의 스위칭 주기를 제어하는 전압제어회로(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회로(도면에 미도시)에서 스위칭 펄스 발생부(40)로 전원전압(Vcc1)이 입력되면 스위칭 펄스 발생부(40)는 온동작하고, 이때 수평구동신호가 수평출력회로(50)로 입력되면 그 출력단에서는 수평귀선기간에서 도 3의 D와 같은 플라이백 펄스가 발생되어 FBT로 공급된다.
FBT는 상기 스위칭 펄스 발생부(40)가 온동작하여 1차측 권선으로 일정레벨의 펄스전압(도 3의 C)이 입력되면 수평출력회로(50)에서 공급된 플라이백 펄스를 승압하여 이것을 2차측 권선에서 정류 및 평활시켜 브라운관(CRT)의 애노드 전압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공급되는 전압은 저항(R13)를 통해 검출되어 연산증폭기(OP1)를 거쳐 전압제어회로(60)로 피이드백된다.
한편, 전압제어회로(60)는 피이드백되는 애노드 전압레벨이 낮으면 펄스주기(TW)가 큰 제어펄스를 발생시키고, 피이드백되는 애노드 전압레벨이 높으면 펄스주기(TW)가 작은 제어펄스를 스위칭 펄스 발생부(40)로 출력한다.
스위칭 펄스 발생부(40)에서는 상기 전압제어회로(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펄스에 의해 스위칭 온 또는 오프동작하여 펄스전원(도 3의 C)을 발생시켜(펄스전원의 하이신호 레벨은 Vcc1) FBT의 1차측으로 공급해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공급되는 고압레벨을 조정하게 되는데, FBT의 입력측에 콘덴서가 없으므로 FBT를 제어하는 속도가 빨라진다.
즉,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 lation)신호로서 FBT를 제어함으로써, 브라운관의 고압변동 제어속도 또한 빨라져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고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전원회로로부터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전압제어회로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해 일정레벨의 펄스 전압을 발생하는 스위칭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하는 펄스 전압을 FBT의 1차측에 인가함으로써,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 lation)신호로서 FBT를 제어하여 브라운관의 고압변동 제어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Claims (1)

  1. 고압출력회로의 구동에 따라서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원을 출력하는 플라이백 트랜스에 있어서,
    전원회로로부터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전압제어회로의 제어를 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해 일정레벨의 펄스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펄스 발생부와, 수평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되어 플라이백 펄스를 발생시키는 수평출력회로와, 상기 스위칭 펄스 발생부로부터 펄스전압이 입력되면 수평출력회로에서 공급된 플라이백 펄스을 소정레벨 조정하여 브라운관의 애노드 전원으로 공급하는 FBT와, 상기 브라운관의 애노드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제어회로로 피이드백 시켜주는 연산증폭기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되고 연산증폭기에 의해 피이드백된 애노드 전원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칭 펄스 발생부의 스위칭 주기를 제어하는 전압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제어회로.
KR2019990004063U 1999-03-15 1999-03-15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KR200251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63U KR200251508Y1 (ko) 1999-03-15 1999-03-15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63U KR200251508Y1 (ko) 1999-03-15 1999-03-15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00U KR20000018200U (ko) 2000-10-16
KR200251508Y1 true KR200251508Y1 (ko) 2001-11-16

Family

ID=5476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063U KR200251508Y1 (ko) 1999-03-15 1999-03-15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5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00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2496A (en) Invertor apparatus for converting a DC voltage to a single-phase AC voltage
FI82342B (fi) Avboejningskrets med en modulatorkrets i kopplingsform.
KR200251508Y1 (ko)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KR100190165B1 (ko) 광대역 고압 안정화 회로
KR960007921B1 (ko)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KR200153217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광대역 수평 사이즈 조절회로
KR100891109B1 (ko) 디스플레이기의 고압 레귤레이션 신호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US4002965A (en) Synchronized and regulated power supply
JPH0544226B2 (ko)
JP2734045B2 (ja) 電源回路
US4000441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s having an auxiliary power supply
US6501209B2 (en) Piezoelectric transformer driving circuit
KR970004252A (ko) 스위칭형 전원 장치
KR101209844B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183044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950001593B1 (ko) 멀티 싱크 모니터의 라스터 센터회로
KR100274429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회로
JPH02292964A (ja) 水平偏向回路
JP2535851B2 (ja) 鋸歯状波信号発生回路
JPH09219801A (ja) 垂直偏向回路並びに該回路に用いるチャージポンプ回路
KR100588153B1 (ko) 영상 표시장치의 고압단을 안정화하는 장치
KR200175663Y1 (ko)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KR930004818Y1 (ko) 수평 스타트 회로 제어장치
KR20010010989A (ko)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US6396171B1 (en) Circuit for stabilizing a high vol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