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663Y1 -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663Y1
KR200175663Y1 KR2019970028582U KR19970028582U KR200175663Y1 KR 200175663 Y1 KR200175663 Y1 KR 200175663Y1 KR 2019970028582 U KR2019970028582 U KR 2019970028582U KR 19970028582 U KR19970028582 U KR 19970028582U KR 200175663 Y1 KR200175663 Y1 KR 200175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pot
signal
outpu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315U (ko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8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66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Abstract

본 고안은 티브이의 잔광 방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티브이 전원 오프시에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지연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오프시에 스폿방지용 전압을 발생하여 편향회로부로 인가하므로써, CRT 내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화면상으로 서서히 방출하여 잔광 현상을 방지한 전원 오프시 잔광 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본 고안은 티브이 수상기(TV Set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티브이나 모니터 등의 전원을 오프시킬 경우 화면에 나타나는 화상의 잔광을 없애는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를 사용하는 제품에서 전원 '오프'시에, 전원의 스위칭 타임이 CRT의 방전 타임보다 빠르게 되고, 인가되는 전원(+B)이 끊어지면 그와 동시에 수평, 수직출력 및 고압이 다운되어 CRT 내부의 충전 에너지가 방전되지 못하고 CRT 내부에 남아 있게 되므로 스폿(spot) 현상 등의 잔광이 화면의 일정치 않은 위치에서 발생되는 현상(Stray Emission)이 나타나게 된다.
이같이 CRT를 사용하는 제품에서 전원 '오프'시 스폿이나 잔광 현상이 나타나는 제품은 20인치 이상의 대형 TV에서 전원 방식을 전원의 '온', '오프' 타임이 타려식 보다 빠른 자려식(SMPS)을 사용하므로써 더욱 많이 발생될 수 있는 소지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 오프시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지연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오프시 별도의 스폿발생부로부터 잔광 방지 전압을 발생하여 편향회로부로 인가하므로써, CRT 내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화면상으로 완전히 방출하여 잔광 현상을 방지한 전원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전원 오프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폿 발생을 연장시키는 전원을 출력하는 스폿발생부와;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스폿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고 비디오 색 신호를 RGB신호로 변환한 후 편향시키는 VCD회로부와; 상기 스폿발생부와 VCD회로부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전원 오프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스폿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스폿 전원을 VCD회로부로 전달하는 스위치수단; 및 외부 입력수단로부터 전원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폿발생부가 스폿전압을 발생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치수단의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스폿발생부의 스폿방지용 전압이 VCD회로부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VCD회로부의 출력신호가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연장되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콘트롤러를 구비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잔광 발생 방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상기 도 1 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폿발생부, 15 : VCD(Vedio Chroma Deflection)회로부,
20 : 스위치수단, 25 : 플라이백 트랜스(FBT),
30 : 시스템콘트롤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잔광 발생 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스폿발생부(10)와, VCD(Vedio Chroma Deflection)회로부(15)와, 스위치수단(20)과, 플라이백 트랜스(25; FBT), 및 시스템콘트롤러(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폿발생부(10)는 티브이 오프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폿 발생을 감소시키는 스폿방지용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VCD회로부(15)는 외부 전원(B+) 또는 상기 스폿발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고 비디오 색 신호를 RGB신호로 변환한 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스위치수단(20)은 상기 스폿발생부(10)와 VCD회로부(15)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전원 오프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스폿발생부(10)에서 출력되는 스폿방지용 전원을 VCD회로부(15)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라이백 트랜스(25)는 상기 VCD회로부(15)로부터 수평, 수직출력 펄스를 입력받고 고압, 저압신호로 증폭한 후 CRT 또는 각 회로단(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콘트롤러(30)는 외부 입력수단로부터 전원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폿발생부(10)가 스폿방지용 전압을 발생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치수단(20)의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스폿발생부(10)의 스폿방지용 전압이 VCD회로부(15)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VCD회로부(15)의 출력신호가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연장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수단(20)은 스폿발생부(10)의 출력신호를 개폐하는 스위치(21)와, 상기 스위치(21)를 경유한 교류신호를 정류하는 정류기(23)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21)는 스폿발생부(1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릴레이 또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티브이 전원 오프시에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지연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오프시에 별도의 스폿발생부(10)로부터 잔광 방지 전압을 발생하여 VCD회로부(15)로 인가하므로써, CRT 내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화면상으로 완전히 방출하여 잔광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도 1 의 작동과정을 도 2 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티브이를 온시키고 수신된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는 시스템콘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폿발생부(10)의 출력은 "로우"신호를 유지한다(S1).
상기 스폿발생부(10)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D1 다이오드는 턴-오프되고, 스위치수단(20)은 시스템콘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오프되어 스폿발생부(10)의 출력은 VCD회로부(15)로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VCD회로부(15)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전압(B+)을 입력받아 동작된다(S2).
상기 과정(S1, S2)을 수행하는 도중 외부로부터 티브이 전원을 오프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S3), 전원(B+) 입력은 오프되고, 시스템콘트롤러(30)는 스폿발생부(10)가 "하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치수단(20)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21)를 온 시켜 스폿발생부(10)의 전압이 스위치수단(20)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S4).
상기 VCD회로부(15)는 상기 스위치수단(20)으로부터 스폿방지용 전압을 인가받고 수평, 수직출력 펄스를 플라이백 트랜스(25)로 출력하며, 플라이백 트랜스(25)는 고압, 및 저압신호를 출력하여 CRT 내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화면상으로 서서히 방출시키므로써, 잔광 현상을 방지한다(S5).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티브이 전원 오프시에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지연된 스폿방지용 전원을 편향회로부로 공급하므로써, 전원 오프시에 CRT 내부에 충전된 에너지를 화면상으로 완전히 방출하여 티브이 오프시 발생하는 잔광 현상을 제거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티브이 전원 오프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폿 발생을 연장시키는 전원을 출력하는 스폿발생부와; 외부 전원 또는 상기 스폿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받고 비디오 색 신호를 RGB신호로 변환한 후 편향시키는 VCD회로부와; 상기 스폿발생부와 VCD회로부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전원 오프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스폿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스폿 전원을 VCD회로부로 전달하는 스위치수단; 및 외부 입력수단로부터 전원 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폿발생부가 스폿전압을 발생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치수단의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스폿발생부의 스폿방지용 전압이 VCD회로부에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VCD회로부의 출력신호가 전원 오프시점보다 더 연장되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은, 스폿발생부의 출력신호를 개폐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경유한 교류신호를 정류하는 정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KR2019970028582U 1997-10-15 1997-10-15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KR200175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582U KR200175663Y1 (ko) 1997-10-15 1997-10-15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582U KR200175663Y1 (ko) 1997-10-15 1997-10-15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315U KR19990015315U (ko) 1999-05-15
KR200175663Y1 true KR200175663Y1 (ko) 2000-04-15

Family

ID=1951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582U KR200175663Y1 (ko) 1997-10-15 1997-10-15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6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315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711A (ko) 스위칭 모드 전원의 런모드 및 스탠바이모드 전환용 제어기를 갖는 텔레비젼 수신기
US5184225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pot burn protection and after-glow suppression
US4709321A (en) Regulator protection circuit for video apparatus
KR200175663Y1 (ko)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US5714843A (en) CRT spot killer circuit responsive to loss of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US5945793A (en) Display device having set protection function upon generation of abnormal voltage
KR200165107Y1 (ko) 스포트 킬러 회로
KR100332820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씨알티 소손 방지 장치
JP2545816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200145946Y1 (ko) 텔레비젼 crt의 잔상방지장치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JPH0926654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652483A (en) Discharging a picture display tube
US7030908B2 (en) Method and circuit for spot-killer control in cathode-ray tube
KR200251508Y1 (ko) 펄스전원방식의 브라운관 고압 제어회로
KR100253191B1 (ko) 티브이 수상기의 스트레이 및 스포트 제거장치
JPH097449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06284307A (ja) ストレーエミッション防止機能付き陰極線管表示装置
KR0134886Y1 (ko) 시스템 다운 방지 장치
KR100272105B1 (ko) Dip 현상 방지장치
KR100218695B1 (ko) 음성출력레벨에 근거한 화면크기 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100250188B1 (ko) 전원오프시 crt장치의 잔류광비임 편향제어회로
KR100201915B1 (ko) 급속 고압 방전 회로
JP2006094335A (ja) 電子装置及びcrt表示装置及びcrt表示装置の電源制御方法及びcrt表示装置の電源制御プログラム
JP2000115568A (ja) 陰極線管表示装置及び陰極線管表示装置の表示停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