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637Y1 -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637Y1
KR960007637Y1 KR2019940014576U KR19940014576U KR960007637Y1 KR 960007637 Y1 KR960007637 Y1 KR 960007637Y1 KR 2019940014576 U KR2019940014576 U KR 2019940014576U KR 19940014576 U KR19940014576 U KR 19940014576U KR 960007637 Y1 KR960007637 Y1 KR 960007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drest
head
neck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157U (ko
Inventor
이홍섭
Original Assignee
이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섭 filed Critical 이홍섭
Priority to KR2019940014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637Y1/ko
Publication of KR960001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5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제1도는 종래의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다
제3도는 제2도의 헤드레스트를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헤드레스트를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2, 2' : 지지로드
3 : 의자4, 4' : 체결공
5, 5' : 힌지6, 6' : 절취부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headrest)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체의 두부 및 경부곡선과 대응되는 완만한 곡률로 형성됨으로써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피로감과 통증이 크게 경감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승용차 또는 기타 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앉은 사람의 두부와 경부를 받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 중, 특히 승용차의 좌석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일반적인 구성이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데, 대략 평평한 전면과 이면을 갖는 헤드레스트 본체(101)의 하부 양측에 지지로드(102, 102')가 부착된다. 이 지지로드(102, 102')는 좌석(103) 상부 양측의 대응 위치에 첫공된 체결공(104, 104')에 대해 수납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헤드레스트는, 정상적인 앉은 자세가 고려되지 않은 채 설계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앉아있게 되면 쉽게 피로감과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상적인 앉은 자세에서 인체는 경부곡선이 전굴상태(앞으로 휘어진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자세에서, 전술한 헤드레스트는 경부를 지탱하지 않은 채 두부만을 지탱하게 되어 경부의 전굴이 감소되거나 후굴상태를 조장하게 되므로 경부에 무리를 주게되고 이로인한 각종 부작용이 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앉은 사람의 자세에 따라 승용차 좌석에 대해 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틸팅(tilting)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헤드레스트도 사용되고는 있지만, 이 역시 틸팅될 수 있는 각도범위가 극히 적다는 구조적인 제약이 있고, 인체의 두부 및 경부곡선과는 무관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피로감과 통증을 제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용차 및 기타 의자에 설치되어,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피로감고 통증이 크게 경감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태양에 의하면, 승용차 및 기타 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앉은 사람의 두부와 경부를 받혀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전면부가 인체의 두부와 경부곡선과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의자의 상부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로드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로드에 대해 소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에 대해 완만하게 돌출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두부 및 경부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중앙부가 양측부에 비해 완만하게 후퇴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두부 및 경부형상과 더욱 흡사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의 하부 양측에 지지로드(2, 2')가 장착되며 이 지지로드(2, 2')는 의자(3) 상부 양측의 대응위치에 천공된 체결공(4, 4')에 대해 수납체결된다. 본체(1)는 지지로드(2, 2')에 대해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5, 5')에 의해 결합되는 데, 이 각도범위는 본체(1) 저부에 형성된 절취부(6, 6')의 길이범위로 설정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로드(2, 2')에 대한 본체(1)의 회전에 소정의 스레쉬홀드(threshhold)가 부여될 수 있도록 힌지(5, 5')조인트 소정 부위에 마찰재(도시하지 않음)가 매게될 수 있다. 이 스레쉬홀드의 설정치는 헤드레스트가 인체의 두부 및 경부를 자연스럽게 지탱할 때는 고정된 상태(지지로드에 대해 본체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는 한편,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로드에 대해 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한 것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틸팅기능을 구비한 공지의 헤드레스트에서도 이미 제시된 바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의 구성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부(1a)가 인체의 두부(50) 및 경부(51)곡선과 대응되도록 상부(U)에서 하부(D)로 갈수록 전방에 대해 돌출(P)되는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의 상부(U)와 하부(D)사이의 돌출곡면에 시작되는 부분에서는 인체의 두부(50)전체를 상하방향으로 감싸듯이 지탱하며, 본체(1)의 하부(D)에서는 인체의 경부(51)를 지탱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부가 양측부에 비해 완만하게 후퇴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인체의 두부(50) 및 경부(51)전체를 좌우방향으로 감싸듯이 지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는, 본체(1)의 전면부(1a) 형상이 인체의 두부 및 경부곡선과 대응되는 완만한 곡률로 형성됨에 따라, 인체의 두부와 경부를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고, 따라서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피로감과 통증이 현저히 경감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는, 앉은 사람의 자세에 따라 본체(1)가 지지로드(2, 2')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더욱 그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용차 및 기타 의자에 설치되는 개선된 형상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피로감과 통증이 크게 경감될 수 있다.

Claims (3)

  1. 승용차 및 기타 의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앉은 사람의 두부와 경부를 받혀주는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전면부가 인체의 두부와 경부곡선과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형성된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의자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의자를 결합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가 삽입되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힌지운동시 지지로드가 유동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의자에 대하여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하는 절취부;및
    상기 본체가 상기 지지로드의 힌지결합부와 연결되어 본체를 지지로드에 대해 회동 또는 고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에 대해 완만하게 돌출된 접촉면이 형성되어 인체의 두부 및 경부 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3.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앙부가 양측부에 비해 완만하게 후퇴된 굴곡부가 형성되어 인체에 두부 및 경부형상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KR2019940014576U 1994-06-20 1994-06-20 헤드레스트 KR960007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76U KR960007637Y1 (ko) 1994-06-20 1994-06-20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76U KR960007637Y1 (ko) 1994-06-20 1994-06-20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57U KR960001157U (ko) 1996-01-17
KR960007637Y1 true KR960007637Y1 (ko) 1996-09-06

Family

ID=1938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576U KR960007637Y1 (ko) 1994-06-20 1994-06-20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6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629A1 (en) * 2003-06-27 2005-01-06 In Seon Son Neck-head rest for vehicle
WO2009061077A2 (en) * 2007-11-08 2009-05-14 Hae-Hyun Nam Multipurpose & compatible pillow/headrest
WO2013081219A1 (ko) * 2011-12-02 2013-06-06 Nam Hae-Hyun 다기능 인체공학 헤드레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629A1 (en) * 2003-06-27 2005-01-06 In Seon Son Neck-head rest for vehicle
WO2009061077A2 (en) * 2007-11-08 2009-05-14 Hae-Hyun Nam Multipurpose & compatible pillow/headrest
WO2009061077A3 (en) * 2007-11-08 2009-07-02 Hae-Hyun Nam Multipurpose & compatible pillow/headrest
KR100987961B1 (ko) * 2007-11-08 2010-10-18 남해현 머리받침구가 구비된 의자
WO2013081219A1 (ko) * 2011-12-02 2013-06-06 Nam Hae-Hyun 다기능 인체공학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57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4429Y2 (ko)
JPH09169231A (ja) 車両用リヤシート装置
KR960007637Y1 (ko) 헤드레스트
US20020113474A1 (en) Chair with a folding backrest and a hinge therefor
US20030071505A1 (en) Seat for a tailgate
JPS6157435A (ja) バケツトシ−ト
JPH0647311Y2 (ja) レッグレスト付シート構造
JP4445244B2 (ja) 背凭れ傾動装置
JP2542353Y2 (ja)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JP373810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JPH0537703Y2 (ko)
JP4060913B2 (ja) 椅子の背もたれ
JP2633777B2 (ja) 座席装置
JP2595601Y2 (ja) 幼児用シートに切替可能な車輌用シート
JPH0517957Y2 (ko)
KR200143059Y1 (ko) 시트의 아암 레스트
JPH0527087Y2 (ko)
FI91843B (fi) Ajoneuvon istuin
JP2854253B2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JP3801858B2 (ja) 非回転式椅子
KR200175600Y1 (ko) 등받이가 절첩되는 회전식 의자
JPH0520205Y2 (ko)
KR19980050838A (ko) 헤드 레스트 틸트 어셈블리
JPH0439728Y2 (ko)
JP2002306275A (ja) アームレスト付きシート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