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337B1 -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및 그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및 그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337B1
KR960006337B1 KR1019920004655A KR920004655A KR960006337B1 KR 960006337 B1 KR960006337 B1 KR 960006337B1 KR 1019920004655 A KR1019920004655 A KR 1019920004655A KR 920004655 A KR920004655 A KR 920004655A KR 960006337 B1 KR960006337 B1 KR 96000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assette
reel
reel spr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742A (ko
Inventor
엘 젤라디 앤소니
로벸키 크레그
로우리 알란
롤휘 리차드
타일러 휘츠싸이먼스 더블유.
Original Assignee
셰이프 아이앤씨
마이클 디.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이프 아이앤씨, 마이클 디. 토마스 filed Critical 셰이프 아이앤씨
Publication of KR92001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1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magazines or cassettes, e.g. initial loading into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8Reels or cores; positioning of the reels in the cassett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및 그 결합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의 평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카세트 카바 위에 릴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저면도,
제 3 도는 카세트 카바 위에 릴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측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릴과 릴 스프링의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릴 스프링의 구부러진 자유단이 테이프 릴 허브 위에 형성된 평평한 중앙부에 접하여 편향됨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
제 6 도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릴과 릴 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3 실시예에 따라 테이프 릴 허브 위에 형성된 평평한 부분에 접하는 피봇버튼(pivot button)을 수용하는 와이어 스프링의 자유단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12 : 기저부(base)
14 : 카바 16,18 : 테이프 릴
20,22 : 허브 23 : 테이프
24 : 평면 부위 25,27 : 플랜지
26 : 스프링 28,30 : 아암
29 : 와이어(wire)부재 32 : 평평한 밑변
34,36 : 자유단 38,40 : 패드(pad)
39,41 : (종래의)피봇 버튼 42,44 : 루프
43,45 : 개구부 46,48 : 돌기
50,52 : 턱(ledge) 54 : (연마된) 면
56 : (본 발명에 따른)피봇 버튼.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 기저부 위에 회전 가능하도륵 장착된 데이프 릴의 허브를 지지하기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카바의 하단부에 부착된 릴 스프링과 그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카바와 기저부를 포함한다. 결합된 기저부와 카바에는 한쌍의 테이프 릴이 구비되며, 각각의 테이프 릴에는 그 둘레에 마그네틱 테이프가 감기는 허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카세트는 대개 릴 리프 스프링(reel leaf spring)을 포함하는데, 이 스프링은 미국 특허 제4,368,860호와 제4,662,579호에서 설명한 것처럼, 평평한 스테인레스스틸판을 압형한 것으로, 평평한 중앙부의 양 측면에 아암이 구부러져 연장되어 있다. 릴 리프 스프링에 형성된 구멍에는 카바의 밑바닥 중앙 평면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돌기가 수용된다. 돌기의 자유단이 초음파로 용접되어 구멍의 주위로 연장되고, 리프 스프링을 카바에 대해서 영구 고정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창치에서 릴 리프 스프링이 포함된 카바가 스프링 기저부와 결합될 때, 스프링 아암의 평평한 양 자유단은 각각의 테이프 릴의 허브의 중심에 위치한 둥글게 돌출된 피봇 버튼에 당아 테이프 릴을 아래로 편향시켜 테이프 릴리 제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준다. 예를들어 본 양수딘의 미국 특허 제4,452,404호를 보면, 이 종래의 장치에서 플라스틱 피봇 버튼은 금속제 스프링의 평면 자유단에 대하여 접점을 형성하며, 이 때문에 상기 교차점에서 마찰이 생겨 열이 발생한다. 마찰에 의한 분진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 피봇 버튼은 상대적으로 고가인 내마모성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에서 중요한 결점은 제조비용이다. 이는 스테인레스 강판 재료가 다소 비싸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초음파 용접이 요구되어 전제 제조비용이 올라가고 제조속도도 지체된다.
또한 결합라인에서 카바 위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용접을 하기전에, 스프링이 돌기에 대하여 잘못 위치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한편 모든 플라스틱 소비재와 마찬가지로 카세트도 그냥 땅에 매립하는 대신에 재생·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아마 언젠가는 마치 유리병이나 음료수병을 회수하여 재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미 녹화되었던 테이프 카세트를 반납하여 새로운 테이프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카세트의 다른 부분이 재사용되어야 할 수도 있다. 재사용이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카세트의 카바나 리프 스프링에서 결함이 발견되었을 때, 스프링과 카바 양쪽을 손상시키지 않고 리프 스프링이 분리될 수 없다. 이 부품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버릴 수 밖에 없어 전체제조비용과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 결과 상기의 종래 기술은 용이한 분해, 재사용이 가능한 가장 경제적인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의 결합이나 이와 관련된 최소 단계의 결합 방법을 포함하지는 못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테이프 카세트의 재료비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부품의 재사용으로 인해 종래의 결합보다 환경보호 및 에너지보존에 적당한 릴 스프링 및 카세트 카바 결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카바 돌기의 초음파 용접과 허브에서 피봇 버튼의 필요성을 배제하고 저렴한 재료로 스프링을 제조하여 카세트의 제조비용을 낮추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테이프 카세트에 릴 스프링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줄여, 저렴한 제조비용과 빠른 제조속도로 테이프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테이프 카세트의 릴 스프링을 자동이나 수동결합과정을 통해 보다 더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과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와이어 릴 스프링 및 카세트 카바 결합체와 카세트에 스프링을 경제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릴 스프링에는 거의 평평하지만 구부러진 와이어 몸체가 포함되며, 와이어 몸체의 양 자유단은 평평한 패드, 만곡부나 피봇 버튼이 결합된다. 와이어 몸체의 중앙부에는 카세트 카바에 형성된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서로 이격된 두개의 개구 루프(1oop)나 벤드(bend)가 포함된다. 카바와 베이스가 결합될 때, 패드, 만곡부나 피봇 버튼은 테이프 릴 허브와 접하여 이 허브를 하향편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방법에는 돌기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루프를 움직이는 동안 루프가 열려서 돌기가 수용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와이어 릴 스프링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상기 스프링은 돌기에서 분리된다.
제 1 도에는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10)는 각기 플라스틱 수지로 제작된 기저부(12)와 카바(14)로 구성된다. 결합된 카바(14)와 기저부(l2)에는 한쌍의 테이프 릴(16)(18)이 공지의 방법으로 수용된다. 각 테이프 릴(16) (18)에는 그 둘레에 마그네틱 테이프(23)가 감기는 허브(20) (22)가 포함된다. 각 테이프 릴(16)(18)에는 테이프(23)의 상·하 에지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한쌍의 플랜지(25) (27)가 허브(20) (2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기 동축을 이루며 고정된다. 카세트 카바(14)의 중심부에는 릴 스프링(26)을 수용하기 위한 평면부(24)가 있다.
릴 스프링(26)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밑변(32)에서 구부러져 연장된 두개의 아암(28) (30)이 포함된 가늘고 긴 와이어 부재(29)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300시리즈처럼 비교적 흔하고 저렴한 와이어 재료가 와이어 부재(29)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지 적당한 길이로 잘라 아암(28) (30)을 구부리면 된다. 더 비싼 스테인레스 강판에서 상대적으로 큰 스프링을 압형할 필요가 없다. 분명한 것은 압형된 릴프 스프링과 비교해볼 때 단위 스프링당 재료의 양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점이다. 전체 스프링(26)은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26)의 평평한 기저부(32)에는 서로 이격된 두개의 루프 나 벤드(42) (44)가 포함되고, 이 루프나 벤드에는 카세트 카바(14)위에 형성된 돌기(46) (48)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43) (45)가 구비된다. 와이어 스프링(26)이 돌기(46) (48)에 장착된 후에, 돌기(46) (48)에 턱(ledge) (50) (52)이나 오버랩이 만들어지도록 코킹(caulked)이나 스웨이징(swaged)되어 스프링(26)이 돌기(46) (48)의 자유단 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릴 스프링(26)에는 자유단(34) (36) 위로 각각 평평한 패드(38) (40)가 포함된다. 패드(38) (40)에는 와이어 부재(29)의 자유단(34) (36) 위로 구부러지거나 용접된 테두리가 구비된다. 패드(38) (40)는 압인(coined)된 릴 리프 스프링의 평평한 자유단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피봇 버튼(39) (41)과 접하게 된다.
스프링(26)과 마찬가지로 와이어 부재(29)와 패드(38) (40)에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교적 저렴한 와이어로 와이어 몸체(29)를 만들 수 있는 반면, 패드(38) (40)는 띠 성형(strip molding)을 이용한 탄성 플라스틱, 합금이나 비싼 스테인레스 강판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4 도와 제 5 도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 스프링(26)에는 약간 위로 구부러지거나 만곡된 자유단(34) (36)이 포함된다. 구부러진 자유단(34) (36)은 허브(20) (22)의 중심에 형성된 평평한 연마면(54)과 접하게 된다. 금속제 스프링(26)은 평평한 플라스틱 면(54)과 단일 접점을 형성하여, 이 때문에 마찰과 열 발생이 방지된다. 그 결과 평평한 면이 잘 마모되지 않아, 종래의 피봇 버튼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비교적 고가인 아세탈(acetal)로 따로 성형된 후 허브에 결합되는 피봇 버튼을 없앰으로써 카세트의 재료 및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특히 스티렌(styrene)으로 평평한 면(54)을 포함하는 허브를 만들면 마찰로 인해 생긴 입자들이 테이프를 오염시키는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제 6 도와 제 7 도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서는 스프링(26)의 양 자유단(34) (36)에 피봇 버튼(56)이 수용된다. 예를 들면 피봇 버튼(56)은 스프링(26)의 자유단(34) (36)에 직접 성형되거나, 자유단(34) (36)을 루프형태로 하여 그 안에 피봇 버튼(56)을 수용할 수도 있다. 피봇 버튼(56)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허브(20) (22)의 평평한 면(54)에 접하여, 다시 단일 접점을 이루어 마모와 열 생성을 방지한다.
상기 서술된 실시예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0) 위에 스프링(26)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와이어 스프링(26)을 카세트 카바(14)의 평면을 향해 평면과 평행한 "A"방향으로 이동시켜 루프(42) (44)의 개구부(43) (45)를 대응되는 돌기(46) (48)에 정렬시킨다. 와이어 스프링(26)을 돌기(46) (48)쪽으로 눌러주어 루프(42) (44)를 강제적으로 약간 벌어지게 함으로써 루프(42) (44)안으로 돌기(46) (48)가 들어가게 한다.
돌기(48)의 외주와 루프(42) (44)의 내주 사이에 스프링 바이어스나 간섭결합이 충분히 꽉 조여져 돌기(46) (48)에 대한 스프링의 이동이 방지되므로 코킹이나 스웨이징이 불필요해진다. 이 단단한 결합 때문에 종래의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공정상의 결점이었던 결합공정중에 스프링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의 코킹이나 스웨이징이 필요하다면, 돌기의 자유단을 눌러 변형시킬 수 있도록 제조공정중에 막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초음파 용접에 비해 빠르고 저렴하다.
제 3 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26)을 카세트 카바(14)를 향해 수직인 방향 "B"쪽으로 이동시켜 루프(42) (44)의 개구부(43) (45)를 대응되는 돌기(46) (48)에 정렬시킨다. 와이어 스프링(26)을 돌기(46) (48)위에서 눌러주어 루프(42) (44)를 강제적으로 약간 벌어지게 함으로써 루프(42) (44)안으로 돌기(46) (48)가 들어가게 한다. 그후에 돌기(46) (48)는 코킹이나 스웨이징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결합되면, 압인된 릴 리프 스프링(26)이 카바(14)의 밑부분에 연결되어, 제 1 실시예의 패드(38) (40)가 카바(14)에서 아래쪽으로 내밀어진다. 아니면 구부러진 자유단(34) (36)은 만곡부가 아래로 연장되고 와이어의 끝은 위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 3 실시예에서 피봇 버튼(56)의 첨단부는 아래로 연장된다. 카바(14)가 기저부(2)와 결합될 때 패드(38) (40), 자유단(34) (36) 또는 피봇 버튼(56)은 각각 대응되는 피봇 버튼(39) (41)이나 허브(20) (22)의 평면(54)에 접촉하게 되고, 아암(28) (30)이 테이프 릴(16) (18)을 아래로 편향시킴으로써, 테이프 릴(16) (18)을 제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에 서술한 방법 발명의 양 실시예에서 필요하다면 카바(14)에서 스프링(26)을 분리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26)이나 카바(14)에서 결합이 발견될 경우 카바(l4)에서 리프 스프링(26)을 쉽게 분리함으로써, 결함이 없는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기(46) (48)에 코킹이나 스웨이징을 하지 않은 경우 카세트 카바(14)에 스프링(26)을 장착하는 상기 단계를 단지 역순으로 하면 되는데, 스프링(26)을 반대방향(평행 "C" 또는 수직 "D")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돌기(46) (48)는 더이상 루프(42) (44)내에 수용되지 않는다. 그 뒤에 스프링(26)을 카세트 카바(14)에서 완전히 이탈시킬 수 있다.
비록 돌기(46) (48)의 자유단이 코킹이나 스웨이징되었다고 하더라도, 스프링(26)을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돌기(46) (48)의 코킹이나 스웨이징된 자유단을 간섭하지 않고 스프링(26)을 평면부(24)에 평행한 "C"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카세트 카바(14)를 형성시키기 위한 성형틀을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 즉 종래의 릴 리프스프링에 사용하던 돌기(46) (48)를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26)에 사용할 수 있다. 성형들을 변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경비가 절약됨은 당연하다. 더우기 금속을 덜 사용하고, 결함이 있는 스프링을 재생할 수 있으며, 저렴한 다른 종류의 재료로 와이어 몸체를 만들 수 있고, 다이가 저렴하므로 스프링의 제조경비가 감소된다. 또한 결합공정중에 스프링이 이탈되는 경우도 없어진다. 결국 스프링이나 카세트 카바에서 결함이 발견된다면 이 부재를 분해하여 결함있는 부품은 재생하고 결함없는 부품은 재사용된다.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카세트의 전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테이프 카세트가 소비자에 의해 사용된 후 반환되면, 쉽게 분해하여 테이프가 다시 끼운 다음에 다시 판매할 수 있다. 특히 필요하다면 테이프 카세트의 다른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릴 스프링을 쉽게 분리시켜 교환할 수 있다.
상기에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원리만을 서술한 것이며 더우기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많은 개조와 변경이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조와 작동이 도시되고 서술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서술한 테이프 카세트는 비디오 테이프 플레이어 및 레코더에 사용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오디오나 다른 플레이어 및 레코더 장치들에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릴 스프링이 카바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였으나 필요하다면 릴 스프링이 카세트 기저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적당한 개조 및 그와 유사한 것은 본 발명과 종속항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0)

  1. a) 카세트 위에 형성된 릴 스프링 수용부(24) ; b) 패드(38) (40)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자유단(34) (36)과 와이어 몸체(29)를 포함하는 가늘고 긴 릴 스프링(26) ; c) 카세트 카바면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46) (48) ; d) 상기 돌기(46) (48)에 상기 스프링을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각각 상기 돌기(46)(48)에 수용되도록 와이어 몸체(29)위에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 한쌍의 개구 루프(42)(44) ; 가 포함된 테이프 카세트용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34) (36)이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34) (36)에 피봇 버튼(56)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용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4. a) 카세트 위에 형성된 릴 스프링 수용부(24) ; b) 패드(38) (40)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자유단(34) (36)과 와이어 몸체(29)를 포함하는 가늘고 긴 릴 스프링(26) ; c) 카세트 카바면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46) (48) ; d) 상기 돌기(46) (48)에 상기 스프링을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각각 상기 돌기(46) (48)에 수용되도록 와이어 몸체(29) 위에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형성된 한쌍의 개구 루프(42) (44) ; e) 상기 자유단(34) (36)이 접하는 평평한 중앙부를 포함하면서 카세트(10)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릴(16) (18) ; 이 포함된 테이프 카세트.
  5. a) 릴 스프링(26)을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단(26) (28)이 포함된 평면부(24)를 카세트 위에 형성시키는 단계 ; b) 상기 돌기수단 위에 스프링을 분리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분리장착수단이 포함된 와이어릴 스프링을 형성시키는 단계 ; c) 분리장착수단과 돌기수단을 정렬시키기 위해 평면부(24)의 평면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단계 ; d) 분리장착수단과 돌기수단(46) (48)을 매개로 스프링(26)을 분리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을 상기 제1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카세트와 릴 스프링의 결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e) 돌기수단에서 스프링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단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와 릴 스프링의 결합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a)단계는 카세트 카바 위에 돌기수단을 형성시키는 하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와 릴 스프링의 결합방법.
  8. a) 릴 스프링(26)을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만(26) (28)이 포함된 평면부(24)를 카세트 위에 형성시키는 단계 ; b) 상기 돌기수단 위에 스프링을 분리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분리장착수단이 포함된 와이어릴 스프링을 형성시키는 단계 ; c) 분리장착수단과 돌기수단을 정렬시키기 위해 평면부(24)의 평면에 수직한 제 1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단계 ; d) 분리장착수단과 돌기수단(46) (48)을 매개로 스프링(26)을 분리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카세트와 릴 스프링의 결합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e) 돌기수단에서 스프링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단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와 릴 스프링의 결합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a)단계는 카세트 카바 위에 돌기수단을 형성시키는 하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와 릴 스프링의 결합방법.
KR1019920004655A 1991-03-28 1992-03-20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및 그 결합방법 KR960006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76,380 1991-03-28
US07/676,380 US5199661A (en) 1991-03-28 1991-03-28 Wire reel spring/cassette cover combinations and methods f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42A KR920018742A (ko) 1992-10-22
KR960006337B1 true KR960006337B1 (ko) 1996-05-13

Family

ID=2471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655A KR960006337B1 (ko) 1991-03-28 1992-03-20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및 그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99661A (ko)
JP (1) JPH06150610A (ko)
KR (1) KR960006337B1 (ko)
BR (1) BR9201058A (ko)
CA (1) CA2062313A1 (ko)
DE (1) DE4208690A1 (ko)
FR (1) FR2680039B1 (ko)
GB (1) GB2254066A (ko)
IT (1) IT1258400B (ko)
MX (1) MX92014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5631B1 (en) * 1999-09-28 2001-10-23 Imation Corp. Tape cartridge with remove to operate tape and hubs
US7121493B2 (en) 2001-08-01 2006-10-17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s, tape reels for use therewith, resinous leaf spring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4119786B2 (ja) * 2003-05-21 2008-07-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41427A (fr) * 1954-07-31 1957-09-02 Ernst Mastling Dispositif de reproduction pour rubans magnétiques acoustiques
GB834503A (en) * 1957-01-22 1960-05-11 Bernard August Cousino Tape magazines for magnetic sou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chanisms
DE2502169C2 (de) * 1970-08-25 1985-04-18 Basf Ag, 6700 Ludwigshafen Magnetbandkassette
US3801042A (en) * 1972-03-30 1974-04-02 G Dobson Latch for tape cassette reels
US4054930A (en) * 1974-09-06 1977-10-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type magnetic tape player
US4022402A (en) * 1974-11-21 1977-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ainer for magnetic tape
DE2912423A1 (de) * 1979-03-29 1980-10-09 Basf Ag Magnetbandkassette und geraet dafuer
EP0030367A1 (en) * 1979-12-06 1981-06-17 Hitachi Maxell Ltd. Magnetic recording tape cassette
US4436256A (en) * 1980-06-04 1984-03-13 Olympus Optical Co., Ltd. Reel shaft/reel hub fitting apparatus
FR2507368A1 (fr) * 1981-06-04 1982-12-10 Future Technology Lab Cassette de bande magnetique
US4452404A (en) * 1982-08-20 1984-06-05 Shape Inc. Tape reel hub assembly
US4662579A (en) * 1985-08-16 1987-05-05 Shape Inc. Coined reel leaf spring for a video tape cassette
US4770367A (en) * 1987-03-25 1988-09-13 Carroll William M Magnetic tape cassettes
US4789195A (en) * 1987-06-24 1988-12-06 Fletcher Nevin R Truck tool box
DE8900385U1 (ko) * 1988-01-25 1989-03-02 Skc Ltd., Suwon, Kr
US4903916A (en) * 1989-01-25 1990-02-27 Koller Manufacturing Corporation Cassette reel spring having rolled edges
US5046683A (en) * 1989-07-13 1991-09-10 Carroll William M Cassette reel spring tip configuration
US4986491A (en) * 1989-12-28 1991-01-22 Shape, Inc. Reel leaf spring/cassette cover combinations and methods f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08690A1 (de) 1992-10-01
IT1258400B (it) 1996-02-26
CA2062313A1 (en) 1992-09-29
FR2680039A1 (fr) 1993-02-05
JPH06150610A (ja) 1994-05-31
FR2680039B1 (fr) 1995-07-07
KR920018742A (ko) 1992-10-22
BR9201058A (pt) 1992-11-24
GB2254066A (en) 1992-09-30
GB9204562D0 (en) 1992-04-15
ITRM920196A1 (it) 1993-09-20
US5199661A (en) 1993-04-06
ITRM920196A0 (it) 1992-03-20
MX9201412A (es) 199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6118A (en) Magnetic tape cassette
JPS5975467A (ja) 記録再生用デイスクジヤケツト
JPH0441502Y2 (ko)
KR960006337B1 (ko) 와이어 릴 스프링과 카세트 카바 결합체 및 그 결합방법
JPH03242887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328757B2 (ko)
JPS63501457A (ja) デイスクカセット圧力ばね機構
JPS6014401B2 (ja) 釈放可能な針ア−ム結合装置
JP343018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3841575B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H0320951Y2 (ko)
JP2526907Y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H0514374Y2 (ko)
JP3552428B2 (ja) テープリール
JPS5834620Y2 (ja) 磁気テ−プカセツトのヘツドタツチ機構
KR20010089304A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릴 스프링 및 자기 테이프 카세트
JPH06150611A (ja)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そのテープ・リール付勢方法
JPH0762948B2 (ja) テープリールとテープリールを備えるテープカセツト及びテープリールの製造方法
JP2565078Y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514375Y2 (ko)
JP2578978Y2 (ja) 磁気ヘッド装置
JP3005694U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S6316057Y2 (ko)
JPS629586Y2 (ko)
JPH03371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