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17B1 - 테이프 카세트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17B1
KR960005417B1 KR1019920022772A KR920022772A KR960005417B1 KR 960005417 B1 KR960005417 B1 KR 960005417B1 KR 1019920022772 A KR1019920022772 A KR 1019920022772A KR 920022772 A KR920022772 A KR 920022772A KR 960005417 B1 KR960005417 B1 KR 96000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ont cover
rear cover
tape casset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855A (ko
Inventor
쯔네히사 오히라
마나부 사또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보조 다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400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05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637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64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6000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641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보조 다꾸로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
제1a도 및 1b도는 종래의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개방 동작을 설명하는 도시도.
제2a도 및 2b도는 종래의 8mm형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개방 동작을 설명하는 도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 및 후면덮개 부근을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 및 후면덮개 부근을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 및 후면덮개 부근을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 및 후면덮개 부근을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조립하여 나타낸 일부 파단 사시도.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조립하여 나타낸 일부 파단 사시도.
제5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조립하여 나타낸 일부 파단 사시도.
제5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조립하여 나타낸 일부 파단 사시도.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5a도에 도시한 화살표 XY 방향으로부터 단면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덮개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단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8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가 열리는 도중의 태를 도시한 도면.
제8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 각도가 작은때의 제 1 덮개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8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 각도가 큰 때의 제 2 덮개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9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9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가 닫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9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도가 작은때의 제 1 덮개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9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도가 큰 때의 제 2 덮개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d도의 화살표 XY 방향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d도의 화살표 XY 방향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가 열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d도의 화살표 XY 방향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도가 작은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d도의 화살표 XY 방향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도가 큰 장치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상부 절반 부재 3 : 하부 절반 부재
4 : 공급 릴 5 : 권선 릴
7 : 전면덮개 8 : 후면덮개
10 : 로크 부재 13 : 연결 레버
T : 자기 테이프
본 발명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된 자기테이프를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전면 및 후면덮개를 구비하고 연결레버를 거쳐 전면덮개에 후면덮개를 걸은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이용되는 테이프 카세트는 예를들면 테이프 폭이 1/2인치인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라든가, 혹은 테이프 폭이 8mm인 8mm형 테이프 카세트가 이용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제1a도 및 제1b도에 나타난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는 상부 절반 부재(101)와 하부 절반 부재(102)에 의해 케이싱으로 조립되어 있고, 이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를 이용하여 도시되지 않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의해 기록 및 재생을 하고 있고, 이때 장치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의 외형 치수 및 형상은 거의 규격화 되어 있다.
또,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 릴(103)과 권선 릴(104)과의 사이에는 자기테이프(T)가 감겨지게 되고, 공급 릴(103)에 감겨진 자기테이프(T)가 공급측의 가이드 볼(105)을 경유하고, 하부 절반부재(102)의 개구부(102a)쪽에 설치된 전면덮개(106)를 따라서 장착되고, 한편 감는쪽의 가이드 볼(107)을 경유하여 권선 릴(104)에 감겨지게 된다.
또, 하부 절반부재(102)의 개구부(102a)쪽은 다른쪽이 개구되어 있고, 장치의 테이프 로딩부재(도시 않됨)가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면덮개(106)는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자성면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덮개(106)는 좌우측면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106a, 106a)(한쪽만 나타남)상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테이프 카세트(100)의 좌우측면에 지지되어 있고, 좌측면에 설치된 전면덮개 로크부재(108)에 걸려서 닫혀지고 있다.
그리고 제1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한 때만, 장치의 덮개 개방 장치에 의해 전면덮개 로크부재(108)가 해제되어 전면덮개(106)에 형성된 핀(106a)을 회전 중심으로 전면덮개(106)가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열려지고 있다. 이때, 소형 경량의 포터블 기계 등은 전면덮개(106)의 개방각도(θ1)가 그 정도보다 크지 않게 열려지고, 한편 대형 데크라든가 업무용 기기는 전면덮개(106)의 개방각도(θ1)는 여유를 좀더 크게 열려지고 있다.
그후, 전면덮개 (106)가 열리고, 개구부(102a)내에 삽입된 테이프 로딩부재(도시 않됨)에 의해 자기테이프(T)가 장치내의 소정의 테이프 통로를 따라 로딩된다.
또,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는 상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상하 절반부재(201, 202)에 의해 직사각형의 케이싱에 조립되고, 내부에 자기테이프(T)를 감는 공급 릴(203) 및 권선 릴(204)이 설치되어 있고, 한편 하부 절반부재(202)에 개구된 개구부(202a)내에, 또 전면덮개(205)의 후방에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과 반대측의 다른면의 보호하는 후면덮개(2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는 특개소 59-168979호 공보에 나타나 있고, 이것에는 전면덮개(205) 및 후면덮개(206) 근방에 관하여만 간단히 설명하고, 하부 절반부재(202)의 개구부(202a)쪽에 설치된 전면덮개(205)에 따라 자기테이프(T)가 장착되고, 이 자기테이프(T)는 전면 및 후면덮개(205, 206)의 사이에 들어가 보호되고 있다.
즉, 전면덮개(205)는 좌우측면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205a, 205a)을 상, 하 절반부재(201, 202)의 좌우측면에 개폐되도록 지지되고 있다. 또, 전면덮개(205)의 중간부부터 일체로 한쌍의 돌출편(205b, 205b)이 하방으로 늘어져 있고, 이 한쌍의 돌출편(205b, 205b)에 "거의 T자형"으로 형성된 후면덮개(206)가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206a, 206a)을 개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 후면덮개(206)의 좌우측면의 하단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핀(206b, 206b)은 하부 절반부재(202)의 개구부(202a) 부근의 좌우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202b, 202b)에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2b도에 나타난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를 도시되지 않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삽입한 때만 장치측의 개방장치에 의해 전면덮개(205)에 형성된 지지핀(205a)를 회전중심으로 이점쇄선에 도시한 것 같이 전면덮개(205)와 후면덮개(206)가 일체로 열려진다.
여기에는 전면덮개(205)의 개방동작과 같이하여 일체로 후면덮개(206)가 상부 절반부재(201)의 상면(201a)의 상방에 도달하는 큰 개방각도(θ2) 위치까지 열린다. 이때, 후면덮개(206)는 그 핀(206a) 상에서 상향 개방되며, 가이드 홈(202b)에서 안내되는 가이드 핀(206b)은 하부 절반부재(202)에 형성된 가이드 홈(202b)내에서 안내된다.
그런데, 최근 자기테이프(T)의 고밀도, 고화질의 기록 및 재생이 요구되고, 한편 예로 디지털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현 단계에는 자기테이프(T)에 먼지 등이 부착되기도 하고, 또는 손의 지문 등이 부착되어 기록 및 재생의 기능이 약간 저하된다.
상기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에는,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과 반대측의 다른면은 보호되지 않고, 개구부(102a)로부터 먼지 등이 자기테이프(T)의 다른면에 부착되기도 하고, 또는 개구부(102a)로부터 실수 또는 고의로 손의 지문 등이 달라붙게 되면, 자기테이프(T)가 공급 릴(103) 및 권선 릴(104)에 감긴 때, 자시테이프(T)의 다른면이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과 밀착하여 악영향이 생긴다.
그래서,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에도 상기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에 개시된 것 같이 후면덮개(206) 상당 부재를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러나,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를 채용한 도시않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는 이미 세계에 널리 보급되어 있고, VHS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100) 및 장치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의 구성을 그대로 투입한 것은 이하의 문제점 1, 2가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끼치게 되므로, 후면덮개(206) 상당 부재를 그대로의 구성으로 채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1. 포터블 비디오 데크라든가 비디오 무비 등의 기종에는, 소형화 하기 위하여 전면덮개의 개방각은 될 수 있는한 적게 설계되고 있으므로, 상기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의 구성에 의하여 후면덮개(206) 상당 부재를 그대로 적용한 경우 후면덮개(206) 상당 부재가 자기테이프(T)를 장치내로 인출하는 데크로딩부재에 접촉한다.
2. 한편, 대형 비디오 데크라든가 업무용 비디오 데크 등의 기종에는 전면덮개의 개방각은 여유가 좀 더 크게 설계되어 있고, 상기 8mm형 테이프 카세트(200)의 구성에 의하여 후면덮개(206) 상당부재를 그대로 적용한 경우, 후면덮개(206) 상당 부재의 가이드 핀(206b, 206b)이 가이드 홈(202b, 202b)의 상방으로 떨어져 버리고, 후면덮개(206) 상당 부재를 폐쇄할 때, 가이드 핀(206b, 206b)이 가이드 홈(202b, 202b)에 들어가지 않고 파손되어 버린다.
즉, 전면덮개와 같이 움직이는 후면덮개 개폐 구조는 외관형상은 다르게 되지만, 기본적 구성에 있어서 전면덮개의 개방각이 큰 경우에도, 작은 경우에도 확실히 적용할 수 있는 필요가 있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테이프 카세트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이 제거된 신규하고 유용한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부재가 들어가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과 자기테이프를 풀어내 유지 공급하기 위해 케이싱내에 배치된 공급 릴과 자기테이프를 케이싱의 전면측을 따라 공급 릴로부터 권선하기 위해 케이싱내에 배치된 권선 릴과 케이싱의 전면측을 따라 권선되는 자기테이프의 한쪽면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전면측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면덮개 및 자기테이프의 다른쪽면을 보호하기 위해 전면덮개와 함께 개폐되도록 전면덮개의 뒤쪽에 그리고 개구부에 배치되는 후면덮개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전면덮개의 뒷쪽에 형성되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 레버 및 상기 후면 덮개를 개폐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덮개상에 제공된 가이드 핀과 결합되도록 케이싱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여, 후면덮개는 자기테이프의 뒷면이 케이싱의 전면을 따라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레버의 일단부로부터 회전식으로 현수되고, 다른면과 대향하여 케이싱에 형성된 가이드부와 결합하면서 전면덮개의 개폐작용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실시예를 제3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 동작>에 관하여 항목순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조립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0)는, 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상부 절반부재(2)와 하부 절반부재(3)가 2분할 형성되고, 상부 절반부재(2)와 하부 절반부재(3)가 2분할 형성되고, 상부 절반부재(2)와 하부 절반부재(3)에 의해 직방체 형상의 케이싱(1A)도 조립형성된다. 이 케이싱(1A)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 릴(4)과 권선 릴(5)의 사이에는 자기테이프(T)가 권선되어 있고, 공급 릴(4)에 권선한 자기테이프(T)는 공급측의 가이드볼(6)을 경유한 후 하부 절반부재(3)로 개구한 개구부(3a)의 전면측에 설치된 전면덮개(7)와 후면덮개(8)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권선측의 가이드볼(9)을 경유하여 권선 릴(5)에 권선되어 있다.
또한, 하부 절반부재(3)의 뒷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부재가 들어갈 수 있는 상기 개구부(3a) 외에 공급 릴(4) 및 권선 릴(5)과 맞닿는 구멍(3b, 3c)이 뚫려있고, 다시 개구부(3a)에 근접하여 테이프 카세트(300)가 장치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구멍(3d, 3c) 및 자기테이프(T)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비도시된)발광 소자(비도시)가 들어가는 구멍(3f)이 뚫려있다.
이제,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0)의 요부를 도시하는 제4A도를 참조한다. 또, 상기 전면덮개(7)는 좌우측면(7a, 7b)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7a1, 7b1)(7a1만 도시됨)을 거쳐 케이싱(1A)(하부 절반부재 3)의 좌우측면(3g, 3h)에 개폐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장치에 삽입하기 이전은 전면덮개(7)가 하부 절반부재(3)의 좌측면(3g)에 설치된 전면덮개 로크부재(10)에 의해 걸려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전면덮개(7)가 닫혀 있을 때에는, 전면덮개(7)는 자기테이프(T)의 한쪽면(이하 자성면이라 함)에 먼지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됨과 동시에 자성면이 사람의 손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전면덮개(7)의 개방동작은 테이프 카세트(1)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된 때에만 장치측의 개방장치에 의해 전면덮개 로크부재(10)가 해제되어 전면덮개(7)가 열릴 수 있으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면덮개(7)을 따라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뒷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면덮개(8)는 전면덮개(7)의 개폐동작과 같이 일체로 개폐되고 있고, 전면덮개(7)의 개방시 후술하는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제6C도, 제7C도)를 될 수 있는한 작게 유지하면서 후면덮개(8)를 여는 것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것이다.
이 후면덮개(8)는 하부 절반부재(3)에 개구한 개구부(3a)로부터 들어가는 먼지 등이 자기테이프(T)의 한쪽면(자성면)과 반대측의 뒷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개구부(3a)로부터 이물질 등이 삽입되어도 자기테이프(T)가 손산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덮개(8)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자기테이프(T)의 뒷면에 먼지 , 지문 등이 부착되지 않고, 게다가 자기테이프(T)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자기테이프(T)가 공급 릴(4) 및 권선 릴(5)에 감기는 동안 자기테이프(T)의 뒷면에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과 밀착할 때라도 하등의 지장없이 자기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지지하는 주요 구성부재에 관하여 제4a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a도에 있어서 상부 절반부재(2)와 하부 절반부재(3)는 테이프 카세트(301)(제3도에서는 300)와 거의 동일높이로 형성된 전면덮개(7)의 높이(H1)에 대하여,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반의 높이(H2)로 각각 별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좌우측면(3g, 3h)은 전면덮개(7)의 높이(H1) 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형성되고, 이 좌우측면(3g, 3h)에 서로 대향하여 구멍(3g1, 3h1)이 뚫려 있다. 또, 한쌍의 구멍(3g1, 3h1)에는 전면덮개(7)의 좌우측면(7a,7b)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7a1, 7b1)이 끼워맞춰지고, 전면덮개(7)가 핀(7a1,7b1)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전면측에는 테이프 로딩부재(도시 않됨)이 들어가는 공간을 갖는 개구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a)의 내측 좌우에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 한쌍의 돌출부(3i, 3j)가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돌출부(3i)는 하부 절반부재(3)의 중앙부 보다 약간 좌측으로 위치하고, 돌출부(3i)는 우측면(3h)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3i, 3j)에는 서로 대향한 한쌍의 안내부(3i1, 3j1)(이하 가이드 홈이라 함)가 상부가 열려진 오목형상의 홈이 하방으로 향하여 "장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는 후술하는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상방으로부터 합쳐(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3a)내의 한쌍의 돌출부(3i, 3j)는 후술하는 개방 동작시에 후면덮개가 접촉함이 없이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거의 중앙부로 또 개구부(3a)내의 게다가 좌측의 돌출부(3i)와 우측의 돌출부(3i)와의 사이에는, 규제부(3k)(이하 레버 가이드부(3k)라 함)가 전면덮개(7)의 높이(H1) 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편 레버 가이드부(3k)의 상방의 선단부에 테이퍼부(3k1)가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3k1)에는 후술하는 전면덮개(7)에 지지된 연결레버(13)의 접촉부(13b)가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고, 닫힘시, 연결레버(13)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전면쪽 밑면에는 가이드 볼(6, 9)(제3도)이 세워져 설치되는 구멍(3m, 3n)이 뚫려지고, 자기테이프(T)가 가이드 볼(6, 9)에 의해 2점 쇄선으로 도시한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레버 가이드부(3k)의 속방향에는 전술한 발광소자(도시 않됨)가 들어가는 구멍(3f)이 뚫려져 있다. 이 구멍(3f)은 하부 절반부재(3)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에 형성된 좌우측면(3g, 3h), 돌출부(3i, 3j), 레버 가이드부(3k)는 후술하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개방동작과 관련한 부품이고, 이를 위하여 이들 부품은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붙임 위치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면덮개(7)의 높이(H1) 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하부 절반부재(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부품을 상부 절반부재(2)쪽에 동일 위치 관계로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상, 하부 절반부재(2, 3)에 동일위치로 분할 형성되어도 좋다. 또, 좌우측면(3g, 3h), 돌출부(3i, 3j), 레버 가이드부(3k)를 높이(H3)로 형성한 때에는, 하부 절반부재(2)쪽은 얇은 판 두께(t)로 조립된다.
다음에, 전면덮개(7)의 좌우측면(7a, 7b) 사이는 전면(7c)과 상면(7d)과는 거의 직각으로 연결된 "역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7c)의 하단으로 뒷면(7e) 쪽에는 삼각형부(7e1)이 극히 약간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삼각형부(7e1)은 전면덮개(7)에 따라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하단쪽을 닫힘시에 후술하는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와 밀폐 상태를 포함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자기테이프(T)를 개구부(3a)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보호하고 있다.
또, 전면덮개(7)의 거의 중앙부 뒷면쪽에 또, 상면(7d)의 뒷면에는 지지부(7d1)(이하 레버 지지부(7d1)이라 함)가 하방으로 수직하게 되어 있고, 이 레버 지지부(7d1)에 샤프트(11)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11)에는 탄성 스프링(12)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역<자(dog-leg) 형상"의 연결 레버(13)가 회전 가능하게 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샤프트(11)의 선단에는 스냅링(14)이 끼워져, 연결 레버(13)가 샤프트(11)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연결 레버(13)의 하방의 일단에는 후면덮개(8)를 회전가능하게 거는 구멍(13a)이 뚫려지고, 샤프트(11)를 개입한 상방의 타단부에는 상술한 하부 절반부재(3)에 형성된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하는 접촉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레버(13)는 본 발명의 요구를 구성하는 부재이고, 전면덮개(7)에 대하여 후면덮개(8)를 회전가능하게 거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연결 레버(13)를 설치한 것에 의해, 후술하는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 동작에 자유도가 증가되고, 전면덮개(7)를 크게 열지 않아도 후면덮개(8)를 원하는 각도까지 열 수 있다.
다음에, 후면덮개(8)는 전면덮개(7)와 대향하는 전면(8a)쪽이 "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덮개(7) 및 자기테이프(T)의 뒷쪽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평행하게 걸려있고, 전면덮개(7) 및 후면덮개(8)의 폐쇄시에는 전면(8a)의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접촉하여, 자기테이프(T)의 하단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즉, 후면덮개(8)의 거의 중앙 상부에는 L형상의 요부(8b)가 개구되고, 이 요부(8b)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한 핀(8c)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8b)에 상기 연결 레버(13)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연결 레버(13)의 뚫린 구멍(13a)에 핀(8c)을 끼워맞추면,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에 의해 전면덮개(7)에 걸린 상태로 연결됨과 동시에, 후면덮개(8)의 뒷면(8d)쪽의 중간부 하방에는 돌출부(8e)가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뒷면(8d)쪽의 우측면 근방에도 동일 형상의 돌출부(8f)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8e, 8f)에는 서로 외측으로 향하여 보스(8e1, 8f1)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에 의해 전면덮개(7)에 걸어 조립하면,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는 사기한 하부 절반부재(3)의 돌출부(3i, 3j)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3i1,3j1)에 하방으로 합쳐(끼워 맞춰)지고, 따라서 후면덮개(8)는 전면덮개(7)를 따라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뒷면쪽에, 그리고 하부 절반부재(3)의 개구부(3a)내에 지지된다.
이 상태는 제5a도와 같이 전면덮개(7)에 후면덮개(8)를 조립하여 지지한 상태이고, 또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폐쇄 상태이고,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하부 절반부재(3)의 레버 가이드부(3k)에 형성된 테이퍼부(3k1)에 접촉하여, 연결 레버(13)는 회전이 규제되므로 후면덮개(8)가 연결레버(13)를 개입하여 하방의 개구부(3a)로 향하여 "역<자 형상"으로 걸려져 있다. 또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 끼워지면서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동작>
여기에,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동작에 관하여 제6a도 내지 6c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6a도 내지 6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5a도에 표시한 화살표 XY 방향으로부터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6a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폐쇄된 상태이고, 제6b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개방도중 상태이고, 제6c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열린 상태이다. 제6c도에 표시한 ( )내 부호는 반대측 부품을 표시한 것이지만, ( )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6a도에 표시된 상태에는,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1)의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열려져 있고, 전면덮개(7)의 뒷면(7e)에 따라 자기테이프(T)가 장착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개구부(3a)내에는, 전면덮개(7)의 레버 지지부(7d1)에 고정된 샤프트(11)에 연결된 연결 레버(13)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연결 레버(13)의 일단에 후면덮개(8)가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핀(8c)을 개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결 레버(13)는 탄성스프링(12)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있지만,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되고 있으므로, 연결 레버(13)는 회전이 규제되고, 이것에 의해,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자기테이프(T)의 뒷면 근방에 걸려져 있다.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의 돌출부(3i)에 형성된 가이드 홈(3i1)에 끼워지면서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밀착상태로 접촉하여, 개구부(3a)로부터 먼지, 지문 등이 자기테이프(T)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 쪽은 전면덮개(7)로 덮히고, 자기테이프(T)의 뒷면쪽은 후면덮개(8)로 덮히고, 자기테이프(T)의 하단쪽은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포함되어 들어가 보호되고 있다.
따라서,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닫힘 상태시 즉,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기 이전에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사이에 자기테이프(T)가 완전히 보호되고 있다.
다음에, 제6b도에 나타난 것같이, 테이프 카세트(301)이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린다.
여기에, 전면덮개(7)가 열려짐에 따라서, 전면덮개(7)에 샤프트(11)를 거쳐 고정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는 레버 가이드부(3k)에 형성된 테이퍼부(3k1)로부터 접촉이 해제되고, 연결 레버(13)가 탄성 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샤프트(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절반부재(2)의 상면(2a)에 접촉할 때까지 이르고, 이것에 의해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8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계속 올라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내를 상방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전면덮개(7)의 개방동작과 같이 움직여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걸린 후면덮개(8)도 열려지지만, 연결 레버(13)는 전면덮개(7)에 대하여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에 대하여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후면덮개(8)의 개방 동작시에는 2개의 회전 지지점(11, 8c)에 의해 후면덮개(8)가 무리없이 자유로이 열릴 수 있고, 후면덮개(8)는 링크 기구에 의한 2 자유도를 얻게 된다.
또,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열릴 때에는 전면덮개(7)의 삼각형부(7e1)는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쪽부터 멀어지도록 열리고,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는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에 안내되기 위하여 자기테이프(T)의 뒷면에 접하지 않게 열려진다.
다음에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려지면, 제6c도에 나타난 것같이,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완전히 열려진다. 이 상태에서는, 연결 레버(13)가 탄성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절반부재(2)의 상면(2a)의 상방으로 이르고,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3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방으로 계속해서 올라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내의 상부까지 도달한다.
이때, 상기한 것과 동등한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자기테이프(T)에 접촉하지 않고 개방과 동시에 전술한 것에 의한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린 후면덮개(8)가 2개의 회전 지지점(11, 8c)에 의해 자유도가 얻어지게 되므로, 연결 레버(13)의 일단에 연결된 핀(8c)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내면 근방까지 무리없이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가 작게 설정되어, 예를들어 개방각도(α)는 도시한 것같이 약 60~65도 정도로 누를 수 있다.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닫힘 동작은 상기와 역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이 결과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1)에는 테이프 카세트(301)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하기 이전에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사이에 자기테이프(T)를 먼지, 지문 등의 부착으로부터 보호하고, 또 자기테이프(T)를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테이프 카세트(301)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삽입한 때에는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었기 때문에,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직접 걸은 경우보다 전면덮개(7)와 같이 움직여 일체로 열리(닫히)는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에 자유도가 생기고, 이것에 의해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를 작게 설정하면서 전후면덮개(8)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를 작게 설정한 테이프 카세트(301)는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와 호환성을 유지한대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하등의 부담을 주지않고 품질이 향상된 테이프 카세트(301)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를 작게 설정한 테이프 카세트(301)를 새로이 개발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새로이 개발한 장치의 높이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1)에는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한 연결 레버(13) 및 이 연결 레버(13)를 규제하는 레버 가이드부(3k)는 1개소만 설치하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로 후면덮개(8)의 좌우 양단 근방에 2개 설치해도 좋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끼워지는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도 후면덮개(8)의 좌우 양단근방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1)에는 연결 레버(13)에 걸린 후면덮개(8)를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bias)장치는 연결 레버(13)를 탄성 스프링(12)에 의해 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후면덮개(8)를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 부재는 상기 도시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면덮개(8)에 탄성스프링(12) 상당부재의 힘을 가하는 것으로서 예시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덮개 개방 동작>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덮개 개방 동작에 관하여 제7a도 내지 8c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7a도 내지 7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제7a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폐쇄된 상태이고, 제7b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개방 도중 상태이고, 제7c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열린 상태이다. 제7a도에 표시한 ( )내 부호는 반대측의 부품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2)는 먼저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1)와 일부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고, 여기에는 설명의 가압상 먼저 나타낸 구성부재와 동일부재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과 동시에 먼저 나타낸 구성부재는 필요에 따라 적당히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다른 구성부재에 새로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새로운 부호를 사용한 구성부재의 보조 부호는 앞선 구성부재에 부여한 보조 부호와 동일하다.
제7a도에 나타난 상태는,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2)의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닫혀져 있고,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하는 연결 레버(24)의 지지 자세가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 (301)에 있어서 연결 레버(13)의 지지 자세와 거의 대칭으로 설계되어 있는 점이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상기한 연결 레버(13)는 전면덮개(7)에 "역<자 형상"으로 대향하여 있는 것에 대하여 연결 레버(24)는 전면덮개(7)에 "<자(hook) 형상"으로 대향하고 있는 점이 다르게 되어 있다.
또 여기에는, 전면덮개(7)의 레버 지지부(7d1)에 고정된 샤프트(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연결 레버(24)는 탄성 스프링(25)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먼저와는 역으로 도면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 연결 레버(24)의 접촉부(24b)가 접촉하는 하부 절반부재(23)에 형성된 규제부(23k)(이하 레버 가이드부(23k)라 함)는 상기한 레버 가이드부(3k) 보다 전면쪽으로 자기테이프(T)의 뒷면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또 닫힘시에는 레버 가이드부(23k)의 상방의 선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3k1)에 연결 레버(24)의 접촉부(24b)가 탄성스프링(25)으로 힘이 가하여져 접촉하여 연결 레버(24)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이때, 레버 가이드부(23k)는 자기테이프(T)의 뒷면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기테이프(T)의 테이프 통로의 가이드를 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의한 하부 절반부재(23)에 레버 가이드부(23k)를 설치한 것에 의해 하부 절반부재(23)는 먼저의 하부 절반부재(3)와는 형상이 일부 다른 것이 있고, 이것에 따라 상부 절반부재(22)도 먼저의 상부 절반부재(2)와는 형상이 일부 다르게 됨은 자명하다.
또, 연결 레버(24)의 일단부에 핀(8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는 하부 절반부재(23)에 개구된 개구부(23a)로 향하여 "역<자 형상"으로 걸려 있고,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는 레버 가이드부(23k)의 위치에는 극히 약간 잘려져 있고, 나머지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의 삼각형부(7e1)에 밀착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제7b도에 나타낸 것같이, 테이프 카세트(21)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면, 전면덮개07)가 핀(7a1)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린다.
여기에 상기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와 다른 점은,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2)의 연결 레버(24)의 회전 방향이 탄성 스프링(25)의 힘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먼저와는 역으로 도면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한다. 그후의 동작은 먼저와 거의 동일하고, 연결 레버(24)의 회전에 의해 연결 레버(13)의 일단에 핀(8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계속 올라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23i1)내를 상방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완전히 열리면 제7C도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제7c도에 나타낸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개방 상태는, 먼저와 동일하게 연결 레버(24)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린 후면덮개(8)가 2개의 회전 지지점(11, 8c)에 의해 자유도를 얻게 되므로, 연결 레버(24)의 일단부에 연결된 핀(8c)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뒷면 근방까지 무리없이 계속 올라가고,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가 작게 설정할 수 있고, 예로 개방각도(α)는 약 60~65도 정도로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2)에도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1)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고, 게다가 하부 절반부재(23)에 형성된 가이드부(23k)는 자기테이프(T)의 뒷쪽면 근방에 설치되므로 자기테이프(T)의 테이프 통로의 가이드를 겸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덮개 개방동작>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3)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지지하는 주요 구성 부재에 관하여 제4b도, 제5b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일부 사시도,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부근을 조립하여 표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제4b도에 있어서, 상부 절반부재(2)와 하부 절반부재(3)는 테이프 카세트(301)(또는 제3도의 경우 300)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전면덮개(7)의 높이(H)에 대하여, 일부를 제외한 거의 반의 높이(H2)로 각각 별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좌우측면(3g, 3h)은 전면덮개(7)의 높이(H1) 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형성되고, 이 좌우측면(3g, 3h)에 서로 대향하여 한쌍의 구멍(3g1, 3h1)이 뚫려 있다. 또 한쌍의 구멍(3g1, 3h1)에는 전면덮개(7)의 좌우측면(7a, 7b)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7a1, 7b1)이 이어지고, 전면덮개(7)가 핀(7a1, 7b1)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전면측에는 테이프 로딩부재(도시 않됨)가 들어가는 공간을 갖는 개구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a)의 좌우에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 한쌍의 돌출부(3i, 3j)가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3i)는 하부 절반부재(3)의 중앙부보다 약간 좌측에 위치하고, 돌출부(3j)는 우측면(3h)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돌출부(3i, 3j)에는 서로 대향한 한쌍의 안내부(3i1, 3j1)(이하 가이드 홈이라 함)가 상부를 개구하여 오목형상의 홈으로 하방을 향하여 "장화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는 후술하는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합침부)(8e1, 8f1)가 상방으로부터 합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오히려 개구부(3a)내의 한쌍의 돌출부(3i, 3j)는 후술하는 개방동작시에 후면덮개(8)가 닿지않고 열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거의 중앙부에 또 개구부(3a)내의 속방향에 게다가 좌측의 돌출부(3i)와 우측의 돌출부(3j)와의 사이에는, 규제부(3k)(이하 레버 가이드부 3k라 함)가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한편 레버 가이드부(3k)의 상방 선단부에 테이퍼부(3k1)가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3k1)에는 후술하는 전면덮개에 지지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닫힘시 연결 레버(13)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전면쪽 밑면에는 가이드볼(6, 9)(제1도)이 세워지는 구멍(3m, 3n)이 뚫려지고, 자기테이프(T)는 가이드볼(6, 9)에 의해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레버 가이드부(3k)의 속방향에는 상기한 발광소자(도시 않됨)가 들어가는 구멍(3f)이 뚫려 있다. 이 구멍(3f)은 하부 절반부재(3)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에 형성된 좌우측면(3g, 3h), 돌출부(3i, 3j), 레버 가이드부(3k)는 후술하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개방동작과 관련한 부품이고, 이 때문에 이 부품은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붙임 정밀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하부 절반부재(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부품을 상부 절반부재(2)쪽에 동일위치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한편 상, 하부 절반부재(2, 3)에 동일위치에 분할 형성하여도 좋다. 또, 좌우측면(3g, 3h), 돌출부(3i, 3j), 레버 가이드부(3k)를 높이(H3)로 형성한 때에는 상부 절반부재(2)는 얇은 판 두께(t)로 조립된다.
다음에 좌우측면(7a, 7b) 사이에서 전면덮개(7)는 "역 L자형"을 형성하는 전면(7c) 및 상면(7d)과 거의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한편 전면(7c)의 하단으로 뒷면(7e)쪽에는, 삼각형부(7e1)가 극히 약간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삼각형부(7e1)는 전면덮개(7)를 따라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하단측을 닫을 때에 후술하는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와의 밀폐상태로 포함하여 들어가는 기능을 하고, 자기테이프(T)를 개구부(3a)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보호하고 있다.
또, 전면덮개(7)의 거의 중앙부 뒷면측에 또 상면(7d)의 뒷면에는 지지부(7d1)(이하 레버 지지부(7d1)라 함)가 하방으로 수직되어 있고, 이 레버 지지부(7d1)에 샤프트(1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1)에는 탄성 스프링(12)이 들어있고, 한편 "역<자형"의 연결 레버(13)가 넣어져 있다. 그리고, 탄성스프링(12)의 일단을 전면덮개(7)의 레버 지지부(7d1)에 설치하고, 탄성스프링(12)의 타단을 연결 레버(13)에 설치하고, 또 탄성 스프링(12)의 힘을 가하는 방향은 연결 레버(13)가 샤프트(11)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또, 샤프트(11)의 선단에는 스냅링(14)이 삽입되고, 연결 레버(13)가 샤프트(11)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연결 레버(13)의 하단의 일단에는 후면덮개(8)를 회전가능하도록 거는 구멍(13a)이 뚫려 있고, 샤프트(11)를 개입한 상방의 타단부에는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에 형성된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하는 접촉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레버(13)는 본 발명의 요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연결 레버(13)는 전면덮개(7)에 대하여 후면덮개(8)를 회전가능하게 거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연결 레버(13)를 설치한 것에 의해, 후술하는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에 자유도가 증가된다.
다음에, 후면덮개(8)는 전면덮개(7)와 대향하는 전면(8a) 측이 "역<자형"으로 형성되고, 또 전면덮개(7) 및 자기테이프(T)의 뒷쪽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평행하게 걸려있고, 닫힘시에는 전면(8a)의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접촉하고, 자기테이프(T)의 하단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즉, 후면덮개(8)는 거의 중앙상부에 L형상의 요부(8b)가 개구되고, 이 요부(8b)의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향하여 핀(8c)이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핀(8c)에는 탄성스프링(15)이 끼워지고,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려진 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15)의 일단부를 연결 레버(13)에 설치하고, 탄성 스프링(15)의 하단부를 후면덮개(8)의 요부(8b) 전면에 설치하고, 또 탄성 스프링(15)의 힘을 가하는 방향은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한편, 후면덮개(8)의 뒷면(8d)쪽의 중앙부 하방에는 돌출부(8e)가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또 뒷면(8d)쪽의 우측면 근방에도 돌출부(8e)와 동일형상의 돌출부(8f)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8e, 8f)(이하 보스(8e1, 8f1)라 함)는 서로 대향하여 여기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스(8e1, 8f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후면덮개(8)를 걸은 상태에는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를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의 돌출부(3i, 3j)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 상방으로부터 합쳐지고, 따라서 후면덮개(8)는 전면덮개(7)를 따라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뒷쪽면에, 또 하부 절반부재(3)의 개구부(3a)내에 지지된다.
이 상태는 제5b도와 같이,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후면덮개(8)를 조립하여 지지한 상태이고, 또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닫힘상태이고,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하부 절반부재(3)의 레버 가이드부(3k)에 형성된 테이퍼부(3k1)에 접촉하고, 연결 레버(13)는 회전 규제된 채,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역<자형"으로 걸려 있다. 또,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 합쳐지면서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후면덮개(8)를 걸은 상태에는 후술하는 개방동작시 상기 탄성 스프링(12)에 의해 가하는 힘이 연결 레버(13)에 걸려진 후면덮개(8)를 개방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장치가 되고 있다.또 후술하는 개방 동작시, 전면 및 후면덮개(7,8)를 크게 열어 후면덮개(8)의 보스(8e1, 8f1)가 가이드 홈(3i, 3j)으로부터 이탈된 때, 상기 탄성 스프링(15)에 의해 가하는 힘이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장치가 되고 있다.
이때,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3)의 개방(닫힘) 동작애 관하여 제8a도 내지 8d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8a도 내지 8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5b도에 표시된 화살표 XY 방향으로부터 단면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8a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닫힘상태이고, 제8b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도중 상태이고, 제8c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이 작은때의 제 1 개방 위치 상태이고, 제8d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이 큰때의 제 2 개방위치 상태이고, 제8a도에 표시된 ( )내 부호는 반대쪽 부품을 표시한 것이지만, ( )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8a도에 표시한 상태는,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닫혀져 있고, 전면덮개(7)의 뒷면(7e)에 따라 자기테이프(T)가 장착되어 있다. 도, 하부 절반부재(3)의 개구부(3a)내는, 전면덮개(7)의 레버 지지부(7d1)에 고정된 샤프트(11)에 연결 레버(1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있고, 한편,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후면덮개(8)가 이것과 일체화 형성된 핀(8c)을 개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결 레버(13)는 탄성스프링(12)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하여 있고, 연결 레버(13)는 회전이 규제되고, 이것에 의해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자기테이프(T)의 뒷면 부근에 걸려져 있다.
한편, 후면덮개(8)는 탄성스프링(15)에 의해 핀(8c)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합침부)(8e1)가 상술한 하부 절반부재(3)의 돌출부(3i)에 형성된 가이드 홈(3i1)에 합쳐져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밀착되어 접촉하여, 개구부(3a)로부터 먼지 등이 자기테이프(T)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쪽은 전면덮개(7)로 덮어지고, 자기테이프(T)의 뒷면쪽은 후면덮개(8)로 덮어지고, 자기테이프(T)의 하단쪽은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로 포함되어 들어가 보호되고 있다.
따라서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닫힘상태시, 즉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기 이전에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와의 사이에 자기테이프(T)가 완전히 보호되고 있다.
다음에 제8b도에 나타난 것 같이 테이프 카세트(1)가 자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려진다.
이때, 전면덮개(7)가 열려질 때, 전면덮개(7)에 샤프트(11)를 개입하여 연결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테이퍼부(3k1)로부터 접촉이 해제되고, 연결 레버(13)가 탄성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절반부재(2)의 상면(2a)에 접촉할때까지 움직이고, 이것에 의해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8c)를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탄성스프링(12)의 힘에 의해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방(화살표 E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올라감에 의해 열리고, 또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내를 상방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전면덮개(7)의 개방동작과 같이하여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걸려진 후면덮개(8)도 열리게 되지만, 연결 레버(13)는 전면덮개(7)에 대하여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한편 후면덮개(8)에 연결 레버(13)에 대하여 핀(8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기 위하여, 후면덮개(8)의 개방동작시에는 2개의 회전 지지점(11, 8c)에 의해 후면덮개(8)가 무리없이 열리고, 후면덮개(8)는 링크 기구에 의해 두 자유도를 얻게 된다.
또,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열리는 때에는 전면덮개(7)의 삼각형부(7e1)는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열리고, 한편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는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 안내되도록 자기테이프(T)의 뒷면에 접히지 않게 열려진다.
다음에, 제8c도에 나타난것 같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려지면,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가 작은 개방위치 상태까지 열리고, 또 전면덮개(7)와 같이 움직이는 후면덮개(8)도 열리게 된다. 이 제 1 개방위치 상태에는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를 그보다 크게 설정할 수 없는 예를들어 포터블기기라든가 비디오 무비 등의 기종에 적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제8c도에 표시한 상태는 전면덮개(7)의 개방동작에 의해 연결 레버(13)가 탄성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절반부개(2)의 상면(2a)의 상방으로 도달하고, 또 후면덮개(8)를 지지하는 쪽의 연결 레버(13)의 단부가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측면에 접촉한다. 한편,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8c)을 거쳐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방으로 계속 올라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내의 상부까지 도달한다. 이때, 전술함과 같이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자기테이프(T)에 접하지 않고 개방과 동시에 전술한 연결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려진 후면덮개(8)가 2개의 회전지점(11, 8c)에 의해 자유도가 얻어지고 후면덮개(8)가 무리없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내면 부근까지 올라가고,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약 60~65도 정도 누를 수 있고, 소형 경량의 포터블기기라든가 비디오 무비기 등의 기종에는 이 상태대로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열면 좋다.
다음에, 제8d도와 같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제8c도에 나타난 상태보다 더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려지게 되면,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예를들어 대형 데크라든가 업무용 기기 등의 기종에 적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제8d도에 나타난 상태는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크게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리게 되므로, 후면덮개(8)도 도시된 것같이 크게 계속 올라가 후면덮개(8)의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의 상방으로부터 이탈되고, 후면덮개(8)가 가이드 홈(3i1)에 의해 규제되지 않게 된다. 이때, 후면덮개(8)를 지지하는 쪽의 연결 레버(13)의 단부가 제8d도와 같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이고, 후면덮개(8)는 탄성스프링(15)에 의해 핀(8c)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므로,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후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의 스토퍼부(13c)에 부딛친 그 위치가 규제되고, 흔들리지 않게 유지된다. 이 상태는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설정하고, 대형 데크라든가 업무용 기기 등의 기종에는 이 상태대로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열면 좋다.
상기 개방동작과는 반대로 전면덮개(7)를 핀(7a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닫고, 후면덮개(8)의 보스(8e1)가 화살표 F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i1)내에 들어가고, 다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에 규제되면서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닫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상술한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1)는 테이프 카세트(1)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하기 이전은 전면덮개(7)와 후면덮개(8)의 사이에 자기테이프(T)를 먼지, 지문 등의 부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자기테이프(T)를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테이프 카세트(1)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삽입한 때에는,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후면덮개(8)를 걸기 위하여 종래의 8mm형 테이프 카세트에 의한 전면덮개(7)에 후면덮개(8)를 직접 걸은 경우보다 전면덮개(7)와 협동하여 일체로 열리는(닫히는)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에 자유도가 생기고, 이것에 의해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이 무리가 없게 된다.
또,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후면덮개(8)를 걸은 상태로 해서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그만큼 크게 열수 없을 때에는 제 1 가압장치(탄성스프링(12))에 의해 연결 레버(13)에 걸친 후면덮개(8)를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한편 전면 및 후면덮개(7, 8)를 크게 열어 후면덮개의 보스(결합부)(8e1, 8f1)가 케이싱(1A)내의 가이드 홈(안내부)(3i1, 3j1)에서 이탈된 때에는 제 2 가압장치(탄성스프링(15))에 의해 힘이 후면덮개(8)를 제 1 가압장치(탄성스프링(12))에 힘을 가한 연결레버(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3)는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를 그보다 크게 설정할 수 없는, 예를들어 포터블기기라든가 비디오 무비기 등의 기종에 적용함과 동시에,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예를들어 대형 데크라든가 업무용기기 등의 기종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3)는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하는 연결 레버(13) 및 이 연결 레버(13)를 규제하는 레버 가이드부(3k)는 한곳만 설치하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로 후면덮개(8)의 좌우 양단 근방에 두곳 설치해도 좋고, 한편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가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도 후면덮개의 좌우 양단 근방에 설치해도 좋다.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및 덮개 개방동작>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4)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7) 및 후면덮개(8)를 지지하는 주요 구성 부재에 관하여 제4c도, 제5c도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4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근방을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 및 후면덮개 근방을 조립하여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4)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과 일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며, 이것은 설명의 가압상 앞서 나타낸 구성과 동일한 구성부품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과 동시에 앞서 나타낸 구성부품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들과 다른 구성부품은 새로운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4)의 구성이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1)의 구성과 다른점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레버(13)를 탄성스프링(12)에 의하여 힘을 가하는 제 1 가압장치 및 후면덮개(8)를 제 3 실시예에서의 탄성스프링(15)에 의해 힘을 가하는 제 2 가압장치를 삭제하고, 이를 대신하여 제 2 실시예에서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사이에 후면덮개(8) 및 연결 레버(13)에 힘을 가하는 단일의 인장스프링(21)에 의해 힘을 가하는 수단을 채용하여 제 3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개방(닫힘)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제4c도와 같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뒷면에 형성된 스프링 길이부(7f)와 후면덮개(8)의 뒷면(8d)쪽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부(8g)와이 사이에 인장스프링(21)을 가로질러 걸고있다. 상기에 의한 인장스프링(21)을 가로질러 가는 것에 의해, 제5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후면덮개(8)를 걸어서 조립한 상태는 후면덮개(8)에 비스듬하게 윗쪽 후방으로 힘이 가하여 지게 된다. 따라서, 인장스프링(21)의 힘(분력)은 후면덮개(8)로부터 연결 레버(13)에 전달되고, 즉 인장스프링(21)의 분력이 연결 레버(13)를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G방향)으로 가압하고, 후면덮개(8)를 상방(화살표 K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핀(8c)를 중심으로 도면과 반시계 방향(화살표 L방향으로)의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개방 동작시 상기 인장스프링(21)에 의한 힘이 연결 레버(13)에 걸려진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미는 가압 수단이 되고 있다. 더구나 전면덮개(7)와 후면덮개(8)가 넓게 개방되어 후면덮개(8)의 보스(8e1, 8f1)를 안내홈(3i1, 3j1)에서 해제시키면, 인장스프링(21)의 가압력은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측으로 민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4)의 개방동작은 제 3 실시예와 거의 같은 개방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9a도 내지 제9d도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9a도 내지 9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5c도에 나타낸 화살표 XY 방향으로부터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9a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닫힘상태이고, 제9b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 도중상태이고, 제9c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이 작은 때의 제 1 개방위치 상태이고, 제9d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이 큰 때의 제 2 개방위치 상태이다.
제9a도에 나타낸 상태는 제 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4)의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열려지게 되고,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거쳐 결합되는 후면덮개(8)는 인장스프링(21)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윗쪽 후방의 힘이 가하여지고 있지만,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연결 레버(13)는 회전이 규제되고, 이것에 의해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자기테이프(T)의 뒷면 근방에 걸리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홈(3i1)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9b도에 나타낸 것 같이 테이프 카세트(304)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린다.
이때, 전면덮개(7)가 열려짐에 따라서 전면덮개(7)에 샤프트(11)를 개입하여 고정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는 테이퍼부(3k1)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고, 연결 레버(13)가 인장스프링(21)의 힘에 의해 사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절반부재(2)의 상면(2a)에 닿을 때까지 움직이고, 이것에 의해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8c)을 거쳐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방(화살표 E방향)으로 계속해서 올라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홈(3i1)내를 상하로 요동한다.
이 제 4 실시예에도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에 대하여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후면덮개(8)의 개방동작시에는 2개의 회전 지점(11, 8c)에 의해 후면덮개(8)가 어렵지 않게 자유로이 열리고, 후면덮개(8)는 링크 기구에 있어서 2 자유도를 얻게 된다.
다음에, 전면덮개(7)가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7a1)상에서 더욱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리게 되면, 제 1 개방 위치 상태는 보다 개방 각도(α1)를 가지며, 전면덮개(7)와 협동하는 후면덮개(8) 역시 열린다. 이 전면덮개(7) 및 후면덮개(8) 의 제 1 개방 위치 상태는 전면덮개(7)의 개방 각도(α1)가 큰 수치로 설정될 수 없는 소형, 경량이 휴대용 또는 비디오 무비 장치와 같은 형태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제9c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 레버(13)는 인장스프링(21)의 가압력에 의해 샤프트(11)상에서 더욱 시계방향(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절반 부재(2)의 상면(2a) 위에 도달하며, 핀(8c)에 의해 지지되는 측의 연결 레버(13)의 단부는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내면과 접촉한다. 한편, 핀(8c)에 의해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연결된 후면덮개(8)는 핀(8c)상에서 회전하면서 보다 상승하며 그로인해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는 안내홈(3i1)내의 상부에 도달한다.
다음에 제9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더욱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리게 되면,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가 큰 제 2 개방위치 상태까지 열리고, 전면덮개(7)와 같이 후면덮개(8)가 열린다. 이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제 2 개방 위치 상태는,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할 수 있는, 예를들어 대형 데크라든가 업무용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제9c도에 나타난 상태는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크게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열리므로 후면덮개(8)도 도면과 같이 크게 계속해서 올라가고 후면덮개(8)의 보스(8e1)가 가이드홈(3i1)내의 상방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면덮개(8)가 가이드 홈(3i1)에 의해 규제되지 않게 된다. 이때 핀(8c)에 지지된 쪽의 연결 레버(13)의 단부가 제9d도와 같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이고, 후면덮개(8)는 인장스프링(21)에 의해 핀(8c)을 중심으로 도면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L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의 스토퍼부(13c)에 접촉한 그 위치가 규제되고 흔들리지 않게 지지된다.
이상 설명한 제4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4)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고, 즉 전면덮개(7)와 후면덮개(8)와의 사이에 설치한 후면덮개에 힘을 가하는 수단(인장스프링(21))에 의해 제 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3)와 동일한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를 그보다 크게 설정할 수 없는, 예를들어 포터블리기라든가 비디오 무비기기 등의 기종에 적용함과 동시에,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예를들어 대형 데크라든가 업무용 기기 등의 기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후면덮개(8) 및 연결 레버(13)에 힘을 가하는 가압장치(인장스프링(21))가 간단하므로, 테이프 카세트(304)의 구조가 간단하고 테이프 카세트(304)를 싸게 제공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구성>
제4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와 후면덮개의 부근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 분해 사시도이고, 제5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와 후면덮개의 부근에서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전면덮개(7) 및 후면덮개(8)를 지지하는 주요 구성부품에 관하여 제4d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d도에 있어서, 상부 절반부재(2)와 하부 절반부재(3)는 테이프 카세트(301)(또는 제3도에서는 300)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전면덮개(7)의 높이(H1)에 대하여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반의 높이(H2)로 각각 별개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좌우측면(3g, 3h)은 전면덮개(7)의 높이(H1)에 비해 다소 낮은 높이(H3)로 형성되고, 이 좌우면(3g, 3h)에 서로 대향하여 한쌍의 구멍(3g1, 3h1)이 뚫려 있다. 또, 한쌍의 구멍(3g1, 3h1)에는 전면덮개(7)의 좌우측면(7a, 7b)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핀(7a1, 7b1)이 붙어있고, 전면덮개(7)가 핀(7a1, 7b1)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전면측에는 테이프 로딩부재(도시 않됨)가 들어갈 공간을 갖는 개구부(3a)가 형성되고 있다. 이 개구부(3a)의 내부 좌우에는 간격이 떨어진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돌출부(3i, 3j)가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상방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부(3i)는 하부 절반부재(3)의 중앙부보다 약간 좌측에 위치하고, 돌출부(3j)는 우측면(3h)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좌우 돌출부(3i, 3j)에는 서로 대향한 한쌍의 안내부(3i1, 3j1)(이하 가이드 홈(3i1, 3j1)이라 함) 즉, 하방으로 향하는 "장화형의 요홈"이 형성된다. 오히려 개구부(3a)내의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는 후술하는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합침부)(8e1, 8f1)가 상방으로부터 합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오히려 개구부(3a)내의 한쌍의 돌출부(3i, 3j)는 후술하는 개방동작시에 후면덮개(8)가 닿지않고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거의 중앙부에 또 개구부(3a)내의 속방향으로 게다가 좌측의 돌출부(3i)와 우측의 돌출부(3j)와의 사이에는 규제부(3k)(이하 레버 가이드부(3k)라 함)가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다소 낮은 높이(H3)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었고, 한편 레버 가이드부(3k)의 상방의 선단부에 테이퍼부(3k1)이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3k1)에는 후술하는 전면덮개(7)에 지지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닫힘시 연결 레버(13)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전면측 밑면에는 가이드볼(6, 9)(제3도)이 세워 설치되는 구멍(3m, 3n)이 뚫려 있고, 자기테이프(T)는 가이드볼(6, 9)에 의해 이점 쇄선에 도시된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레버 가이드부(3k)의 속방향에는 상기한 발광소자(도시 않됨)가 들어가는 구멍(3f)이 뚫려져 있다. 이 구멍(3f)은 하부 절반부재(3)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에 형성된 좌우측면(3g, 3h), 돌출부(3i, 3j), 레버 가이드부(3k)는 후술하는 전·후면덮개(7, 8)의 개방동작과 관련하여 위치되고, 이를 위하여 이것의 전면 및 후면덮개의 떼고 붙이고 위치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면덮개(7)의 높이(H1)보다 조금 낮은 높이(H3)로 하부 절반부재(3)에 일체로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부품을 상부 절반부재(2)쪽에 동일위치 관계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한편은 상하의 절반부재(2, 3)에 동일한 위치 관계로 분할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 좌우측면(3g, 3h), 돌출부(3i, 3j), 레버 가이드부(3k)를 높이(H3)로 형성한 때에는 상부 절반부재(2)쪽은 얇은 판 두께(t)로 조립된다.
다음에 전면덮개(7)의 좌우측면(7a, 7b) 사이는, 전면(7c)과 상면(7d)과는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어, "역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전면(7c)의 하단의 다른면(7e)쪽에는 삼각형부(7e1)가 극히 약간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삼각형부(7e1)는 전면덮개를 따라서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하단측을 닫을 때 후술하는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로 밀폐상태로 들어가는 기능을 갖추고, 자기테이프(T)를 개구부(3a)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보호하고 있다.
또, 전면덮개(7)의 거의 중앙 다른면쪽에, 또 상면(7d)의 다른면에는 지지부(7d1)(이하 레버 지지부(7d1)라 함)가 하방으로 수직되게 있고, 이 레버 지지부(7d1)에 샤프트(11)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11)에는 탄성 스프링(12)에 의하여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역<자형"의 연결 레버(13)가 회전 가능하게 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샤프트(11)의 선단에는 스냅링(14)이 끼워져 연결 레버(13)가 샤프트(11)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연결 레버(13) 하단부의 일단에는 후면덮개(8)를 회전가능하게 걸수 있는 구멍(13a)이 뚫려있고, 샤프트(11)를 개입한 하단부에는 상기한 하부 절반부재(3)에 형성된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하는 접촉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연결 레버(13)는 본 발명의 요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하나이고, 전면덮개(7)에 대해 후면덮개(8)를 회전가능하게 거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연결 레버(13)를 설치한 것에 의해, 후술하는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에 자유도를 더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후면덮개(8)는 전면덮개(7)와 대향하는 전면(8a)쪽이 "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전면덮개(7) 및 자기테이프(T)의 측면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평행하게 걸려져 있고, 닫힘시에는 전면(8a)의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접촉되고, 자기테이프(T)를 보호하게 되고 있다.
즉, 후면덮개(8)의 거의 중앙상부에는 열쇠 모양의 요부(8b)가 개구되고, 이 요부(8b)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핀(8c)이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8b)에 상술한 연결 레버(13)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연결 레버(13)에 뚫려진 구멍(13a)에 핀(8c)이 합쳐지고,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려진 상태로 연결됨과 동시에 후면덮개(8)는 핀(8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후면덮개(8)의 뒷면(8d)쪽의 중앙부 아래쪽에는 돌출부(8e)가 뒤쪽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또한 뒷면(8d)쪽에 우측면 근방에도 돌출부(8e)와 동일 형상의 돌출부(8f)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돌출부(8e, 8f)에는 서로 바깥쪽을 향하여 피 안내부(8e1, 8f1)(이하 보스 8e1, 8f1이라 함)가 돌출되고 있다.
그리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를 하부 절반부재(3)의 돌출부(3i, 3j)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의 하단부터 삽입하여 합쳐지고,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고, 후면덮개(8)가 전면덮개(7)를 따라 장착된 자기테이프(T)의 반대측에, 또한 하부 절반부재(3)의 개구부(3a)내에 지지된다.
이 상태는 제5d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덮개(7)에 후면덮개(8)를 조립하여 지지한 상태이고, 또한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닫혀진 상태이고,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는 하부 절반부재(3)의 레버 가이드부(3k)에 형성된 테이퍼부(3k1)에 접촉되고, 연결 레버(13)는 회전 규제된 채,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하방의 개구부(3a)에 향하여 "역<자 형상"으로 걸려져 있다. 또,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에 합치면서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 5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의 덮개 개방동작>
여기에,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5)의 덮개 개방동작에 관하여 제10a도 내지 10d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0a도 내지 10d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의 개방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3도에 표시된 화살표 XY 방향으로 절단하여 표시한 종단면도이고, 제10a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표시하고, 제10b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가 열리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10c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이 작은 상태를 표시하고, 제10d도는 전면 및 후면덮개의 개방각이 큰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오히려, 제10a도에 표시된 ( )내 부호는 반대측의 부분을 표시한 것이지만, ( )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0a도에 표시된 상태는, 테이프 카세트(1)의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닫혀져 있고, 전면덮개(7)의 다른면(7e)에 따라서 자기테이프(T)가 장착되어 있다. 또, 하부 절반부재(3)의 개구부(3a)내는는, 전면덮개(7)의 레버 지지부(7d1)에 고정 부착된 샤프트(11)에 연결 레버(13)가 회전가능하게 핀에 설치되어 있고, 한편,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후면덮개(8)가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핀(8c)을 개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결 레버(13)는 탄성스프링(12)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가 레버 가이드부(3k)의 테이퍼부(3k1)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연결 레버(13)는 회전 움직임이 규제되고, 이것에 의해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자기테이프(T)의 다른면 근방에 걸려져 있다.
한편,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언급한 하부 절반부재(3)의 돌출부(3i (3j))에 형성된 가이드 홈(3i1(3j1))에 합쳐지면서 아래쪽으로 위치되고 있다.
또,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에 밀착상태로 접촉하고, 개구부(3a)로부터 먼지, 지문 등이 자기테이프(T)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쪽은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와 전면덮개(7)에 형성된 삼각형부(7e1)와의 사이에 끼워져 보호되고 있다.
따라서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닫힘상태시, 즉 테이프 카세트(305)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기 직전에는 전면덮개(7)과 후면덮개(8)의 사이에 자기테이프(T)가 완전히 보호되고 있다.
다음에 제10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305)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되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도면의 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려진다.
여기서, 전면덮개(7)가 개방에 따라서 전면덮개(7)에 샤프트(11)를 개입하여 핀에 연결한 연결 레버(13)의 접촉부(13b)는 레버 가이드부(3k1)에 형성된 테이퍼부(3k1)로부터 접촉이 해제되고, 연결 레버(13)가 탄성스프링(12)의 힘에 의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절반부재(2)의 상면(2a)에 접촉할 때까지 달하고, 이것에 의해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8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계속 올라가고, 또한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내를 상방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전면덮개(7)의 개방동작과 같이하여 전면덮개(7)에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걸려진 후면덮개(8)도 열려지고, 연결 레버(13)는 전면덮개(7)에 대하여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한편 후면덮개(8)가 연결 레버(13)에 대하여 핀(8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기 있으므로, 후면덮개(8)의 개방동작시에는 2개의 회전 지지점(11, 8c)에 의해 후면덮개(8)가 무리없이 자유로이 열릴 수 있고, 후면덮개는 링크 기구에 의하여 2 자유도를 얻게 된다.
또,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열릴 때에는 전면덮개(7)의 삼각형부(7e1)는 자기테이프(T)의 자성면쪽부터 멀어지도록 열려지고, 후면덮개(8)의 하단부(8a1)는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에 안내되고 있기 때문에, 자기테이프(T)의 다른면에 접촉하지 않게 열려진다.
다음에,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를 그 정도 크게 설정할 수 없는 예로는 포터블 비디오 데크라든가 비디오 무비 등의 기종에 적용한 경우에는, 제10C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면덮개(7)가 핀(7a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려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의 거의 상단부에 달할 때까지 전면덮개(7)의 개방을 정지하고,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1)를 작게 설정한다.
즉, 도면에 나타난 상태에는 연결 레버(13)가 탄성스프링(12)의 힘에 의하여 샤프트(11)를 중심으로 제10b도에 따라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절반부재(2)의 상면(2a)의 상방으로 도달하고,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핀(8c)을 개입하여 연결된 후면덮개(8)가 핀(8c)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0B도를 따라 상방으로 계속해서 올라가고, 또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의 거의 상단부에 도달하고 있다.
이때, 언급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덮개(7, 8)가 자기테이프(T)에 접하지 않고 개방과 동시에 전술한 바같이 연결 레버(13)를 개입하여 전면덮개(7)에 걸려진 후면덮개(8)가 2개의 회전지점(11, 8c)에 의해 자유도가 얻어지게 되고,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에 연결된 핀(8c)이 전면덮개(7)의 상면(7d)의 내면 부근까지 무리없이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또 전면덮개(7)의 개방각(α1)을 적게 밀 수 있다.
한편, 제10d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예는, 대형 비디오 데크라든가 업무용 비디오 데크 등의 기종에 적용한 경우에는 전면덮개(7)가 핀(7a)을 중심으로 하여 제10C도에 따라 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려지고,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가 가이드 홈(3i1)의 상단부에 도달하여 접촉할 때까지 전면덮개(7)의 개방동작과 같이 후면덮개(8)를 열고, 그후 연결 레버(13)의 작용에 의해 전면덮개(7)만을 상방으로 열고 있다.
이 상태까지 전면덮개(7)를 열면,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나타난 상태는 가이드 홈(3i1)의 상단부는 이미 막혀져 있으므로,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는 가이드홈(3i1) 상단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전면덮개(7)와 협동해온 후면덮개(8)는 그 이상 개방될 수 없는 위치로 유지한다.
한편, 후면덮개(8)가 도면의 개방 위치에 유지된 상태라면 전면덮개(7)만을 크게 열 수 있고, 즉 전면덮개(7)의 개방 동작시에 연결 레버(13)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샤프트(11)가 좌우로 움직이고, 또 연결 레버(13)의 일단부의 핀(8c)쪽이 후면덮개(8)에 의해 좌우의 힘을 받고, 탄성스프링(12)의 힘에 대항하고, 연결 레버(13)를 샤프트(1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전면덮개(7)는 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열리고, 전면덮개(7)의 개방각도(α2)는 전술한 개방각도(α1)보다 크다.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닫힘 동작은 상기의 역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제10a도 내지 10d도의 순서를 거쳐 되돌아온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5)는 테이프 카세트(305)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도시 않됨)에 삽입하기 이전에는 전면 및 후면덮개(7, 8)의 사이에 자기테이프(T)를 먼지, 지문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또 자기테이프(T)를 이물질 등으로부터로 보호한다.
또, 테이프 카세트(305)를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삽입한 때에는 후면덮개(8)를 연결 레버(13)를 전면덮개(7)에 걸기 위하여 종래의 8mm형 테이프 카세트에 의하여 전면덮개에 후면덮개를 직접 걸은 경우보다 전면덮개(7)와 같이하여 일체로 개방(닫힘)동작되는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에 자유도가 생기고, 이것에 의해 후면덮개(8)의 개방(닫힘)동작이 무리가 없게 된다.
또, 테이프 카세트(305)의 구성에 있어서, 후면덮개에 형성한 보스(피 안내부)(8e1, 8f1)가 합쳐진 가이드 홈(3i1, 3j1)(안내부)은 후면덮개(8)의 개방 방향 단부(상단부)를 막게 형성되므로 후면덮개(8)가 개방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전면덮개의 개방각도를 그 만큼 크게 설정할 수 없는 예는 포터블 비디오라든가 비디오 무비 등의 기종에 적용함과 동시에 한편 연결 레버(13)의 작용에 의해 전면덮개의 개방각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예는, 대형 비디오 데크라든가 업무용 비디오 데크 등의 기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채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에게 하등의 부담도 주지않고, 품질이 향상된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히려, 상기한 테이프 카세트(305)에는 후면덮개(8)를 전면덮개(7)에 연결하는 연결 레버(13) 및 연결 레버(13)를 규제하는 레버 가이드부(3k)는 한곳만 설치되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로는 후면덮개(8)의 좌우 양단 부근에 두곳 설치해도 좋고, 한편 후면덮개(8)에 형성된 보스(8e1, 8f1)가 합쳐져 한쌍의 가이드 홈(3i1, 3j1)으로 후면덮개(8)의 좌우 양단부근에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305)에 있어서 연결 레버(13)에 걸려진 후면덮개(8)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는 연결 레버(13)에 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후면덮개(8)를 개방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스프링(12)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장치는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지만 탄성스프링(12)에 대응하는 부재를 후면덮개(8)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예시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부재가 들어가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과, 자기테이프를 권선 해제 공급하기 위해 케이싱 내에 배치된 공급 릴과, 공급 릴에 감겨있는 자기테이프를 케이싱의 전면측을 따라 권선하기 위해 케이싱내에 배치된 권선 릴과, 케이싱의 전면측에 있는 자기테이프의 한쪽면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전면측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면덮개 및 자기테이프의 다른쪽면을 보호하기 위해 전면덮개와 함께 개폐되도록 상기 다른쪽면과 대향하여 전면덮개의 뒤쪽에 그리고 개구부에 배치되는 후면덮개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전면덮개의 뒷쪽에 형성되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 레버 및, 상기 후면 덮개를 개폐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후면덮개상에 제공된 가이드핀과 결합되도록 케이싱에 형성된 안내 수단을 구비하며, 후면덮개는 상기 안내 수단과 결합하면서 개폐 스윙하도록 연결 레버의 일단부로부터 회전식으로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레버로부터 현수된 후면덮개를 덮개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전면덮개와 후면덮개가 폐쇄될 때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후면덮개의 개방 동작을 규제하도록 케이싱 내에 형성된 규제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덮개의 결합부를 캐이싱내의 가이드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해 전면덮개가 개방되었을 때, 후면덮개를 상기 제 1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된 연결 레버 쪽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후면 덮개와 연결 레버 사이에 게재되는 제 2 가압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전면덮개와 후면덮개가 폐쇄될 때 제 1 가압 수단과 제 2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된 후면덮개의 개방동작을 규제하도록 케이싱내에 형성된 조절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가 개방되어 후면덮개의 결합부를 케이싱내의 가이드부로부터 결합 해제시킬 때 상기 연결 레버로부터 현수된 후면덮개를 덮개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후면덮개를 연결 레버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전면덮개와 후면덮개 사이에 게재되는 가압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와 후면덮개가 폐쇄될 때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후면덮개의 개방동작을 규제하도록 케이싱내에 형성된 규제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의 개방각도가 작게 설정되어 있으면 후면덮개는 그 피안내부가 개방 방향으로 설정된 안내부의 단부에 거의 도달할 때까지 전면덮개의 개방 동작과 협력하여 개방되고, 상기 전면덮개의 개방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후면덮개는 그 피안내부가 개방방향으로 설정된 안내부의 단부와 거의 맞닿을 때까지 전면덮개의 개방동작과 협력하여 개방되며, 이후 연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전면덮개만이 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세트.
KR1019920022772A 1991-11-29 1992-11-28 테이프 카세트 KR96000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0022A JP2570539B2 (ja) 1991-11-29 1991-11-29 テープカセット
JP91-340022 1991-11-29
JP7637692A JP2626402B2 (ja) 1992-02-27 1992-02-27 テープカセット
JP92-76376 1992-02-27
JP92-136000 1992-04-28
JP13600092A JP2626411B2 (ja) 1992-04-28 1992-04-28 テープカ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855A KR940018855A (ko) 1994-08-19
KR960005417B1 true KR960005417B1 (ko) 1996-04-24

Family

ID=2730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772A KR960005417B1 (ko) 1991-11-29 1992-11-28 테이프 카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04261A (ko)
EP (1) EP0545634B1 (ko)
KR (1) KR960005417B1 (ko)
DE (1) DE6922273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025B2 (ja) * 1993-11-29 2001-07-3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031813B2 (ja) * 1994-02-04 2000-04-1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6030959A (en) * 1997-04-04 2000-02-29 Monsanto Company Gastro-specific prodrugs
JP2000339904A (ja) * 1999-05-25 2000-12-08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0489A (en) * 1981-06-22 1982-12-24 Sony Corp Tape cassette
JPS5860475A (ja) * 1981-10-07 1983-04-09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JPS5862877A (ja) * 1981-10-07 1983-04-14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JPS58128070A (ja) * 1982-01-25 1983-07-30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JPS58128069A (ja) * 1982-01-25 1983-07-30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JPS59168979A (ja) * 1983-03-17 1984-09-22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JPS60107780A (ja) * 1983-11-15 1985-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プカセツト
JPH0413796Y2 (ko) * 1985-01-07 1992-03-30
US4685016A (en) * 1985-08-20 1987-08-04 Ampex Corporation Door operating mechanism for a cassette usable in a magnetic tape recorder
JP2725358B2 (ja) * 1989-03-24 1998-03-11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H03127391A (ja) * 1989-10-12 1991-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カセット
JPH03235279A (ja) * 1990-02-09 1991-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カセット
JP2770493B2 (ja) * 1989-11-06 199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2757531B2 (ja) * 1990-04-20 1998-05-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855A (ko) 1994-08-19
DE69222737D1 (de) 1997-11-20
DE69222737T2 (de) 1998-05-07
US5404261A (en) 1995-04-04
EP0545634B1 (en) 1997-10-15
EP0545634A2 (en) 1993-06-09
EP0545634A3 (en) 199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235B1 (ko) 자기테이프 카아트리지 커버의 로크장치
KR100306182B1 (ko) 테이프카세트
US5084799A (en) Lid locking device for tape cassette
KR960005417B1 (ko) 테이프 카세트
US5216565A (en) Tape cassette having pivotally mounted tape reels and associated reel retainers
US5453896A (en) Tape cassette with coordinated front and rear lids and a front rim member for protection of the tape and a rotatable lever connecting the lids
JP2626402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626411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570539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730449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778400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730448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730453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730442B2 (ja) テープカセット
EP0611139B1 (en) Tape Cassette
JPS6316069Y2 (ko)
JP2778413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584979Y2 (ja) テープカセット
JP3387192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3127391A (ja) テープカセット
JPS60258781A (ja) テ−プカ−トリツジ
JPS6338791B2 (ko)
JPS61210591A (ja) テープカセツト
JPH0628819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5342799A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