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317B1 -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317B1
KR960005317B1 KR1019920017783A KR920017783A KR960005317B1 KR 960005317 B1 KR960005317 B1 KR 960005317B1 KR 1019920017783 A KR1019920017783 A KR 1019920017783A KR 920017783 A KR920017783 A KR 920017783A KR 960005317 B1 KR960005317 B1 KR 96000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automatic transmission
torque
line press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49A (ko
Inventor
민지 사카키
쿄스케 모리
마사하루 사코다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16H61/061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48Inputs being a function of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6Dynamometric measurement of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25Input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5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2059/148Transmission output torque, e.g. measured or estimated torque at output driv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07Status of gear-change operation, e.g. clutch fully enga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5Solenoid valve using PWM or duty-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41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of rate of change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8Timing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 타이밍차트.
제2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고 있는 토크센서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자동변속기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5도, 제6도는 제2도의 센서의 출력신호를 설명한 도면.
제7도는 제4도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압회로의 회로도.
제8도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변속라인을 설명한 도면.
제9도는 실시예의 제어장치(100)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제어의 종류를 설명한 도면.
제10도는 제2도의 센서의 장착위치를 설명한 도면.
제11도는 실시예의 BD기간의 제어의 순서를 표시한 흐름도.
제12도, 제13도는 제11도의 흐름도에 의한 제어동작을 표시한 타이밍차트.
제14도는 실시예의 DF기간의 제어의 순서를 표시한 흐름도.
제15도는 제11도, 제14도의 제어순서의 상호관계를 설명한 도면.
제16도는 변형예의 제어순서를 표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빈축 2,3 : 자기기록부
4,5 : 자기헤드 6 : 신호처리회로
8 : 비자성피막 9 : 자성피막
11 : 엔진 12 : 자동변속기
13 : 드로틀밸브 14 : 에어크리너
15 : 흡기매니폴드 16 : 드로틀개방도센서
17 : 토크변환기 18 : 제어밸브유닛
19 : 듀티솔레노이드밸브 20 : 변속용 솔레노이드밸브
21 : 감압밸브 22,24 : 유로
23 : 드로틀모듀올레이터밸브 25 : 듀티압통로
26 :라인압제어밸브 27 : 파일럿압통로
28 : 어큐뮤레이터 29 : 드레인포트
30 : 배압포트 31 : 리버어스유로
32,33 : 라인유로 34 : 변환유로
35 : 드레인유로 36 : 스프링
37 : 스플 100 : (자동변속기의) 제어기(제어장치)
본 발명은, 토크 그 자체를 검출하므로서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를 행하는 변속제어장치에 관하여, 특히, 변속시에 있어서의 운전자가 체감하는 인입감(引感)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변속제어장치내에서는, 변속동작이, 소위, 토크페이즈와 관성페이즈로 나누어서 행하여지는 일은 잘 알려져 있다. 토크페이즈에서는, 터빈회전수가 거의 저하되어 있지 않으므로 변속충격은 문제로는 되지 않으나, 기어비의 변화에 따른 관성에너지의 방출이 행하여지는 관성페이즈에서는 터빈회전수가 떨어지게 되므로 변속충격이 문제가 된다.
종래, 자동변속기에 있어서의 변속시의 변속충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2-41458호로서 알려져 있다.
즉, 이 선행기술에서는, 변속기의 출력층에 있어서의 토크를 검출하고, 출력측 토크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라인압을 저감해서 변속충격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변속기에 실제로 입력되는 토크는 제1도와 같이 복잡한 변화를 하는 것이며, 따라서, 다만 토크의 변화율로부터 관성페이즈에의 이행(移行)을 검출해서, 라인압을 보정하더라도 변속충격이 저감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판명하였다.
제1도는, 자동변속기에 여러가지 센서를 장착해서, 변속이 행하여졌을때의, 터빈회전수 Nt, 클러치실의 압력 CL, 변속기의 출력측 토크 Tp, 로크변환기의 터빈출력토크 Tt의 시간변화를 표시한 것이다. 즉, 터빈토크 Tt가, 변속기의 변속기어기구에 입력되어, 변속된 후에, 출력측 토오크 Tp로서 기어기구로부터 출력되어, 센터샤아프트나 자동장치를 개재해서 차륜에 토크가 전달된다. 또한, 도면중, A점에서 변속지령이 나온 것으로 한다.
변속충격은, 출력측 토크 Tp가 구동계에 전달되어서 운전자에게 체감된다. 그리고, 체감상 문제가 되는 것은, 제1도에 있어서의 출력측 토크 Tp의 저하이며, 이때에 느끼는 체감을 「인입감」이라고 호칭된다. 특히, Tp의 저하시간의 폭(제1도의 BD간의 시간폭)의 변동이 운전자에게 변속충격을 주는 원인이 된다. 이 Tp의 저하시간의 폭은, 변속기내의 마찰요소가 마모했을때에 변동하거나, 또는, 변속기의 개체간의 불균일에 의해서도 변동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변속충격을 방지하는, 즉, 인입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출력측 토크 Tp의 진폭변화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출력측 토크 Tp가 저하되는 시간폭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인입감을 느끼는 시간을 목표치에 수속하도록 제어하므로서, 변속시의 변속충격, 특히 인입감을 체감상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는, 자동변속기내에 있어서의 실제의 변속동작의 개시시점과 인입상태의 종료시점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개시시점과 종료시점과의 간격이 소정의 목표시간이 되도록, 이 자동변속기내의 변속시의 라인압을 보정하는 제1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라인압을 보정제어하면, 자동변속기내의 체결력이나 여러가지 타이밍이 변하고, 결과적으로 개시시점이나 종료시점이 변화하며, 그 때문에, 상기 개시시점과 종료시점과의 간격이 소정의 목표시간에 접근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의 호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① 변속동작상태를 정확히 정밀도 좋게 검출하기 위해서, 종래의 출력측 토크 Tp대신에, 터빈토크 Tt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② 변속동작의 실제의 개시시점(tB)과,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를, 이 신호 Tt를 처리하므로서 정확히 검출한다.
③ 개시시점(tB)과,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의 시간차 Δt를 드레숄드치(t1,t2)와 비교해서 라인압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시간차 Δt가 드레숄드치(t1,t2)의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한다.
④ 또,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으로부터 변속동작의 실제의 종료시점(tG)까지의 시간차를 마찬가지로 목표치에 제어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변속동작의 실제의 개시시점(tB)으로부터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까지의 시간차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므로서, 그리고, 또 그에 추가해서,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으로부터 변속동작의 실제의 종료시점(tG)까지의 시간차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므로서, 변속충격을 체감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토크센서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음에, 실시예의 자동변속기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후, 그 제어기의 제어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자동변속기에 사용하는 토크센서의 구성을 표시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1)은 철계재료에 의해 형성된 터빈축(회전축)이며, 이 터빈축(1)에는 그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제1 및 제2의 자기기록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및 제2의 자기기록부(2),(3)에 대향하도록 제1 및 제2자기헤드(4),(5)가 설치되고, 이 자기헤드(4),(5)로부터 얻게 되는 신호를 신호처리회로(6)에서 처리하여, 자동변속기의 제어기(100)에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자기기록부(2),(3)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자성피막(8)위에 자성피막(9)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터빈축(1)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자성피막(8)은, 상기 자기헤드(4),(5)에 의해서 자성피막(9)에 신호를 기록할때의 터빈축(1)에의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본 예의 경우는 알루미늄계 금속의 용사(溶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자성피막(9)은, 상기 자기헤드(4),(5)에 의해서 신호, 즉, 터빈축 둘레방향의 위치신호가 기록되는 것이며, Fe3O4(43산화철)를 주로 함유하는 산화철의 용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자기헤드(4),(5)는, 상기 자기기록부(2),(3)에 의해 상기 위치신호를 터빈축 둘레방향으로 소정주파수에 의해서 기록하는 동시에, 이 기록된 위치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겸용형 헤드이다. 또, 신호처리회로(6)는, 상기 자기헤드(4),(5)에 의해서 얻어지는 위치신호의 재생주파수에 의거해서 터빈축(1)으로부터 출력되는 토크 Tt를 연산하는 토크연산부와, 상기 재생주파수에 의거하여 터빈축(1)의 회전수 Nt를 연산하는 회전수연산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기(100)는, 검출된 토크 Tt와 회전수 Nt에 의거하여,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라인압제어, 변속충격완화제어(예를 들면, 바이패스밸브제어) 등을 실행하는 것이다.
제4도는 엔진(11) 및 자동변속기(12)를 표시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13)은 에어크리너(14)로부터 흡기매니폴드(15)로 뻗는 흡기통로에 개재설치된 드로틀밸브, (16)은 상기 드로틀밸브(13)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개방도센서이다. 또, (17)은 엔진(11)의 크랭크축의 회전을 자동변속기(12)의 터빈축(1)에 전달하는 토크변환기이다.
자동변속기(12)는, 상기 토크변환기(17)와, 다판(多板)클러치나 밴드브레이크 등의 마찰체결요소를 가진 유성기어식 변속기구에 의한 보조변속장치와, 상기 토크변환기(17)의 록업클러치나 상기 마찰체결기구를 작동시키는 복수의 유압실린더와, 제어밸브유닛(18)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밸브유닛(18)은, 상기 각 유압실린더에 공급하는 라인압을 제어하는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를 가진 라인압제어기구와, 각 유압실린더에의 라인압의 급배(給排)제어를 행하는 복수의 변속용 솔레노이드밸브(20)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자동변속기(12)의 내부에 짜넣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 신호처리회로(6)에 의한 터빈축(1)에 가해지는 토크의 연산 및 회전수 연산수단에 의한 터빈축(1)의 회전수의 연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자기헤드(4),(5)는, 터빈축(1)의 자기기록부(2),(3)에의 위치신호의 기록주파수가 서로 다르고,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자기헤드(4)는 기록주파수가 낮고, 제2자기헤드(5)는 기록주파수가 높다. 그리고, 이 양자기헤드(4),(5)는 터빈축(1)에 부하로크가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위상을 일치시켜서 위치신호를 기록한다(제5도 참조). 따라서, 상기 터빈축(1)에 부하로크가 작용하면, 터빈축(1)에 실감의 비틀림을 발생하는 결과, 상기 양자기헤드(4),(5)에 의한 상기 위치신호의 재생주파수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위상이 어긋난다. 이 어긋남량 Δt는, 상기 터빈축(1)의 비틀림각도에 대응하고, 따라서, 터빈축(1)에 작용하는 부하로크에 대응한다.
그래서, 상기 토크연산수단은, 상기 양자기헤드(4),(5)에 의한 재생주파수에 의거하여 상기 어긋남량 Δt를 연산하고, 다음식에 의거하여 터빈축(1)에 가해져 있는 토크 Tt를 구하는 것이다.
Tt2·G·d4·Δt·Nt/16L
또한, π는 원주율, G는 터빈축(1)의 횡탄성계수, d는 터빈축(1)의 직경, N은 터빈축의 회전수, L은 상기 자기기록부(2),(3)의 간격이다.
또, 신호처리회로(6)는, 상기 자기헤드(4),(5)의 어느 한쪽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주파수에 의거하여 다음식에 의해 터빈축(1)의 회전수 Nt를 구하는 것이다.
Nt=No·f/fo
또한, No은 위치신호기록시의 터빈축(1)의 회전수, fo은 그때의 기록주파수, f는 재생주파수이다.
다음에 상기 자동변속기(12)의 라인압제어기구에 대해서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21)은 엔진(11)에 의해 구동되는 펄프 P에 의해서 발생한 유압을 유로(22)로부터 받아 소정압으로 감압하는 감압밸브, (23)은 상기 감압밸브(21)에 의해 감압된 유압을 유로(24)를 개재해서 받는 한편, 상기 유압을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가 설치된 듀티압통로(25)를 개재해서 파일럿압으로서 받는 드로틀모듀올레이터밸브이다. 드로틀모듀올레이터밸브(23)는,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의 듀티비에 따른 드로틀모듀올레이터압을 발생한다. 이 경우,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에 있어서의 ON·OFF 작동 1주기당의 온시간비율(듀티비)을 제어하므로서, 튜티압통로(25)내의 작동유압(듀티압)이 조정되는 것으로 된다(듀티비가 높아질수록 듀티압은 낮아진다).
(26)은 상기 드로틀모듀올레이터압을 파일럿압통로(27)를 개재해서 받고, 펌프 P에 의해서 발생한 유압을 각 변속단에 있어서 상기 마찰체결기구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데 최적한 압력으로 조정하는 라인압제어밸브이다. 상기 파일럿압통로(27)에는, 이 통로내에서 유압의 맥동이 발생했을때에 그것을 흡수하고 상기 라인압제어밸브(26)에 공급되는 파일럿압을 안정화시키는 어큐뮤레이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어큐뮤레이터(28)는, 드레인포트(29)와 배압포트(30)를 가지며, 릴리프밸브로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라인압제어밸브(26)에 있어서, (31)은 수동밸브의 리버어스포트로 통과하는 리버어스유로, (32) 및 (33)은 상기 마찰체결기구의 유압실린더로 통과하는 제1 및 제2의 라인유로, (34)는 토크변환기(17)로 통과하는 변환유로, (35)는 드레인유로이다.
상기 라인압제어밸브(26) 등의 작동을 설명하면, 엔진(11)이 정지하고 라인압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프링(36)에 의한 스플(37)의 가압에 의해 변환유로(34)는 폐쇄되어 있다. 엔진(11)이 시동되고, 오일펌프 P로부터의 라인압이 제1라인유로(32)로부터 작용하면, 파일럿압과 상기 스프링(36)과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스플(37)이 왼쪽으로 이동하고, 변환유로(34)가 개통하여, 변환유압이 토크변환기(17)에 작용한다. 액셀개방도의 확대에 따라, 엔진회전수가 상승해서 라인압이 높아지면, 스플(37)은 다시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1라인유로(32) 및 드레인유로(35)를 개재해서 드레인이 행해지고, 라인압과 파일럿압과 스프링(36)에 의한 가압력에 균형이 잡힌 위치에서 일정유압에 안정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어기(100)에 의해서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의 듀티비를 제어해서 듀티압 나아가서는 파일럿압을 조절하므로서, 상기 파일럿압과 스프링(36)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하고, 이 가압력에 균형잡히기 위한 라인압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기(1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CPU와 ROM과 RAM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입출력인터페이스와, A/D변환기 및 파형정형회로와, 변속용 솔레노이드밸브(20)를 위한 구동회로 및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를 위한 구동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ROM에는, 변속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라인압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변속충격완화 제어프로그램이 미리 입력격납되어 있다.
상기 변속제어는, 상기 신호처리회로(6)로부터의 회전수신호 Nt와, 드로틀개방도센서(16)로부터의 드로틀개방도신호에 의해 예를 들면 제8도에 표시한 변속특성에 의거하여 변속단을 결정하여, 그 변속단이 되도록 변속용 솔레노이드밸브(20)를 제어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라인압제어는, 상기 신호처리회로(6)로부터의 토크신호 Tt와 상기 회전수신호 Nt를 판독하고, 마찰체결기구의 복수의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라인압 PL을 다음식에 의해 결정하고, 듀티솔레노이드밸브(19)를 개재해서 라인압 제어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PL=K1·T+K2·N+K3
또한, K1, K2, K3은 정수, Tt및 Nt는 터빈축(1)의 토크 및 회전수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변속동작의 실제의 개시시점(tB)으로부터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까지의 시간차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기 위한 라인압제어와,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으로부터 변속동작의 실제의 종료시점(tG)까지의 시간차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기 위한 라인압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하고 있으므로서, 상기 신호 PL은, 제어프로그램내에서는, PLDD와 PLDF는 독립된 별개의 변수로서 취급된다.
제10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토크센서의 장착위치를 표시한다. 이 센서는, 코트변환기(17)의 터빈축(1)에 장착되어 있다. 터빈축(1)은 변속기어기구에 입력하는 것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제12도는, 변속지령이 나온(A점)후의 터빈토크 Tt의 변화를 표시한다.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Tt는 점 B에서 예민하게 상승하고 있다. 이것은, 변속동작이 변속기어기구내에서 행하여져서, 동기구내의 부하가 경감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변곡점(變曲点)인 B점을 가지고서, 변속조작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즉, Tt의 시간 변화:
가 드레숄드치 α보다도 크게 된 것을 가지고,
변속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토크센서는, 제10도와 같은 기어기구의 전단위치가 아니고, 후단에 장착해도 된다. 그러나, 센서를 후단에 장착하면, 그 센서는, 출력측의 토크신호 TP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TP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B점에서 완만한 변화를 보이므로, 변곡점의 검출을 위해서는 검출정밀도가 나쁜신호라고 생각된다. 이 이유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센서는 터빈축(1)에 장착하였다.
제11도는, 제어회로(100)에 있어서의, 토크충격완화제어를 위한 순서, 특히, tB로부터 tD까지의 시간차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기 위한 라인압제어의 제어순서를 표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로부터 변속동작의 실제의 종료시점(tG)까지의 시간차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기 위한 라인압제어의 흐름도는 제14도에 표시된다.
제11도의 스텝 S2에서는, 신호처리회로(6)로부터 토크치 Tt를 판독한다. 스텝 S4에서는, 변속개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기다린다. 이 변속개시신호는, 제어장치(100)가 제8도의 변속맵에 의거하여 변속영역을 판단하여, 변속단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발생된다.
이 변속신호가 발생하였으면, 스텝 S6에서, 신호 Tt의 제1변곡점(즉, 제12도의 B점)의 검출을 기다린다. 변곡점이 검출되었으면, 스텝 S8에서 그 시점의 시각 tB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스텝 S10에서, 신호 tP의 제2변곡점(즉, 제12도의 D점)의 검출을 기다린다. 제2변곡점이 검출되었으면, 스텝 S12에서 그 시점의 시각 tD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14에서, 시간차
ΔtBD=tD-tB
를 계산한다. 스텝 S16에서는, ΔtBD와, 소정의 드레숄드치 t0, t1(>t0)을 비교한다. 그리고, 시간차 ΔtBD는 인입상태가 발생되어 있는 시간폭이다. 이 시간차 ΔtBD가 일정범위(t0 ΔtBD t1)에 들어가도록, 라인압 PLBD를 보정한다. 즉, ΔtBD>t1이면, 토크신호 Tt가 서서히 변화하였으므로, 다음회의 변속시에 급격하게 변화시키기 위해서,
PLBD=PLBD+C1
을 행하고(스텝 S18), ΔtBD<t0이면, 토크신호 Tt가 급격하게 변환하였으므로, 다음회의 변속시에 서서히 변화시키기 위하여,
PLBD=PLBD-C1
을 행하고(스텝 S20), t0 ΔtBD t1이면, PLBD는 보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다음회의 변속시에는, 이 보정후의 PLBD가 사용되므로, 시간차 ΔtBD가 t0 ΔtBD t1에 수속하는 것이 기대된다. 제12도에 있어서, 라인압(즉, PLBD)신호의 파선부분은, 신호 PLBD가, ΔtBD와 드레숄드치와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변속조작마다 변화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3도에, 변속조작이 n회째→n+1회째→n+2회째→n+3회째에 있어서의 신호 Tt의 변화와 시간차 ΔtBD와의 변화의 일예를 표시한다.
다음에, 인입상태의 종료시점(tD)으로부터 변속동작의 실제의 종료시점(tG)까지의 시간차(ΔtDF)를 일정범위내로 제어하기 위한 라인압제어에 대해서 제1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14도의 제어순서는, 제11도의 제어순서와 병열로 동작한다.
제14도의 스텝 S30에서는, 변속개시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 S32, S34에서는, 신호처리회로(6)로부터 토크치 Tt와 시간 t를 판독한다. 스텝 S8에서는 제2변곡점 D점을 검출한다. 이것은, 상술의 판단과 마찬가지로(스텝 S10등) 신호 Tt의 시간변화의 부호를 조사하므로서 이루어진다.
D점을 검출하였으면, 스텝 S38에서, 그 시간 tD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40에서는, 변속동작의 종료를 기다린다. 이것은, 터빈회전수 Nt와 출력측 회전수 NP와의 비로부터 판단한다. 스텝 S42에서는, 변속 종료가 검출되었으면, 그 시각 tF를 판독하고, 시간차 ΔtDF를 계산한다.
스텝 S44에서는, ΔtDF와, 소정의 드레숄드치 X를 비교한다. 시간차 ΔtDF는 인입상태가 종료하고 나서 변속이 종료할때까지의 시간폭이다. 이 시간차 ΔtDF가 X에 수속되도록, 라인압 PLBD를 보정한다. 즉 ΔtDF>X이면, 토크신호 Tt가 서서히 변화하였으므로, 다음회의 변속시에 급격하게 변화시키기 위해서,
PDDF=PLDF+C2
를 행하고(스텝 S48), ΔtDF<X이면, 토크신호 Tt가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므로, 다음회의 변속시에 서서히 변화시키기 위해서,
PLDF=PLDF-C2
를 행하고(스텝 S46), ΔtDF=X이면, PLDF는 보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다음회의 변속시에는, 이 보정후의 PLDF가 사용되므로, 시간차 ΔtDF가 ΔtDF=X에 수속되는 것이 기대된다.
제15도는, 제11도의 흐름도와 제14도의 흐름도와의 동작의 상위(相違)를 표시한다. 즉, 양 흐름도의 제어순서는, 1회의 변속동작에 있어서, 동시에 병열로 동작하나, 제11도의 흐름도는 제15도의 BD 기간에 스텝 S8로부터 스텝 S12가 동작하고, 제14도의 흐름도는 제15도의 DF 기간에 스텝 S36에서부터 스텝 S42까지가 주로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BD 기간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PLBD와 DF 기간의 제어를 위한 신호 PLDF는 변개의 신호이므로, 1회의 변속동작 제어 사이에, 제11도와 제14도의 흐름도가 병열동작을 해도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 변형예를 제1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1도의, 스텝 S10∼스텝 S12는, 인입시간이 일정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검출된 인입시간이 목표시간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었다. 이 변형예(제16도)는, 토크신호 Tt의 변화율(기울기)이 소정범위(드레숄드치 A와 드레숄드치 B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는(스텝 S40∼스텝 S46) 것이다.
이와 같은 토크신호 Tt의 변화율(기울기)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도, 신호 Tt가 순조롭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는, 자동변속기내에 있어서의 실제의 변속동작의 개시시점과 인입상태의 종료시점과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개시시점과 종료시점과의 간격이 소정목표시간이 되도록, 이 자동변속기내의 변속시의 라인압을 보정하는 제1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라인압을 보정제어하면, 자동변속기내의 체결력이나 여러가지의 타이밍이 변해서, 결과적으로 개시시점이나 종료시점이 변화하고, 그 때문에, 상기 개시시점과 종료시점과의 간격이 소정목표시간에 접근한다.
변속기내의 토크변동이 문제가 되지 않는 기간인 곳의, 토크신호의 파형의 변화를 검출한 시점을 포함하고, 그후의 소정의 기간의 사이, 유압을 신속히 공급하므로, 변속동작의 응답성은 상승한다. 그리고, 변속기내의 토크변동이 문제가 되는 기간은 드로틀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충격은 경감된다. 따라서, 인입감을 느끼는 시간을 목표치에 수속하도록 제어하므로서, 변속시의 변속충격, 특히 인입감을 체감상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변속패턴에 따라서 변속하도록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에 있어서, 자동변속기로 라인압을 제어하는 라인압 제어수단과, 실제의 변속동작의 개시시점과 자동변속기의 출력토크의 인입상태의 종료시점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개시시점과 종료시점과의 간격이 소정의 목표시간이 되도록 상기 라인압을 보정하는 제1보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의 변속동작의 개시시점과 자동변속기의 출력토크의 인입상태의 종료시점의 검출을 행하는 검출수단이 자동변속기의 입력축 또는 출력축의 어느 한쪽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검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검출수단은 자동변속기의 입력축의 비틀어짐을 검출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입력토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이 토크변환기의 터빈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변속동작의 종료시점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자동변속기의 출력토크의 인입상태의 종료시점과 변속동작종료시점과의 간격이 소정의 목표시간이 되도록 상기 라인압을 보정하는 제2보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보정수단은 금회의 변속동작에 대해서 연산한 보정량을 다음회의 변속동작시의 라인압제어에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1019920017783A 1991-09-30 1992-09-29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KR960005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2440 1991-09-30
JP3252440A JPH0587228A (ja) 1991-09-30 1991-09-30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49A KR930006349A (ko) 1993-04-21
KR960005317B1 true KR960005317B1 (ko) 1996-04-23

Family

ID=1723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783A KR960005317B1 (ko) 1991-09-30 1992-09-29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03614A (ko)
JP (1) JPH0587228A (ko)
KR (1) KR960005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250B1 (ko) * 1992-09-16 2001-10-24 가나이 쓰도무 차량용구동력제어장치
KR100192492B1 (ko) * 1995-12-30 1999-06-15 정몽규 자동변속기의 업 쉬프트 중 파워상태에서의 유압제어방법
JP3599899B2 (ja) * 1996-04-26 2004-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燃機関の出力トルク制御装置
JPH09317867A (ja) * 1996-05-29 1997-12-12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523003B2 (ja) * 1997-02-06 2004-04-26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6243636B1 (en) * 1997-08-13 2001-06-05 Zf Meritor, Llc Two stage torque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transmission
JP3205959B2 (ja) * 1997-08-29 2001-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油圧作動式変速機の制御装置
JP3653028B2 (ja) * 2001-10-17 2005-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制御装置
WO2005119096A2 (en) * 2004-06-01 2005-12-15 Carne Gary S Transmission pressure modulation by orificed check valve
DE102006052623A1 (de) * 2006-11-08 2008-05-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 mit einem Getriebe mit Drehmomentmesseinrichtung
US8510003B2 (en) * 2009-04-09 2013-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osed-loop torque phase control for shifting automatic transmission gear ratios based on friction element load esti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368A (en) * 1976-12-22 1978-08-15 Borg-Warner Corporation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4220058A (en) * 1978-09-01 1980-09-02 Borg-Warner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S6241458A (ja) * 1985-08-16 1987-02-23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シヨツク軽減装置
US4799158A (en) * 1986-05-27 1989-01-17 Ford Motor Company System for computer controlled shifting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US4855914A (en) * 1987-11-27 1989-08-08 Davis Roy I Computer controlled synchronous shifting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JPH0781631B2 (ja) * 1987-12-25 1995-09-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JPH0781627B2 (ja) * 1988-02-05 1995-09-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JPH0238748A (ja) * 1988-07-28 1990-02-08 Nissan Motor Co Ltd パワートレーンの変速ショック軽減用総合制御装置
KR920010906B1 (ko) * 1989-08-23 1992-12-21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제어장치
US5241477A (en) * 1989-12-13 1993-08-31 Nissan Motor Company, Ltd. Adaptive correction of inappropriate shift in automatic transmission
US5151858A (en) * 1990-10-05 1992-09-29 Saturn Corporation Multiple mode adaptive pressure control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086670A (en) * 1991-07-31 1992-02-11 Saturn Corporation Adaptive transmission shift pressure control with closed-loop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03614A (en) 1994-04-19
KR930006349A (ko) 1993-04-21
JPH0587228A (ja) 199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6054A (en) Shift shock reducing apparatus of CVT equipped vehicle
KR960005317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US5047936A (en) Gear shift control for power train
US5297044A (en) Torque and rotating speed sensor
KR100362605B1 (ko) 구동토오크제어장치및제어방법
JPH01275941A (ja) デューティソレノイドの制御装置
JP3746100B2 (ja) 変速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5577979A (en) Shift shock suppressing system for automotive power train
JPH033747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872783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US4754403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s for vehicle
JPH058722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225068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993970B2 (ja) 流体継手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H0475420B2 (ko)
US4967356A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producing shock-free shift
JP2920232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JPH0587219A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20627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容量制御装置
JP283058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圧制御装置
JPH058721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424161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587229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S63105248A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316575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