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29B1 - 액체 계량·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계량·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29B1
KR960004729B1 KR1019870007180A KR870007180A KR960004729B1 KR 960004729 B1 KR960004729 B1 KR 960004729B1 KR 1019870007180 A KR1019870007180 A KR 1019870007180A KR 870007180 A KR870007180 A KR 870007180A KR 960004729 B1 KR960004729 B1 KR 96000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device
metering chamber
liquid
mete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519A (ko
Inventor
훼버 카롤하인쯔
다이닌거 안톤
플레스터 게오르크
귄터 만프레드
트로스카 게오르크
Original Assignee
보쉬-지멘스 하우스거랫 게엠베하
볼프강 도비·볼프강 토흐터만
코카-콜라 캄파니
로버트 에이.킬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쉬-지멘스 하우스거랫 게엠베하, 볼프강 도비·볼프강 토흐터만, 코카-콜라 캄파니, 로버트 에이.킬러 filed Critical 보쉬-지멘스 하우스거랫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8000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2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 G01F11/3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with supply and discharge valves of the lift or plug-lift type
    • G01F11/3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with supply and discharge valves of the lift or plug-lift type for liquid or semi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using ingredient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계량·분배장치
제1도는 음료 농축액 저장용기들을 구비한 음료 분배장치의 사시도.
제2도와 제3도는 각각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액체 저장용기와 장착된 액체 저장용기의 사시도.
제4도는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장착된 음료 농축에 저장용기의 단면도.
제5도와 제6도는 계량챔버/분배장치용 주입측 하우징 덮개들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혼합통
3 : 음료용기 4 : 저장용기
5 : 연결파이프 소켓 6 : 계량챔버/분배장치
7 : 배치 슬롯 8 : 덮개
9 : 디스펜서 하우징 챔버 10 : 포일 덮개
11 : 포일백 12 : 용기벽
13 : 계량챔버 덮개 14 : 계량챔버 하우징
15 : 미끄럼 제어밸브 16 : 패킹판
17 : 밀봉링 18 : 구멍
19 : 주입구 20 : 주출구
21, 22 : 밸브 밀봉디스크 23 : 원통형 부착물
25 : 안내리브 26 : 링
27 : 안내리브 28 : 측벽
29 : 나사 30 : 파열조인트
31 : 하우징 덮개 플랜지.
본 발명은 액체 저장용기들로부터 그 배출구에서 액체 특히, 음료 농축액을 계량 분배하는 액체 분배장치에 관한 것인데, 작동상태에 있어서 배출구는 밑으로 향하게 되고, 주입 및 주출구를 가진 계량챔버/분배장치가 배출구에 장착되며, 주입, 출구들은 계량챔버 하우징안에서 이동이 가능한 미끄럼 제어밸브에 의해, 교대로 닫히게 된다.
예로써, 이러한 장치는 탄산수를 음료 농축액과 혼합하여 청량음료를 만드는 음료 디스펜서(dispenser)에 사용된다. 음료 농축액 저장용기는 대개, 치수가 변하지 않고 가스가 새지 않는 재료로 제조되며, 병이나 혹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음료 디스펜서내에 장착될 때, 이들 저장용기는 이들의 배출구가 아래로 향하게 배치된다. 배출구에는 주입구 및 주출구를 가진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장착되는데, 주입구 및 주출구는 미끄럼 제어밸브에 의해 교대로 닫히게 된다. 주입구가 열릴 때, 액체(음료 농축액)는 중력에 의해 저장용기로부터 계량챔버/분배장치 안으로 흐른다. 이 주입구가 미끄럼 제어밸브에 의해 닫히고 동시에 주출구가 열릴 때, 액체는, 또한 중력에 의해, 계량챔버/분배장치로부터 주출되는데, 주출되는 액체의 양은 계량챔버 용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계량챔버/분배장치에서는, 미끄럼 제어밸브와 계량챔버 하우징 사이의 누설이 분배량에 영향을 미쳐 제어가 어려웠다. 이러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틈새가 없는, 미끄럼 제어밸브와 계량챔버 하우징 사이의 통로에 대한 설계가 크게 문제화되는데, 그 이유는 밸브가 계량챔버 하우징 안에서 가능한한 쉽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전기적으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솔레노이드 플런저 형태로 신뢰성 있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절방법은 기계적인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음료 디스펜서의 계량챔버/분배장치의 교체가 저장용기와 함께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액체의 흐름이, 체적유지를 위한 공기역류와 진공압 발생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저장용기의 상부공간 혹은 완충공간을 통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DE OS 44 671참조). 이러한 방법은, 저장 용기의 상부공간내의 공기가 그로부터 쉽게 빠져나가고 액체의 흐름동안 저장용기의 상부공간 안으로 쉽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술적 노력이 필요하며 아직 이로운 것으로 입증되지 못했다. 종래기술의 시스템에서는, 플런저와 계량챔버 하우징 벽사이의 누설을 막기 위하여 상부공간 내에 대기 이하 압력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수송에 따른 이유와 조작의 용이함 때문에,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재료로 음료 농축액 저장용기를 만드는 것이 매우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용기는 비교적 비싸고, 폐기처분의 문제가 있으며 이 용기들이 한번 쓰고 버리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한번만 사용하는 저장용기의 편리성은 위생상의 이유뿐만아니라 재충전 저장용기의 사용을 막기 위한 단계에 기초한다. 예방단계는 저장용기의 배출구의 영역에 적절한 방법을 적용함에 의해 실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이들 저장용기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이들의 취급의 용이성을 손상시킴이 없이 그의 폐기처분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또한, 액체 계량분배방치의 신뢰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는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가스가 투과할 수 없는 유연한 포일백(foil bag)과 상기 포익백을 입방체 형태로 둘러싸는,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공기가 투과되는 용기벽으로 저장용기를 구성하며, 또한 배출구를 가지며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파이프 소켓에 상기 포일백과 용기벽을 부착시키는 특징이 있다. 선호적으로, 이 용기벽은 섬유판 상자 형태로 구성된다.
이들 신규한 특징에 따라 구성된 저장용기는, 예컨대 알루미늄 피막 포일과 같은 저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는, 유연하고 가스가 투과하지 않는 포일백이 그속에 저장된 액체 특히 음료 농축액을 주변환경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하고, 더 값싼 재료 즉 섬유판 상자로 만들어질 수 있는,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저장벽이 포일백을 물리적인 손상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함으로써, 저장용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사실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특히, 생산기술의 관점에서,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기벽을 포일백을 통해 저장용기의 연결파이프 소켓에 간접적으로 부착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연결파이프 소켓을 용기벽에 연결시킴으로써, 계량챔버/분배장치를 저장용기의 연결파이프 소켓에 확실히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전체 저장용기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저장용기내에 저장된 액체의 특성에 따라 계량챔버/분배장치에 의해 액체 계량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장용기의 부적절한 사용을 막기 위하여, 계량챔버/분배장치의 일부분 즉 주입영역을 조절피스톤에 의해 닫힐 수 있는 배출구를 통해, 저장용기의 연결파이프 소켓 안으로 합체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 영역은, 일단 계량챔버/분배장치의 주요부품들에 연결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설계된다. 이들 계량챔버 부품들을 연결하기 전에는, 연결파이프 소켓의 배출구는 포일덮개로 확실하게 닫혀 있게 된다.
만일 유연한 포일백이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기벽에 접착되지 않으면, 외부 대기에 관한 명백한 압력차이가 저장용기 안에 형성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것은 종래의 계량챔버/분배장치들을 사용하기 어렵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공지된 디스펜서들에 의해 계량될 액체의 누설이 저장용기내의 대기 이하 압력에 의해 방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계량챔버/분배장치를 구비한 액체계량 분배장치에 있어서,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가, 솔레노이드 플런저/전자석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플런저와 함께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플런저가 튜브벽 안으로 합체되며, 주입구가 상기 계량챔버/분배장치의 상부공간내의 중앙에 배치되고, 관상의 제어밸브상의 주입구 반대편에는 밸브 차폐 디스크가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에 의하여 주입구가 계량챔버 하우징의 전체내부에 대하여 미끄럼 제어밸브의 이동방향으로 뚜껑방식으로 닫힐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액체가 저장용기로부터 제어할 수 없는 누설흐름없이 계속 흐를것이라는 것은 명백해진다. 저장용기내의 압력은 분배될 액체의 양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분배된 액체는 단지 계량챔버의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실제 체적에만 의존한다. 음료 디스펜서내에서 음료 농축액 저장용기를 냉각할 필요가 있거나 혹은 냉각하는 것이 유용할 때가 있다. 대체로, 냉각 단계는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저장용기내의 온도는 계량 및 냉각기술에 의존하는 간헐적 냉각단계동안 요동한다. 이것은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된 저장용기내에서의 압력요동을 유발할 수 있다. 계량분배될 액체를 수납하기 위한 유연한 포일백을 사용함으로써, 저장용기내의 내부압력의 심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적 동등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계량챔버 상부공간의 중심에 배치되며 미끄럼 제어밸브의 밸브 밀봉디스크에 의해 뚜껑 방식으로 닫히는 주입구를 구비한 계량챔버/분배장치의 특수설계가 또한, 저장용기내의 압력차이가 계량되는 양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선호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장치의 계량챔버/분배장치는 그 주입구안으로 돌출한 안내 리브들을 밸브 밀봉 디스크상에 배치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미끄럼 제어밸브를 위한 통로를 축방향으로 계량챔버/분배장치의 주입구까지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의 안내리브들이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의 외측 재킷과 계량챔버/분배장치의 원통벽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미끄럼 제어밸브와 계량챔버 하우징의 벽사이의 틈이, 계량챔버안에서 미끄럼 제어밸브가 기울어지는 위험없이, 충분히 확대됨으로써 미끄럼 제어밸브와 계량챔버 하우징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조의 관점에서, 종방향의 안내리브들을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의 외측 재킷상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계량챔버/분배장치의 주요부품들이 표준화되고 미끄럼 제어밸브의 작동행정이 균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은 음료 디스펜서에서의 사용을 위해 대단히 중요한데, 하우징내의 전자석 시스템에 의해 발생한 자속은 솔레노이드 플런저처럼 작동하는 미끄럼 제어밸브를 제어한다. 부품들을 표준화하고 작업행정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발생될 자속도 또한 표준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량될 액체들 즉, 상이한 음료 농축액들의 상이한 특성때문에 액체의 상이한 량을 계량할 수 있는 선택성이 있어야 한다. 특정 형태의 음료 농축액이 사용됨에 따라, 다른 성분 즉, 탄산수와 상이한 혼합비율이 필요하다.
미끄럼 제어밸브의 행정범위를 변화시킬 필요없이, 전체 계량챔버/분배장치의 내부체적은, 덮개의 측벽 영역의 형태를 적절히 확장하거나 수축함으로써, 사용되는 농축액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만일 계량챔버/분배장치의 하우징 덮개가 액체용기의 연결파이프 소켓안으로 구조적으로 합체되면, 음료 농축액의 종류와 그 계량된 분량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체화한 설계의 상세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실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지금부터 설명된다.
제1도에 도시된 음료 디스펜서는 장치 하우징내에 준비된, CO2가 많고 냉각된 물을 음료 농축액과 혼합통(2)내에서 혼합하여 만들어진 청량음료를 음료용기(3)로 분배하도록 한다. 다른 종류의 청량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세가지 타입의 음료 농축액이 혼합통(2)위의 음료 디스펜서내에 설치된 3개의 저장용기(4)내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용기들(4)의 배출구들은 아래로 향해 있다. 이러한 저장용기들(4) 각각의 연결파이프 소켓(5)상에는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개구부가 연결된다. 계량챔버/분배장치는 강자성의 아마츄어를 구비한 미끄럼 제어밸브를 포함한다. 하우징(1)안에는, 계량챔버/분배장치(6)를 위한 배치슬롯(7)의 영역에 자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석이 설치되며, 이를 통하여 미끄럼 제어밸브가 계량챔버/분배장치 안쪽에서 힘을 받는다. 이에 의해, 음료 농축액의 계량된 분량이 혼합통(2)으로 공급되고, 여기서, 또한 계량되어 들어온 탄산수와 혼합된다. 덮개(8)로 닫을 수 있고 저장용기들(4)을 수용하는 하우징 챔버(9)는 냉장장치의 냉장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음료 농축액이 냉각 저장되어 혼합된 음료를 위한 준비를 갖추게 된다.
제2도는 음료 농축액 저장용기(4)를 나타낸다. 연결파이프 소켓(5)내의 배출구는 포일덮게(10)에 의해 밀봉된다. 제3도는 연결파이프 소켓(5)에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장착된 음료 농축액 저장용기(4)를 나타낸다.
저장용기들(4)과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제4도에 도시된 단면도로부터 상세하게 나타난다. 저장용기(4)는 유연한 벽들로 구성된 포일백(11)으로 되어 있다. 포익백(11)의 벽들은 저장용기(4)의 연결파이프 소켓(5)에 고리형상으로 단단히 부착된다. 이 포일백은,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공기가 투과할 수 있는,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방체 형태의 용기벽들(1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용기벽(12)을 위한 재료는 섬유판 상자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벽들(12)은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며, 포일백(11)의 벽을 통하여 저장용기(4)의 연결파이프 소켓(5)에 부착된다.
계량챔버/분배장치(6)는 하우징 덮개(13)와 함께, 확장된 주입측 계량챔버 하우징(14)에 의해 형성되는데, 하우징(14) 안에는 수직조절이 가능한 미끄럼 제어밸브(15)가 배치된다.
하우징 덮개(13)는 장착시스템으로 통합되는, 저장용기(4)의 연결파이프 소켓(5)의 일부이다. 계량챔버/분배장치의 하우징(14)은 원주를 따라 분포된 짧은 나사들(29)에 의해 하우징 덮개(13)에 부착되고, 패킹판(16)에 의해 하우징 덮개(13)에 대해 밀봉된다. 밀봉링(17)이 외부대기에 대한 밀봉을 위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생산 기술적인 이유때문에, 나사들(29)의 절단을 위해 하우징 덮개(13)의 상부 차단벽에 구멍(18)들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회전대칭 구조의 계량챔버/분배장치에 있어서, 주입구(19)는 하우징 덮개(13)안에 축방향으로 중심 배치되며, 주출구(20)는 계량챔버 하우징(14)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개구부들(19, 20)의 반대편에, 미끄럼 제어밸브(15)상에 밸브 밀봉디스크들(21, 22)이 지지되는데, 이들(21, 22)은 미끄럼 제어밸브(15)의 수직 단부 위치에 따라, 주입구(19) 또는 주출구(20)를 교대로 닫는다. 미끄럼 제어밸브(15)는 실질적으로 관형이며 구멍(24)을 가진 원통형 부착물(23)내에서 주입측 밸브 밀봉디스크(21)를 지지한다. 이 밸브 밀봉디스크(21)위로, 주입구(19)안으로의 안내요소들로써, 열십자 형태의 안내리브들(25)이 돌출해 있다. 미끄럼 제어밸브(15)는 강자성 재료로 된 링(26)을 갖고 있는데, 이 링은, 하우징내에 설치된 전자석 시스템 내측의 솔레노이드 플런저로써, 자장의 유도에 의해 힘을 받아, 미끄럼 제어밸브가 주출구(20)가 닫힌, 도시된 위치에서 상승하여 주입구(20)가 닫히는 상부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미끄럼 제어밸브(15)의 원주 표면상에는 종방향으로 뻗은 안내리브들(27)이 배열되어 미끄럼 제어밸브(15)와 계량챔버 하우징(14)의 벽사이에 우수한 감마성이 제공된다.
제4도에서 도시된 미끄럼 제어밸브(15)의 위치에서, 저장용기(4)에 저장된 농축음료가, 그 자체 무게로 인해, 주입구(19)를 통해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내부로 흐르게 된다. 계량챔버/분배장치(6)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저장용기(14) 안으로 흐른다. 이렇게 저장용기(4)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분배되는 냉각 음료 농축액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유입된 공기는 냉각된 후 부피가 감소한다. 포일백의 벽(11)이 유연하고,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벽은 이 포일백을 밀봉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체적감소는 이 포일백이 약간 수축함으로써 저장용기(4)내에 진공압이 발생되지 않게 만든다. 또한, 포일백(11)의 유연성 때문에, 온도차, 따라서 저장용기(4) 내의 체적변화가 간헐적인 냉각공정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된다.
하우징(1)내에 설치된 전자석 시스템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에 의해, 미끄럼 제어밸브(15)의 강자성 링(26) 상에 상승력이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 주입구(19)는 밸브 밀봉디스크(21)에 의해 닫혀, 더 이상의 농축음료가 저장용기(4)로부터 계량챔버/분배장치(6)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한편, 주출구(20)가 열리고 계량챔버/분배장치(6)내에 있는 음료 농축액이 주출된다. 다시, 계량챔버/분배장치(6)는 공기로 채워진다. 이러한 계량챔버/분배장치(6)에 의해, 분배량의 정확도가 높게 유지된다. 이러한 정확도는, 혼합통(2)내로 계량 도입된 탄산수와의 최적 혼합비율을 얻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다른 음료 농축액은 다르게 계량된 양을 필요로 한다. 필수적인 구조 부품들과 함께 단위화된 계량챔버/분배장치를 통하여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분배량을 위한 기술적인 노력은 하우징 덮개(13)의 측벽들(28)의 형태를 다양하게 하므로써 감소된다. 제5도는 제4도에서와 같은 동일한 하우징 덮개(13)를 보여주지만, 제6도는 주입구(19')를 향해 기울어진 경사측별들(28')을 가진 하우징 덮개(13')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하우징 덮개(13)의 사용에 비교했을때, 만일 하우징 덮개(13')가 제6도에서와 같이 구성된다면, 체적의 변화가 덮개(13') 영역에서, 따라서 전체 계량챔버/분배장치(6)에 대해 일어날 것이다. 이들 하우징 덮개(13 또는 13')는 용기(4)의 연결파이프 소켓(5) 안으로 합체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음료 농축액의 성질에 관하여 직접적인 관계가 이루어진다. 계량챔버/분배장치(6)내의 추가적인 체적감소가 조절기 플런저 속으로 추가적인 파이프 입구를 도입시킴에 의해 가능하다.
하우징 덮개로부터 계량챔버 하우징(14)을 제거한 후, 파열 조인트(30)들이 플랜지로부터 하우징 덮개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하우징 덮개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Claims (12)

  1. 작동상태에 있을때 바닥을 향하는 배출구에, 계량챔버 하우징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미끄럼 제어밸브에 의해 교대로 닫힐 수 있는 주입구와 주출구를 가진 계량챔버/분배장치가 장착되는 액체 저장용기에 의해, 액체 특히 음료 농축액을 계량ㆍ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4)가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는 유연한 포일백(11)과 이 포일백(11)을 둘러싸는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가스를 투과시키는 용기벽(11)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일백(11)과 상기 용기벽(12)이 배출구를 형성하는 연결파이프 소켓(5)에 부착되고, 계량챔버/분배장치(6)가 연결파이프 소켓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벽(12)이 입방체 형태로 포일백(11)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용기벽(12)이 유연한 포일백(11)에 의해 연결파이프 소켓(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기벽(12)이 섬유판 상자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 벽안으로 합체된 솔레노이드 플런저/전자석 시스템의 소레노이드 플런저를 구비한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가 계량챔버/분배장치내에서 세로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 액체 계량ㆍ분배 장치에서,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주입구(19)가 상기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상부공간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구(19)의 반대편에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15)상에 밸브 밀봉디스크(21)가 설치되어 이 디스크(21)를 통해 주입구(19)가, 미끄럼 제어밸브(15)의 운동방향으로, 계량챔버 하우징(14)의 전체 내측에 대해 뚜껑 방식으로 닫힐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주입구(19) 안으로 돌출한 안내리브들(25)이 밸브 밀봉디스크(21) 위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7. 제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안내리브들(27)이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15)의 외측자켓과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원통벽(14)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안내리브들(27)이 관상의 미끄럼 제어밸브(15)의 외측자켓상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주입구(19)가 내부체적을 둘러싸는 측별들(28. 28')을 가진, 계량챔버/분배장치의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고착된, 하우징 덮개들(13, 13')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계량챔버/분배장치(6)의 하우징 덮개(13, 13')가 액체용기의 하나의 구성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11. 제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하우징 덮개(13, 13')의 벽들(28, 28')이 계량될 액체의 체적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 덮개들이 파열 조인트들(30)을 가지므로써 액체용기(4)의 배출구로부터 계량챔버 하우징(14)을 먼저 제거한 후 하우징 덮개 플랜지(31)로부터 하우징 덮개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계량ㆍ분배장치.
KR1019870007180A 1986-07-07 1987-07-06 액체 계량·분배장치 KR96000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63622777 DE3622777A1 (de) 1986-07-07 1986-07-07 Anordnung zum bereithalten und zur dosierten abgabe von fluessigkeiten
DEP3622777.3 1986-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519A KR880001519A (ko) 1988-04-23
KR960004729B1 true KR960004729B1 (ko) 1996-04-12

Family

ID=630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180A KR960004729B1 (ko) 1986-07-07 1987-07-06 액체 계량·분배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022558A (ko)
EP (1) EP0252420B1 (ko)
JP (1) JPH0637231B2 (ko)
KR (1) KR960004729B1 (ko)
AT (1) ATE56197T1 (ko)
AU (1) AU594793B2 (ko)
CA (1) CA1308078C (ko)
DD (1) DD261349A5 (ko)
DE (2) DE3622777A1 (ko)
ES (1) ES2017965B3 (ko)
GR (1) GR3000876T3 (ko)
ZA (1) ZA874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308A (en) * 1988-08-17 1990-02-06 The Coca-Cola Company Removable syrup package
US5058780A (en) * 1989-09-22 1991-10-22 The Coca-Cola Company Dosing system for an unvented container
ATE97636T1 (de) * 1989-09-22 1993-12-15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r dosierten ausgabe von fluessigkeiten.
DE9303504U1 (ko) * 1993-03-10 1993-07-08 Athanassiadis, Georgios, 8000 Muenchen, De
AU753149B2 (en) * 1998-08-11 2002-10-10 Technosearch Pty. Limited Improvements in liquid discharge container side
RU2329194C2 (ru) * 2002-11-22 2008-07-20 Лезаффр Э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дрожжевой суспензии
US7658213B1 (en) 2005-09-29 2010-02-09 Anderson Chemical Company Fluid dispensing system
CN105246347A (zh) 2013-05-24 2016-01-13 艾力股份公司-卡皮贾尼集团 用于制造和分配液态、半液态和/或半固态食物产品的机器和方法
DE102013212809A1 (de) 2013-07-01 2015-01-08 Brainlink Gmbh Getränkezubereitungssystem mit Einwegbehälter
DE202019004089U1 (de) * 2019-10-04 2021-01-11 Stefan Schlack Hubsystem zur Dosierung von einem Fluid aus einem Behälter und Behälter für ein Fluid
US11709084B2 (en) * 2020-06-29 2023-07-2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Multi-reservoir liquid dispenser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7215C (de) * 1950-03-05 1952-04-21 Erwin Mogg Ausgiesser fuer Fluessigkeiten zur Abgabe gemessener Mengen aus Flaschen
GB1168465A (en) * 1965-11-19 1969-10-29 Malpas Charles H Improvements in Bulk Containers
GB1192383A (en) * 1966-08-24 1970-05-20 Autic Dev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Measures
US3666150A (en) * 1968-11-07 1972-05-30 Steli Konsult Arrangement for deliver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liquid and solid material
US3667499A (en) * 1970-05-04 1972-06-06 Sta Rite Industries Liquid dispensing system
US4076147A (en) * 1976-05-04 1978-02-28 Schmit Justin M Liquid container having a plastic film pouch and a piercing element to open the plastic film pouch
JPS5566938U (ko) * 1978-10-30 1980-05-08
AT373564B (de) * 1980-01-24 1984-02-10 Artmann Kurt Portionierer fuer getraenke
US4375864A (en) * 1980-07-21 1983-03-08 Scholle Corporation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fluid
DE3033873C2 (de) * 1980-09-09 1986-10-09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Dosierventil, insbesondere zur Abgabe von Getränkekonzentraten in Getränkeautomaten
DE3131650C2 (de) * 1981-03-26 1985-02-14 DAGMA Deutsche Automaten- und Getränkemaschinen GmbH & Co KG, 2067 Reinfeld Vorrichtung zum Abgeben von viskosen Konzentraten veränderlicher Viskosität in genau dosierbaren Mengen von veränderlich einstellbarem Volumen, insb. für Getränkeautomaten
GB2098963A (en) * 1981-05-25 1982-12-01 Douwe Egberts Tabaksfab Method and apparatus or metering beverage concentrates
FR2520471A1 (fr) * 1982-01-26 1983-07-29 Naar Raymond Robinet verseur pour emballage souple contenant un liquide
JPS6058804A (ja) * 1983-09-12 1985-04-05 株式会社東芝 円筒状部材の製作方法
US4723688A (en) * 1983-11-03 1988-02-09 Munoz Edward A Beverage container and dispenser
DE3409142A1 (de) * 1984-03-13 1985-09-26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Anordnung zur dosierten abgabe von fluessigkeiten
US4709835A (en) * 1984-03-13 1987-12-01 Coca-Cola Company Dispenser pouch for beverage syrups and concentrates
DE3412240A1 (de) * 1984-04-02 1985-10-31 William C. Catasauqua Pa. Christine Lochdorn mit ventil fuer flexible beutel
DE3412545A1 (de) * 1984-04-04 1985-10-17 Gardena Kress + Kastner Gmbh, 7900 Ulm Automatisch steuerbare ventileinrichtung
US4893731A (en) * 1988-12-20 1990-01-16 The Coca-Cola Company Collapsible bag with evacuation passagewa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74831B (en) 1988-02-24
EP0252420B1 (de) 1990-09-05
AU594793B2 (en) 1990-03-15
KR880001519A (ko) 1988-04-23
JPS6382992A (ja) 1988-04-13
ATE56197T1 (de) 1990-09-15
AU7524387A (en) 1988-01-14
US5022558A (en) 1991-06-11
DE3764733D1 (de) 1990-10-11
JPH0637231B2 (ja) 1994-05-18
CA1308078C (en) 1992-09-29
ES2017965B3 (es) 1991-03-16
DE3622777A1 (de) 1988-02-04
EP0252420A1 (de) 1988-01-13
GR3000876T3 (en) 1991-11-15
DD261349A5 (de) 198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5975B (fi) Anordning foer doserad utdelning av vaetskor
KR960004729B1 (ko) 액체 계량·분배장치
US4723688A (en) Beverage container and dispenser
EP0768983B1 (en) Liquid chemical dispensing and recirculating system
SU1667625A3 (ru) Сосуд дл пить в услови х невесомости
US3926342A (en) Carbonated water producing apparatus
EP0478624B1 (en) Apparatus for making or dispensing drinks
CA2904729C (en) Bag-in-box adapter for water dispensers
SU1491330A3 (ru) Разливочный патрон к машине дл наполнени емкостей негазированными жидкост ми
KR950007621B1 (ko) 음료농축액 저장용기에 사용되는 분배기 및 분배기 고정구
AU566173B2 (en) Dispensing measures of liquids
JP2572789B2 (ja) 容器からのビール注ぎ出し装置
EP0129437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JP2573764B2 (ja) 高温または低温液体、とくに飲料をうけ入れかつ分配する装置
EP0203744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EP0137908A1 (en) Contaminant free high purity liquid dispensing system
US4544006A (en) Apparatus for filling dispensing containers with a liquid or pasty product
CA1272705A (en) Conical fluid nozzle
GB2169998A (en) Liquid nitrogen metering device with nozzle of insulating material
RU2555577C2 (ru) Бочонок с функцией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и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розлива жидкостей
GB2209326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A1300086C (en) Open top tank having a removable and sealable lid with a flow rate control device supported therein
JPS5942397Y2 (ja) 定量充填機
KR850001643B1 (ko) 포스트 믹스(post mix) 음료분배기용 시럽팩케이지(syrup package)
SU13201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пуска жидкости из емкости давлением сжатого воздуха или га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