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76B1 - 크로마 위상변조기 - Google Patents

크로마 위상변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76B1
KR960004576B1 KR1019920009121A KR920009121A KR960004576B1 KR 960004576 B1 KR960004576 B1 KR 960004576B1 KR 1019920009121 A KR1019920009121 A KR 1019920009121A KR 920009121 A KR920009121 A KR 920009121A KR 960004576 B1 KR960004576 B1 KR 960004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roma
composite video
output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이치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1996년04월09일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고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996년04월09일,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고타로 filed Critical 1996년04월09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9/896Time-base error compensation using a digital memory with independent write-in and read-out clock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로마 위상변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크로마 위상변조기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PLL 회로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PLL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PLL 회로의 주요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크로마 위상변조기의 회로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주요부만을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크로마 위상변조기를 색상조정장치에 적용시킨 경우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9도는 종래의 크로마 위상변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구성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레이저 디스크재생부 21 : A/D 변환기
22 : PLL 회로 23 : 대역통과필터(BPF)
25 : ROM 24, 27, 28, 31, 32, 33 : 지연회로
26, 29 : 승산기 30, 34 : 가산기
35 : VTR 재생부 37 : 제1시간축 정정기
38 : 수정발진기 39 : 제2시간축 정정기
40 : 마이크로 컴퓨터 41 : 크로마 위상변조기
42 : 버스트 게이트 타이밍회로 43 : 인버터회로
44 : 버스트 게이트회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VTR(Video Tape Recorder) 및 LDP(Laser Disk Player)에서의 시간축 정정기(Time Base Corrector)에 사용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chrom Aphase modula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도면에 있어서, 제9도는 종래의 크로마 위상변조기를 나타낸 것이고, 제10도는 제9도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 크로마 위상변조기에 있어서, 예컨대 레이저 디스크재생부(10)는 디스크(LD)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것으로, 이 레이저 디스크재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luminance signal) 및 크로마신호(chrom Asignal)를 포함한 복합영상신호(Vs; Composite Video Signal; 예컨대, Y+AsinX, Y : 휘도신호, AsinX : 크로마신호)는 A/D 변환기(11)로 공급된다. 이 A/D 변환기(11)에는 PLL 회로(12; Phase Locked Loop Circuit)에 의해 발생된 클록신호(CK; 4fsc, fsc : 서브캐리어 주파수, 예컨대 3.5BMHz)가 공급되는 바, A/D 변환기(11)는 이 블록신호(CK)에 따라 복합영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복합영상신호는 대역통과필터(13; BPF)로 공급되고, 이 대역통과필터(13)에 의해 복합영상신호에서 크로마신호(AsinX)가 추출된다. 이 크로마신호는 1/4fsc의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회로(14)에 의해 90°위상지연된 크로마신호(-AcosX)로 된다.
한편, 상기 PLL 회로(12)를 구성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압제어발진기(VCO)의 제어데이터, 즉 위상변조량(θ)은 -tanθ의 값을 발생시키는 tanθ 발생기(15)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위상변조량(θ)은 상기 대역통과필터(13)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에 포함된 버스트(burst) 신호를 샘플링해서 생성한 것이다. 상기 tanθ 발생기(15)는, 예컨대 tanθ의 값이 기억된 ROM(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 tanθ 발생기(15)에 기억된 -tanθ의 값은 위상변조량(θ)을 어드레스로 하여 독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독출된 -tanθ의 값 및 상기 지연회로(14)에 의해 지연된 -AcosX는 승산기(16)로 공급되어 승산된다. 여기서, 위상변조량(θ)을 θ=tan-1(B/A)로 설정하면, tanθ=B/A로 되므로, 이 승산기(16)로부터는 승산결과(B cosX)가 출력된다. 이 승산결과(B cosX)와 상기 크로마신호(AsinX)는 가산기(17)로 공급되고, 이 가산기(17)로부터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는 신호가 출력된다.
[일반식 1]
AsinX+B cosX=(A2+B2)1/2sin(X+tan-1(B/A))…………………(1)
이 신호는 크로마신호(AsinX)보다 tan-1(B/A)만큼 위상이 어긋난 신호이다. tan-1(B/A)=θ이므로, (1)식으로 나타낸 신호는 크로마신호에 대해 위상변조량(θ)만큼 위상변조를 실행한 것으로 된다.
제10도에 나타낸 동작원리도 상기 (1)식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회로에 의해 위상 변조된 크로마신호의 진폭은 A가 아니라 (A2+B2)1/2로 되어 원신호(原信號)보다 진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특히 위상변조량이 큰 경우에는 커다란 오차가 생기게 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크로마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지 않고 위상변조를 행할수 있는 크로마 위상변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크로마 위상변조기는, 복합 영상신호(Y+AsinX)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를 90˚시프트시켜 크로마신호(AcosX)를 추력하는 제1시프트수단과; 상기 복합여상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 θ는 -π/2<θ<π/2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값)에 대응해서 계수[-(-1cosθ), sin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 상기 제1시프트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AcosX)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랭(θ)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계수(sinθ)를 승산하는 제1승산수단;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를 소정시간 시프트시켜 크로마신호(AsinX)를 출력하는 제2시프트수단; 상기 제2시프트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AsinX)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계수[-(1-cosθa)]를 승산하는 제2승산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승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승산결과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가산하는 가산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레이저 디스크재생부(20)는, 예컨대 레이져 디스크(LD)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것으로, 이 레이저 디스크재생부(20)는 A/D 변환기(21)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디스크재생부(20)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 및 크로마신호를 포함한 복합영상신호(Vs; 예컨대 Y+AsinX, Y; 휘도신호, AsinX; 크로마신호) 는 A/D 변환기(21)로 공급되며, 이 A/D 변환기(21)에는 PLL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A/D 변환기(21)에는 PLL 회로(22)에 의해 발생된 클록신호(CK; 4fsc, fsc; 서브캐리어 주파수로서, 예컨대 3.58MHz)가 공급되어 있고, 이 클록신호(CK)에 따라 상기 복합영상신호(Vs)가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또, 상기 A/D 변환기(21)의 출력단은 대역통과필터(23; BPF)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A/D 변환기(21)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복합영상신호는 대역통과필터(23)로 공급되고, 이 대역통과필터(23)에 의해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버스트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크로마신호(AsinX)가 추출된다. 또한, 상기 대역통과필터(23)의 출력단에는 1/4fsc의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회로(24)가 접속됨과 더불어, 1/4fsc의 지연시간을 갖는 2개의 지연회로(27,28)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데, 이들 지연회로(24,27,28)는, 예컨대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역통과필터(23)로부터 출력된 크로마신호는 지연회로(24)에 의해 90°위상지연된 크로마신호(AcosX)로 되고, 지연회로(27,28)에 의해 2×1/4fsc 지연된 크로마신호(AsinX)로 된다.
한편, 상기 PLL 회로(22)를 구성하는(도시되지 않음) 전압제어발진기(VCO)의 제어데이터, 즉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 (θ; -π/2<θ<π/2)은 ROM(15)으로 공급된다. 이 PLL 회로(2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ROM(25)에는 sinθ, -(1-cosθ)의 값이 기억되어 있으며, 이 기억된 sinθ및 -(1-cosθ)의 값은 위상변조량(θ)을 어드레스로 하여 독출된다. 상기 ROM(25)의 출력단은 승산기(26,29)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승산기(26)의 다른쪽 입력단에는 상기 지연회로(24)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승산기(29)의 다른쪽 입력단에는 상기 지연회로(28)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ROM(25)으로부터 독출된 sinθ의 값과 상기 지연회로(24)로부터 출력된 크로마신호(AcosX)는 승산기(26)로 공급되고, ROM(25)으로부터 독출된 -(1-cosθ)의 값 및 지연회로(28)로부터 출력된 크로마신호(AsinX)는 승산기(29)로 공급되어 각각 승산된다. 상기 승산기(26)의 출력단 및 상기 승산기(29)의 출력단은 가산기(30)의 양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가산기(30)에서는, 상기 승산기(26)로부터 출력되는 승산결과(AsinθcosX)와 승산기(29)로부터 출력되는 승산결과[-A(1-cosθ)sinX]가 가산된다. 이 가산기(30)로부터는 가산결과(AsinθcosX+AcosθsinX-AsinX)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A/D 변환기(21)의 출력단에는 상기 대역통과필터(23)와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회로(31) 및, 1/4fsc의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회로(32,33)가 직렬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지연회로(31,32,33)는 각각, 예컨대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A/D 변환기(21)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 신호(Y+AsinX)는 상기 지연회로(31) 및 지연회로(32,33)에 의해 차례로 지연된다. 상기 지연회로(33)의 출력단은 가산기(34)의 한쪽 입력단에 접속되고, 이 가산기(34)의 다른쪽 입력단에는 상기 가산기(30)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는 바, 이 가산기(34)에서는 상기 지연회로(33)의 출력신호와 상기 가산기(30)의 가산결과가 가산된다. 즉, 이 가산기(34)에서는 다음의 식이 연산된다.
Y+AsinX+AsinθcosX+AcosθsinX-AsinX
= Y+AsinθcosX++AcosθsinX
= Y+Asin(X+θ)
따라서, 이 가산기(34)로부터는 복합영상신호[Y+Asin(X+θ)]가 출력되는 바, 이 신호는 복합영상신호(Y+AsinX)보다 θ만큼 크로마신호의 위상이 어긋나게 위상변조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크로바 위상변조기의 각부의 신호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도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크로마 위상변조기에 의하면 크로마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지 않고 위상을 θ만큼 어긋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제1도는 상기 PLL 회로(22)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대역통과필터(23)의 출력단에는 샘플링회로(22a)의 한쪽 입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샘플링회로(22a)는 상기 대역통과필터(23)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에 포함된 버스트신호를 게이트회로(22e)로부터 공급되는 샘플링신호(Sa,Sb)에 의해 샘플링한다. 이 샘플링신호(Sa,Sb)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2fsc의 주파수로서 서로 90˚정도 위상이 어긋나 있다. 샘플링회로(22a)는 이들 샘플링신호(Sa,Sb)에 의해 버스트신호(AsinX)를 샘플링하게 되는 것이다.
제4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신호의 위상이 시프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샘플링신호(Sa)는 버스트신호의 0˚및 180˚부분에서 버스트신호를 샘플링하고, 샘플링신호(Sb)는 버스트신호의 90˚및 270˚부분에서 버스트신호를 샘플링한다.
한편, 제4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신호의 위상이 시프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샘플링신호(Sa)는 버스트신호의 0˚및 180˚로부터 어긋난 부분에서 버스트신호를 샘플링하고, 샘플링신호(Sb)도 버스트신호의 90˚및 270˚로부터 어긋난 부분에서 버스트신호를 샘플링한다.
샘플링신호(Sa)에 의해 샘플링된 버스트신호의 값(P)은 P=Asinθ이고, 샘플링신호(Sb)에 의해 샘플링 된 버스트신호의 값(Q)은 Q=Asin(θ+π/2)=Acosθ이다. 이들 샘플링된 버스트신호의 값 P, Q의 비는,
[일반식 2]
P/Q=Asinθ/Acosθ
=tanθ
이고, 이식을 θ에 대해서 변형시키면,
θ=tan-1(P/Q)………………………………………(2)
로 된다. 따라서, 버스트신호의 샘플링값(P,Q)으로부터 위상변조량(θ)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샘플링회로(22a)의 출력단은 ROM(22b)에 접속되어 있고, 이 ROM(22b)에는 전압제어발진기(22c; VCO)의 위상변조량(θ)의 값이 기억되어 있다. 즉, 이 ROM(22b)에는 (2)식에 의해 미리 구해진 위상 변조량(θ)의 값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값(P,Q)에 대응해서 기억되고 있다. 이 ROM(22b)에 기억되는 있는 위상변조량(θ)은 샘플링회로(22a)로부터 출력되는 버스트신호의 샘플링값(P,Q)을 어드레스로 하여 독출되고, 이렇게 독출된 위상변조량(θ)은 전압제어발진기(22c)로 공급됨과 더불어 상기 ROM(25)으로 공급된다. 상기 전압제어발진기(22c)는 위상변조량(θ)에 대응한 클록신호(CK)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 클록신호(CK)는 상기 A/D 변환기(21)로 공급됨과 더불어 1/2분주회로(22d)로 공급되다. 이 1/2분주회로(22d)는 클록신호(CK)의 주파수를 1/2로 분주하는 것으로서, 이 1/2분주회로(22d)의 출력단은 상기 게이트회로(22e)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게이트회로(22e)는 크로마신호에 포함되는 버스트신호의 기간만 상기 1/2로 분주된 클록신호(CK)로부터 상기 샘플링신호(Sa, Sb)를 생성하여 샘플링회로(22a)로 공급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마신호(AsinX)와 이 크로마신호(AsinX)보다 1/4fsc만큼 위상량이 달라진 AcosX에 위상변조량(θ)에 대응하는 계수[-(1-cosθ), sinθ]를 각각 승산하고, 이들을 복합영상신호(Y+AsinX)에 가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마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지 않고 위상을 θ만큼 어긋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도에 도시한 구성은, 크로마 위상변조기를 시간축 정정기로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디스크재생부(20)에 의해 레이저 디스크(LD)로부터 재생된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잔류지터(jitter)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디스크재생부(20) 대신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 변환기(21)에 VTR 재생부(35)를 접속시키면, 이 VTR 재생부(35)에 의해 비디오 테이프(VT)로부터 재생한 영상신호의 시간축을 정정 할 수 있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6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본 제2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한 크로마 위상변조기에 시간축 정정기를 더 부가시킨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대역통과필터(23)의 입력단과 접속노드[36; A/D 변환기(21)와 지연회로(31)의 접속점]의 상호간에는 제1시간축 정정기(37; #1TB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시간축 정정기(37)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 소위 선입/선출 메모리(first-in/first-out Memory)이다. 이 제1시간축 정정기(37)에는 기준발진기로서의 수정발진기(38)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A/D 변환기(21)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상기 PLL 회로(22)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신호에 의해 제1시간축 정정기(37)에 기입되고, 수정발진기(38)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신호에 의해 독출되며, 이렇게 독출된 복합영상신호는 상기 대역통과필터(23)로 공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마 위상변조기를 구성하는 A/D 변환기(21)로부터 가산기(34)까지의 각 구성요소는 제2시간축 정정기(39)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시간축 정정기(37)는 PLL 회로(22)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신호와 수정발진기(38)로부터 클록신호의 위상차에 의해 시간축을 정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보정범위가 좁은 반면, 제2시간축 정정기(39)는 보정범위가 ±90°로 크기 때문에, 제1시간축 정정기(37)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7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제1도에 있어서, sinθ, -(1-cosθ)의 값은 ROM(25)에 기억되고, 그 값을 PLL 회로(22)로부터 출력되는 위상변조량(θ)에 따라 독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OM(25) 대신 마이크로 컴퓨터(40; μ-COM)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마이크로 컴퓨터(40)에는 sinθ, -(1-cosθ)의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이 세트되어 있어서, PLL 회로(22)로부터 위상변조량(θ)이 공급되면 이 위상변조량(θ)에 따른 sinθ, -(1-cosθ)의 값이 연산되고, 이 연산결과는 승산기(26,29)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40)에 세트된 프로그램에 의해 한층 더 정밀도 좋게 크로마신호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크로마 위상변조기를 색상조정장치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 있어서, 예컨대 복합영상신호(Vs)는 크로마 위상변조기(41)로 공급되는데, 이 크로마 위상변조기(41)는 제1도에 도시된 A/D 변환기(21)로부터 가산기(34)까지의 각 구성요소를 포함한 것이다. 그러나, ROM(25)은 PLL 회로(22)로부터 출력되는 위상변조량(θ)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또한, 복합영상신호(Vs)는 버스트 게이트 타이밍회로(42)로 공급되는데, 이 버스트 게이트 타이밍회로(42)는 복합영상신호(Vs)에 포함된 버스트신호 기간에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버스트 게이트 타이밍회로(42)의 출력신호는 인버터회로(43)를 매개로, 예컨대 앤드회로로 구성된 버스트 게이트회로(44)의 한쪽 입력단으로 공급되고, 이 버스로 게이트회로(44)의 다른쪽 입력단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위상변조량(θ; θ는 -π/2<θ<π/2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값)이 공급되며, 이 버스트 게이트회로(44)의 출력단은 상기 크로마 위상변조기(41)를 구성하는 ROM(2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버스트 게이트회로(44)의 한쪽 입력단에는 인버터 회로(43)로부터 복합영상신호(Vs)의 버스트신호 이외의 기간에 하이레벨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버스트 게이트회로(44)는 이 기간에 위상변조량(θ)을 출력하여 상기 크로마 위상변조기(41)를 구성하는 ROM(25)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크로마위상변조기(41)는 버스트신호를 제외한 영상신호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상변조량(θ)에 의해 변조시킨다. 따라서, 버스트 신호에 대해 색신호의 위상을 시프트시킬 수 있으므로, 색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ROM(25)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이 실시예의 경우, A/D 변환기(21)는 PLL회로(22)에 의해 제어할 필요는 없다.
그 외,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청구범위의 각 구성요건에 병기한 도면 참조부호를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할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

Claims (16)

  1. 복합영상신호(Y+AsinX)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를 90°시프트시켜 크로마신호(AcosX)를 출력하는 제1시프트수단(24)과,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 θ는 -π/2<θ<π/2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값)에 대응해서 계수[-(1-cosθ, sin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25, 40) 및, 상기 제1시프트수단(24)으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AcosX)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계수(sinθ)를 승산하는 제1승산수단(26),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를 소정 시간 시프트시켜 크로마신호(AsinX)를 출력하는 제2시프트수단(27,28), 상기 제2시프트수단(27,28)으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AsinX)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계수[-(1-cosθ)]를 승산하는 제2승산수단(29) 및, 상기 제1 및 제2승산수단(26, 29)으로부터 출력되는 승산결과와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가산하는 가산수단(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시프트수단이 지연회로(24,27,2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25,40)은 계수[-(1-cosθ), sinθ]를 기억하고,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되는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이들 계수[-(1-cosθ), sinθ]를 독출하는 메모리(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25,40)이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상기 계수[-(1-cosθ), sinθ]를 연산하는 마이크로 컴퓨터(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5. 복합영상신호(Y+AsinX)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21)과, 상기 변환수단(21)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복합영상신호(Y+AsinX)로부터 크로마신호(AsinX)를 추출하는 추출수단(23), 상기 추출수단(23)에 의해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를 90°지연시켜 크로마신호(AcosX)를 출력하는 제1지연수단(24), 상기 추출수단(23)에 의해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크로마신호(AsinX)를 출력하는 제2지연수단(27,28), 상기 추출수단(23)에 의해 추출된 크로마신호(AsinX)의 위상변조량(θ)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위상변조량(θ)에 기초해서 클록신호를 생성해 상기 변환수단으로 공급하는 검출수단(22), 상기 검출수단(22)에 의해 검출된 위상변조량(θ; θ는 -π/2<θ<π/2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값)에 따라 계수[-(1-cosθ), sin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25,40), 상기 제1지연수단(24)으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AcosX)와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계수(sinθ)를 승산하는 제1승산수단(26), 상기 제2지연수단(27,28)으로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AsinX)와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계수[-(1-cosθ)]를 승산하는 제2승산수단(29), 상기 제1 및 제2승산수단(26,29)으로부터 출력되는 승산결과를 가산하는 제1가산수단(30) 및, 상기 제1가산수단(30)의 가산결과와 상기 변환수단(21)으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 신호를 가산하는 제2가산수단(3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25,40)은 계수[-(1-cosθ), sinθ]를 기억하고,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이들 계수[-(1-cosθ), sinθ]를 독출하는 메모리(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25,40)이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크로마신호의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상기 계수[-(1-cosθ), sinθ]를 연산하는 마이크로 컴퓨터(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수단(23)이 대역통과필터(2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9. 제5항에 있어서, 레이저 디스크로부터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복합영상신호를 상기 변환수단(21)으로 공급하는 재생수단(2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0. 제5항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로부터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이 재생된 복합영상신호를 상기 변환수단(21)으로 공급하는 재생수단(35)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22)은, 상기 추출수단(23)으러부터 출력되는 크로마신호의 레벨을 90°위상시프트된 2개의 샘플링신호에 의해 샘플링하여 이 샘플링신호에 대응하는 레벨을 출력하는 샘플링 수단(22a)과, 상기 크로마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위상변조량(θ)을 미리 기억하는 메모리수단(22b); 상기 샘플링수단(22a)으로부터 출력되는 레벨을 어드레스로 하여 상기 메모리수단(22b)으로부터 독출된 위상변조량(θ)에 따라 상기 클록신호를 발진시키는 전압제어발진기(22c), 상기 클록신호의 주파수를 1/2로 분주하는 분주수단(22d) 및, 상기 분주수단(22d)에 의해 분주된 클록신호로부터 상기 샘플링신호를 생성하고, 이 샘플링신호를 상기 크로마신호에 포함되는 버스트신호의 기간에 상기 샘플링수단(22a)으로 공급하는 생성수단(22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2. 제5항에 있어서,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이재생된 복합영상신호를 상기 변환수단(21)으로 공급하는 재생수단(20,35) 및, 상기 변환수단(21)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복합영상신호의 시간축을 정정하는 시간축 정정수단(37,38)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레이저 디스크로 구성되고, 상기 재생수단(20)은 레이저 디스크로 부터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비디오 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재생수단(35)은 비디오 테이프로 부터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축 정정수단은, 상기 검출수단(22)으로부터 공급되는 클록신호에 의해 상기 변환수단(21)으로부터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를 기입하는 메모리수단(37) 및, 상기 메모리수단(37)에 기억된 복합영상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안정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발진기(3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변조기.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변조량(θ; θ는 -π/2<θ<π/2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값)에 따라 계수[-(1-cosθ), sinθ]를 출력하는 계수출력수단(25,40)과, 상기 복합영상신호(Y+AsinX)에 포함된 버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버스트검출수단(42) 및, 입력단에 임의의 위상변조량(θ)을 공급받아 이 위상변조량(θ)을 상기 계수출력수단(25,40)으로 공급하고, 상기 버스트 검출수단(42)에 의해 버스트신호가 검출될 때에 위상 변조량(θ)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게이트수단(44)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 위상 변조기.
KR1019920009121A 1991-05-29 1992-05-28 크로마 위상변조기 KR960004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429991 1991-05-29
JP91-124299 1991-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576B1 true KR960004576B1 (ko) 1996-04-09

Family

ID=1488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121A KR960004576B1 (ko) 1991-05-29 1992-05-28 크로마 위상변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10619A (ko)
KR (1) KR960004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2711D0 (en) * 1991-10-25 1991-12-11 Alpha Image Ltd Digitally phase locking analogu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3774A (en) * 1977-02-07 1978-10-31 Basf Aktiengesellschaft Color signal en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US4266241A (en) * 1977-02-07 1981-05-05 Basf Aktiengesellschaft Color signal en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US4292648A (en) * 1979-04-09 1981-09-29 Ampex Corporation Color corrector for a composite color video signal
US4814859A (en) * 1986-11-28 1989-03-21 Olympus Optical Co., Ltd. Video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mphasizing color of an image by expanding hue and saturation
JPH02261291A (ja) * 1989-03-31 1990-10-24 Toshiba Corp クロマ位相変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10619A (en) 199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2554A (en) Clock generating apparatus
KR960004576B1 (ko) 크로마 위상변조기
KR940009542B1 (ko) 시간축 보정 장치 및 속도 에러 보정 회로
JPS6128289A (ja) 再生映像信号の時間軸補正装置
JPS607290A (ja) カラ−映像信号再生装置
JPH05207515A (ja) クロマ位相変調器
EP0331016B1 (en) Phase detector circuit for periodic signal using three sampling data
JPS607435B2 (ja) 時間軸補正装置
US5097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ayback clock from a 2.5 MHz chroma PLL
US5355226A (e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pplying double reset to the phase of an FM carrier
KR0119484Y1 (ko) 수퍼임포즈제어장치
EP0226456A2 (en)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906515B2 (ja) カラービデオ信号記録方法及びダビングシステム
JPH07274208A (ja) 時間軸補正回路
JPS6120483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H0649025Y2 (ja) タイムベ−スコレクタの読み出しクロツク発生回路
JPS6015195B2 (ja) 搬送色信号の処理回路
JP2533368B2 (ja) クロック発生回路
JP3081350B2 (ja) 色信号用タイムベースコレクタ回路
JPH02192392A (ja) 位相変動補正装置
JPH0722417B2 (ja) 時間軸誤差補正装置
JPH0213519B2 (ko)
JPS62142484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S6236431B2 (ko)
JPS6046879B2 (ja) 色副搬送波発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