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578B1 -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578B1
KR960003578B1 KR1019880008972A KR880008972A KR960003578B1 KR 960003578 B1 KR960003578 B1 KR 960003578B1 KR 1019880008972 A KR1019880008972 A KR 1019880008972A KR 880008972 A KR880008972 A KR 880008972A KR 960003578 B1 KR960003578 B1 KR 96000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jacket piece
jacket
spindle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478A (ko
Inventor
노리스 베이커 막스
콥랜드 클라아크 더글라스
알렌 엠켄 로버트
헨스겐 게르하르트
슈베르트 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알. 제이. 레이놀즈 터배코 캄파니
지. 로버트 디 마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제이. 레이놀즈 터배코 캄파니, 지. 로버트 디 마르코 filed Critical 알. 제이. 레이놀즈 터배코 캄파니
Publication of KR89000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한가지 자켓 단편(A)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한가지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B)의 부분 단면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B)가 제1도의 자켓 단편(A) 내의 결합되어 이루어진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이송대에 자켓 단편이 놓여지는 것을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의 측면도.
제4a도는 자켓 단편을 지지하기 위하여 클램프가 지지대로부터 상승한 것을 나타낸 제4도의 4A-4A선 횡단면도.
제4B도는 자켓 단편의 지지대와 결합된 클램프의 횡단면도.
제5도는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지고 이송대가 전진한 위치에서 그 오목부 내에 카트리지가 놓여진 것을 나타낸 제4도의 확대 파단 평면도.
제6도는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지고 이송대가 전진한 위치에서 그 오목부 내에 카트리지가 놓여진 것을 나타낸 제5도의 측면도.
제6a도는 카트리지의 지지대를 나타낸 제6도의 6A-6A선 횡단면도.
제7도는 이송대가 후퇴한 위치에서 자켓 단편이 카트리지에 꿰어진 것을 나타낸 부분 단면 측면도.
제7a도는 자켓 단편이 카트리지 주위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제7도의 7A-7A선 횡단면도.
제7b도는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접촉 부재의 지지 블록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제8도는 회전 드럼, 회전 드럼에 흡연 제품의 부품(예 : 자켓 단편(A) 및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B))를 배치시키기 위한 전달 드럼(D1, D2) 및 이로부터 복합 구조물(M)을 제거하기 위한 회전 전달 드럼(D3)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의 계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회전 드럼장치의 한 쌍의 인접한 스테이션의 파단 측면도로서 장치의 여러 특징이 보다 명확히 도시되도록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여러 부분이 단면도로 나타나고 그 위에 위치한 자켓(A)이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최초 위치에 있는 제9도의 장치의 한 스테이션의 확대 파단 단면도로서 그 위에 위치한 자켓 단편(A)이 도시되어 있다.
제11도는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지고, 카트리지가 그 위에 부착되는 위치에 있는 제10도의 스테이션의 확대 파단도.
제12도는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지고 접촉 부재가 카트리지와 접촉하여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에 삽입 되기 직전의 상태에 있는 제10도의 스테이션의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13-13선 단면도.
제14도는 제10도의 14-14선 단면도.
제15a 내지 제15h도는 자켓 단편과 가트리지를 결합시키는 제9도의 장치의 한 스테이션의 연속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
제16a 내지 16o도는 자켓 단편과 카트리지를 결합시키는 제9도의 장치의 한 스테이션의 연속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
제17도는 스테이션들로 진공 또는 저압 공기를 공급하는 장착판(12)의 구멍을 전달 드럼과 함께 나타낸 개략도.
제18도는 카트리지(B)를 자켓 단편(A)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에서 클램프(66)상의 유지 부재를 상승시키기 바람직한 구조의 정면도.
제19도는 유지 부재를 상승시키도록 캠 면과 접촉하는 캠 종동자가 도시된 제18도의 구조의 부분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자켓 단편(jacket segment) B :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
M : 에어로졸 발생 모듈 D1,D2,D3 : 전달 드럼
S : 스테이션 27 : 회전 조립 드럼
60,232 : 이송대 64 : 연결 부재
65,228 : 스핀들 67 : 유지 부재
68,230 : 접촉 부재 70,72,264,266 : 오목부
78 : 지지 아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유럽 특허공보 제0174646(A2)호 및 제0212234(A2)호에는 (1) 담배 가향 물질이 함유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물질로 열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연료체가 포함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 (2) 연료체 주위에서 절연 물질이 바람직하게 포함되며 카트리지를 둘러싸는 슬리브 또는 자켓과 에어로졸 형성 물질 주위의 담배 함유 물질 및,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3) 필터체를 가질 수 있는 물부리부(mouthend piece)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형식의 흡연 제품이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흡연 제품이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는 한쪽 단부에 연료체를 가지며 에어로졸 발생물질이 함유된 캡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슬리브와 결합시켜, 예를 들면 궐련형 흡연 제품에 이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모듈을 성형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듈, 특히 흡연 제품용 에어로졸 발생 모듈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자켓 단편 유지 수단, 자켓 단편과 정렬되도록 캡슐 또는 카트리지를 유지시키는 수단, 카트리지를 자켓 단편 내로 삽입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흡연 제품용 모듈, 특히 에어로졸 발생 모듈을 형성시킨다.
튜브 같은 지지 부재 둘레에 예비 성형된 물질의 슬리브가 자켓 단편에 포함되는 경우, 이 장치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는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 내로 삽입되는 동안 자켓 단편으로부터 지지 부재를 밀어내는 수단이 포함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자켓 단편에 길이를 따라 통로를 형성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고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가 이 통로내로 삽입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통로 형성 부재에 의하여 자켓 단편에 통로가 형성되고,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삽입시키는 동시에 통로 형성 부재를 뽑아내는 수단이 포함된다. 자켓 단편이 튜브와 같은 지지 부재 둘레에 형성된 경우에는, 축출 및 삽입 수단에도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동안 자켓 단편으로부터 지지 부재를 축출시키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스핀들, 스핀들과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접촉 부재, 자켓 단편과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스핀들 및 접촉 부재와 정렬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스핀들과 접촉 부재 사이에 정렬되어 배치된 오목부들을 가진 미끄럼 장착 이송대가 포함된다. 자켓 단편용 오목부는 스핀들과 인접 위치하고, 카트리지용 오목부는 자켓 단편 오목부와 접촉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접촉 부재는 이송대상에 미끄럼 장착되어 이송대와 함께 이동하거나 이송대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장치에는 또한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져 그 속에 종방향 구멍이 형성되도록 이송대와 접촉 부재를 동시에 스핀들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수단,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진 후 접촉 부재의 후퇴를 구속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수단, 스핀들로부터 자켓 단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핀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접촉 부재로 향하여 이송대를 이동시켜 접촉 부재와 접촉하도록 하고 자켓 단편이 카트리지에 꿰어지도록 자켓 단편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포함된다.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 내로 삽입되는 이 작동 중에 자켓 단편 내의 지지 부재가 스핀들 단부에서 축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핀들은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자켓 단편이 회전하는 스핀들 및 카트리지에 꿰어질 때 자켓 단편을 그 오목부 내에 구속시키는 클램프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대의 왕복 운동이 적절한 링크 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장치에는 또한 자켓 단편이 이송대 위에서 이동할 때 이송대에 대한 접촉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해제 가능한 래치(latch) 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우 바람직한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에는 (1) 여러개의 가동 장착된 스테이션이 포함되고, 각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자켓 단편을 수용 유지하는 자켓 유지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또는 캡슐을 수용 유지하는 카트리지 유지 수단을 각각 가지며, (2) 자켓 단편 내로 카트리지를 삽입시키는 수단이 포함되며 흡연 제품용 모듈을 형성시키게 된다. 자켓 단편에는 담배가 포함되고, 카트리지에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어떤 실시예에는 자켓 단편의 적어도 일부에 종방향 통로를 형성시키는 통로 형성 부재가 구비된다. 이 장치에는 가동 장착된 스테이션들로 자켓 단편을 공급하는 자켓 공급 수단,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공급하는 카트리지 공급 수단 및 각 스테이션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수단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스테이션은 열을 지어 차례로 이동하고 평행하게 여러개의 에어로졸 발생 모듈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션들이 회전 테이블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드럼과 같은 회전 가능한 부재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는 물부리부(mouthend piece)의 공급 수단 및 궐련형 흡연 제품이 이루어지도록 이 물부리부를 에어로졸 발생 모듈과 결합시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1, 2, 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장치는 길다란 자켓 단편(A)에 종방향 구멍 또는 축방향 통로(1)를 형성시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구멍(1)속으로 삽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제3도 참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자켓 단편(A)은 담배, 체적 팽창 담배, 재구성 담배, 이들의 조합 또는 다른 물질 등의 섬유상 물질의 로드(2)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로드(2)의 한 단부에 유리섬유 같은 불연성 절연 물질의 슬리브(3)가 있다. 이 슬리브 속에는 지지 튜브(4)가 있다. 로드(2)와 슬리브(3)는 궐련 등의 흡연 제품 제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과 같은 포장지(6A, 6B, 6C)로 둘러싸여져 서로 결합된다.
제1도에는 예비 성형된 슬리브부와 섬유상 물질의 로드부로 이루어진 자켓 단편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장치로 결합될 수 있는 흡연 제품용 자켓 단편은 (1) 지지 부재 둘레에 예비 성형된 단 하나의 슬리브부, (2) 지지 부재가 없는 슬리부, (3) 단 하나의 로드, 또는 (4) 예비 성형될 수 있는 슬리브, 로드 또는 그 조합이 포함되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에 기술된 것처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켓 단편이 로드부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스핀들 또는 다른 통로 형성 수단이 카트리지를 그 속에 삽입시키기 적합한 통로를 성형시키는데 이용되거나, 카트리지 자체가 통로의 예비성형 없이 로드 내로 삽입되기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자켓 단편이 슬리브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스핀들을 없애고,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 내로 삽입될 때 지지 부재가 축출되도록 본 발명의 장치가 수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B)는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함유되고 에어로졸이 유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8)이 한쪽 단부에 있는 원형 단면의 길다란 캡슐(5)이다(제2도). 탄소 플러그 형태로 된 것이 바람직한 발열체(7)는 캡슐(5)의 다른 단부에 삽입된다. 상술한 유럽 특허 공보에 기재된 여러가지 에어로졸 발생 수단같은 다른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연료체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어떠한 수단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에 이용되는 “에어로졸”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증기, 기체, 입자 등이 포함되고, 특히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나 캡슐 또는 제품내의 다른 곳에 함유된 물질에 작용하는 연소되는 연료체로부터의 열의 작용으로 발생되어 흡연자에게 “연기 같은 것”으로 인식되는 성분이 포함된다. 이렇게 정의되는 “에어로졸”이라는 용어에는 또한 눈에 보이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휘발성 또는 승화성 가향제 및/또는 약리학적이나 생리학적 활성제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람직한 장치는 자켓 단편(A)에 종방향 구멍(1)을 형성시키고 그 속에 카트리지(B)를 삽입시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을 성형시키도록 설계되었다.
제4도 내지 제7b도에 도시된 장치는 한번에 에어로졸 발생 모듈을 하나씩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제4, 5도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 구성부분은 스핀들(228), 지지 수단 또는 이송대(232), 이송대에 장착되어 스핀들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원통형 접촉 부재(230)이다. 이송대(232)는 부위(260)에서 자켓 단편(A)을, 부위(262)에서 카트리지(B)를 스핀들과 접촉 부재 및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지지한다.
스핀들(228)은 단면이 원형이고 한쪽 단부에 원뿔형 선단(234)을 가진다. 그 다른 단부에는 모터(M1)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238)에 척(236)이 장착되어 있다. 모터(M1)는 기대(242)에 볼트로 고정된 브래킷(2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4도 및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232)는 스핀들(228)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도 있도록 기대(242)에 고정된 플래튼(246)과 열장 이음으로 연결된 길다랗고 견고한 미끄럼 부재(244)를 가진다. 길다란 미끄럼 부재(244)의 왕복 운동은 이 미끄럼 부재(244)에 고정된 지주(250)와 연결되어 있는 핀(248)을 한쪽 단부에 가진 연접봉(24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봉(247)의 다른 단부는 원판(245)에 편심 고정된 핀(252)에 피벗 연결된다. 원판(254)은 직각으로 기대(242)의 배치된 연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모터(M2)의 축(256)에 고정된다. 핀(252)이 편심되어 있으므로 스핀들(228)에 대한 이송대(232)의 왕복 직선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송대(232)의 미끄럼 부재(244)는 각각 자켓 단편(A)과 카트리지(B)를 수용 정렬시키는 제1 및 제2 모듈 지지대(260, 262)를 가진다. 지지대(260, 262)에는 축이 스핀들(238) 및 접촉 부재(230)의 축과 동심인 종방향의 반원형 오목부 또는 홈(264, 266)이 형성되어 있다(제4a도 및 제6a도). 오목부(264)의 단면은 자켓 단편(A)를 수용하기 적합하고, 오목부(266)의 단면도 카트리지(B)를 자켓 단편과 정렬된 상태로 수용하기 적합하다. 필요한 경우 지지대(260)에 단판(269)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이들이 각각 오목부(264, 266)들이 반경의 중간 정도되는 반경으로 중심이 일치하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단판(269)은 자켓 단편(A)이 스핀들(228) 및 그 다음에 카트리지(B)에 꿰어질 때 자켓 단편(A)의 종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보조한다.
지지대(260)의 상부에는 반경이 오목부(264)의 반경에 해당하는 반원형 단면의 종방향 오목부(268)를 가진 클램프(267)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267)는 자켓 단편을 오목부(264) 내에 수용 유지하고(제4b도), 그후 조립된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지대(260)에 대하여 상승된 위치로부터 이와 결합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접촉 부재(230)는 한쪽 단부가 지지 블록(270)에 부착된 봉(274)의 형태로 되어 있다. 봉(274)의 정면 단부(274a)는 지지대(262)와 인접해 있다. 지지 블록(270)은 미끄럼 부재(244)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어 미끄럼 부재와 함께 이동하거나 미끄럼 부재에 대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블록(270)은 미끄럼 부재(244)에 고정된 한쌍의 평행한 지브(272, gib) 사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제5도). 미끄럼 부재(244)에 고정된 정지 부재(276)은 블록(270)과 접촉하여 스핀들을 향하는 미끄럼 부재(244)의 이동을 블록(270)과, 이에 따라 봉(274)으로 전달한다. 기대(242)에 고정되어 이송대(232)와 가로로 배치된 브래킷(282)에 의하여 이동되는 아암(280)에는 래치(278,latch)가 피벗 지지되어 있다. 래치(278)는(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하여) 블록(270)을 향하여 힘을 받고, 블록(270)의 상향 경사면(286)과 접촉하는 하향 경사 캠 면(284)을 가진다. 제4도 내지 제6도에서 미끄럼 부재(244)가 왼쪽으로(즉 스핀들(228)을 향하여 이동하면, 경사면이 래치를 상승시키면서 블록(270)이 래치(278)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동하여 래치의 아래로 블록이 전진하게 된다. 블록(270)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결국 래치의 수직면(288)이 블록(270)의 오른쪽 수직면(287)과 접촉하여(제6도), 블록(270)과 봉(274)이 미끄럼 부재(244)에 대하여 오른쪽(즉, 스핀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미끄럼 부재(244)에 부착된 지지대(260, 262)가 스핀들(288)로부터 멀어질 때 봉(274)의 이동이 구속된다. 미끄럼 부재가 스핀들로부터 멀어지면 지지대(262)의 오목부(266)에 놓인 카트리지(B)가 봉(274)과 접촉하여 지지대(260)의 오목부(264)에 수용된 자켓 단편 내로 삽입된다.
블록(270)과 접촉하고 있는 래치(278)를 상승시키면 래치로부터 블록(270)이 분리된다. 그후 블록(270)은 정지 부재(276)와 다시 접촉하는 위치까지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대신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 내에 삽입된 후 래치가 자동적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70)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이는, 예를들면 블록(270)의 오른쪽 단부에 제2상향 경사 캠 면(285)을 형성시키고 수직면(287)에 스프링 강(290)의 편평한 조각을 부착시켜, 스프링 강(290)이 래치 면(288)과 접촉하여 래치가 제2경사 캠 면(285)을 타고 올라가 블록(270)을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여 달성될 수 있다. 스프링 강(290)은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 내로 삽입되는 동안 블록(270)의 이동을 구속하면서, 그 후 굽혀져서 래치(268)가 제2경사 캠면(285)을 타고 올라가 블록(270)을 해제시켜 미끄럼 부재(244)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적당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블록(270)이 정지 부재(276)와 접촉하도록 복귀시키는데 예를들면 스프링 수단같은 적절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이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가 자켓 단편 내로 적절히 삽입된 시점에 래치를 해제시키는 캠을 이용하여 장치를 완전히 자동화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후 블록(270)을 정지 부재(276)와 재접촉시키는 스프링 수단을 이용하여 후속 사이클을 개시시킬 수 있다.
작동시 자켓 단편(A)이 오목부(264)에 놓여지면 클램프(267)가 이동하여 지지대(260)과 접촉하고 오목부내의 자켓 단편의 이동을 구속한다. 자켓 단편(A)은 도시된 바와같이 절연 물질의 슬리브(3)가 스핀들(228)로부터 먼 단부에 있도록 오목부(264) 내에 놓여진다. 카트리지(B)는 연료체가 접촉 부재(230)의 봉(274)과 인접하도록 지지대(262)의 오목부(266) 내에 놓여진다. 이제 자켓 단편(A)이회전하는 스핀들에 꿰어져 로드(2)에 종방향 구멍(1)이 형성되도록 모터(M2)의 작동에 의하여 미끄럼 부재(244)가 스핀들을 향하여 이동한다. 스핀들(228)의 왼쪽뿔 단부가 튜브 부재(220)와 접촉하는 지점까지 로드를 종방향으로 천공시킨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 접촉봉(274)은 자켓 단편 (A)과 카트리지(B) 및 미끄럼 부재(244)와 함께 이동하고, 래치(278)는 캠 면(286)을 타고 상승하여 블록(270)을 지나 블록과 결합되어 블록의 역 이동을 억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제6도). 이 위치에서 카트리지(B)는 제5,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5)은 천공된 자켓 단편과 인접한 단부에 있고 연료체(7)는 접촉 부재(230)와 인접한 단부에있도록 자켓 단편과 접촉봉(274)의 사이에서 자켓 단편(A)과 정렬되어 지지대(262)에 놓여진다.
이제 미끄럼 부재(244)는 후퇴하여 스핀들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미끄럼 부재의 최초 이동에 의하여 접촉봉(274)이 연료체(7)와 접촉하여 미끄럼 부재(244)에 대한 카트리지(B)의 이동을 구속한다. 즉, 래치(278)가 접촉 부재가 (230)의 블록(270)과 결합되어 카트리지(B)가 더이상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미끄럼 부재(244)오른쪽으로 더 이동하면 카트리지(B)가 자켓의 구멍 내로 삽입되고, 동시에 스핀들이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때, 튜브 부재(220)는 로드(2)의 종방향 구멍(1)을 통하여 밀려나와 결국 제7도에서처럼 스핀들의 단부에서 떨어진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 이 튜브 부재는 스핀들(228)의 원뿔형 선단(234)과 카트리지(B)사이에 유지되어, 로드(2)로부터 섬유상 물질을 몰아내도록 하는 튜브 부재(220)의 방향 변경이 방지된다.
자켓단편이 카트리지 위로 망원경 처럼 이동한 후 클램프(267)이 상승하고 조립된 부품들이 지지대(260)로부터 제거된다. 이제 래치(278)가 블록(270)으로부터 해제되고 봉(274)은 후퇴하여 블록(270)을 정지 부재(276)와 접촉시킨다. 이렇게 하여 장치는 조립될 자켓 단편(A) 및 카트리지(B)를 다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클램프(267), 래치(278) 및 접촉 부재(230)는 수동으로 조작된다. 그러나 이 분야에서 숙달된 자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미끄럼 부재의 왕복 이동과 적절한 시간적 관계를 가지고 작동될 수 있는 링크 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부재들이 완전히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자켓 단편과 카트리지를 공급하는 적절한 공지 수단과 완성된 에어로졸 발생 모듈을 반출시키는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 라인용으로 완전히 자동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흡연 제품의 고속 생산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앞서 설명한 성능을 가진 여러개의 자동화된 스테이션이 포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테이션들은 선형 또는 환상 조립라인에 위치하거나, 회전 테이블 또는 회전 드럼 같은 회전 부재에 편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고속 생산 장치가 제8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장치에는 제8도에서 전체가 부호(27)로 표시된 회전 조립 드럼이 포함된다. 특히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에는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평행한 열을 이루는 여러개의 스테이션(S)들이 포함되는데, 각 스테이션은 2조의 에어로졸 발생 모듈이 평행하게 조립되도록 이송대(60), 클램프(66), 여러개의 스핀들(44), 오목부(70, 72), 접촉 부재(68)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테이션이 3개의 에어로졸 발생 모듈들을 동시에 조립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제14도, 제16a 내지 16o도 참조).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드럼(D1,D2,D3)은 이송대(60) 및 클램프(66)의 이동에 대하여 적절한 시기에 부품(A, B)을 각 스테이션의 오목부(70, 72)속에 위치시키고, 조립후에는 드럼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을 제거하도록 조립 드럼(27)의 회전에 대하여 적절한 시간 관계로 회전할 수 있게 드럼(27)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달 드럼(D1)은 자켓 부분(A)을 홈(70)속에 위치시키도록 드럼(27)의 상승 측면에 위치한다. 전달 드럼(D2)은 카트리지(B)를 홈(72)속에 위치시키도록 드럼(27)의 최상부 근처에 위치한다. 전달 드럼(D3)은 결합된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을제거하도록 드럼(27)의 하강 측면에 위치한다. 전달 드럼에는 부품을 수용하는 오목부(106)와 이들을 전달전이나 후에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 화살표로 표시된 진공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자켓 단편은 보통 하우니 멀피(Hauni MULFI )와 같은 적절히 수정된 통상적 형식의 단편 조립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일련의 진공 보조 전달 드럼에 의하여 직접 공급된다. 이러한 드럼들은 드럼(27)상의 스테이션의 평행한 열을 따라 2 또는 그 이상의 자켓 단편을 횡방향으로 줄지워 위치시키는데 이용된다. 자켓 단편은 적절히 배치된 진공 보조 회전 장치 또는 이와 대등한 수단을 이용하여 트레이(tray)나 호퍼(hopper)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특히 카트리지는 전달 드럼(D2) 또는 다른 적절히 배치된 진공 보조 회전 장치나 이와 대등한 수단을 이용하여 조립 드럼(27)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나 호퍼로부터 공급된다.
완성된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벨트 위에 떨어져 포장되도록 이송된다. 이 대신 모듈이 일련의 회전 전달 드럼이나 다른 대등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선단부 처리기로 전달되어 궐련형 흡연 제품으로 성형되도록 물부리부와 결합될 수도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장치에는 내부에 축방향 구멍(16)이 형성된 수평 배치 튜브 지지대(14)에 장착된 지지구조(10)가 포함된다. 수직 장착판(12)이 지지대(14)에 장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드럼 주위 근처에서 지지구조(10)에 부착된다. 장착판(12)은 평판(11)과 단이진 판(13)으로 이루어진다. 평판(11)의 내면에는 방사상 홈(15)이 형성되어 단이진 판(15)이 형성되어 단이진 판(13)과 함께 저압 공기 통로를 이룬다. 지지구조(10)와 장착판(12)의 사이에는 진공실(25)이 있다. 적절한 위치에서 장착판(12)을 통과하는 통로(제17도의 84, 86)가 스테이션(S)에 진공을 공급한다. 원통형 슬리브(18)가 튜브 지지대(14)에 동심으로 장착되어 장착판(12)의 단이진 판(13)에 부착된다. 슬리브(18)는 드럼의 외측 단부에 진공 또는 저압 공기를 공급하는 도관(19)을 가진다. 적절한 위치에서 판(17)을 통과하는 통로(85, 87)에 의하여 진공실(25)과 도관(19)이 연통된다(제17도).
허브(20)가 슬리브(18)의 양단부 사이의 중간에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되고, 캠 슬리브(22)는 허브의 대향되는 양측면에 볼트로 연결된다. 캠 슬리브(22)의 원통명에는 캠 홈(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 단부가 캠 면(26)을 이룬다. 허브(20)는 2부분으로 분할 제작되어 여기에 볼트로 연결된 환상 링 기어(48)를 유지하기 편리하다(제12도).
환상 지지대(28)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간격을 둔 환상 베어링 링(30)에 의하여 허브(20)에 장착된다. 튜브 지지대(14)내에서 베어링(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31)에 의하여 지지대(28)가 허브(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축(31)의 한쪽 단부는 구동 기어(34)에 고정되고 이에 의하여 축이 회전한다. 축(31)의 다른 단부에는 방사상 플랜지(36)가 고정된다. 플랜지(36)에는 판(38)이 볼트로 고정되고, 이 판에는 다시 외측 단판(39)이 볼트로 연결된다. 단판(39)은 2부분으로 성형되어 있다. 판(138)은 판(38)에 부착되고, 각 외측 스테이션으로 진공 및/또는 저압 공기 공급 통로를 형성시키는 홈(37)을 가진다. 판(139)이 판(138)에 부착되어 이 통로를 완성시킨다. 이들 통로는 장착판(12) 및 진공 또는 저압 공기 공급원과 연통되도록 슬리브(18)의 도관(19)과 연결된다.
고정된 장착판(12)의 근처에서 내측 단판(40)이 베어링(40)에 의하여 슬리브(1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진공 및 저압 공기는 판(13)의 통로(84, 85, 86, 87)를 통하여 각각의 내측 스테이션으로 직접 공급된다(제17도). 각 내측 스테이션에 있는 도관(76)들은 내측 단판(40)을 통하여 판(13)과 매우 근접한(약 0.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함) 지점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판(13)의 통로들과 도관(76)들이 연통되어 진공 또는 저압 공기가 스테이션(S)으로 전달된다.
각 스테이션에서 2개의 축(41)은 한쪽 단부가 단판(39 또는 40)에, 다른 단부가 지지대(28)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축은 중심축(31)이 지지대(28)를 회전시킬 때 드럼의 회전 부품의 구조적 지지를 도운다.
각 스테이션의 종방향 쌍 사이에서 환상 지지대(28)는 원뿔형 단부(46)가 형성된 회전 스핀들(44)이 대향 장착된 3개의 회전 베어링 슬리브(42)를 그 둘레에 가진다. 각 스핀들(44)의 원뿔형 단부(46)는 자켓 단편의 튜브(4)의 가장 자리와 접촉할 수 있는 크기의 쇼울더(45)를 가진다(제10도).
제9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 링 기어(48)가 고정 허브(20)에 장착되고, 스테이션의 쌍 사이에는 환상으로 간격을 둔 3개의 평기어(50)가 환상 링기어(48)와 맞물려 회전하는 지지대(28)에 장착되어 있다. 평기어(50)들은 각각 구동 기어(52)와 링 기어(48)를 중심으로 지지대(28)가 회전하면 3개의 구동 기어(52)가 각각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각 기어(56)는 베어링 슬리브(42)와 일체로 되어 있다. 각 구동 기어(52)는 14개의 스핀들 기어(56) 열 중의 한 스핀들 기어 (56)와 맞물려 14개의 스핀들 기어 모두를 동시에 구동시킨다. 각 스핀들 기어(56)는 베어링 슬리브(42)에 장착되어 한 조의 대향하는 스핀들(44)을 회전시킨다. 14개의 기어 열의 각 단부에 있는 스핀들 기어(56)는 인접한 기어열의 단부 기어와 맞물리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이들 단부에 있는 기어의 톱니는 기어 폭의 1/2 보다 좁고, 한 단부 기어의 부분 폭 톱니는 이 기어의 한쪽 편에 치우쳐 있고, 인접한 단부 기어의 부분 폭 톱니는 다른 쪽 편에 치우쳐 있어 이들이 서로 맞물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기어에 의하여 지지대(28)가 고정 허브(20)에 대하여 회전하면 14조의 스핀들(44)의 3열이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회전축에 평형한 그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각 스테이션에는 이송대(60)와 클램프(66)로 이루어지는 이송 기구가 수평 배치된 2축(4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송대(60)는 스핀들(44)에 대하여 축(4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송대(60)내에서 스핀들(65)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고, 회전하는 스핀들(44)을 향하여 스프링의 힘을 받는 내측 연결 부재(64)가 각 이송대(60)에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 부재(64)는 캠 슬리브(22)의 캠 홈(24)에 끼워진 캠 종동자(62)를 가진다. 캠 홈(24)은 조립 드럼이 회전할 때 연결 부재(64) 및 이에 따른 이송대(60)의 축방향 왕복 운동을 일으키도록 성형되어 있다.
클램프(66)는 스핀들(44)의 축과 평행하게 이송대(6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 아암(78)에서 이송대(60)에 장착되고, 지지아암(78)은 지점(79)에서 클램프와, 지점(80)에서 이송대와, 축(82)에서 연결 부재(64)와 피벗 연결되어 있다(제10.11도). 따라서 클램프의 이동도 캠 홈(24)의 형상에 따른다. 각 클램프(66)는 자켓 단편이 스핀들에 꿰어질 때 가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핀들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수직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한 유지 부재(67)를 가진다. 유지 부재(67)는 카트리지가 유지 부재에 의하여 이동할 때 미소한 불일치가 있더라도 꽉 끼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 위에서 클램프(66)에 장착될 수 있다.
제18, 19도에는 카트리지(B)를 자켓 단편(A)에 삽입되는 단계에서 유지 부재(67)를 상승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조는 유지 부재(67)와 캠 동종자(112)가 장착된 지지 브리지(120)를 가진다. 지지 브리지(120)는 지점(115)에서 클램프(66)에 피벗 장착된다. 유지 부재(67)는 그 외면으로부터 이송대(60) 상에서 오목부(70, 72)와 일치하도록 정렬된 구멍(71)까지 테이퍼 면(117)을 가진다. 삽입 단계에서 캠 종동자(112)가 캠 면(110, 예를 들면 드럼(27)의 프레임에 장착(도시되지 않음)되어 고정됨)과 접촉하면, 캠 면(110)이 캠 종동자(112)를 이동시켜(제19도에서 오른쪽으로) 지점(115)에서 지지 브리지(120)를 피벗시켜 유지 부재(67)가 상승되도록 하여 카트리지(B)가 유지 부재와 닿지 않고 구멍(71)을 통과하도록 한다.
각 이송대(60)는 스핀들(44)의 축과 축이 일치하는 3개의 외향 오목부(70)로 형성된 제1지지부를 가진다(제10, 13, 14도). 오목부(70)는 한쪽 단부에서 프라스틱 튜브(4)를 둘러싸는 절연 섬유의 슬리브(3)를 가진 담배 로드(2)인 것이 바람직한 자켓 단편(A)을 수용 지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제12도). 각 클램프(66)도 오목부(70)와 함께 자켓 단편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이 오목부(70)와 정렬되고 크기가 동일한 대응 오목부를 가진다. 클램프(66)에 설치된 유지 부재(67)는 이들 오목부와 정렬된 구멍(71)을 가진다. 구멍(71)은 자켓 단편의 가로 이동을 구속하면서, 자켓 단편 내로 삽입될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자켓 단편이 카트리지에 꿰어졌을 때 그 가로 이동을 구속하는 유지판(75)이 오목부(70)의 스핀들 단부에 위치한다. 유지판(75)에는 자켓 단편에 통로를 형성시키는 스핀들(44)과, 자켓 단편으로부터 축출될 튜브(4)는 통과할 수 있으나 자켓 단편이 스핀들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크기의 구멍(73)이 형성되어 오목부(70)와 정렬되어 있다.
각 이송대(60)는 또한 오목부(70)와 동축이고, 자켓 단편의 축과 정렬되어 그 한쪽 단부에 발열체(7)를 가진 캡슐(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B,제2도)를 수용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의 3 외향 오목부(72)로 구성된 제2지지부를 가진다(제12도).
각각의 원통형 오목부(70)는, 단판(39, 40)의 통로와 연통되어 이송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통로(76)와 연통된 여러개의 오리피스(74)를 가진다. 각 오목부(72)도 또한 통로(76)와 유체 연통된 여러개의 오리피스(74)를 가진다. 오리피스(74)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오목부(70, 72)에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진공을 공급하고, 또 적당한 간격으로 이들 오목부로부터 어떤 조작이든 제거하도록 저압 공기를 공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드럼들의 위치에 따라 장착판(12)의 홈(84, 86)은 진공실(25)과 연통되어 오리피스(74)에 진공을 공급하고, 장착판(12)의 구멍(85, 87)은 오리피스(74)에 저압 공기를 공급한다. 저압 공기는 약 4바아이고, 진공은 약 70 내지 80밀리바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스테이션에는 또한 3개의 접촉 부재(68)가 포함되는데, 이들은 각각 그 스테이션에서 조립될 모듈 하나씩에 대한 것이다. 접촉 부재(68)는 단판(39, 40)에 미끄럼 장착된 브래킷(69)에 볼트로 고정되어 스핀들(4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제9, 12도). 각 접촉 부재(68)는 스프링(300)의 힘을 받고(제12도), 브래킷(69)의 연장부(93)와 지점(92)에서 맞물리는 래치(90)에 의하여 후퇴 위치를 유지하다가(제11도). 앞으로 설명될 것처럼 적절한 시기에 해제된다. 래치(90)는 단판(39, 40)에 장착된 지지 부재(91)에 피벗 장착되어 있다(제11도). 래치(90)는 거기에 장착된 캠 종동자(100)가 캠 슬리브(22) 단부의 캠 면(26)과 접촉하면 움직인다.
작동시 조립 드럼(27)이 회전하면 자켓 단편(A)이 전달 드럼(D1)에 의하여 오목부(70)내에 위치하게 된다(제9도). 캠 홈(24)과 지지 아암(78)에 따른 연결 부재(64)의 운동에 의하여 클램프(66)가 이송대(60)에 대하여 스핀들(44)을 향하여 이동하여 오목부(70) 내의 자켓 단편(A)을 덮는다. 그후 캠 홈(24)에 따른 연결 부재(64)의 운동에 의하여 클램프와 이송대는 회전하는 스핀들을 향하여 함께 이동하여 유지 부재(67)에 의하여 구속된 자켓 단편(A)이 스핀들(44)에 꿰어지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 하나가(제2도) 전달 드럼(D2)에 의하여 오목부(72) 내에서 이송대에 놓여진다(제8도). 카트리지(B)가 이송대 위에 놓여진 후 접촉 부재(68)가 캠 면(26)의 형상에 따라 래치(90)에 의하여 해제되어 접촉 부재는 카트리지(B)와 접촉한 채 이동하여 이를 자켓 단편(A)을 향하여 민다(제12도).
캠 홈(24)과 연결 부재(64)에 의하여 클램프(66)와 이송대(60)가 함께 스핀들(44)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자켓 단편(A) 및 천공된 담배 로드(2)를 스핀들로부터 빼내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5)이 로드(2) 내에 위치하고 연료체(7)가 슬리브(3)에 위치하도록 접촉 부재(68)의 도움을 받아 자켓 단편(A)을 카트리지(B)에 꿰게 된다. 이 운동 중 슬리브(3)의 플라스틱 튜브 지지 부재는 캡슐(5)과 스핀들(44)의 원뿔형 단부(46)의 쇼율더(45) 사이에 유지되어 최종적으로는 천공된 담배 로드(2)를 통과하여 슬리브(3)로부터 축출된다. 유지 부재(67)는 카트리지(B)가 통과하기에는 충분하나 자켓 단편(A)이 스핀들에 꿰어질 때 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71)을 가진다. 클램프(66)와 이송대(60)는 접촉 부재(68)로 부터 더 이동하고, 클램프(66)는 완성된 에어로졸 발생 모듈(M, 제3도)로부터 이탈하여 래치(90)가 접촉 부재(68)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그후 에어로졸 발생 모듈(M)은 진공의 차단에 의하여 이송대로부터 제거되어 전달 드럼(D3)으로 전달된다(제8도).
제15a 내지 15h도 및 제16a 내지 16o도에는 조립 드럼(27)상의 스테이션의 작동 순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5a도 내지 제15h도는 이송대(60.1)와 캠 면(24.1, 26.1)의 상호 작용 및 이송대(60.1), 클램프(66.1) 및 접촉 부재(68.1)의 상대적 이동을 보인 것이다. 제16a 내지 16o도는 각 스테이션에서 3개의 에어로졸 발생 모듈을 제조하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클램프(66.1), 이송대(60.1) 및 접촉 부재(68.1)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들 도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의 여러 부품들의 상대적 이동 및 상대적 위치를 설명할 목적으로만 작성된 것이다.
제15a 및 제16a도에는 자켓 단편(A)이 없어지도록 스핀들로부터 떨어져 있는 클램프(66.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이송대(60.1)의 오목부(70.1)가 노출된다. 담배 로드, 절연 섬유의 슬리브 및 지지 튜브로 이루어지는 자켓 단편(A)이 제15b 및 제1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44.1)의 축과 정렬되어 오목부(70.1)에 위치하게 된다. 클램프(66.1)는 캠 홈(24.1)에 따른 캠 종동자(62.1)의 이동 및 연결 부재(64.1)의 이동에 의한 아암(78.1)의 이동에 따라 제15c도 도시된 것 처럼 오목부(70.1) 내의 자켓 단편(A)을 덮는 위치로 이동한다.(제16c 및 제16d도).
클램프가 단편(A)을 덮도록 상대 이동하는데 따라 이송대(60.1)는 연결 부재(64.1), 캠 종동자(62.1) 및 캠 홈(24.1)에 의하여 스핀들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송대(60.1)는 제15d, 16e 및 16f도에 도시된 것처럼 자켓 단편이 회전하는 스핀들(44.1)에 꿰어지는 위치까지 자켓 단편(A)과 함께 이동한다. 이 위치(제15d 및 16f도)에서 오목부(72.1)가 클램프(66.1) 및 접촉 부재(68.1) 사이로 노출된다.
이제 캡슐 및 연료체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가 클램프(66.1)와 접촉 부재(68.1) 사이에 위치하여(제15e 및 16g도) 연료체가 접촉 부재(68.1)와 마주보게 된다. 이때 캠 종동자(100.1)의 작용으로 래치(90.1)가 후퇴하여 접촉 부재가 해제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힘을 받는 접촉 부재가 카트리지(B)와 접촉하여 자켓 단편(A)과 접촉하도록 이를 누른다(제15f 및 16h도).
이송대(60.1) 및 클램프(66.1)는 스핀들로부터 멀어져 자켓 단편(A)을 스핀들로부터 빼내고 튜브(4)를 담배 로드의 구멍을 통과시켜 축출하여 자켓 단편(A)이 카트리지(B)에 꿰어지도록 한다(제15g, 16i, 및 16j도). 마지막으로 이송대(60.1), 클램프(66.1) 및 접촉 부재(68.1)는 제15h 및 16k 내지 16o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복합체(M)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하고 다시 래치(90.1)와 맞물리게 한다.
이상 설명된 장치는 순차적으로 한쪽 단부에서 플라스틱 튜브 주위에 절연 섬유의 슬리브가 부착된 담배 로드를 천공시켜 슬리브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담배 로드를 통하여 종방향 통로를 형성시킨 후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형성된 통로 및 슬리브에 삽입시키도록 작동한다.
이상 기술된 내용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으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내의 모든 수정과 개량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특정 물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켓 단편을 형성시키는데 담배 및 유리 섬유 대신 다른 섬유상 물질 및/또는 비섬유상 물질같은 다른 물질도 이용될 수 있다. 또 슬리브를 형성시키는데도 섬유상 물질이외의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도 이용될 수 있다.
이 분야에서 숙달된 자는 본 명세서 및 도면을 검토하여 각 스테이션에서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에어로졸 발생 모듈이 동시에 제조되도록 하는 등 슬리브에 카트리지를 삽입시키는 장치를 쉽게 수정(즉, 스핀들 없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언급한 바와 같이 장치의 형태는 선형 무한 벨트, 회전 테이블 또는 다른 공지 형태로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자켓 단편(jacket segment)을 유지하는 자켓 유지 수단과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유지 수단, 카트리지를 자켓 단편에 삽입시키는 수단이 포함되는 흡연 제품용 에어로졸 발생 모듈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켓 단편의 적어도 일부에 길이를 따라 통로를 형성시키는 통로 형성 수단이 더 포함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자켓 단편 내부로부터 지지 부재를 축출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통로 형성 수단이 통로 형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자켓 단편으로부터 통로 형성 부재를 빼내는 동시에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자켓 단편 내로 삽입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자켓 단편 내부로부터 지지 부재를 축출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통로 형성 부재를 빼내는 동시에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자켓 단편 내로 삽입시키는 수단에 지지 부재 축출 수단이 포함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자켓 단편 내부로부터 지지 부재를 축출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축출될 때 동시에 에어로졸 발생 카트리지를 자켓 단편 내로 삽입시키는 수단이 포함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튜브 부재 주위에 예비 성형된 절연 물질의 슬리브가 자켓 단편에 포함되고, 슬리브로부터 튜브 부재를 축출하는 수단이 삽입 수단에 포함되는 장치.
  10. 제2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켓 단편에 담배 로드가 포함되고, 로드 내에 길이를 따라 통로를 형성시키는 통로 형성 수단이 포함되는 장치.
KR1019880008972A 1987-07-17 1988-07-16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KR960003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001 1987-07-17
US07/075,001 US5088507A (en) 1987-07-17 1987-07-17 Apparatus for assembling components of a smoking article
US075001 198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78A KR890001478A (ko) 1989-03-27
KR960003578B1 true KR960003578B1 (ko) 1996-03-20

Family

ID=2212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972A KR960003578B1 (ko) 1987-07-17 1988-07-16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8507A (ko)
EP (1) EP0299272A3 (ko)
JP (1) JPS6486866A (ko)
KR (1) KR960003578B1 (ko)
BR (1) BR88035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774A (en) * 1989-10-11 1990-11-0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means for retaining the fuel element
US5105837A (en) * 1990-08-28 1992-04-2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wrapper
US5345955A (en) 1992-09-17 1994-09-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omposite fuel element for smoking articles
US5546965A (en) * 1994-06-22 1996-08-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with improved fuel element insulator
DE19812644C2 (de) * 1998-03-23 2002-10-31 Bat Cigarettenfab Gmbh Cigaretten-Selbstverfertigungsgerät und Baugruppen
ES2253611T3 (es) * 2002-09-11 2006-06-01 Hauni Maschinenbau Ag Fabricacion de elementos filtrantes no cortables.
US7597105B2 (en) * 2005-06-01 2009-10-06 R.J. Reynolds Tobacco C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70215167A1 (en) 2006-03-16 2007-09-20 Evon Llewellyn Crooks Smoking article
US10188140B2 (en) 2005-08-01 2019-01-2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9220301B2 (en) * 2006-03-16 2015-12-2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8047208B2 (en) * 2006-05-31 2011-11-01 Philip Morris Usa Inc. Double action filter assembly wheel with flipping wheel
US7665469B1 (en) * 2006-06-15 2010-02-23 Behyar Behipour Cigarette and tobacco packing machine
US8464726B2 (en) 2009-08-24 2013-06-1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insulation mat
EP2570041A1 (en) * 2011-09-15 2013-03-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Smoking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of
US20130126295A1 (en) * 2011-11-18 2013-05-23 Raymond F. Decker Coi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10640B2 (en) * 2013-01-30 2014-12-1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ick suitable for use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EP4179891A1 (en) 2013-08-06 2023-05-17 Fontem Ventures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GB201321920D0 (en) * 2013-12-11 2014-01-2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elongate elements into a sleeve
CN107613795A (zh) * 2014-05-16 2018-01-19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环拾取手臂、绝缘环装配装置以及装配方法
WO2015172387A1 (zh) * 2014-05-16 2015-11-19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电子烟电极连接头的装配设备及装配方法
CN205180355U (zh) * 2014-05-16 2016-04-27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设备
CN204335828U (zh) * 2014-06-30 2015-05-2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设备
WO2016015247A1 (zh) * 2014-07-30 2016-02-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设备
CN205667358U (zh) * 2014-07-30 2016-11-0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环检测装置以及装配装置
ITUB20154987A1 (it) 2015-10-19 2017-04-19 Gd Spa Dispositivo saldatore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US11717018B2 (en) 2016-02-24 2023-08-0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comprising aeroge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29C (ko) *
DE424203C (de) * 1922-04-15 1926-01-21 Muller J C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men des Tabakstranges in Zigarettenmaschinen
US3036581A (en) * 1955-05-18 1962-05-29 American Mach & Foundry Apparatus for making cigarettes
USRE25917E (en) * 1958-10-23 1965-11-30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multiple filter rods for filter tip cigarettes
DE1156008B (de) * 1958-11-25 1963-10-17 Hauni Werke Koerber & Co Kg Zwischenfoerderer zum queraxial erfolgenden UEbertragen unter gleichzeitigem axialen Bewegen von Filtern oder anderen stabfoermigen Gegenstaenden
DE1164907B (de) * 1959-08-31 1964-03-05 Dr Kurt Koerber Strangzigarettenmaschine mit einem Foerderer, der den Tabakstrom in die Strangrichtung ablenkt
GB1017181A (en) * 1961-03-11 1966-01-19 Railk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US3199515A (en) * 1962-11-26 1965-08-10 Lowe Nicholas Apparatus for making smoking articles
GB1087546A (en) * 1963-11-11 1967-10-18 Kurt Koerber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rod-like articles such as filter plugs or the like
US3362413A (en) * 1966-03-29 1968-01-09 Belgo Internat Machine for inserting filter elements into cigar holders
US3513856A (en) * 1968-05-06 1970-05-26 Brown & Williamson Tobacco Machine for inserting filter plug sections into plastic cigar mouthpieces
US3987804A (en) * 1969-04-02 1976-10-26 Molins Limited Manufacture of cigarettes and the like
GB1305900A (ko) * 1969-04-02 1973-02-07
US3840028A (en) * 1972-05-15 1974-10-08 G Yatrides Apparatus for producing blind conduits in cigarettes
US3822710A (en) * 1973-02-23 1974-07-09 P Bramhill Apparatus for making cigarettes
GB1475494A (en) * 1973-06-29 1977-06-01 Molins Ltd Cigarette making machines
DE2655790A1 (de) * 1976-12-09 1978-06-15 Hauni Werke Koerber & Co Kg Vorrichtung zum axialen auseinanderziehen stabfoermiger artikel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DE2709700A1 (de) * 1977-03-05 1979-01-25 Hauni Werke Koerber & Co Kg Vorrichtung zum fuellen von schragen mit stabfoermigen artikeln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DE2715994A1 (de) * 1977-04-09 1978-10-12 Hauni Werke Koerber & Co K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inbringen eines roehrchens in einen stabfoermigen artikel
DE2806552C2 (de) * 1978-02-16 1986-12-11 Hauni-Werke Körber & Co KG, 2050 Hambur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Überwachen der Herstellung von Kombinationsfiltern für Rauchartikel im Strangverfahren
DE2811176A1 (de) * 1978-03-15 1979-09-27 Hauni Werke Koerber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aus unterschiedlichen filterkomponenten zusammengesetzten rezessfilterstranges
GB2073155B (en) * 1980-02-12 1984-07-25 Hauni Werke Koerber & Co Kg Apparatus for filling trays with cigarettes or the like
IE80788B1 (en) * 1984-09-14 1999-04-24 Reynolds Tobacco Co R Smoking article
US4793365A (en) * 1984-09-14 1988-12-2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IN166122B (ko) * 1985-08-26 1990-03-17 Reynolds Tobacco Co R
US5052413A (en) * 1987-02-27 1991-10-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moking article and components for us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9272A2 (en) 1989-01-18
JPS6486866A (en) 1989-03-31
EP0299272A3 (en) 1990-01-24
KR890001478A (ko) 1989-03-27
BR8803556A (pt) 1989-02-08
US5088507A (en) 199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578B1 (ko)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KR960003577B1 (ko) 흡연제품의 부품 조립장치
AU603185B2 (en) Method for making a smoking article and components for use therein
US700489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compound filters
JP6129554B2 (ja) フィルターロッド製造機
JP5129889B2 (ja) フィルターロッド材に物を導入するための装置
WO201307675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uth piec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and mouth piece manufactured by the same
CA2403378A1 (en) Electrical smoking system and method
JP2007504824A (ja) 煙草のフィルタに対象物を組み込む方法および装置
DE10105010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ehrfachfiltern
JP2002238538A (ja) 多重フイルタ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3834285A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filter mouthpiece
US4036119A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filter mouthpieces
US6918867B2 (en) Production of filter elements not suitable for cutting
US41888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ating an assembled filter used on a smoking product
JPH01132368A (ja) シガレット用デュアルフィルタ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3362413A (en) Machine for inserting filter elements into cigar holders
US20060052226A1 (en) Injection of a medium into a filter segment
US4883449A (en) Device for making grooves in cigarette filters
US3985144A (en) Apparatus for forming cigarette filters
EP0059041B2 (en) Apparatus for forming channels in the periphery of filter elements
PL242376B1 (pl) Zespół podający do podawania kapsułek i urządzenie do wytwarzania sztabek
PH26411A (en) Method for making a smoking article and components for use therein
EP3909440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ends of a rod-like article for tobacco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