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953Y1 -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 Google Patents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953Y1
KR960002953Y1 KR2019930017344U KR930017344U KR960002953Y1 KR 960002953 Y1 KR960002953 Y1 KR 960002953Y1 KR 2019930017344 U KR2019930017344 U KR 2019930017344U KR 930017344 U KR930017344 U KR 930017344U KR 960002953 Y1 KR960002953 Y1 KR 960002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ixed frame
housing
cover plate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058U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2019930017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953Y1/ko
Publication of KR950009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제1도는 종래 자동소변세척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자동소변세척기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자동소변세척기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 급수관연결아답타 또는 배수관연결아답타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서 A-A선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내부구성부품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서 B-B선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내부구성부품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가 화장실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첵크밸브 B : 급수관
C : 배수관 D : 소변기
1 : 첵크밸브 2 : 개폐밸브
3 : 소형건전지 4 : 하우징
4a : 급수관통구 4b : 배수관통구
5 : 감지센서체 6 : 제어회로기관
7 : 고정프레임 7' : 결합대
7" : 분리홈 7'" : 개구부
8 : 전면덮개판 8' : 탄성판
8'a : 돌기 8" : 개구부
9 : 급수관연결아답타 10 : 배수관연결 아답타
[기술분야]
본 고안은 소변기에 설치되어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자동으로 소변기를 세척하는 자동소변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가 화장실벽내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종래의 자동소변세척기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뒷면이 첵크밸브(A)를 통하여 급수관(B)과 연결되어 있으며, 밑면이 배수관(C)에 의해서 소변기(D)에 연결되어 있는데, 자동소변세척기는 첵크밸브(A)와 함께 화장실벽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소변세척기는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67473호와 동 소62-26487호에 기재된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수리를 하고자 할때 용이하게 분해할 수 없고 급수관 및 배수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자동소변세척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수리를 하고자 할 때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전면의 구성부품만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된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초 시공시 급수관과 배수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게 위해서 내부구성부품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는 화장실벽내에 매립되고 주요구성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나사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간지센서체 및 제어회로기판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프레임,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전면덮개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덮개판의 내면에는 고정프레임의 결합대의 구멍에 스냅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탄성판이 부착되어 있고; 고정프레임의 전면덮개판과의 하부접촉부에는 전면덮개판을 고정프레임으로부터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분리홈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결합된 첵크밸브(1) 및 개폐밸브(2), 그리고 소형건전지(3)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4).
상기 하우징(4)의 전방에 나사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감지센서체(5) 및 제어회로기판(6)이 앞뒤로 각각 결합되어 있는 고정프레임(7),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7)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대(7')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전면덮개판(8)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내부의 첵크밸브(1)에는 급수관연결아답타(9)가, 개폐밸브(2)에 배수관연결아답타(1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데, 상호 결합되어 있는 첵크밸브(1) 및 개폐밸브(2)의 하우징(4)과의 결합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수관연결아답타(9) 및 배수관연결아답타(10)가 하우징(4)에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급수관연결 아답타(9) 및 배수관연결아답타(10)가 고정되는 하우징(4)의 급수관통구(4a) 및 배수관연결구(4b)는 급수관 및 배수관의 위치에 따라 첵크밸브(1) 및 개폐밸브(2)가 전후로 이동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장공(長孔)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덮개판(8)의 내면에는 고정프레임(7)의 결합대(7')의 구멍에 스냅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기(8'a)가 형성된 탄성판(8')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전면덮개판(8)에는 고정프레임(7)에 결합된 감지센서체(5)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감지센서체(5)의 외부윤곽과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7)은 전면덮개판(8)과의 하부접촉부에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덮개판(8)을 고정프레임(7)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장수리시 내부부품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중앙상하부에 각각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이용한 개폐밸브(2), 첵크밸브(1) 및 건전지(3)의 구성 및 작용원리는 본 출원인이 고안하여 1992년 4월 9일자 출원한 특허출원 제92-6056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가 화장실벽에 매립되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는 하우징(4) 및 그 내장부품들이 화장실벽내에 매립되고, 감지센서체(5) 및 제어회로기판(6)이 결합된 고정프레임(7)이 나사에 의해서 하우징(4)에 결합되며, 전면덮개판(8)이 스냅식으로 고정프레임(7)에 결합되는데, 고정프레임(7) 및 전면덮개판(8)의 저면만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고정프레임(7)의 크기는 화장실벽면에 부착된 타일의 크기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는 설치상태에서 주위의 타일과 어울려 외관상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구성부품의 고장으로 수리를 하고자 할 때는 드라이브와 같은 간단한 기구를 고정프레임의 분리홈(7")에 넣고 전방상향으로 전면덮개판(8)을 당기게 되면 전면덮개판의 탄성판(8')이 고정프레임(7)의 결합대(7')로부터 빠져 나와 전면덮개판(8)이 분리된다. 전면덮개판(8)이 분리되면 고정프레임(7)의 개구부(7")를 통하여 내부부품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는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고정프레임(7)의 개구부(7")를 통하여 내부구성부품의 정비를 할 수 있다. 내부 구성부품의 교체등 수리에 보다 넓은 공간이 필요할 때에는 나사를 풀어서 고정프레임(7)을 하우징 하우징(4)으로부터 제거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첵크밸브(1)와 개폐밸브(2)가 상호 결합되어 있고, 급수관연결아답타(9) 및 배수관연결아답타(10)가 각각 하우징(4)의 급수관통구(4a) 및 배수관통구(4b)에 고전됨으로써 첵크밸브(1)와 개폐밸브(2)가 하우징(4)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관통구(49) 및 배수관통구(46)는 전후방향의 장공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급수관연결아답타(9) 및 배수관연결아답타(10)의 하우징(4)에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첵크밸브(1) 및 개폐밸브(2)는 장공의 길이만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최초 시공시에는 첵크밸브(1) 및 개폐밸브(2)를 급수관연결아답타(9) 및 배수관연결아답타(10)에 의해 급수관(B) 및 배수관(C)에 대략적으로 연결하고, 하우징(4)을 장공길이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제자리에 위치시킨 후 급수관연결아답타(9) 및 배수관연결아답타(10)를 하우징(4)에 고정하면 하우징(4) 및 그 내부구성부품의 설치가 완성된다. 따라서 급수관(B) 및 배수관(C)이 화장실벽면으로부터 정상거리보다 많이 또는 덜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하우징(4)의 급수관통구(4a) 및 배수관통구(4b)가 전후방향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은 횡방향으로, 배수관은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본 고안은 급수관통구(4a)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급수관통구(4a)와 대응하는 첵크밸브(1)의 측면에 급수관연결아답타(9)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관(B)에 L자형 또는 S자형엘보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접 급수관연결아답타(9)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소변세척기는 전면이 화장실벽면과 동일평면에 있도록 대립되어 있고, 전면크기도 타일크기와 대략 같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고, 고장수리를 할 때 전면덮개판(8) 또는 고정프레임(7)을 제거하여 간단하게 수리를 할 수 있으며, 최초시공시 급수관(B) 및 배수관(C)을 굴곡시키거나 엘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직접 급수관(B) 및 배수관(C)을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자동으로 소변기를 세척하는 자동소변세척기에 있어서, 화장실벽내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상호결합된 첵크밸브(1) 및 개폐밸브(2), 그리고 소형건전지(3)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4), 상기 하우징(4)의 전방에 나사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감지센서체(5) 및 제어회로기판(6)이 앞뒤로 각각 결합되어 있는 고정프레임(7),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7)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7)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대(7')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전면덮개판(8)으로 구성되어 있는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덮개판(8)의 내면에는 고정프레임(7)의 결합대(7')의 구멍에 스냅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8'a)가 형성된 탄성판(8')이 부착되어 있고; 고정프레임(7)의 전면덮개판(8)과의 하부접촉부에는 전면덮개판(8)을 고정프레임(7)으로 분리시킬 때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홈(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4)에는, 첵크밸브(1)와 급수관 사이에 연결된 급수관연결아답타(9) 및 개폐밸브(2)와 배수관 사이에 연결된 배수관연결아답타(10)가 각각 고정되는 급수관통구(4a)및 배수관통구 (4b)가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급수관통구(4a)가 하우징(4)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급수관통구(4a)와 대응하는 첵크밸브(1)의 측면에 급수연결아답타(9)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KR2019930017344U 1993-09-02 1993-09-02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KR960002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44U KR960002953Y1 (ko) 1993-09-02 1993-09-02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44U KR960002953Y1 (ko) 1993-09-02 1993-09-02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058U KR950009058U (ko) 1995-04-19
KR960002953Y1 true KR960002953Y1 (ko) 1996-04-11

Family

ID=1936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344U KR960002953Y1 (ko) 1993-09-02 1993-09-02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9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058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382B1 (ko) 소변기
KR960002953Y1 (ko) 매립형 자동소변세척기
EP1172490A3 (de) Wandeinbau-Spülkasten
US5404895A (en) Dishwasher with improved piping structure
JP3637844B2 (ja) 水回りキャビネット
ES2177184T3 (es) Distribuidor de agua de lavado.
CN216276012U (zh) 一种水箱式排便器用冲水装置
JPH0745667Y2 (ja) 簡易水洗便器
CN114000567B (zh) 水箱式排便器用冲水装置
JPH1171801A (ja) 便器装置
JP2590620Y2 (ja) 吐水装置
JPH0312850Y2 (ko)
JPH10299052A (ja) センサー式自動水栓
JP4697667B2 (ja) 手洗器キャビネット
JP2599167Y2 (ja) 自動洗浄装置の設置構造
KR200179564Y1 (ko) 전기 스팀보일러의 스케일 청소장치
JP2532055Y2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JPH0745664Y2 (ja) 感知式フラッシュバルブに於けるケース取付装置
CN2360466Y (zh) 节水型坐便器
KR20040080785A (ko) 비데기
KR200210863Y1 (ko) 공중화장실용 보조 급수전
KR200247736Y1 (ko) 밸브
JPS6123104Y2 (ko)
JPH11315578A (ja) 自動洗浄装置付小便器
JPS585744Y2 (ja) セツビ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