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896B1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896B1
KR960002896B1 KR1019890010562A KR890010562A KR960002896B1 KR 960002896 B1 KR960002896 B1 KR 960002896B1 KR 1019890010562 A KR1019890010562 A KR 1019890010562A KR 890010562 A KR890010562 A KR 890010562A KR 960002896 B1 KR960002896 B1 KR 96000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in body
tray
paper tray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136A (ko
Inventor
사도시 시노
신지 다까시나
Original Assignee
후지 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요오다로 filed Critical 후지 제록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용지트레이와 지지기구의 특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접속기구의 설명도.
제5도는 용지트레이와 그 지지기구의 설명도.
제6도는 용지트레이를 지지부재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제7a 및 b도는 각각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의 제한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하부의 안내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8b도는 L형 브라켓과 본체계합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제8c 및 d도는 각각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단부의 고정기구의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급지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10a도는 본 발명의 리타드 패드와 그 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10b도는 리타드 부재와 급지롤러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0c도는 종래의 용지 분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11a는 본 발명의 용지 분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11b도는 패드를 눌러내리는 후크의 지지수단의 설명도.
제11c도는 리타드 패드와 그 지지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본 발명은 복사기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그 본체에 다중카피나 양면카피 기능을 일체로 설비함과 동시에 용지트레이등의 용지 수용 수단을 다단으로 설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용지 수용 수단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측부에 돌출시켜서 배치하고 이 용지 수용 수단을 본체의 앞쪽으로 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급지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팩시밀리, 프린터등과 같은 화상정보에 따라서 용지에 화상을 전사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인자부나 화상전사 부분등을 구성하는 화상담지체에 대해서 급지부로부터의 용지반송로를 거쳐서 용지를 보내고 이 화상전사부에서의 화상정보를 따라 용지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설정된 화상의 모드에 따라서 그 화상의 전사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예를들면 복사기등의 장치의 경우에는 급지부에 복수종류의 용지트레이나 급지카세트등의 용지 수용 수단을 장비하고 있고 그들 용지트레이등으로부터 임의 사이즈의 용지를 꺼내어 화상 전사부분으로 향해서 급지를 행할 수 있도록한 수단이 사용된다.
또 최근의 복사기는 4색의 칼라토너를 사용하여 칼라카피를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나 대형의 고속 복사기등으로서의 장치 이외에 비교적 소형복사기에 대해서 대형복사기의 경우와 같은 고속 복사성능을 갖게 하는 것이 기획되어 있다. 즉, 소형 복사기를 단지 통상의 편면카피를 작성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 양면카피나 다중카피등의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구성하는 동시에 2색의 토너에 의한 다중카피의 작성등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한 경우도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은 많은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복사기 본체에 대해서 복수의 용지트레이등의 용지수용 수단을 설비함과 동시에 장치본체의 내부에 중간트레이를 설비하는등의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많은 기능을 본체 내부에 설비함으로써 장치의 구성이 대형화되고 소위 콘솔타입의 장치로서 대형장치를 구성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에 더하여 종래의 복사기등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은 용지반송장치의 기구가 복잡하게 됨에 더하여 용지반송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등의 문제가 있고 그로인하여 용지반송로내에서 잼의 발생 빈도가 많아지든지 잼지의 처리동작이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복사기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장치의 대형화, 용지반송로의 구성의 복잡화등의 문제에 대처하고 복사기 본체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많은 제안이 행해졌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소 61-56512호 공보등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 수용 수단을 복사기 본체의 측부에 돌출시켜서 설비함과 동시에 중간트레이트를 용지 수용 수단과 같이 본체의 측부에 돌출시켜서 설비하는등의 수단을 사용한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 일본국 특개소 63-57437호 공보등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사기 본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이 본체의 내부에 복수의 용지트레이와 중간트레이를 수용하는 동시에 다중 카피의 작성시와 양면카피의 작성시에 용지반송로를 구성하는 반송수단의 구동방향의 절환을 행함으로써 임의의 복사모드에 대응할 수 있는 장치도 제안되었다.
또 일본국 특개소 62-8963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같은 종래에의 복사기에서 복사기 본체의 급지장치에는 복수의 용지트레이를 설비할 수 있는 동시에 양면카피의 기능을 설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예의 복사기등의 장치에 있어서 복사기 본체의 내부에 복수의 용지트레이등의 용지 수용 수단을 설비한 것에 있어서는 이 용지 수용 수단을 본체의 앞부분으로 끌어낼 수 있게 구성하고 있고 이 용지 수용 수단을 본체의 앞쪽으로 끌어낼 수 있으므로 용지의 보급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장치에 있어서 복사기 본체의 내부에 복수의 용지트레이와 중간트레이를 설비할 수 있게한 경우에는 그 중간트레이의 전후 부분에 대한 용지반송로를 설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체를 소형화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 비교적 소형의 복사기등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같은 급지수단 및 용지반송장치를 적용시키는 것은 좁은 공간내에 다수의 반송롤러 장치를 설비하든지 가이드판등을 개폐가능하게 설비하여 잼 클레어를 행하게 함이 요구된다.
그런데 그들의 각 장치가 복잡하게 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판을 개폐하든가 조작자가 손을 삽입하든지 하는 여유 부분이 적으므로 잼된 종이를 꺼내는등의 동작을 행하기 어려운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 용지 수용 수단을 본체의 앞부분으로 끌어낼 수 있게 구성한 경우에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8963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 수용 수단 양측 부분에 대해서 슬라이드레일 수단과 같은 안내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또 용지트레이에 많은 용지를 수용한 상태에서도 이 용지 수용 수단의 이동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등의 수단을 설비하고 있다. 따라서 용지 수용 수단의 슬라이드 기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급지장치의 조립공수가 증대되어 복사기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이외에도 복사기 본체 내부에서의 용지 수용 수단이 점하는 용적이 커지는등의 결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장치의 결점을 해소시킨 것으로 용지 수용 수단을 화상형성장치의 측부에 돌출시켜 설비하고 이 용지 수용 수단을 본체에 대해서 바로 앞쪽으로 끌어낼 수 있게 형성하여 본체 내부에 설비한 다중, 양면 복사의 기구를 여유를 갖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용지 수용 수단의 지지기구와 급지부의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화상 담지체등에 대한 화상 전사부를 향해서 용지 수용 수단으로부터 용지송출수단을 사용하여 용지반송로를 거쳐서 용지를 송출하고 입력된 화상의 정보를 전사하는등의 동작에 의해서 기록지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상기 각 용지 수용 수단을 용지트레이와 이 용지트레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용지 수용 수단을 다단으로 설비하여 각각의 용지 수용 수단을 화상형성장칭 본체의 전면으로 끌어낼 수 있게 설비하고 이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이 급지장치의 프레임에 대해서 용지트레이의 중심부분보다도 본체측의 부분에서 안내수단을 거쳐서 접동가능하게 설비된 동시에 상기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의 안내수단을 프레임의 단부에 설비한 슬라이드 레일장치와 트레이 지지수단의 프레임측 단부에 설비한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하고 또 상기 용지트레이의 본체측 단부를 본체 프레임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안내되고 이 용지트레이가 일단 지지상태로 지지될때에 이 지지수단에 의해서 용지트레이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금지장치에서 상기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본체에 접동 가능하게 설비된 본체부분과 이 본체에 대해서 떼어낼 수 있는 보조부재로 구성되고 이 보조부재는 급지장치로부터 측부로 돌출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의 본체부분은 그 상면에 용지트레이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돌출부 및/또는 용지트레이의 프레임의 일부를 접동시키기 위한 부재를 갖고 보조부재의 접속을 행하는 단부측으로 슬라이드 레일장치를 배치하고 이 슬라이드레일장치의 급지장치 본체측에 가이드 수단을 설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본체의 급지부에 설비한 급지롤러 어셈블리를 급지트레이의 삽탈 동작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비하고 이 급지롤러를 급지부에 위치결정할 때에는 상기 어셈블리의 단부를 본체 계합부에 대해서 고정시키고 이 급지롤러 어셈블리에 비틀림 방향의 힘이 부가되지 않도록 구성한 급지장치의 급지 롤러 지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서는 이 급지장치에 설비한 용지 분리 기구로서의 리타드 패드는 홀더에 대해서 측면의 4방이 커버되는 상태로 설비되고 이 패드와 급지롤러와의 계합시에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 라타드 패드의 지지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패드를 눌러내리는 후크를 거쳐서 지지함으로써 급지롤러와의 계합이탈의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라도 이 리타드 부재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다수의 급지트레이를 본체의 측부에 설비함으로써 본체의 내부에 다중 카피와 반전기구등을 효율좋게 수용할 수 있고 장치의 메인테난스등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급지트레이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반송시의 포장등이 용이하게 되어 운반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서의 급지롤러와 용지 분리 기구는 상기한 바와같은 기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용지의 송출과 용지 분리작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로에 있어서의 잼 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로서 복사기에 적용시킨 경우의 것이고 복사기의 급지장치에 대해서 복수개의 용지 수용 수단을 설비하고 이 용지 수용 수단으로서의 용지트레이로부터 급지로 60을 거쳐서 용지를 감광체드럼 10의 화상 전사부를 향해서 반송하고 감광체드럼 10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도록 구성하였다.
전술한 복사기의 급지로 60은 통상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용지반송로와 같이하여 용지의 양측을 규제하는 가이드판과 반송롤러장치 7∼72를 설비하고 있고 또 이 급지로 60에 대해서 4개의 급지부재 101∼104와의 사이에 각각 반출로 81∼84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의 급지로 60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양면ㆍ다중 복사를 행하기 위한 중간트레이로부터의 반송로 55가 접속되어 있고 양면복사나 다중복사시에는 상기 반송로 55로부터의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급지로 60으로 도입하고 이 급지로를 통하여 감광체드럼으로부터의 전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급지부 100에 설비된 급지부재 101∼104는 각각의 용지송출부분에 급지수단과 용지 분리 기구를 설비하고 있는 것으로 그들의 급지와 용지 분리 기구의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급지롤러 111∼114와 이 급지롤러에 대응하여 배치된 리타드 패드를 설비하고 있다.
또 급지부재에 수용된 용지를 급지롤러에 의해서 꺼내는 동시에 리타드 패드에 의해서 용지 분리작용을 행하고 용지를 1매씩 분리된 상태로 접속로를 거쳐서 급지로 60으로 향해서 반송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급지부 100에서는 4개의 급지부재에 대응하는 급지롤러중의 상부의 2개의 급지롤러 111, 112와 반송롤러장치 70은 1개의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그룹으로 설정되고 다른 2개의 급지롤러 113, 114와 2개의 반송롤러장치 70은 1개의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그룹으로 설정되고 다른 2개의 급지롤러 113,114와 2개의 반송롤러장치 71,72는 별개의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그룹으로 구성된다.
또 각 급지롤러에는 각각 구동용 솔레노이드가 설비되어 있어서 그 솔레노이드에 동전이 행해짐으로써 급지롤러를 구동시켜 소정의 급지부재로부터의 반출로 81∼84를 거쳐서 급지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도에 나타낸 복사기 1에 있어서는 플래튼 2의 상부에 원고자동 급속동작을 행할 수 있게 자동원고 급송장치 5를 설비하고 있다. 또 원고트레이 6에 세트된 원고를 급지롤러 7에 의해서 반입하고 반송벨트 8에 의해서 플래튼 2위의 소정 위치에 세트하고 플래튼의 하부에 배치된 화상형성장치에 의한 주사에 대응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 복사기 본체의 상부에는 화상 판독장치로서의 광학계 3이 이동가능하게 설비되어 있고 이 광학계 3를 일반 화상 판독장치의 경우와 같이 램프 3a, 복수의 미러 3c..., 및 렌즈 3b에 의해서 구성하였다.
또 상기 광학계 3에 의해서 얻어진 원고의 반사광은 감광체드럼 10에 대해서 노광부 12에서 조사되어 이 감광체드럼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한 감광체드럼 10의 주위에는 통상의 복사기의 경우와 같이 대전 코로트론 11, 현상장치 13, 13a 및 전사코로트론 14, 박리코로트론 15, 박리수단 16, 클리닝장치 17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 원고의 화상이 노광부 12에서 조사되어서 감광체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 후에 이 정전잠상에 대해서 현상장치로부터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그 토너화상을 전사코로트론 14에 의한 방전으로 용지에 전사한다. 토너화상용 용지에 전사한 후에 감광체드럼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닝 장치 17에 의해서 청소되어 다음 복사동작에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용지는 급지부 100으로부터의 송출되어 급지로 60을 통하여 감광체드럼 바로 앞부분에 레즈스트레이숀 롤러 20을 거쳐서 그 용지의 선단부의 반송타이밍이 토너화상에 일치된 상태로 화상의 전사부분에 이르고 감광체드럼으로부터의 토너화상이 전사가 행해진 후에 반송장치 22에 의해서 정착장치 23에 도입되어 가열과 가압이 행해져서 카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복사기 1에 있어서는 상기 정착장치 23의 카피 배출부분으로부터 배출트레이등을 향한 반출로의 도중부분에 분기조 31을 설비하고 있다. 또 복사기에 설정된 복사모드가 양면카피나 다중카피의 경우에는 이 분기조 31을 요동시켜서 배출로를 닫고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로서 형성된 카피를 복귀로 30으로 도입하고 이 복귀로의 설비한 반전장치 40 및 중간급지부 50에 의한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의 취급부분을 향해서 공급한다.
상기 복귀로 30에는 소정 간격으로 반송 롤러 장치 32를 배치하여 이 반송롤러 장치 32에 의한 반송을 행하고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배출부 33을 거쳐서 중간급지부 50의 중간트레이 51로 공급하게 구성한다.
그와 동시에 이 복귀로 30의 도중 부분에 분기조 41을 설비하고 이 분기부분을 거쳐서 반전장치 40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반전장치 40은 상하의 가이드판과 반전롤러 42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가이드판에의한 용지 안내부분의 선단부에 트레이 43을 배치하여 긴 용지의 경우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간급지부 50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중간트레이와 같은 작용을 행하는 기구를 갖는 것으로 복귀로 30을 거쳐서 반입되는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이 중간급지부 50의 트레이 51에 일단 수용하고 그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의 정렬을 행하면서 피드롤러 53 및 용지 분리 기구등에 의해서 구성된 급지수단 52를 거쳐서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1매씩 송출하게 구성된다.
또 중간급지부 50으로부터 송출된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는 반송로 55를 거쳐서 급지로 60을 향해서 반송되고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반송모드에 따라서 감광체드럼 10에 의한 화상의 전사부로 보내진다.
또 상기한 반송로 55에 있어서는 용지를 급지로 60으로 인도하기 전단계로 그 용지의 사이드 레지스트레이숀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반송로 55에 설비된 반송롤러장치 56으로서는 경사반송롤러를 설비하고 이 경사 반송롤러에 의해서 용지의 반송을 행하는 동시에 경사진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켜 용지를 반송로의 깊은쪽에 배치한 기준위치 설정용 가이드수단에 접동시켜서 용지의 위치 결정을 행한 상태로 급지로 60으로 급송할 수 있다.
상기 제4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복사기 1에 있어서 급지로 60을 구성하는 양측 1쌍의 가이드수단 61, 62는 급지위치로부터 요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급지로 60내부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용지반송로를 구성하는 양측의 가이드판을 조합시킨 상태로 요동시키는 것, 외측가이드판 61에 대해서 내측의 가이드판 62를 이간시키는 상태로 열 수 있게 구성된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급지로 60을 구성한 외측 가이드판 61에는 니프롤러를 배치하고 급지부의 본체에 설비한 구동롤러에 대해서 이 니프롤러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압하게 하여 용지를 반송하는 상태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급지로내에서 용지 또는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가 잼을 발생한 경우에는 그 잼의 발생상태에 따라서 가이드판의 요동등을 행하게 된다. 즉, 급지부재로부터의 반출로 81∼84에 있어서 잼된 경우에는 급지로 60을 구성하는 양측의 가이드판을 세트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이 반출로의 부분에 정지되어 있는 용지를 꺼낼 수 있다.
또 급지로 60의 내부에 용지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지로 60을 구성하는 양측 가이드판을 동시에 급지로부터 요동시킨 후에 내측의 가이드판 62를 열어서 그 정지되어 있는 용지를 꺼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복사기 1에서는 급지부 100의 4개의 급지부재 이외에 수동트레이 90을 설비하고 이 수동트레이 90으로부터의 급지는 롤러장치 91을 거쳐서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사기에서 다중카피를 행하는 경우에는 급지부재로부터 반출된 용지에 대해서 통상의 복사모드에 의해서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작성하여 그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분기조 31을 거쳐서 복귀로 30으로 도입하고 또 이 복귀로 30에서 분기조 41을 거쳐서 반전장치 40으로 도입된다.
이 반전장치 40에서는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의 후단부가 분기조의 위치를 지나면 그 반전롤러장치 42의 구동방향을 절환하여 용지를 복귀방향으로 이동시켜 분기조 42의 아래부분을 통하여 복귀로 30의 하부로 안내되어 배출부 33을 거쳐서 중간급지부 50으로 화상면을 위로 향한 상태로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를 배출한다.
또 중간급지부의 트레이 51에 수용된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는 이 트레이의 급지수단 52를 거쳐서 반송로 55로 송출되고 급지로 60을 거쳐서 감광체드럼 10에 의한 화상 전사부로 반송되고 앞서 형성된 화상위에 겹친상태로 다른 화상이 전사되고 정착장치 23을 통하여 정착되어 배출트레이로 배출된다.
또 양면카피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로서 작성된 용지를 분기조 31로부터 복귀로 30을 통하여 직접 배출부 33을 향해서 반송되고 화상면을 아래로 향한 상태로 트레이 51로 수용된다.
또 이 중간급지부 50의 급지롤러장치에 의해서 송출되고 반송로 55와 급지로 60을 거쳐서 감광체드럼 10의 화상전사부로 반송되고 이 편면복사를 마친 용지의 이면에 다른 화상의 전사가 행해지고 정착장치 23을 통함으로써 양면카피로서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복귀로에 대해서 반전장치 40과 중간급지부 50을 접속함으로써 다중카피와 양면카피를 임의로 작성할 수 있게 되는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같이 급지로에서의 용지의 반송상태를 설정함으로써 카피의 작성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복사기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로서의 복사기에 있어서 급지부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용지 수용 수단으로서의 용지트레이 120과 이 용지트레이 120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이 제1도에 나타낸 급지부재 101∼104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급지부에서 용지 P를 수용하는 용지트레이 120은 급지측단부에 설비한 전판 123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 캠부재 124를 설비하고 이 캠부재 123이 본체 프레임에 설비한 롤러 152에 계합되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용지트레이의 단부의 지지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120의 저판 121에는 그 소정 부분에
Figure kpo00001
부 122를 형성하고 이
Figure kpo00002
부 122를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의 돌기부재 133에 계합시켜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에 대한 용지트레이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 용지트레이의 용지 송출측에는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급지카세트등과 같이 용지를 급지롤러 110을 향해서 압압하기 위하여 용지 지지판 125를 요동 가능하게 설비하고 도시를 생략한 노마르포스 부여기구를 거쳐서 상기 용지 지지판 125를 요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급지롤러 110에 대해서 그 하부에 대응시켜서 용지 분리부재 115를 배치하고 이 용지 분리부재 115의 리타드 패드 115가 급지롤러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용지가 겹쳐 보내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이 용지 분리 기구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용지트레이 120을 지지하기 위한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은 제3도에도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부 131과 보조부재 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의 본체부 131은 상판 132의 소정위치에 돌기부재 133을 설비하고 이 돌기부재를 사용하여 용지트레이의
Figure kpo00003
부를 계지한다.
또 본체부 131의 급지측 단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대략 L자상으로 절곡시켜 계합부 135를 설비하고 이 계합부 135의 하판 136을 본체 프레임의 롤러 155에 계합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본체부 131의 다른 단부에는 상판 132를 하방으로 수직으로 절곡시켜 늘어져 내린 부분 138을 설비하고 이 늘어져 내린 부분 138을 사용하여 보조부재 140의 지지를 행하게 한다.
본체부 131이 접속되는 보주부재 140은 본체측의 단부가 대략 L자상으로 절곡되어 늘어져 내린 부분 142를 형성시켜 이 늘어져 내린 부분 142와 본체의 늘어져 내린부분 138 및 돌출부 141을 고정나사 143, 144를 사용하여 양자를 결합하고 본체부 131과 보조부재 140을 일체화한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은 본체 프레임 150에 대해서 슬라이드레일 159를 거쳐서 접동 가능하게 설비되어 있다. 이 본체 프레임 150은 급지측 단부에 설비한 적립부 151을 거쳐서 롤러 157를 설명하고 이 롤러 152가 용지트레이의 캠부재 124를 계지시키고 이 용지트레이 120의 단부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 본체 프레임 150의 다른 단부에는 대략 L자상으로 절곡시킨 하부 브라켓 158을 형성하고 이 하부 브라켓 158과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의 본체부 131에 설비한 늘어져내린 부분 138과의 사이에 슬라이드레일 159를 설비한다. 이 슬라이드레일로서는 예를들면 「아큐라이드 슬라이드(상품명)」등과 같은 일반 복사기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 150의 판부재 154의 소정 위치에는 상브라켓 155를 고정하고 이 브라켓 155에 대해서 로러 156을 설비함으로써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의 본체부 131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에 대해서 슬라이드레일 159의 부분보다도 용지트레이 120의 중심위치가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 용지트레이 지지수단 130에 대한 지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 지지장치]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장치 130에 있어서 복사기 본체의 프레임에 접동 가능하게 설비된 본체부 131에 대해서 보조부재 140을 접속할때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트레이 지지부재 130의 본체부 131에 대해서 보조부재 140을 접속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4도에 나타낸 트레이 지지부의 접속시에는 보조부재 140에서 돌출부 141을 절결한 상태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 141을 본체부 131에 설비한 대략 L자상으로 구멍 134에 삽입하고 이 구멍 134의 L자상 선단부를 거쳐서 고정나사 143에 의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 131에 설비하는 구멍 134로서는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부 131의 상판 132와 늘어내린 부분 138의 절곡부에 걸쳐서 보조부재 140의 돌출부 141을 삽입하는 삽입부 134a를 설비하였다. 또 이 삽입부 134a에서 대략 L자상의 절결부 134b를 형성하고 그 선단부를 고정나사의 삽입부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 구멍의 형상은 고정나사가 용이하게 접동하고 빠져나가지 않는 형상의 것이면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부재 140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143은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의 이동을 행하는 경우에도 본체부 131의 구멍 134로부터 빠져 나가는 일이 없고 양 부재의 고정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하여 본체부 131에 대해서 보조부재 140을 접속하는 경우에 이 보조부재 140의 접속부 하부에 설비된 늘어내린 부분 142를 본체부 131의 늘어내린 부분 138에 계합시키는 동시에 양쪽의 늘어져 내린 부분을 고정나사 144등에 의해서 접합한다.
따라서 이 보조부재에 용지트레이의 하중이 걸렀을 경우에도 그 하중에 의해서 보조부재가 아래로 쳐지든지 하는 일이 없고 용지트레이의 지지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급지측의 선단부의 앞판에 캠부재 124를 설비하고 이 캠부재 124가 본체 프레임에 설비한 롤러에 계합되게 되어 있다. 즉,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120을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 세트한 경우에 이 용지트레이 120의 중심위치가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 있어서의 슬라이드레일 159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되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용지트레이의 중심위치가 지지부분보다도 외측에 편재되게 설비하면 용지트레이가 제5도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 대해서 경사진다는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쉽다. 이 형상은 특히 큰 사이즈의 용지를 용지트레이에 대량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발생되기 쉽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용지트레이 120에 대해서 선단부로 돌출시켜서 설비한 캠부재를 본체 프레임에 설비한 롤러 152에 지지시킴으로써 용지트레이를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 대해서 여분의 편심하중이 걸리지 않게 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지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급지부에서는 용지트레이를 복사기 본체에서 측부로 크게 돌출시킨 상태로 배치한 경우에도 그 용지트레이등을 양호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본체부에 대해서 보조부재를 별체로 설비함으로써 복사기 본체의 운반이나 이동시에 용지트레이와 보조부재를 떼어내서 복사기 본체의 측부에 돌출된 것을 없애고 콤팩트하게 형성한 본체를 상자에 넣는등하여 반송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지지부재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하면 콘테이너와 파러트등과 같은 반송수단에 복사기 본체를 올려놓는 경우에도 그 본체의 용적을 작게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본체의 폭을 작게함으로써 좁은 인구로도 용이하게 반입할 수 있고 계단등에서의 운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복사기 본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본체에 대해서 보조부재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지지부재 130에 대해서 용지트레이 120을 올려 놓음으로써 급지부에 있어서의 용지의 세트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급지트레이 안내장치]
상기한 바와같이 복사기 본체에 대해서 용지트레이 지지부재를 장착하고 용지트레이를 세트하는 경우에는 이 용지트레이의 지지부재 130에 대한 위치결정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의 안내수단을 설비할 수 있다.
이 제6도에 나타낸 예에서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의 서랍측단부에 핸들 145를 설비하고 이 핸들 145의 내측에 사면부 146을 형성하고 있다. 또 용지트레이 120에는 핸들측에 돌출부 126을 설비하고 그 돌출부 126을 핸들 154의 사면부 146으로 접동시켜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 대해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핸들에 형성한 사면부를 사용하여 용지트레이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된 경우에는 용지트레이의 돌출부 126의 형상을 사면부 146에 맞추어 형성함으로써 용지트레이를 지지부재 130에 올려놓을때에 양쪽 사면부가 접동되어 상기한 바와같은 지지부재의 돌기와 용지트레이의
Figure kpo00004
부가 용이하게 계합되고 용지트레이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지트레이에 대한 부속장치]
본 발명의 복사기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급지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용지트레이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각 용지트레이에 대응시켜서 설비한 급지롤러와 레지스트레이숀 롤러 또는 반송롤러장치와의 간격이 다르게 되어 하부용지트레이로부터 엽서 등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용지를 송출을 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급지부에서는 상단의 용지트레이에 대해서는 엽서 등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으나 다른 용지트레이에는 작은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할 수 없어 대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에서는 장착가능한 용지트레이의 규제를 하기 위하여 이 용지트레이의 용지사이즈 표시부재 또는 이 표시부재에 인접해서 설비한 돌출부재를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에서는 통상의 용지트레이의 경우와 같이 하여 용지트레이에 수용된 용지의 사이즈를 표시하기 위한 보스 128을 설비하고 있다.
또 이 용지트레이를 급지부에 대해서 장착한 경우에 본체측의 프레임의 단판 160에 설비한 검지수단으로서의 스위치장치가 보스에 의해서 작동되고 그 스위치의 조합에 의해서 장착된 용지트레이에 수용된 용지의 사이즈를 복사기 본체의 제어장치로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120에 있어서는 제6도 및 제7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의 단판 127에서 측부로 돌출한 보스 128을 그 용지의 사이즈에 대응시켜서 복수 조합시켜 설비하고 또 그 측부에 장착 규제용의 보스 129를 배치하고 있다.
또 용지트레이의 장착규제를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용지트레이의 지지부재 130의 삽입측 선단부에 상기 보스 129의 위치에 대응시켜 브라켓 162를 돌출시켜서 설비해 놓아 장착규제를 행할 필요가 있는 용지트레이 장착부분에 대해서 장착의 규제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7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라켓 162에 절결부 163을 설비한 경우에는 보스 129가 이 브라켓 162의 절결부 163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보스 128이 브라켓에 대해서 계합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7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은 브라켓 162a를 설비한 경우에는 단부의 보스 129가 브라켓 162a에 대해서 계합되므로 용지트레이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브라켓을 설비한 경우에는 이 브라켓의 절결부의 형상 등에 의해서 용지트레이의 장착을 할 수 없게 설정되어 있어 특수 사이즈 등의 용지 등을 특정 급지장치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급지부에서는 엽서 등과 같이 작은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트레이를 상단의 것으로 지정할 때에 제7a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절결부를 설비한 브라켓 162를 용지트레이 수용부재의 단부에 배치하고 다른 용지트레이에 대해서는 제7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라켓 162a를 설치한다.
또,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장착규제용의 보스를 부호 129와 129a로 표시된 것과 같이 2개 배치해 놓고 그 한쪽의 보스가 브라켓 162의 절결부 163에 계합된 상태의 경우에는 특정사이즈 용지를 수용한 용지트레이를 그 브라켓을 배치한 곳에는 장착될 수 없게 규제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장착규제용 보스를 설비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의 용지트레이의 규제를 양호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7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보스 129, 129a를 용지트레이에 설비하고 본체측에 절결부 163을 설비한 브라켓 162를 배치한 경우에 이 절결부 163이 한쪽 보스 129에는 계합되지 않고 다른 쪽 보스 129a를 계지시키는 상태로 배치하면 특수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한 용지트레이를 구별하여 임의의 부분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반송롤러장치와 급지롤러와의 간격 등의 조건에 제약을 받아서 엽서 등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용지에 대해서는 상부의 2개의 용지트레이로부터만 급지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다른 용지트레이로부터는 예를들면 B5사이즈의 용지를 횡으로 보내는 이상의 것을 급지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또 장착규제용의 보스를 복수 설비하는 경우에는 엽서 등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용지에 대한 급지를 최상단의 용지트레이로부터만 행할 수 있게 규제하는 것이나 기타의 특수사이즈의 용지에 대해서는 상부의 2단의 용지트레이 중 어는 것으로도 급지를 행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바와같은 급지부에서는 최상단의 용지트레이에 대응하는 급지롤러와 레지스트레이숀 롤러와의 간격을 엽서 등과 같은 최소 사이즈의 용지의 길치에 대응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최소 사이즈의 용지에 대한 복사동작을 양호한 상태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하측의 용지트레이로부터는 그 급지롤러와 반송롤러 장치와의 간격을 예를들면 B5 사이즈의 용지의 횡방향 급송에 대응시켜서 설정함으로써 양호한 상태로 급지동작을 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용지트레이를 사용하여 임의 사이즈의 용지에 대한 복사를 행할 수 있게하는 경우에 특히 용지사이즈에 대응시켜서 용지트레이의 장착위치의 지정을 행할 수 있고 수동트레이 뿐만 아니라 용지트레이도 작은 사이즈의 용지의 급지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그 경우에도 용지트레이의 용지사이즈의 표시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보스를 이용함으로써 특별장치를 설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급지트레이 지지장치의 안내기구]
제8a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의 본체 131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그 하부에 대략
Figure kpo00025
자상으로 절곡된 계합부 1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계합부 135의 하판 136이 본체 프레임에 설비된 롤러 156에 계합된 상태로 이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의 안내를 행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계합부의 구성의 제8b도에도 나타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는 본 발명의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의 안내수단으로서 복수의 롤러 156 이외에 그 이동경로의 양단부 부근에 각각 L형 브라켓 175,175a가 배치되어 있다.
이 L형 브라켓으로는 예를들면 제8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부 176을 급지부의 본체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돌출부분 175를 약간 틈을 갖게 배치하고 그 극간부분에 대해서 계합부 135의 하판 136이 접동될 수 있게 배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5에서는 용지트레이를 지지한 상태로 본체 급지부에 삽탈될 때에 그 단부에 설비한 계합부 135가 복수의 롤러와 L형 브라켓에 의해서 안내되는 동시에 용지트레이가 슬라이드 레일의 외측부분에 중심이 위치되어 있어서도 그 편심된 용지트레이의 중량에 대항하여 용지트레이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고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부재에서는 상기 계합부 135의 직립부재 170의 외측에 캠 171을 배치하였다. 이 캠 171은 전술한 바와같이 지지부재 130의 계합부 135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 지지부재 130의 위치결정 부재로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복사기 본체의 급지부에서는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의 본체부 131이 삽입되는 쪽의 선단부에 L형 브라켓 175와 대향롤러 174이 배치되어 있고 양 부재 사이에 계합부 135의 직립부재 170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대향롤러 174는 스프링 등에 의해서 지지되어 이 롤로 174를 L형 브라켓 175로 향해서 탄지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8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5가 삽입되면 이 대향롤러 174를 캠(171)에 의해서 밀어내게 하여 이 캠 171이 안쪽으로 침입되고 제8c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위치에서 본체부 131의 선단부가 본체프레임 160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 본체부 131의 정지위치에서는 캠 171의 후부가 대향 롤러 174에 압압된 상태로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직립부재 170의 다른측에서는 L형 브라켓 175의 선단부가 위치되게 되어 양 부재의 사이에 직립부재가 끼워진 상태로 용지트랙이 지지부재 130이 정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부재 130에서는 그 지지부재에 용지트레이를 올려놓은 상태로 복사기 본체의 급지부에 삽입되면 이 급지부의 단부에서 대향 롤러 174와 L형 브라켓 175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계지되어 고정되게 되어 있고 그 장착된 용지트레이가 급지부로부터 부주위로 이동되는 일이 없다.
[급지롤러]
본 발명의 급지부에 설비된 각 용지트레이로부터의 용지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급지롤러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예에서, 부호 110으로 나타나 있고, 이 급지롤러 110과 리타드패드 116을 설비한 용지분리기구 115를 조합시켜 용지트레이로부터의 급지의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급지롤러는 제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제10a 및 b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급지롤러는 부호 201로 표시하고 있다.
용지트레이를 복사기 본체의 급지부에 대해서 삽탈시키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이 용지트레이의 이동에 따라 급지롤러가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 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3-37460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이 종래예에 나타낸 급지장치에서는 구동축에 대해서 급지롤러를 접동가능하게 설비하고 용지트레이를 삽입하면 이 용지트레이에 의해서 급지롤러가 눌려서 이 급지장치에 설정된 급지 가능한 위치에서 이 극비롤러를 정지시킨다.
또, 그 이동시에 용지에 대한 노마르포스의 부여기구가 작동된 상태로 되고 구동축을 부여기구가 작동된 상태로 되고, 구동축을 구동함으로써 용지트레이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를 송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용지트레이를 당겨 빼는 경우에는 이 용지트레이를 당겨 빼는 동작에 따라 급지롤러가 이동되어 그 이동 중에 용지에 대한 노마르포스의 해제가 행해진 후에 급지롤러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의 급지롤러의 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긴 구동축에 대해서 급지롤러를 접동가능하게 설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의 구동기어의 부분과 급지롤러에 계합된 부분과의 간격이 크게 떨어져 있다.
또 급지롤러를 지지하는 브라켓 전체를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작용이 작동되어 그 축수부분에 대해서 큰 회전모멘트가 부가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급지롤러 어셈블리 200에 있어서 브라켓 210의 중앙부의 홀더 212에 대해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제9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급지롤러 어셈블리 200에서는 구동축 202를 고정 위치에 설비하여 이 구동축에 대해서 급지롤러 201과 브라켓 210을 접동가능하게 설비하고 이 브라켓 210과 복사기 본체의 급지부의 안쪽 단부에 설비한 스톱퍼 205와의 사이에 스프링 203을 설비하고 있다.
이 스프링 203은 용지트레이가 삽입될 때에 브라켓의 이동에 의해서 압축되고 급지롤러를 급지위치에 보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용지트레이가 인출될때에는 소정의 위치까지 급지롤러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행하고 다음 용지트레이의 장착을 위하여 대기하는 위치에 이 급지롤러 어셈블리를 보지하는 작용을 행한다.
상기 급지롤러 201은 브라켓 210의 단홀더 211과 홀더 212와의 사이에 설비되어 있고 이 구동축 202에 설치된 각형 축부분에 접동가능하게 설비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구동축의 구동력이 롤러에 전달될 수 있게 설비된다.
또 브라켓 210의 삽입방향 선단부에 설비된 아암 217은 그 선단부에 단부재 213을 지지하고 있고 이 단부재 213에 설비된 계합부 215가 복사기 본체의 급지부의 안쪽부분에 설치된 스톱퍼 205의 계지부 206에 계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서 브라켓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또, 상기 구동축 202에 대해서 본 발명의 브라켓 210에는 단 홀더 211과 중앙부의 홀더 212 및 단부재 213의 각각에 대해서 축수 220, 222 및 223을 배치하고 있고 각각의 축수는 구동축 202에 대해서 접동가능한 동시에 축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급지롤러 어셈블리 200에 있어서 구동축 202의 단부에 설비한 구동기어를 거쳐서 구동축 202가 구동되고 이 구동축을 거쳐서 급지롤러 201을 회전시켜 급지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아암 217의 선단부에 축수 223을 설비하여 단부재 213을 설비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아암 217만으로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시키게 구동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그 구동축과 급지롤러와의 계합부분 및 중앙부의 홀더 212의 부분의 축수 202와의 사이에 종이분말 등이 부착되면 구동축의 회전에 대한 부하가 증대되고 단부 기어에서 물어뜯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이것은 특히 긴 아암을 사용하고 스톱퍼 205와 축수 220과의 간격이 긴 경우에는 이 축수 220의 홀더 212에 대한 비틀림 작용으로 나타나게 되고, 그 비틀림이 발생됨으로써 축수 220이 기울고 또 구동축에 대한 부하가 증대된다는 문제로 발전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급지롤러 어셈블리 200에 있어서는 아암 217의 선단부에 축수 223을 설비한 단부재 213을 배치하고 이 단부재의 축수에 의해서 구동축 202를 지지하게 구성한다.
또 이 축수 223에 의해서 축 202를 지지함으로써 중앙부의 축수 220에 대해서 큰 회전 모멘트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동축의 구동기어 7에 대해서 여분의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중앙부의 홀더 212에 대해서는 축수 220과 코어 221을 배치하고 이 축의 회전과 접동이 양호하게 행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용지분리기구]
전술한 바와같은 급지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된 용지분리기구로서 사용되는 리타드 부재는 제10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10a도에 나타낸 리타드패드 240은 패드 홀더 241에 설치한 수용부 242에 수용되고 이 수용부 242의 저면에 패드 240이 접착제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패드홀더 241에는 패드 수용부 242를 둘러쌓게 양측에 횡부재 233, 244를 설비하고 있어서 이 수용부 242에 수용된 패드 240에 대해서 그 4방을 홀더의 본체로 커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패드 홀더 241에는 아암 245가 설비되고 이 아암이 제11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부 라켓에 대해서 접동될 수 있게 배치된다. 또 상기 아암 245의 하부에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부 246이 배치되고 이 돌출부 246이 패드를 눌러내리는 후크에 계합되어 리타드 패드 상하동 동작을 행할 수 있게 설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타드 부재에 있어서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급지부의 고정위치에 배치된 용지분리기구에 대해서 급지롤러 201이 용지트레이와 함께 이동되고 이 급지롤러 201이 용지분리기구의 리타드패드 240에 접촉된 상태로 된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타드패드의 지지방식에 의하면 이 급지롤러 201이 패드 240의 횡부분에 맞닿아도 이 패드는 제10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급지롤러와의 접동방향의 양측에 횡부재 243,244를 설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패드에 가해지는 힘을 그 횡부재로 받게 된다.
이에 대해서 제10c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래예의 리타드 패드의 지지방식의 경우에는 패드를 홀더 241의 상부에 형성한 홈에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급지롤러의 이동에 의해서 양자가 접촉할 때에 패드 240에 가해지는 횡방향의 힘에 의해서 패드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0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패드의 지지방식을 사용하면 용지트레이를 당겨 뺄때에 이 리타드패드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었던 경우에도 그 급지부에 다음 용지트레이가 장착될 때에 이 급지롤러가 강하게 압압되었다 할지라도 이 급지롤러에 의해서 패드를 홀더로부터 벗겨진다는 바람직하지 않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급지롤러에 대해서 리타드 부재가 양호한 상태로 세트되어 용지분리기구로서 정상적으로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 제11a 및 c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0a도에 나타낸 리타드 패드를 사용하여 용지 분리기구를 구성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1a 및 c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홀더 241의 아암 245는 본체 브라켓 231의 상측의 경사부에 접동가능하게 설비되어 있어서 핀 235가 용지트레이의 삽탈 동작에 의해서 상하동 됨으로써 급지롤러 201에 대해서 떨어지거나 접촉되는 동작을 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패드홀더 241의 아암 245의 후부에 설비된 돌출부 246에는 패드를 밀어내리는 후크 250의 압압부 251이 계합되어 있고 이 후크 250이 핀 235에 의해서 상하동 됨으로써 이 홀더 241을 상하동시키게 되어 있다. 이 핀의 상하동 동작은 본체 브라켓 231에 형성한 긴 구멍 232에 따라서 행해지는 것이고 그 긴구멍 간격의 범위내에서 핀 235가 상하동을 행할 수 있게 설비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 브라켓 231은 제2도에 나타낸 본체 프레임 150의 직립부 151과 일체의 것이라도 좋고, 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직립부 151에 대해서 별체로 형성된 브라켓을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핀 235를 상하동시키기 위한 기구는 상기 제2도 등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트레이에 설비한 캠부재 124에 의해서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캠재 124를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2-157725호 공보 등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의 캠으로서 구성하고 이 캠의 소정 위치에 설비한
Figure kpo00024
부 등의 핀이 계지된 경우에 리타드 패드가 급지롤러에 압압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리타드패드 240을 급지롤러에 대해서 떼거나 닿게 하기 위한 후크 250은 스프링판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 것이며 이 후크의 탄성력에 의해서 홀더가 급지롤러의 이동 동작에 의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정지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후크 250은 그 본체의 하부가 핀 235에 계합되어 이 핀 235가 용지트레이의 캠에 의해서 상하동됨으로써 라티드패드 240을 급지롤러에 대해서 떼거나 닿게 하는 등의 동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핀 235와 후크 250의 계합부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쉽다.
이 문제는 종래의 계지부가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핀 235의 단부의 고정부재 237과 본체 브라켓과의 사이에 스프링 238만을 설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스프링의 힘에 반하여 후크 250이 불규칙적인 이동을 하여 후크가 패드홀더의 아암의 돌출부에서 벗어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제11a 및 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핀 235에 대해서 스프링 238을 설비하는 동시에 그 주위에 소정길이의 칼라 236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핀 235에 대해서 후크 250이 불규칙적인 이동을 하는 등의 경우에도 칼라 236에 의해서 그 이동이 규제되므로 이 후크 250이 홀더의 아암의 단부에서 벗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패드홀더와 본체 브라켓과의 관게는 제11c도에 상세하게 나타냈다. 이 제11c도에 나타낸 사시도는 장치의 배면부분에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패드를 눌러내리는 후크 250은 본체 브라켓 231의 배후에서 이 브라켓의 후부에 돌출되어 있는 후측 가이드 233에 의해서 그 양측이 규제된 상태로 설비된다.
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구멍 252를 거쳐서 상기 후크 250이 핀 235에 대해서 지지되어 있고 이 후크는 급지롤러의 이동 방향에 약간의 요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지분리기구 230에서는 급지롤러가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태로 용지트레이와 함께 이동되고 그 이동에 의해서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급지롤러가 리타드 패드에 대해서 접촉해도 이 패드의 지지기구가 전체로서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롤러에 의해서 패드에 무리한 압압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이 라타드 패드는 급지롤러에 대해서 정상상태로 압압되어 용지 분리작용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용지 분리기구에 있어서 용지트레이를 당겨 뺄 경우에는 급지롤러에 의해서 리타드부재를 당겨 빼는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이 리타드 240은 아암 245를 거쳐서 크게 기울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패드를 눌러내리는 후크를 사용함으로써 그 아암을 원 위치로 복귀하는 작용이 자동적으로 작용하므로 이 리타드 부재가 기울어진 위치에서 정지된다는 바람직하지 않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된 후크 250을 핀 235에 대해서 스프링과 칼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 후크가 후측가이드 233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고 아암 245를 거쳐서 패드 240을 정상위치로 보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의 급지 장치의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 중 전자사진 복사기에 적용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복사기만이 아니고 다른 레이저 프린터등의 프린터 장치, 팩시밀리 등의 장치이외에도 일반적인 커트지를 사용하여 화상의 전사를 행하고 기록지를 작성하는 장치 전반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며 특히 복사기에 적용하는 것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용지 수용 수단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지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용지트레이 이외에 급지 카세트 등의 다른 용지 수용 수단에도 본 발명의 급지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용지트레이 등의 용지 수용 수단을 본체의 축부에 돌출시켜서 설비함으로써 본체 내부에서의 용지의 반전 등의 기구를 여유를 갖고 설비할 수 있어서 그에 의해서 장치의 메인테난스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등은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반송등시에는 본체를 콤팩트화 할 수 있어서 비교적 좁은 장소에도 용이하게 반입시킬 수 있어서 조립등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의 지지기구는 대량의 용지를 수용한 상태에서도 이 용지트레이의 중량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본체로부터의 용지트레이의 출입동작을 가볍게 행할 수 있으므로 용지의 보급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더하여 본 발명의 용지트레이 지지기구에 있어서는 용지트레이를 지지기구의 올려놓기가 용이함과 동시에 특정 사이즈의 용지의 수용규제등을 임의로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화상담지체 등에 대한 화상전사부를 향해서 용지 수용 수단부터 용지송출수단을 사용하여 용지반송로를 거쳐서 용지를 송출하고 입력된 화상전보를 전사하는 등의 동작에 의해서 기록지를 작성하도록 구성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용지 수용 수단을 용지트레이와 이 용지트레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용지 수용 수단을 다단으로 설비하여 각각의 용지 수용 수단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전면으로 당겨 뺄 수 있게 설비하고 이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이 급지장치의 프레임에 대해서 용지트레이의 중심부분보다도 본체측의 부분에서 안내수단을 거쳐서 접동가능하게 설비하는 동시에 상기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의 안내수단을 프레임의 단부에 설비한 슬라이드 레일장치와 트레이 지지수단의 프레임측 단부에 설비한 가이드수단으로 구성하고 또 상기 용지트레이의 본체측 단부를 본체 프레임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안내하고 이 용지트레이가 일단 지지상으로 지지될 때에 이 본체프레임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용지트레이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본체에 접동가능하게 설비된 본체부분과 이 본체에 대해서 떼어낼 수 있는 보조부재로 구성되고 이 보조부재는 급지장치에서 측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트레이 지지수단의 본체 부분은 그 상면에 용지트레이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돌출부 및/또는 용지트레이의 프레임의 일부를 접동시키기 위한 부재를 갖고 보조부재의 접속을 행하는 단부측에 슬라이드 레일장치를 배치하고 이 슬라이드 레일장치의 급지장치 본체측에 가이드 수단을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형성장치의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의 급지부에 설비한 급지롤러 어셈블리를 급지트레이의 삽탈동작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비하여 이 급지롤러를 급지부에 위치결정할 때에는 상기 어셈블리의 단부를 본체 계합부에 대해서 고정하고, 이 급지롤러 어셈블리에 비틀림방향의 힘이 부가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급지장치.
  5. 급지장치에 설비하는 용지분리 기구로서의 리타드 패드는 홀더에 대해서 측면의 4방이 커버되는 상태로 설비되어 이 패드와 급지롤러와의 계합시에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 리타드패드의 지지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패드를 눌러내리는 후크를 거쳐서 지지됨으로써 급지롤러와의 계합 이탈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이 리타드 부재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19890010562A 1988-07-26 1989-07-2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960002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86180 1988-07-26
JP63186180A JP2606307B2 (ja) 1988-07-26 1988-07-26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36A KR900002136A (ko) 1990-02-28
KR960002896B1 true KR960002896B1 (ko) 1996-02-27

Family

ID=1618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562A KR960002896B1 (ko) 1988-07-26 1989-07-26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06307B2 (ko)
KR (1) KR9600028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38228A (ja) 1990-02-07
KR900002136A (ko) 1990-02-28
JP2606307B2 (ja)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5181B1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H0244734B2 (ko)
US538365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750571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eaturing pull-out developing and sheet feeding devices
KR960002896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US462930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jammed paper access opening
JPH04182234A (ja) 記録装置の給紙装置
JPH07228363A (ja) 給紙装置
JP250583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18845A (ja) カセット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3431978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85632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8341B2 (ko)
JP2876254B2 (ja) 普通紙を記録紙とする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41951Y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2158542A (ja) 画像形成装置
JP2938145B2 (ja) 複写機内蔵型デスク
JPH075765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1172132A (ja) 開閉可能な搬送手段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6110278A (ja) 電子写真装置
JP2002128298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338818A (ja) シート使用装置の給紙装置
JPS62140947A (ja) シ−ト供給装置
JP2000025984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6566A (ja) 排紙集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