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725B1 - 방수 투습성 적층체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방수 투습성 적층체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725B1
KR960002725B1 KR1019880007238A KR880007238A KR960002725B1 KR 960002725 B1 KR960002725 B1 KR 960002725B1 KR 1019880007238 A KR1019880007238 A KR 1019880007238A KR 880007238 A KR880007238 A KR 880007238A KR 960002725 B1 KR960002725 B1 KR 96000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thermoplastic resin
moisture
resin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234A (ko
Inventor
다게오 가도오
히데기 야마모도
나오기 미야자기
Original Assignee
도쯔방 인사쯔 가부시기가이샤
스즈기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8410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86871U/ja
Application filed by 도쯔방 인사쯔 가부시기가이샤, 스즈기 가즈오 filed Critical 도쯔방 인사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55Void-containing component partially impregnated with adjacen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55Void-containing component partially impregnated with adjacent component
    • Y10T428/249958Void-containing component is 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6With internal element bridging layers, nonplanar interface between layers, or intermediate layer of commingled adjacent foam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1Plural void-containing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025Coating produced by extr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21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ater p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221Coating or impregnation is specified as water proof
    • Y10T442/2246Nitrogen con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수 투습성 적층체 및 그 용도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기타 제조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이불의 안주머니로 사용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공질 기재(多孔質其材)와 얇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화 한것으로, 액체가 통과할 핀홀(Pin Hole)이 없고, 다공질 기재가 갖는 품위를 저하시키지 않기 때문에 포장재료, 의류, 의료용 재료, 위생재료 등으로서 사용되는 방수성소재, 투습성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방수투습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천, 부직포, 조위등의 다공질 기재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크게 나누어 3 가지 방법이 있다.
제1은, T다이캐스트법, 인프레이션(Inflation)법등에 의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사전에 제조한 다음, 접착체등을 통하여 다공질 기재와 맞붙이는 방법이고, 이경우 핀홀의 발생이 없고, 방수성면에서도 더욱 확실하다.
공정수가 많고, 제조단가가 높으므로 용도가 한정된다.
제2도는 다공질 기재위에 직접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눌러 적층화함과 동시에 냉각 고정화시켜 적층체를 얻는다. 이른바 눌음라미네이트법이며, 1공정에서 적층체를 얻게되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용융상태 저점도의 열가소성 수지는, 다공질 기재와 가압하여 붙이는 것이므로 열가소성 수지는 다공질안에 들어끼워지며, 또 다공질 기재표면의
Figure kpo00001
이나 섬유상의 돌기에 의해 용융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미세하게 파괴돼어 핀홀의 발생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핀홀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지두께를 두텁게 하는 수단을 취한다.
예를들면 부직포/폴리에틸렌의 적층체에 잇어서 높은 방수성을 확보하는데는, 적얻 폴리에틸렌 두께는 40μ이상, 바람직하기는 60μ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지두께가 두터워지면 당연하게는 천, 부직포등의 다공질 기재의 보낼의 품의가 손상되고 적층체로서는 딱딱해져 상품효과가 줄어든다.
다음에 제3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유기용제로 용해하고, 다공질 기재위에 그라비야코오트, 로울코오트 등의 방법으로 용액 코팅한다음 용제를 휘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용액이 다공질 기재안에 침투하고 또 포말을 안아들이는 용제의 휘산으로 핀홀이 더욱 발생하기 쉽고, 방수층의 형성방법으로서는 더욱 적당치 않은 방법이고, 일반적으로 눈짐작효과를 기대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또 용액의 뒷처리란 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공질 기재는 한정된다.
이상과 같이 다공질 기재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수지필름의 적층체에 있어서 핀홀이 없는 높은 방수성과, 다공질 기재의 느낌의 유지를 겸비한 것은 얻을 수 없어 희망하든 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공질 기재위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눌러 빼어 박편으로 한 방수, 방습성 적층체로서 핀홀이 없는 높은 방수성과, 다공질 기재의 풍합을 겸비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불의 내주머니, 의료용 방수생지, 수술의류용 생지, 차광용 생지로서 사용에 적합한 방수, 투습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다공질 기재위에 눌러뺀 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의 용융점도가 5×10⁴보이즈(측정조건 : 하중 10㎏f, 노즐지름 1㎜, 길이 1㎜ : JIS K 7311,10)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눌러 빼고 박편으로된 방수, 투습성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체를 얻기 위한 눌러빼는 압출법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층체를 얻기위한 압출라미네이트(Laminate)의 개념도이다.
다공질 기재(1)와 용융상태의 열가소성 수지(2)는 적층화되어 적층체(3)를 얻을때에 열가소성 수지(2)는 압출기(4)로 가열용융하고 T다이(5)의 홈에서 필름상으로 압출되고, 다공질기재(1)와 접촉하면 동시에 냉각로울(6)과 가압고무로울(7) 사이에서 가압되어 연속적으로 부쳐져, 이와동시에 용융 열가소성 수지(2)는 급속하게 냉각되어 고정화함으로서 적층체(3)를 얻게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박편함에 있어서, T다이에서 압출된 직후의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점도는 대게 10³-10⁴ 보이즈의 범위가 적합하며, 이로서 저점도에서는 안정한 용융필름을 유지할 수 없고 수지두께의 균일한 적층체는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그점도에서는, 안정하여 용융필름이 얻을 수 없으며 수지두께의 두텁고 얇음이 발생하고, 또 수확하는 속도를 빨리하면 필름이 짤라지고, 압출박형화를 이룰 수 없다.
또 높은 용융점도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눌러 뽑아내려해도 압출기 모터에 높은 부하가 걸려 토출이 고루지 못할뿐 아니라, 압출기내에서 발열현상이 발생, 안정한 압출 박편화는 곤란해진다.
그러므로 각종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에 있어서는, 상기 적정 용융점도 범위에 들어가도록 압출기 가열온도를 설정하다.
또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용융상태의 열가소성 수지(2)는, T다이(5)에서 압출되고 나서 가압 부처질때 까지에 어느거리(에어갭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10-15Cm)의 사이 자연냉각되고 부처진 다음에는 냉각 로울에 의하여 강제냉각된다. 실측에 의하면 가압부 침부에서의 수지온도는, T다이 출구에서의 수지온도보다 20-30℃ 낮다.
본 발명에 잇어서 T다이(5)에서 압출된 직후의 열가소성 수지(2)의 용융점도는, 상기 적성점도 범위에 있으며, 가압부침부에 도달한 시점, 즉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에서의 용융점도는 적어도 5×10⁴보이즈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즉 압출온도에서 저온측에서의 용융점도 상승곡선이 급격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압출온도에서 적어도 20℃ 낮은 온도에서의 용융점도가 5×10⁴보이즈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면, 5-30μ(바람직하기는 2-20μ)의 수지두께에서는 핀홀이 없는 적층체를 얻게 된다.
이에 대하여 5×10⁴보이즈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에서는 그 점도가 내려감에 따라 핀홀의 발생은 증가하고, ×10⁴보이즈 정도의 열가소성 수지에서는 수지두께 50μ에서도 부분적 핀홀을 인정하고 그 방수성은 완전한 것은 아니며 또 품위도 떨어진다.
여기서 용융점도의 측정은 JIS K 7311,10(1987)에 의거 실시, 그 측정조건은 하중 10㎏f, 노즐지름 1㎜, 노즐길이 1㎜로 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2)로서는,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정도에서의 용융점도는 적어도 5×10⁴보이즈 이상의 수지이면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나, 이러한 조건에 적합한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텔수지가 바람직하다.
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텔수지에서는, 온도변화에 대한 용융점도 변화는 크게,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하여는 바람직하나, 압출가공성면으로는 그러한 수지는 안정성이 없고 따라서 정도가 높은 온도조정이 요구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용융점도의 온도 의존성이 높고 압출가공성이 낮은 수지를 이용 또 수지두께를 될수 있는대로 얇게할 필요가 있으므로, 특공소 60-52950호 공보에 표시되는 공압출 코팅법(도면 2참조)를 이용할수도 있다.
이 공압출 코팅법에서 도면 1의 방법과 상이하는 점은 압출기(4)로서 2개의 압출실린더(4a)(4b)를 구비한 것을 이용, 일방의 실린더(4a)에 다공질 기재위에 코팅할 열가소성 수지를 흐르게하고, 타방의 실린더(4b)에 이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벗겨내는 성질을 가진 벗겨냄용 수지를 흐르게하고 이것들을 다이스(5)에서 열가소성 수지필름(2)과 벗겨냄용 수지필름(8)과의 적층체로서 토출시켜, 냉각로울(6)과 가압고무 로울(7)과의 사이에 유도하여 다공질기재(1)에 적층시켜 이중, 벗겨냄용 수지필름(8)을 벗기도록 한점이다.
도면 제2에 있어서 도면 제1의 것과 동일부재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텔수지로된 열가소성 수지층(2)과 이에 대하여 벗겨내는 성질이 있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등의 수지층(8)과 공압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층(2)은 다공질 기재측에 오도록 공압출 박편화한 다음, 수지층(8)을 벗겨냄으로서 목적의 적층체를 얻는 것으로, 공압출법에 의하여 수지두께를 수μ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투습성이 필요한 경우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투습도를 800g/㎡·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00g/㎡·24시간 이상이 된다. 또 투습도를 크게하는데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한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텔수지중 어느 일종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성 수지를 5-30중량%의 범위로 배합한다.
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성 수지로서는 스미카겔 R-30F, 스미카겔 R-30R(모두 스미도모 화학제품임). 아크어풀렌 P-180(아끼나리 화학제), VITERRA(Nepera 사제)를 사용할수가 있다.
상기 배합율은 5중량% 이하에서는, 투습성의 향상은 불충분하며, 또 30중량%를 넘으면 투습성의 증가율이 적고, 막의 강도는 약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질 기재는 (1)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된 천 또는 부직포 및 조위 또는 발포시이트등의 단체에서는 방수성이 없는 다공질 재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질 기재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눌러빼어 라미네이트법에 의하여 적층화할때에, 적층화되는 시점의 온도에서의 용융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점도는 높게함으로서 용융필름 강도를 높게하고, 다공질 기재가 먹어들어가는 것을 낙게 억제하고 또 다공질 기재가 먹어들어가는 것을 낮게 억제하고 또 다공질 기재표면의
Figure kpo00002
이나 섬유상 돌기물에 의한 용융필름이 미세하게 파괘하는 것을 방지하여 핀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열가소성 수지의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크게 얇게할 수가 있고, 다공질 기재의 품위를 손상하지 않는 핀홀이 없는 적층체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핀홀이 없는 방수성, 습투성에 우수하고, 또 볼품이 있을뿐 아니라, 세탁적성을 갖는 적층체임으로 이 적층체는 단순한 외장의복만이 아니고 병원에서 사용하는 수술의복, 이불에 면등을 넣는 내포대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1]
다공질 기재로서 나이론 부직포(평량 24g/㎡)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수지(일본 엘라스트란(주) 제E580PNAT) 및 비교예로서 폴리에틸렌수지(미쯔이 석유화학(주)제, 미라손 16P)를 사용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하여 수지두께가 상이한 7종류의 적층체를 얻었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하여는 폴리프로피로필렌(미쯔이석유(주)제노오브렌 FL258)와의 공압출 라미네이트한다음 폴리프로필렌을 벗겨내고, 부직포/폴리우레탄 수지의 적층체를 얻었다.
압출 온도조건 및 용융점도를 표-1,2에 표시한다.
[표 1]
폴리우레탄수지의 공압출조건
Figure kpo00003
PU : 폴리우레탄
PP : 폴리프로필렌
[표 2]
폴리에틸렌수지의 압출조건
Figure kpo00004
PE : 폴리에틸렌
얻어진 7종류의 적층체에 대하여 핀홀시험 및 품위평가를 한결과에 대하여 표-3에 표시한다.
또 핀홀시험은 20×20㎝의 적층체의 부직포에 메틸렌 부루용액(메틸렌 부루 0.3g/100㎖물) 20㎖를 똑같이 흡수시킨 다음 알미판/납지/폴리우레탄수지(또는 폴리에틸렌수지)/부직포/알미판의 순서로 포개서 10㎏f 하중을 걸어 5분간 방치한 다음 납지에 침출한 메틸렌 부루의 청색 반점수를 측정한다.
[표 3]
Figure kpo00005
PU : 폴리우레탄
PE : 폴리에틸렌
○ : 양호
△ : 대체로 양호
× : 불량
표-3에 있어서 품위는 감속평가 결과이고, 허리의 강도는 루우프 테스터((주)동양정기제작소)에 의하여 시료를 20㎝ 폭으로 자른 루우프상으로 휘어 루우프의 직경방향으로 눌러 파괘한때의 힘을 측정하고 허리의 강약을 평가했다.
또 세탁시험은 20×20㎝의 각 시료를 가정용 세탁기에 넣어 중성세째 세탁, 1시간후 휘저어빨음 15분, 탈수 5분후 바람에 건조하였다.
표-3에 결과로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에 잇어서의 용융점도는 8.5×104보이즈(at 190℃)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10μ이상 사용한 적층체에서는 핀홀의 발생이 없고 촉감도 대단히 우수한 방수소재를 얻었고, 또 이들의 성능은 세탁시험후에도 유지하는 것이었다.
한편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에서의 용융온도는 1.4×104보이즈(at 290℃)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한 적층체에서는 수지두께 60μ이상이 아니면 핀홀이 방지되지 않으며 촉감도 딱딱한 것이었다.
[실시예-2]
다공질 기재로서 레이온 부직포(평량 85g/㎡)을 사용, 열가소성제수지로서 용융점도가 상이한 2종류의 폴리우레탄수지, 즉 폴리우레탄 A(일본 에라스트란제E780P18) 및 폴리우레탄 B(일본 폴리우레탄계 필라플레 P25MRNAT)을 사용하고 폴리프로필렌(미쯔브시(화)제노오브덴 FL25B)와 공압출 라미네이트법후, 폴리프로필렌을 벗겨내고 폴리우레탄 수지두께가 상이한 6종류의 적층체를 얻었다.
압출온도 조건 및 용융점도를 표-4, 표-5에 또 얻어진 6종류의 적층체의 핀홀시험 및 촉감평가 결과로 표-6에 표시한다. 또 평가방법은 실시예-1과 같다.
[표 4]
폴리우레탄수지의 공압출조건
Figure kpo00006
PU : 폴리우레탄
PP : 폴리프로필렌
[표 5]
폴리우레탄수지의 압출조건
Figure kpo00007
PU : 폴리우레탄
PP : 폴리프로필렌
[표 6]
Figure kpo00008
PU : 폴리우레탄
표-6의 평가결과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라해도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에서의 용융점도는 4.0×10⁴보이즈의 폴리우레탄 A에서는 실시예 -1의 표-3에서 표시한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하면 핀홀의 발생은 적은것은 완전한 방수성을 얻기 위해서는 수지두께 40μ이상 필요한데 대하여,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폴리우레탄 B에서는 10μ두께에 있어서도 핀홀의 발생은 인정할 수 없으며, 촉감도 양호하며, 우수한 방수성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3]
다공질 기재로서 나이론천(평량 35g/㎡)을 사용,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아미드수지(엘라스토마)(ATOCHEM 사제PEBAX3533 SN00)를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층 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하여 5종류의 적층체를 얻었다.
압출조건 및 용융점도를 표-7에 표시하고 얻어진 5종류의 평가 결과를 표-8에 표시한다.
[표 7]
폴리아미드수지의 압출조건
Figure kpo00009
[표 8]
Figure kpo00010
[실시예-4]
다공질 기재로서 폴리에스텔 부직포(평량 34g/㎡위에, 2액반응형 우레탄 접착제를 도공, 건조하고 다시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스텔수지(에라스토마)(다이닛뽕 화가꾸(주)제그리락스 E-500)를 또 비교예로서 폴리에틸렌수지(미쯔이 석유화학(주)제미라손 16P)를 사용,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단층 압출 라미네이트한 수지의 두께가 상이한 7종류의 적층체를 얻었다.
폴리에스텔수지(에라스토마)의 압출온도 조건 및 용융점도를 표-10에 표시한다. 또 얻어진 7종류의 적층체의 핀홀 시험 및 촉감평가 결과를 표-11에 표시한다. 또 폴리에틸렌수지의 압출조건, 용융점도 및 적층체의 평가방법은 실시예 1과 같다.
[표 9]
Figure kpo00011
[표 10]
Figure kpo00012
표-10의 결과로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에서의 용융점도는 9.2-10⁴보이즈(at 190℃)의 폴리에스텔수지를 15μ이상 사용한 적층체에서는 핀홀의 발생이 없고 촉감도 대단히 우수한 방수성 소재를 얻었다.
이들의 성능은 세탁시험후도 유지하는 것이었다.
한편, 압출온도에서 20℃ 낮은 온도에 있어서의 용융점도는 1.4×10⁴보이즈(at 290℃)의 폴리에틸렌수지를 이용한 적층체에서는 수지두께가 60μ이상이 아니면 핀홀을 방지할 수 없으며, 그 촉감도 딱딱하였다.
[실시예-5]
실시에의 우레탄 B의 중합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흡수성 수지(스미카겔 R-30R 스미도모 화학제)를 0-35중량%의 범위에서 배합하고, 폴리우레탄수지를 얻었다.
이들의 폴리우레탄수지와 폴리프로필렌을 공압출방법으로 제막한다음, 폴리프로필렌을 벗겨내고 9종류의 두께 20μ의 구멍없는 폴리우레탄막을 얻었다.
또 비교로한 습식 제막법에 의한 막두께 20μ의 미다공성 우레탄계 투습성 방수막을 사용, 투습도, 내수압, 항장력, 신장도, 감촉을 평가하여 표-11에 표시한다.
[표 11]
Figure kpo00013
표-11 결과에서 폴리우레탄 수지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성 수지를 배합함으로서, 투습도는 증대하고, 배합을 10wt%로 미배합한 폴리우레탄막에 비하여 약 2배 배합을 20wt%로 약 3배의 투습도를 표시하고, 종래의 미다공성 우레탄계 투습성 방수막보다 높은 투습도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무공투습성 방수막의 내수압은 모두 2000㎜H2O 이상과 무공임으로 완전한 방수성을 나타낸다. 또 폴리우레탄 수지를 주체로 하고, 무공임으로 항장력, 신장도등의 기계적 강도는 폴리우레탄막에서 본래대로 높이 유지되고, 특히 항장력의 가치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종래의 미다공성 우레탄계 투습성 방수막에 비하여 특별히 막의 강도를 갖는다.
또 막의 촉감을 비교하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성 수지 미배합의 폴리우레탄막, 본 발명의 무공 투습성 방수막은 유연하면서 강하여 우수한 촉감을 얻음에 대하여 미다공성 우레탄계 투습성 방수막에서는 약간 유연성이 약하며, 약간의 딱딱한 느낌이 있었다.
[실시예-6]
제3도는 본 발명의 방수·투습성 적층체를 이불의 내포 대재로 사용한 예를 예시한 것으로, 다공질기재(1)와 그 위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층(2)으로된 방수, 투습성 적층체(3)를 내포대로 하고, 이에 중면(中綿)을 싸고, 그 외측을 외포대(10)로 다시 덮어 씌운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이불에 의하면, 방수, 투습성 적층제(3)를 내포대로 하여 사용함으로 중면으로서 털, 날개모 및 양모등의 동물섬유 혹은 목면으로 대표되는 식물섬유등의 섬유길이가 짧은 소재를 채워넣어도 이불의 내포대 및 외포대에서 돌출하거나, 날아나지 않는다. 따라서 의복이나 실내를 오손시킴이 없이 위생적이다.
또 내포대의 소재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한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어서, 내포대의 공기유통이 낮게 억제되어 이불전체로서의 보온성이 증대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공질 기재와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 라미네이트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크게 수지두께를 얇게해도 핀홀이 없는 적층체를 얻을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촉감이 좋고 우수한 방수성 소재를 얻을 수 있다.
압출 라미네이트법, 또는 공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하여 적층체를 얻을 수 있어서 제조공정이 1공정으로 되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도 로스없이 저렴가로 방수성 소재를 얻게 된다.

Claims (12)

  1. 다공질 기재위에 압출온도보다 20℃ 낮은 온도에서의 용융점도가 5×10⁴보이즈(측정조건 : 하중 10㎏f, 노즐지름 1㎜, 노즐길이 1㎜ : JIS K 7311,10)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압출 라미네이트 하여서된 방수, 방습성 적층체.
  2. 열가소성 수지층은 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텔수지중 어느 1종인 제1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
  3. 열가소성 수지층은 5-30μ, 바람직하기는 5-20μ의 범위 두께인 제1항 기재의 방수습투성 적층체.
  4. 열가소성 수지층을 이 열가소성 수지와 벗겨내는 성질을 가진 수지층과 같이 공압출하고 라미네이트하는 제1항 기재의 방수방습성 적층체.
  5. 열가소성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수지를 5-30중량% 배합한 수지로된 제1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
  6. 열가소성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수지를 5-30중량% 배합한 수지로된 제3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
  7. 열가소성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흡수수지를 5-30중량% 배합한 수지로된 제4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
  8. 수지층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된 제4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
  9. 제1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는 이불의 내포대로서 사용.
  10. 제1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는 의료용 방수 시이트용 생지로서 사용.
  11. 제1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는 의료용 방수 시이트용 생지로서 사용.
  12. 제1항 기재의 방수, 투습성 적층체는 차광용 생지로서 사용.
KR1019880007238A 1987-06-19 1988-06-16 방수 투습성 적층체 및 그 용도 KR960002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53064 1987-06-19
JP153064 1987-06-19
JP15306487 1987-06-19
JP62-184101 1987-12-01
JP1987184101U JPH0186871U (ko) 1987-12-01 1987-12-01
JP184101 198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234A KR890000234A (ko) 1989-03-13
KR960002725B1 true KR960002725B1 (ko) 1996-02-26

Family

ID=2648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238A KR960002725B1 (ko) 1987-06-19 1988-06-16 방수 투습성 적층체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57393A (ko)
EP (1) EP0295694B1 (ko)
KR (1) KR960002725B1 (ko)
DE (1) DE38778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1409D0 (en) * 1989-05-18 1989-07-05 Woodcock Ashley Infection barrier
EP0420488B1 (en) 1989-09-25 1993-07-21 Schneider (Usa) Inc. Multilayer extrusion as process for making angioplasty balloons
US5195969A (en) 1991-04-26 1993-03-23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Co-extruded medical balloons and catheter using such balloons
GB9311092D0 (en) * 1993-01-28 1993-07-14 Du Pont Int Extrusion process
US5509142A (en) * 1993-06-30 1996-04-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aised arm coveralls
US6896842B1 (en) 1993-10-01 2005-05-2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edical device balloons containing thermoplastic elastomers
WO1995009667A1 (en) 1993-10-01 1995-04-13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edical device balloons containing thermoplastic elastomers
EP0729330B8 (en) * 1993-11-18 2006-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and apertured, three-dimensional, macroscopically expanded plastic web
KR100353700B1 (ko) * 1993-11-18 2003-10-0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직조된 착용자-접촉면을 갖는 흡수제품용 웹
GB2285411B (en) * 1993-12-22 1997-07-16 Kimberly Clark Co Process of manufacturing a water-based adhesive bonded, solvent resistant protective laminate
US5520980A (en) * 1994-01-31 1996-05-28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tective barrier apparel fabric
US5665452A (en) * 1994-03-03 1997-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laminate webs
US5487189A (en) * 1994-03-16 1996-01-30 Kimberly-Clark Corporation Coveralls having reduced seams and seamless shoul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700779A3 (de) 1994-08-10 1996-06-26 Von Borries Horst Diffusionsoffene Baufoli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4428304A1 (de) * 1994-08-10 1996-02-15 Borries Horst Vo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iffusionsoffenen Unterspannbahnen
CA2149701A1 (en) * 1994-10-12 1996-04-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erilization wrap material
US7078075B1 (en) 1995-02-23 2006-07-18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thermoplastic coating and articles constructed therefrom
EP0901781B1 (en) * 1995-02-23 2007-12-19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thermoplastic coating and articles constructed therefrom
DE69637372T2 (de) * 1995-02-23 2008-04-10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St. Pau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ntinuierlichen Beschichtung aus thermoplastischem Material,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AU719463B2 (en) * 1995-02-23 2000-05-11 H.B. Fuller Licensing And Financing Inc.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thermoplastic coating and articles constructed therefrom
US6120887A (en) * 1995-02-23 2000-09-19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Disposable articles having a continuous thermoplastic coating comprising a metallocene polyolefin
US5770529A (en) * 1995-04-28 1998-06-23 Kimberly-Clark Corporation Liquid-distribution garment
US7307031B2 (en) * 1997-05-29 2007-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eathable composite shee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utilizing same
US6677258B2 (en) 1996-05-29 2004-01-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reathable composite shee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utilizing same
DE19753266B4 (de) 1997-12-01 2010-10-07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St. Paul Verfahren zum Verbinden luftundurchlässiger Materialien
EP0935955B1 (en) * 1998-02-17 2007-05-30 McNEIL-PPC, Inc. Application of adhesive to absorbent article
EP0963837A1 (en) * 1998-06-09 1999-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isture vapour permeable composite structure and the utilisation thereof in absorbent articles
US7285324B1 (en) 1999-09-27 2007-10-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e structure
MXPA02003129A (es) * 1999-09-27 2002-10-31 Du Pont Proceso de revestimiento por extrusion.
BE1013333A3 (nl) * 2000-02-29 2001-12-04 Vetex Nv Werkwijze voor het coaten van een soepel substraat door middel van een coating van thermoplastisch polyurethaan.
US6423025B1 (en) 2000-06-30 2002-07-23 Herve Buzot Catamenial applicator having a fingergrip
US6869901B2 (en) * 2001-02-20 2005-03-22 Pactiv Corporation Protective drainage wraps
EP1407069A4 (en) * 2001-06-19 2005-03-30 Kappler Inc LIQUID IMPREGNABLE VAPOR PERMEABLE COMPOSITE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72981B2 (en) 2002-03-15 2011-07-05 Fiberweb, Inc. Microporous composite sheet material
US7615269B2 (en) * 2002-04-15 2009-11-10 Multisorb Technologies, Inc. Adsorbent compositions
TWI386313B (zh) 2007-01-22 2013-02-21 E Ink Corp 用於光電顯示器之多層薄片
US7688497B2 (en) 2007-01-22 2010-03-30 E Ink Corporation Multi-layer sheet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CN110053281A (zh) * 2019-05-22 2019-07-26 大连塑研塑料科技开发有限公司 涂覆、共挤一次成型生产pvc蓬盖布的方法
US20240075723A1 (en) * 2022-09-02 2024-03-07 Bestway Inflatables & Material Corp. Shee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01401A (ko) * 1960-03-16 1900-01-01
US3477898A (en) * 1965-09-14 1969-11-11 Genset Corp Leather substitute composition
GB1226053A (ko) * 1968-04-02 1971-03-24
JP2710306B2 (ja) * 1985-10-31 1998-02-10 東レ株式会社 高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22557B2 (ja) * 1992-07-28 2001-10-29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5694B1 (en) 1993-01-27
US4857393A (en) 1989-08-15
DE3877838T2 (de) 1993-05-19
EP0295694A2 (en) 1988-12-21
DE3877838D1 (de) 1993-03-11
EP0295694A3 (en) 1989-07-12
KR890000234A (ko) 198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725B1 (ko) 방수 투습성 적층체 및 그 용도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JP4916195B2 (ja) 積層型多孔性フィルム
US4443511A (en) Elastomeric waterproof laminate
DE60016054T2 (de) Faservliesverbundmaterialien
KR100429921B1 (ko) 투습성이 강화된 구조물용 저점도 열가소성 조성물 및 흡수성 제품에서의 이의 용도
EP1189748B1 (en) Composite sheet material
US4761324A (en) Elastic, laminated, water-proof, moisture-permeable fabric
EP2005925B1 (en) Medical sheet base and medical sheet comprising the same
CA2119138A1 (en) Oil, water and sweat repellent microporous membrane materials
JPH0615783A (ja) ブロックポリ(エーテル−コ−アミド)を含有する2成分ポリマーフィルム
DE60110569T2 (de) Wasserdampfdurchlässige, flüssigkeitsundurchlässige Verbundstruktur mit verstärkter Wasserdampfdurchlässigkeit und Dimensionsstabilität sowie Artikel diese Strukturen enthaltend
EP3434729B1 (en) Stretchable structure, multilayered stretchable sheet, spun yarn, and fiber structure
JP3155351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6256B2 (ja) 積層型多孔性フィルム
JP4686253B2 (ja) 積層型多孔性フィルム
KR100369375B1 (ko) 단열재
WO2011095303A1 (de) Steife folie mit hoher durchstoss- und weiterreissfestigkeit
JPH0959882A (ja) 蒸れ感の少ない黒色系銀面層付き人工皮革
EP1291166B1 (en)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sheet
DE10258917B4 (de) Gasdichtes, antistatisches Laminat
JP3833359B2 (ja) 被覆資材
JPS626903A (ja) 透湿性作業用手袋
JPH0248669B2 (ja) Tsukiseibosuiseisozainoseizohoho
TH27904B (th) "วัสดุแผ่นฟิลม์ลามิเนต กรรมวิธีการผลิตและอุปกรณ์ผลิตวัสดุดังกล่า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