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88Y1 - 거푸집 간격 유지구 - Google Patents

거푸집 간격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88Y1
KR960002488Y1 KR92012793U KR920012793U KR960002488Y1 KR 960002488 Y1 KR960002488 Y1 KR 960002488Y1 KR 92012793 U KR92012793 U KR 92012793U KR 920012793 U KR920012793 U KR 920012793U KR 960002488 Y1 KR960002488 Y1 KR 960002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ormwork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609U (ko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92012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88Y1/ko
Publication of KR940003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04G17/0751One-piece elements
    • E04G17/0752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거푸집 간격 유지구
제1도, 제2도는 종래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철근정치부
3 : 철근파지구 4 : 미늘
5 : 철근
본 고안은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거푸집 간격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철근을 배하고 그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부어넣는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철근과 철근의 간격 및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그리하여 철근과 철근사이 및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유지를 위하여 여러가지의 간격유지구가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너츠형의 간격유지구가 사용되었고, 또한 거푸집과 거푸집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속칭 세파레타(Separator)라고 하는 간격유지구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간격유지구를 다수 사용하게 되어서 공사비용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본체를 금속의 판체로 형성시키고 본체에 철근을 삽입할 요홈부를 형성시키며 요홈부의 입구에 미늘을 형성시켜 철근과 철근거푸집과 철근 및 거푸집과 거푸집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첨부된 도면 제1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유지구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본인의 1992년 실용신안등록출원제7390호)
그런데 이와 같은 선출원 고안의 간격유지구는 철근삽입시 요홈부의 입구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미늘이 구부러져 복원되지 아니하게 되므로 삽입된 철근이 이탈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또다시 본 고안자는 거푸집과 철근 및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구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철근의 삽입이 용이하고 철근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철판에 대략 역(逆)오메가( )자형 파지구를 첨부된 도면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유지구를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본인의 1992년 실용신안등록출원제10978호)
이러한 간격유지구는 간격유지구로서의 기능층 역(逆)오메가( )자형의 철근파지구가 철근을 파지하는 힘이 부족하여 간격유지구로부터 철근이 이탈되는 일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자는 위의 1992년 실용신안등록출원제7390호와 10978호의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 간격유지구를 판체로 형성시키고 철근이 삽입될 요홈부의 입구에 철근파지구를 형성시키되 철근파지구의 내주면부에 미늘을 형성시켜 철근과 간격유지구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푸집과 거푸집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본체(1)를 판체로 형성하고, 요홈으로된 철근정치부(2)를 형성시키되 철근정치부(2)에 종래의 철근 받침대에서 볼수 있는 역(逆)오메가() 자형의 칠근파지구(3)를 형성시키고, 철근파지구(3)의 내주면 상부에 미늘(4)를 돌출되게 형성시켰다. 철근정치부(2)의 형성에 있어 첨부된 도면에는 본체(1)의 두개의 철근정치부(2)를 형성시킨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철근정치부(2)는 하나 일수 있으며 2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철근정치부(2)에 형성시키는 철근파지구(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철근정치부(2)의 중심에 한쌍 형성시키는 것이 바랍직하나 2쌍이상의 다수쌍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거푸집 간격유직구를 설치함에 있어서, 철근정치부(2)에 철근(5)를 삽입하면, 철근정치부(2)의 입구에 형성시킨 역(逆)오메가()자형의 철근파지구(3)가 탄력이 크므로 철근(5)의 삽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철근파지구(3)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시킨 미늘(4)에 의해 삽입된 철근(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철근(5)를 본체(1)에 결합함에 있어 철근의 삽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철근이 외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판체로된 본체(1)에 요홈으로 된 철근정치부(2)를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철근정치부(2)에 철근파지구(3)를 타발 형성시키고 철근파지구(3)의 내주면 상부에 미늘(4)를 타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92012793U 1992-07-11 1992-07-11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960002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793U KR960002488Y1 (ko) 1992-07-11 1992-07-11 거푸집 간격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793U KR960002488Y1 (ko) 1992-07-11 1992-07-11 거푸집 간격 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09U KR940003609U (ko) 1994-02-21
KR960002488Y1 true KR960002488Y1 (ko) 1996-03-25

Family

ID=1933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793U KR960002488Y1 (ko) 1992-07-11 1992-07-11 거푸집 간격 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609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488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US1725200A (en) Wall tie
CA1046248A (en) Form tie for concrete form structures
JPS58783B2 (ja) コンクリ−ト型枠の連結杆スペ−サ
JPH08189185A (ja) メッシュ枠板、コンクリート型枠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設型枠構築法
JP2580331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支持具
KR200223682Y1 (ko) 몰탈 미장을 위한 내력벽체용 금속판넬
FR2644192B1 (fr) Procede de construction de structures et de murs a partir d'elements de coffrage en beton manufacture integres dans les ouvrages
KR850002240Y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200294782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스페이서
JP3057328U (ja) 建物などの鉄筋工事に使用する スペーサーブロックの溝の改良
JP2506153Y2 (ja) タイル取付用下地材
JPS5928818Y2 (ja) テ−パ−目地付ブロツクの成形用型枠
JP3027589U (ja) 木造建築物連結基礎ブロック
GB2285071A (en) Metal sheet structures;permanent shuttering
JPH0138199Y2 (ko)
JP2507269Y2 (ja) セラミツクス装飾板
CN113700297A (zh) 模板型材及模板框架
JPS6038768Y2 (ja) 構築用勾配付l型ブロツク
JP3036982U (ja) スプリットブロック用コンクリート塊
KR920003115Y1 (ko) 조립식 울타리용 철책
KR200142270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JPH0612131Y2 (ja) コンクリ−ト型枠締付具
JPS6013106B2 (ja) タイル型枠先付け工法及びこの工法に使用する機材
IE68932B1 (en) A wall 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