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960B1 - 비디오폰 - Google Patents

비디오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960B1
KR960001960B1 KR1019910007612A KR910007612A KR960001960B1 KR 960001960 B1 KR960001960 B1 KR 960001960B1 KR 1019910007612 A KR1019910007612 A KR 1019910007612A KR 910007612 A KR910007612 A KR 910007612A KR 960001960 B1 KR960001960 B1 KR 960001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mage
display
video phone
disp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158A (ko
Inventor
히데유키 우에노
가즈오 오제키
겐시 다치쿠
도시아키 와타나베
다카시 이다
요시쿠니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2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4Telephone 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1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용의 액정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2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3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5b도는 제5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측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4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개략도로서, 제2통화자의 화상의 위치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b도는 제6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정면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5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7b도는 제7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구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6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8b도는 제8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9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7변형예를 도시해 놓은 비디오폰의 사시도.
제9b도는 제9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구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
제9c도는 제9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이 설치되는 공중전화박스의 바닥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8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11a도는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1변형예를 도시해 놓은 비디오폰의 사시도.
제11b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용의 10키 패드의 동작을 나타낸 도표.
제11c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용 카메라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도시해 놓은 도면.
제11d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선택부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
제12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을 사용하는 공중전화박스의 사시도.
제13a도는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제1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놓은 도면.
제13b도는 제13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스크린 및 투사기를 도시해 놓은 측면도.
제13c도는 제13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에서의 스크린의 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
제13d도를 제13c도에 도시된 보정부에서의 보정처리의 정도를 나타낸 도표.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제2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 본체 2, 13, 22 : 액정디스플레이
3, 14, 23 : 텔레비젼카메라 4, 15 : 조작키보드
5 : 전화리시버 12 : 구동부
16 : 모터 17 : 체인
18 : 조작스위치 24 : 반사거울
52 : 압력센서 55 : 피니언
56 : 모터 57 : 랙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의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에 동적인 화상이나 정적인 화상을 전송해주는 비디오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통화자의 정면화상을 취하고, 제2통화자의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 후에 제1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 디지탈통신네트워크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동적인 화상을 전송하는 비디오폰의 사용도 빠르게 증가되어 왔다.
통상, 종래의 비디오폰에서는 제1통화자와의 원격통화가 용이하도록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적절하게 취하고, 제1통화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에서 제2통화자의 화상을 적당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각 통화자는 각각의 비디오폰의 본체주위를 돌거나 다른 화상의 정면을 보기 위해 비디오폰의 정면으로 이동해야만 하였다.
또한, 종래의 비디오폰은 그 크기가 너무 커서 작은 영역에 설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종래의 비디오폰은 공중전화박스에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한편, 장래에는 벽에 설치되는 비디오폰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있으나, 이와 같은 비디오폰의 경우에는 그 몸체가 벽에 고정되어 방향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비디오폰은 제1통화자의 정면화상을 취할 수 없게 되거나, 제2통화자를 용이하게 보기 위해 제2통화자의 정면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일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양통화자는 그들의 화상을 상호 알아보기 쉽게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1통화자의 정면화상을 취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 그 화상이 상호 양호하게 이해되도록 전송하기 위해 제1통화자가 제2통화자의 정면화상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고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에 있어서, 제1통화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자동적으로 선택된 적당한 위치에서 제2통화자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이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면서 그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행하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촬상수단 및 이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통화자는 제2통화자의 화상이 잘 보여지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적당한 위치를 선택하게 된다. 즉, 제1통화자는 그 정면에 제2통화자의 정면화상이 보여지도록 디스플레이위치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디스플레이위의 선택은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화자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정면으로 보면서 제2통화자와 장거리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디스플레이수단은 벽에 부착되는 형태인데,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수단이 폭이 넓은 스크린인 경우에는 얇은 디스플레이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비디오폰은 그 비디오폰이 설치되는 영역이 작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수단에서의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위치는 제2통화자의 눈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선택되는데, 이는 이 위치가 제2통화자를 보기 위한 최적의 위치이기 때문이다.
또한, 촬상수단은 제2통화자의 화상이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제1통화자는 제1통화자의 화상이 최적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자신의 눈과 동일한 높이로 제2통화자의 화상의 높이를 선택하게 되고, 이때 촬상수단은 제1통화자의 얼굴이 제2통화자의 화상의 높이로 배치되도록 제1통화자의 화상이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제2통화자의 화상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동시적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제1통화자의 얼굴화상은 전송수단을 통해 자연적으로 제2통화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가 성인인가 어린이인가에 관계없이 통화자는 촬상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자신의 눈높이로 선택함으로써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그 자신의 얼굴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자연스럽게 전송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위치는 조정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화상을 취하는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고, 또 비디오폰은 제1통화자가 무의식적으로 조정하기에 앞서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어린이나 노인도 특별한 수동조작없이 비디오폰을 본능적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은 사업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이나 공중전화용으로 아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신을 실행하는 비디오폰에 있어서, 동적인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함과 더불어, 각각이 다른 수단과 관계없이 하나의 화상을 취하도록 된 복수의 촬상수단과, 상기 동적인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촬상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촬상수단은 제1통화자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선택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이에 따라 선택된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은 전송수단을 통해 제2통화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는 어떠한 이유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에도 촬상수단을 다시 선택하지 않고 자신의 화상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디오폰은 보통 잘 움직이는 어린이에게 아주 유용하다.
그리고, 선택수단은 촬상된 통화자가 그 자리에 서 있는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된 촬상수단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는 통상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소정의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촬상수단은 제1통화자가 정적인 상태에 있는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하기 시직할 때 움직이는 제1통화자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도록 그 움직이는 제1통화자를 촬상하는 촬상수단은 선택수단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는 촬상수단의 선택을 고려하지 않고 그 자신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신을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소정거리에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촬상수단과, 이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 상기 소정거리와 동일한 특정거리에서 취해진 제2통화자의 화상을 투영하는 투사수단 및, 투사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거리와 동일한 스크린의 중앙까지의 거리로 제1통화자를 에워싸는 곡면화된 스크린으로 상기 투사수단에 의해 투사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화상이 소정거리에서 각각 곡면화된 스크린으로 각각 투사되기 전에, 화상은 동일한 소정거리서 양통화자를 취한다.
따라서, 통화자는 그들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일상크기의 화상을 보면서 상호 원격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그들은 자신이 보고 있는 통화자가 실제의 사람인 것처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린은 제1통화자의 주위에 곡면화되기 때문에, 제1통화자는 전체 스크린상으로 제2통화자를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1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로, 이 비디오폰은 벽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며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 본체(1)와, 제2통화자의 화상을 수신하여 상기 본체(1)에 공급하는 수신부(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본체(1)에 의해 생성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비디오폰 본체(1)는 제1통화자에 의해 선택된 적당한 위치에서 제2통화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디스플레이(2)와, 각각 디스플레이(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열됨과 더불어 이 디스플레이(2)에 디스플레이된 제2통화자를 보면서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하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다수의 텔레비젼카메라(3), 버튼(4A 또는 4B)의 조작에 의해 제2통화자를 호출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2)에서의 제2통화자의 화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적당하게 선택하는 조작키보드(4) 및, 제2통화자와 대화를 하기 위한 전화리시버(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가 리시버(5)를 들면 디스플레이영역(2A)이 밝아지면서 일시적인 화상이 디스플레이영역(2A)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디스플레이영역(2A)은 디스플레이(2)의 디폴트위치에 설정되고, 화상은 제2통화자의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적당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화상은 인물의 윤곽을 나타내게 된다.
이어, 버튼(4A, 4B)의 조작에 의해, 제1통화자는 디스플레이(2)에 디스플레이되는 윤곽의 높이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높이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자신의 눈높이로 설정하게 되는 바, 이것에 의해 제1통화자에 의해 조정된 예비화상의 눈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하나의 카메라(3)가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게 된다. 즉, 제1통화자의 얼굴이 예비화상의 얼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고, 제2통화자의 얼굴은 예비화상과 동일 높이에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원격통신의 개시시에 제1통화자는 자신의 얼굴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3)에 의해 취해지는 제1통화자의 화상은 인물의 윤곽대신에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하,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액정디스플레이(LCP)패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LCD가 구동될 때, 주사개시펄스는 디스플레이(2)에서의 시프트레지스터(2B)에 공급되고, 시프트클럭펄스는 수직블랭킹기간 동안에는 제공되지 않게 된다. 이때 화상은 LCD 패널의 상부라인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통화자가 디스플레이영역(2A)의 상부를 디스플레이(2)의 상부로부터 (N+1)번째 주사선으로 조정하면, N개의 클록펄스는 수직블랭킹기간 동안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제1주사선 동안 비디오신호 이전에 시프트된 N개의 주사선이 샘플홀딩회로(2C)에 공급된다. 즉, 제2통화자의 화상의 디스플레이는 (N+1)번째 주사선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수직블랭킹기간이 완료된 후, 제2통화자의 아날로그화상을 디지탈신호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신호는 제2통화자의 화상이 (N+1)번째 주사선까지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샘플홀딩회로(2C)에 홀드된다. 실제로, (N+1)번째 주사선의 스위치군(2D)은 각 화소가 대응하는 비디오신호에 대해 전압으로 변환되도록 다음의 클록펄스에 동기되어 단락되게 된다.
(N+1)번째 주사선의 디스플레이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의 주사선의 디스플레이동작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제2통화자의 화상을 최적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영역(2A)은 버튼(4A, 4B)을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된다. 또 디스플레이영역(2A)은 매주사선마다 변경되므로, 연속적으로 조정되게 된다.
또한, 제1통화자가 카메라(3)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예비화상의 높이를 최적의 위치인 자신의 눈높이로 조정한다면 제1통화자가 성인인지 어린이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통화자는 자산의 촬상위치를 고려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얼굴을 제2통화자에게 자연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을 취하는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또 비디오폰은 제1통화자에 의한 무의식적인 조작이전에 제2통화자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노약자도 특정한 수동조작없이 비디오폰을 무의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은 업무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이나 공중전화박스용으로 적당하다.
이어,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비디오폰을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2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로, 제4도에서 비디오폰은 벽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고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 본체(11)와, 제1통화자가 높이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본체(1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2), 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비디오폰 본체(11)는 제2통화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디스플레이(13)와, 이 디스플레이(13)에 디스플레이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면서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행하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텔레비젼카메라(14), 제2통화자를 호출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13)에 디스플레이된 제2통화자를 위한 높이를 적당하게 선택하는 조작키보드(15) 및, 전화리시버(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6)와, 이 모터(16)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여 본체(11)를 상측 및 하측으로 움직이는 체인(17) 및, 상승버튼(18A)이나 하강버튼(18B)을 눌러 모터(16)에 의해 발생된 본체(11)의 운동을 조작하는 조작스위치(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는 수신기(5)를 들은 후, 조작스위치(18)를 조작하여 비디오폰 본체(11)를 자신의 눈높이로 이동시키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제2통화자는 자연적으로 제1통화자의 눈높이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또한, 카메라(14)는 본체(11)와 더불어 제1통화자의 얼굴높이로 이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상은 제2통화자가 제1통화자의 앞면얼굴화상을 수신하도록 제1통화자의 앞면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각 통화자는 서로의 앞얼굴화상을 볼 수 있게 되므로, 양호한 원격통신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카메라만이 필요하고, 또 디스플레이(13)는 상기 제1변형예보다 더 작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어, 제5a도 및 제5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비디오폰을 설명한다.
제5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3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의 사시도이고, 제5b도는 그 측면도로, 제5도에서 비디오폰은 벽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고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정된 비디오폰 본체(21)와, 수신부(도시하지 않음) 및 송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비디오폰 본체(21)는 수신부를 통해서 공급된 제2통화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디스플레이(22)와, 이 디스플레이(22)에 디스플레이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면서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행하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텔레비젼카메라(23), 제1통화자로부터의 입사광을 텔레비젼카메라(23)에 반사하는 반사거울(24), 제1통화자의 화상을 반사하기 위해 상기 반사거울을 상측 및 하측으로 가동하는 구동부 및, 전화수신기(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는 자신의 얼굴높이로 거울(24)의 높이를 조정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거울(24)은 제1통화자의 얼굴을 카메라(24)로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의 앞면화상이 카메라(24)에 의해 취해진 후 전송부를 통해서 제2통화자에게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는 서로 얼굴을 보면서 원격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제6a도 및 제6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비디오폰을 설명한다.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4변형예에 따른 제2통화자의 위치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비디오폰의 개략도이고, 제6b도는 제6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정면도로,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화자는 제1통화자 뒤에 배열되는 레이저빔 발생용의 복수의 레이저빔 소스(32)와 제1통화자 앞에 배치되는 그 제1통화자에 의해 조작되는 비디오폰 본체(33)를 갖춘 전화박스(31)에서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행하게 된다.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폰 본체(33)는 레이저빔 소스(32)에서 발생되어 제1통화자를 횡단하는 레이저빔을 검출함과 더불어 각각 레이저빔 소스(32)와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검출기(34)와, 제1통화자에 의해 차단된 레이저빔에 근거해서 레이저빔이 검출되지 않은 광검출기(34)의 위치로부터 높이를 판정하는 판정부(도시하지 않음), 이 판정부로부터 공급되는 판정신호를 수신하여 제2통화자의 상부가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2통화자의 디스플레이영역을 선택하는 선택부(도시하지 않음),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디스플레이(35), 텔레비젼카메라(3), 전화수신기(5) 및, 조작키보드(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레이저빔 소스(32)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군은 디스플레이(35)의 앞에서 키보드(15)를 조작하여 제2통화자와 원격통신을 행하는 제1통화자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레이저빔은 제1통화자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레이저빔이 검출되지 않는 광검출기의 높이가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어 제2통화자의 디스플레이영역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다. 이 선택부에 의한 선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레이저빔 소스(32)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의 검출이 차단된 광검출기(34)의 높이위치가 제1통화자의 머리의 꼭대기부분으로서 간주되는데, 이때 제2통화자의 화상은 제2통화자의 머리의 꼭대기부분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높이위치로 조정한 후에 디스플레이(35)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2통화자의 머리의 꼭대기부분이 제1통화자의 머리의 꼭대기부분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선택된 광검출기(34)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열된 카메라(3)가 선택되고, 이 선택된 카메라(3)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은 제2통화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는 디스플레이(35)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높이를 선택하거나 제1통화자를 촬상하는 카메라(3)를 선택할 필요없이 항상 제1통화자와 원격송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복수의 레이저빔 소스를 본체(33)에 배치하고, 광검출기를 제1통화자의 뒷쪽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빔 소스와 광검출기 대신에 에너지원으로서 복수의 초음파 소스와 복수의 초음파 검출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소스나 라디오파소스를 갖춘 수신기(S)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통화중에 수신기(S)의 높이는 제1통화자의 얼굴높이와 동일하므로, 제1통화자의 얼굴높이로 광소스나 라디오파소스로부터 전송되는 광이나 라디오파를 검출함으로써 결정되게 된다.
이어, 제7a도 및 제7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제7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5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의 사시도이고, 제7b도는 제7b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중 작동부를 확대하여 도시해 놓은 정면도로, 비디오폰은 3층의 비디오폰 본체(41)를 갖추고 있고, 또 각 본체(41)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카메라(42)와 제2통화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디스플레이(43)를 갖추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43)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기 위한 최적의 본체(41)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키보드(44)가 제2층 본체(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비디오폰은 조작키보드(44)로부터 공급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그 조작키보드(44)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본체(41)에 동작신호를 공급하는 선택기(45)와, 선택기(45)로부터 공급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이 개시된 선택된 본체(41)의 카메라(42)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전송하고, 제2통화자측으로부터 공급된 다른 화상을 선택된 본체(12)로 전송하는 비디오코덱(46)을 갖추고 있다.
조작키보드(44)는, 전화리시버(5), 제2통화자를 호출하는 다이얼부(47) 및 최적의 본체(41)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치(48)를 갖추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가 디스플레이(43)로 제2통화자를 보기 위한 최적의 본체(41)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본체(12)는 상기 선택기(45)로부터의 동작신호를 수신한 후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때, 제2통화자의 화상은 비디오코덱(46)과 선택기(45)를 통해서 전송되어 선택된 본체(41)의 디스플레이(43)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제1통화자는 그 선택된 본체(41)의 카메라(42)에 의해 자동적으로 촬상되어 선택기(45)와 비디오코덱(46)을 통해 제2통화자에게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들이 다른 높이에 있는 경우에도 단지 한번의 스위칭 동작만으로 최적의 본체(41)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본체(12)의 높이가 예컨대 어린이나 성인의 키에 대응하여 조정되어 있다면, 비디오폰은 더욱 편리하게 된다.
또한, 제1통화자의 높이는 그 제1통화자가 화상을 취함으로써 선택된 카메라(42)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제1통화자는 제1도에 도시된 제1변형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메라(42)를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어, 제8a도 및 제8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제8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6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이고, 제8b도는 제8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비디오폰 시스템은 통화자가 계단을 올라섬으로써 적당한 위치에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스템은, 비디오폰 본체(51)와 각 계단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비디오본체(5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게 되는 제1통화자의 중량을 검출하여, 제1통화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압력센서(52), 이 하나의 압력센서(52)로부터 공급되는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최적의 위치에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본체의 수평위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53) 및, 이 제어회로(53)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적의 위치로 설정된 수평방향으로 비디오폰 본체(5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4)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부(54)는 모터(56)에 부착된 피니언(55)과, 본체(51)의 외부 프레임에 부착됨과 더불어, 모터(56)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57)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구동되는 랙크(5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는 본체(5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기 위해 비디오폰 본체(51)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계단에 올라서게 된다. 이때 제1통화자를 검출하는 하나의 압력센서(52)로부터 공급되는 검출신호가 제어회로(53)에 공급되어 제1통화자의 수평위치를 지시하고, 제어회로(53)에서는 하나의 압력센서(52)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수신한 후, 제1통화자로부터 소정이 수평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본체(51)를 특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신호를 구동부(54)에 전송한다. 그리고, 구동부(54)에서는 상기 제어회로(53)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피니언(55)과 랙크(53)를 구동시켜 본체(51)를 특정위치로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통화자가 자신의 눈높이를 본체(51)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계단을 오르게 되면, 본체는 그 제1통화자가 이동한 후 제1통화자가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기 위한 최적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통화자는 본체의 높이를 조정할 때에 어떤 버튼이나 스위치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어린이를 포함하여 어느 누구도 소정의 스위치나 버튼조작없이 비디오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제9a도 내지 제9c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의 다른예를 설명한다.
제9a도는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7변형에 따른, 일측에 문을 갖춘 공중전화박스에 설치되는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사시도이고, 제9b도는 제9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구동부를 확대하여 도시해 놓은 구조도이며, 제9c도는 제9a도에 도시된 공중전화박스의 플로워(Floor)를 확대하여 도시해 놓은 도면이다.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폰은 디스플레이(11)에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비디오폰 본체(61)와, 제1통화자가 디스플레이(61)에 디스플레이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자신의 눈높이에서 볼 수 있도록 상승 및 하강되는 플로워(62), 본체(61)와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바닥(62)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제어부(62) 및, 지면아래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1통화자가 높이제어부(63)를 동작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플로워(62)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65; 제9b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부(64)는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부위에 워엄기어(66)가 갖추어진 모터(65)와, 워엄기어(66)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고정축을 갖춘 기어(67) 및, 워엄기어(66)의 회전운동을 플로워(62)의 수직이동으로 변환하는 랙크(6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플로워(62)는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의 겹치는 지점에 대응하기 위해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제1통화자가 걸어들어가는 박스형 부재(62A)와, 문이 닫히거나 열릴 때 상기 부재(62A)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삼각부재(6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삼각부재(62B)는 그 한쪽 끝부위에서 힌지(62C)를 통해 부재(62A)의 개방된 표면의 한쪽 끝부위에 접속되고, 문이 개방될 때 압축되는 스프링(62D)을 통해 그 부재(62A)의 다른쪽에 접속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가 전화박스로 들어갈 때, 제1통화자는 높이제어부(63)를 조작하여 구동부(64)가 동작되도록 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제1통화자의 눈이 본체(61)의 높이로 되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폰은 전화박스에서 실제로 사용되기 위한 최적의 위치로 된다.
또한, 문이 닫히면 스프링(62D)이 팽창되어 삼각부재(62B)가 박스형 부재(62A)로부터 밖으로 나오게 되므로, 문과 플로어 사이의 개방부분이 없어지게 된다. 이 수단은 다리가 문과 플로워 사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통화자가 문을 닫을 때 플로워의 수직이동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은 플로워의 높이를 제어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의 모서리에 단순한 비디오폰을 적절하게 설치하고, 그 비디오폰의 기둥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제11a도 내지 제11d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제11a도는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1변형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도면이고, 제11b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10키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11c도는 제11a도 및 제11d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카메라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도시해 놓은 도면이고, 제11d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선택부를 도시해 놓은 블록도이다.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화를 위한 비디오폰은 상호 무관하게 동적인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복수의 텔레비젼카메라(71A∼71H)와,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는 선택부(도시하지 않음),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71)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도시하지 않음), 곡면화된 스크린상에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디스플레이(72), 제1통화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마이크로폰(73), 하울링(howling)을 축소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폰(7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2통화자의 음성을 마이크로폰(7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됨과 더불어 제2통화자의 음성을 제1통화자에게 제공하는 스피커(74), 마이크로폰(73)과 스피커(74)에 의해 발생되는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에코소거부(도시하지 않음) 및, 카메라(71)를 직접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10키보드(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71A∼71H)는 주위에 배열되어 카메라중 하나가 실패없이 제1통화자를 촬상하도록 되어 있다.
또, 디스플레이(72)는 곡면화된 스크린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화상이 디스플레이(72)의 끝부분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제1통화자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키보드(75)는 카메라(71A∼71H)에 대응하는 9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버튼에는 숫자 1∼9가 표기되어 있다.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화자는 방향을 나타내는 버튼을 한번 누름으로써 순차 카메라(71)의 선택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선택부는 제1통화자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카메라(71)를 선택하게 되는 바, 즉 각 카메라(71)는 매 클록펄스마다 비디오신호군을 발생시키고, 이후 각 클록펄스에 대응하는 각 비디오신호군이 합해진다. 그러므로, 하나의 카메라(71)에 의해 취해진 화상에서의 제1통화자의 위치변동은, 2개의 연속적인 클록펄스에서 발생된 2개의 비디오신호군을 각각 합함으로써 얻어진 2개의 총값을 비교함으로써 계산된다.
선택부에 있어서, 카메라(71A∼71H)에서 제1통화자의 위치변동의 가장 큰 총값을 갖는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특징카메라(71)가 매 클록신호마다 선택된다. 그리고 제1통화자가 서 있는 경우에는 최후의 선택된 카메라(71)가 선택부에 유지된다. 따라서, 선택된 카메라(71)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이 송신부를 통해 제2통화자에게 전송된다.
이하, 제11d도를 참조하여 선택부에서의 선택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카메라(71)로부터 공급되는 각 출력화상은 A/D 변환기(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76)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2개의 디지탈신호군의 2개의 프레임간의 차이는 각 출력화상을 위한 차이계산부(77)에서 계산된다. 2개의 디지탈신호군중의 하나가 하나의 클록펄스와 동기하여 얻어지고, 그 다음의 클록펄스에 동기하여 다른 하나의 클록펄스와 동기하여 얻어진다. 그리고, 이 2개의 프레임간의 차이를 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절대치는 절대치합산부(78)에서 계산되고, 각 카메라(71)에 대해 얻어지는 각 절대치는 비교부(79)에서 비교된다. 비교부(79)는 비교동작 후, 하나의 특정카메라(71)를 지시하는 변경정보를 발생시키고, 그 특정카메라(71)는 가장 큰 절대치를 갖는 화상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변경정보는 스위칭부(80)에 제공되는데, 스위칭부(80)에는 비교부(79)에서 지시된 특정카메라(71)로부터 공급되는 하나의 특정 출력화상이 변경정보에 따라 선택되도록 각 카메라(71)로부터 공급되는 각 출력화상이 공급된다.
따라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카메라(71)는 통화에 앞서 소정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통화자를 취한 다른 카메라(71)로 변경되므로, 통화가 개시될 때에는 가장 적합한 카메라(71)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이것은 제1통화자가 카메라(71)의 선택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영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통화자는 자신이 통화중에 움직이는 경우에도 적당한 카메라를 선택할 필요없이 자신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비디오폰은 용이하게 움직이는 어린이용으로 아주 적당하다.
제11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용으로 사용된다. 제12도는 원통형 공중전화박스를 도시해 놓은 사시도이다.
공중전화박스는 디스플레이(72)와 카메라(71A∼71H), 제1통화자가 자신의 기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튼(82), 문(83) 및, 도어(83)를 열거나 닫기 위한 손잡이(8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커튼(82)은 제1통화자의 뒤쪽에 배치되고, 공중전화박스(81)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투과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통화자는 곡면화된 디스플레이(72)가 사용되는 전화박스(81)에서 제2통화자와 원격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제13a도 내지 제13c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제13a도는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제1변형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도시해 놓은 개략도이고, 제13b도는 제13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의 스크린 및 투사기의 측면도이며, 제13c도는 제13a도에 도시된 비디오폰에서의 스크린휘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부의 블럭도이다.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화를 위한 비디오폰은 소정거리(L)에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텔레비젼카메라(91)와, 이 카메라(91)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도시하지 않음), 소정거리(L)와 동일한 특정거리에서 취해짐과 더불어 전송부를 통해서 전송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투사하는 광방출기(92), 광방출기(92)로부터 스크린의 중앙까지의 거리가 소정거리(L)인 제1통화자를 에워싸는 구형 스크린상에 광방출기(92)에 의해 투사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구형 디스플레이(93), 마이크로폰(73), 스피커(74), 에코제거부(도시하지 않음) 및, 원격통화의 개시 및 종료를 명령함과 더불어 통화중의 인더럽트처리를 실행하는 스위칭버튼(9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광방출기(92)는 제1통화자가 구형 스크린(93)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는 동안 제1통화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93)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방출기(92)로부터 스크린(93)까지의 거리스크린(93)의 상부가 스크린(93)의 하부보다 더 커지게 된다. 이것은 스크린(93)상에 대한 광방출기(92)의 광도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통화자는 전체 스크린(93)상의 휘도가 동일하지 않은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광방출기(92)는, 스크린(93)의 저부에는 저에너지광을 투사하고, 상부에는 고에너지광을 투사하여 휘도의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실제로, 제1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폰은 래스터주사하의 텔레비젼신호를 구동하기 위한 라인구동기(95)와, 라인구동기(95)를 통해서 각 라인중에 전송되는 신호를 기억하는 ROM(96) 및, 제1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M(96)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소정 강도로 증폭하는 가변이득증폭기(97)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부를 추가로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스크린(93)에 대한 투사강도는 각 스캔라인에 대해 변경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양 통화자의 화상은 그들의 화상이 동일한 소정거리에서 곡면화된 스크린에 투영되기 전에 동일한 소정거리에서 취해진다.
또한, 광방출기(92)에 의해 투사된 광의 강도는 제어부에서의 광방출기(92)로부터 스크린(93)까지의 거리변동에 무관하게 전체 스크린(73)상에 수신되는 광의 강도를 등화하기 위해 제어된다.
따라서, 양 통화자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실제크기의 화상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린은 제1통화자의 주위에 곡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1통화자는 전체 스크린상으로 제2통화자를 볼 수 있게 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방출기는 일정한 반사강도로 디스플레이의 전체 스크린상에 광을 투사하고,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의 전체 스크린상에 반사되는 광의 강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광방출기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에 따라 변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함과 더불어,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가 상호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해주는 비디오폰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함과 더불어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폰에 있어서, 제2통화자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제1통화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자동적으로 선택된 최적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서 제2통화자의 화상을 보면서 제2통화자와 원격통화를 행하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촬상수단 및,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벽에 설치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서의 제2통화자의 디스플레이위치는, 제2통화자를 보기 위한 최적의 높이인 제1통화자의 눈높이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4. 제1항에 있어서, 제2통화자의 화상은 비디오신호가 주사개시펄스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음의 클록펄스에 의해 디스플레이수단의 선택위치의 개시부분에 이르도록 비디오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이동이 불가능한 텔레비젼카메라로 구성되고, 제1통화자로부터 공급되는 입사광은 제1화상의 앞면이 반사되도록 텔레비젼 카메라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6.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수단은, 제2통화자의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에너지 소스와, 각각 하나의 에너지 소스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됨과 더불어 에너지 소스에서 발생되어 제1통화자를 횡단하는 에너지를 검출하는 복수의 에너지검출기, 에너지가 제1통화자에 의해 차단되어 그 에너지가 검출되지 않은 에너지검출기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및, 이 판정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판정신호를 수신하여 제2통화자의 화상의 제일 높은 위치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된 높은 위치와 동일하게 되도록 제2통화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8. 제1항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1통화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디스플레이수단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제2통화자의 화상을 제1통화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이 제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을 잘 볼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9. 제1항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조작에 따라 제1통화자가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로 제1통화자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0. 제1항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동작에 따라 제1통화자가 디스플레이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제2통화자의 화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로 디스플레이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1.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함과 더불어 상호 무관하게 하나의 화상을 취하는 복수의 촬상수단과,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촬상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택수단은, 제1통화자가 정지해있는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에 선택된 촬상수단의 선택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2.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함과 더불어 상호 무관하게 하나의 화상을 취하는 복수의 촬상수단과,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촬상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 및, 제1통화자의 주위를 에워싸는 곡면화된 스크린상에 제2통화자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3.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의 원격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화상을 취함과 더불어 상호 무관하게 하나의 화상을 취하는 복수의 촬상수단과, 움직이는 제1통화자의 대부분의 화상을 취하는 하나의 촬상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 제1통화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마이크로폰, 제2통화자의 음성을 제1통화자에게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임의의 하울링을 축소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스피커 및, 상기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에코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4.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에서 원격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소정거리에서 취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 상기 소정거리와 동일한 특정거리에서 취해진 제2통화자의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수단, 상기 투사수단에 의해 투사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제1통화자를 에워싸도록 곡면화됨과 더불어 상기 투사수단으로부터 그 중앙부까지의 거리가 소정거리인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투사수단으로부터 투사된 광의 강도가 그 투사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까지의 거리변동에 관계없이 그 디스플레이수단의 전체 스크린상에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광의 강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5.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에서 원격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소정거리에서 취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 상기 소정거리와 동일한 특정거리에서 취해진 제2통화자의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수단, 상기 투사수단에 의해 투사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제1통화자를 에워싸도록 곡면화됨과 더불어 상기 투사수단으로부터 그 중앙부까지의 거리가 소정거리인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사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전체 스크린에 광을 일정 강도로 투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디스플레이수단의 전체 스크린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강도를 동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투사수단으로부터 디스플레이수단까지의 거리에 따라 반사율이 변화되도록 곡면화된 스크린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16.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 사이에서 원격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폰에 있어서, 제1통화자의 화상을 소정거리에서 취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해진 제1통화자의 화상을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전송수단, 상기 소정거리와 동일한 특정거리에서 취해진 제2통화자의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수단, 상기 투사수단에 의해 투사된 제2통화자의 화상을 제1통화자를 에워싸도록 곡면화됨과 더불어 상기 투사수단으로부터 그 중앙부까지의 거리가 소정거리인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 제1통화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제2통화자에게 전송하는 마이크로폰, 제2통화자의 음성을 제1통화자에게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폰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임의의 하울링을 축소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스피커 및, 상기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에코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
KR1019910007612A 1990-05-11 1991-05-11 비디오폰 KR960001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0038 1990-05-11
JP12003890 1990-05-11
JP02-120038 1990-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158A KR910021158A (ko) 1991-12-20
KR960001960B1 true KR960001960B1 (ko) 1996-02-08

Family

ID=1477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612A KR960001960B1 (ko) 1990-05-11 1991-05-11 비디오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56248B1 (ko)
KR (1) KR960001960B1 (ko)
DE (1) DE691299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3659A5 (de) * 1992-03-05 1994-04-15 Schaerer Soehne Ag Usm U Bildfernsprechkonferenztisch für einen Videokonferenzteilnehmer.
GB2267625B (en) * 1992-05-20 1996-08-21 Northern Telecom Ltd Video services
US6667759B2 (en) * 1997-12-31 2003-12-23 At&T Corp. Video phone form factor
FR2804273B1 (fr) * 2000-01-20 2004-04-23 Bernard Aghina Dispositif de borne de communication destinee notamment a etre installee dans un lieu public
TR200808709A2 (tr) * 2008-11-17 2009-10-21 Akdoğan Mustafa Şeffaf ve ses geçi̇rmez telefon kabi̇ni̇
DE102010034596A1 (de) * 2010-08-13 2014-07-17 Helmut Burckner, Frank bürgerlicher Name Kraut Kultursäule K1
EP2555020A1 (en) * 2011-08-03 2013-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ns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8336A (en) * 1968-08-30 1971-06-28 Wells Television Inc Hospital communication system
FR2056623A7 (ko) * 1970-02-25 1971-05-14 Sits Soc It Telecom Siemens
DE2648534A1 (de) * 1976-10-27 1978-06-08 Lothar Bieler Behindertengerechte hebevorrichtung fuer automaten und telefone
JPS56115904A (en) * 1980-02-19 1981-09-11 Unitika Ltd Automatic measuring method for size of human body and device therefor
DE3853713T2 (de) * 1987-12-17 1996-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Verfahren zur Übertragung und Anzeige eines Standbildes in einem Standbild-Videotelefon.
DE3842356A1 (de) * 1988-12-16 1990-06-28 Martin Spies System zum feststellen einer bewegung bzw. einer veraenderung im ueberwachungsbereich mehrerer fernsehkameras
GB2226732A (en) * 1988-12-31 1990-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surveillan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56248B1 (en) 1998-08-05
DE69129923T2 (de) 1999-01-21
DE69129923D1 (de) 1998-09-10
EP0456248A3 (en) 1993-04-28
KR910021158A (ko) 1991-12-20
EP0456248A2 (en) 199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059A (en) Conversational video phone
US20090290129A1 (en) Mobile terminal device
WO2006011515A1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2508893A (ja) 多機能電気通信デバイス
KR960001960B1 (ko) 비디오폰
GB2242335A (en) Videophones
JP2014052512A (ja) ミラーディスプレイ装置
JP5750590B2 (ja) 撮像装置及びインターホン装置、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S63142986A (ja) テレビ電話機
JPH02114786A (ja) テレビドアホン
JPH04227389A (ja) テレビ電話
JPH07143469A (ja) 撮像表示一体装置
JP3837299B2 (ja) 携帯電話機
JP5891391B2 (ja) 撮像装置
JP3177711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121819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3217636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H05122704A (ja) 玄関カメラ装置
JPH01265685A (ja) 撮像表示装置
KR970003468B1 (ko) 텔레비젼겸용 비디오 도어폰 장치
JP2007043627A (ja) テレビドアホン子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495633B1 (ko) 텔레비젼 인터폰 시스템
JP3256750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における映像信号伝送方法及びこれを使用した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1288082A (ja) テレビカメラ同軸型画面表示器
JP2684907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