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58B1 -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58B1
KR960001258B1 KR1019920023185A KR920023185A KR960001258B1 KR 960001258 B1 KR960001258 B1 KR 960001258B1 KR 1019920023185 A KR1019920023185 A KR 1019920023185A KR 920023185 A KR920023185 A KR 920023185A KR 960001258 B1 KR960001258 B1 KR 96000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tray
main base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131A (ko
Inventor
맹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엘지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258B1/ko
Publication of KR94001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8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1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consecutive-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horizontal transfer to the turntable from a stack arranged with a vertical axi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계략적으로 예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측면예시도.
제4도는 디스크선곡을 위한 본 발명의 이동과정의 상세도.
제5도는 선곡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장착과정 예시도.
제6a도는 디스크트레이와 메인베이스의 연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6b도는 디스크트레이와 메인베이스의 연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7a도는 제6도에 도시된 수직가이드용 플레이트와 로딩플레이트의 상세도.
제7b도는 제7a도 상에서 업(UP) 상태도.
제7c도는 제7a도 상에서 다운(DOWN)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 20 : 디스크보관대
21 : 가이드축 22 : 거치대
30 : 메인베이스 31 : 스핀들모우터
32 : 턴테이블 33 : 디스크트레이
33a : 랙크부 34 : U자형의 픽업터닝수단(랙크부재)
35 : 기대 36 : 정역회전모우터
38 : 안내축 39 : 2단 간헐기어
40 : 플렉시블와이어 41 : 픽업캐리지
42 : 슬라이딩모우터
본 발명은 업소용 가라오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데크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보관된 다수의 디스크로부터 소망의 곡을 픽업 신속히 재생함으로서 동작의 신뢰성을 보다 증진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선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디스크를 이용하는 기존의 가라오케시스템은, 멀티디스크 플레이어를 2~3대 설치한 상태에서 이들로부터 번갈아가면서 소망의 곡을 재생하는 방식의 재생장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같은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래밍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연주가 단조롭고 화면이나 음질이 고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공통된 화면을 여러개로 분리된 방에 각기 송출하며 다만 가사와 멜로디만을 각기 원하는 상태로 재현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화면의 음악내용이 별개로 구성되는 운영상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재생장치는 우선 수많은 디스크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 원하는 디스크를 택하여 2∼3개로 배열된 멀티디스크 플레이어에 각각 거치시켜 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조작이 불편하며 신뢰성이 또한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폐단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많은량의 디스크를 동시에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번지를 찾아 신속한 서치 및 선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코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돈된 디스크의 단면 또는 양면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향상된 업소전용 디스크주크타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제1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조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예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로서, 자동선곡이 가능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는, 복수개의 디스크(10)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하로 정열, 수납하고 있는 디스크보관대(20)와 ; 디스크보관대 (20)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10)를 선택적으로 픽업하여 턴테이블(32)위에 공급하는 디스크트레이(33)와 ; 공급된 디스크(10)의 재생을 위해 턴테이블(32)이 탑재된 스핀들모우터(31) 및 U자형의 픽업터닝 수단(34)을 구비하는 메인 베이스(30)와 ; 메인베이스(30)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대응하는 디스크(10)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기대상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36) 및 한쌍의 안내축(38) ; 그리고 상기 디스크트레이(33)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메인베이스(30) 일측에 부설되며, 디스크트레이 (33)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렉크부(33a)와 맞물려 결합되는 2단 간헐기어(39)로 이루어진다.
다시말해, 기대(35)상에 고정되며 선단에 정역회전모우터(37)가 연설되는 리드스크류(36)에는 메인베이스(30)가 리드스크류(36) 및 안내축(38)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메인베이스(30) 위에는 턴테이블(32)을 구비하는 스핀들모우터(31)와 함께 디스크 양면에 기록된 신호를 양방향에서 재생시켜 줄 수 있도록 픽업,캐리지(41)를 상하로 터닝시키기 위한 U자형 랙크부재(34)가 좌우한쌍의 구조를 이루며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인베이스(30)는, 디스크트레이(33)를 수평이동시켜 트레이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32)에 옮겨질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트레이 이송장치, 즉 데크(Deck) 메카니즘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트레이(33)와 랙크부를 이동하는 메인베이스(30)의 일반적인 연동관계를 제6a도 내지 제7c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베이스(30)에 모터의 동력을 받는 2단 간헐기어(39)와, 축(104A)를 중심축으로 캠곡선(39A)를 따를 수 있는 로딩레버(104)를 조립한다. 여기서 간헐기어라 함은 270°구간은 치차구간으로 트레이의 수평이동용, 나머지 90°구간은 무치차부로, 캠곡선을 이용한 트레이의 수직이동구간으로 할당되어 있는 기어를 말한다.
그리고 메인베이스에는 수직가이드용 플레이트(102)를 양족에서 체결하고 2개의 플레이트(102)의 내부에는 트레어셈블리[즉, 트레이(33)과 트레이 업다운 플레이트(101)와 장축기어 (105)]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에는 로딩플레이트(103)를 각각 밀착시킨 후 가이드스크류(106)를 각각 체결한다. 이때 로딩플레이트(103)에는 사선방향의 곡선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크류(106)는 홈(102A)와 홈(103A) 사이를 관통하여 플레이트(101)에 체결된다. 그리고 트레이에는 래크(33A)가 가공되어 있고 축(101A)에 의하여 수평가이드 되어진다. 그리고 로딩레버(104)의 양단은 로딩플레이트(103)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트레이와 메인베이스의 연동과정은, 간헐기어(39)가 회전(270°가량)하여 장축기어(105)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하여 트레이랙(33A)에 의해 디스크를 안착한 트레이(33)가 수평이동을 종료 할즈음, 가헐기어(39)와 장축기어(105)는 무치차부(39B)를 만나 장착기어(105)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트레이의 수평이동이 종료된다.
이어서 간헐기어(39)가 계속 회전하면, 캠곡선(39A)에 의하여 동심원을 따르던 로딩레버(104)가 캡축(104B)에 이한 위치변화로 축(104A)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로딩플레이트(103)을 좌우로 교대시켜 주어서 홈(103A)와 홈(102A)상에서 제7b도, 제7c도와 같이 높이변화를 [트레이(33), 트레이 업다운 플레이트 (101), 장축기어(105) 어셈블리 전체]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바와같이 디스크트레이(33)는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해 오픈된 상태에서 수평이동을 하게 되고, 턴테이블(32) 위치에 이르게 되면 수직이동을 하여 재생위치에 이르게 되는 것이며, 디스크(10)가 정위치에 안전하게 장착되었음을 감지한 센서에 의해 스핀들모우터(31)가 회전을 시작하게 되면서 픽업캐리지(41)는 디스크(10)에 수록된 신호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데크메카니즘을 탑재하고 있는 메인베이스(30)의 좌측에는, 4개의 가이더축 (21)을 따라 100여장의 디스크(10)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는 디스크보관대 (20)가 위치된다.
이러한 디스크보관대(20)는 우측일방이 개방되어 있고, 중앙에는 공간부를 확보하여 디스크(10)가 좌우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대(22)에 단순히 얹혀지는 상태로 보관되는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메인베이스(30)위에 탑재되는 디스크 트레이 (33)가 수평이동하여 그 위에 보관중인 디스크(10)중 하나를 선택, 턴테이블(32)로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디스크(10)의 선택은, 메인베이스(30)상에 설치되는 디스크감지센서(도시없음)가 디스크보관대(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소망의 디스크(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보관중인 디스크(10)가 어떤 위치에 어떠한 곡을 수록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마이콤(마이크로프로세서)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그 제어신호로서 번지를 설정하게 된다.
물론 메인베이스(30)위에 각기 탐재되고 있는 디스크감지센서 및 픽업캐리지 (41)와 그 동력원으로서의 모우터 등은 마이콤과 플렉시블와이어(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메인베이스(30)의 일측에 부설되어 디스크트레이 (33)를 디스크보관대(20)로 운반하게 되는 2단 간헐기어(39) 역시 마이콤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고, 2단 간헐기어(39)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어진 디스크트레이(33)를 수직이동시켜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빙플레이트(도시없음)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또한, 디스크주크박스 타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자동선곡방법이 있어서, 선택코자 하는 디스크의 번호와 디스크(10)에 수록된 곡명을 선택하는 키이선택단계와 ; 설정신호에 따라 턴테이블(32)이 장착된 메인베이스(30)를 선택된 디스크하부로 이송 정지시키는 메인베이스 이송단계와 ; 이송된 메인베이스(30)로부터 디스크트레이(33)를 인출하여 선택된 디스크하부에 위치시키는 디스크트레이 삽입단계와 ; 디스크하부에 위치한 트레이(33)를 다시 상향이동시켜 트레이에 디스크(10)를 옮겨담는 디스크 탑재단계와 ;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33)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턴테이블(32)에 장착시키는 디스크 장착단계와 ; 장착된 디스크(10)로부터 설정된 곡을 재생하는 단계 ; 그리고 재생완료된 디스크(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다음곡을 준비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동선곡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에 따르면, 먼저 모드선택키이의 입력에 의해 디스크보관대 (20)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의 번호와 그 디스크 중에 실린 곡을 구체적으로 선정하여 실행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이같은 설정신호가 있으며, 마이콤은 리드스크류(36)의 정역회전모우터(37)를 회동시켜 주어 메인베이스(30)가 설정된 디스크(10) 위치에 이르도록 안내하게 되는데, 메인베이스(30)가 도착되는 위치는 설정된 디스크(10)의 직하방이 된다.
다시말해, 100번 디스크에 실린곡을 재생하라는 입력키가 있었다면, 메인 베이스(30)상의 디스크트레이(33)는 제4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같이 100번과 99번 디스크 사이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트레이(33)를 상방으로 약간 들려올려 ″A″위치에 이르도록 한후, 디스크트레이(33)의 일측에 구비되고 있는 랙크부(33a)가 2단 간헐니어(39)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한다음 2단 간헐기어(39)를 동작시켜 디스크트레이(33)를 100번 디스크(10)의 저부인 ″B″위치로 밀어넣어 주게 되고, 이어서 디스크트레이(33)를 다시 100번 디스크와 101번 디스크 사이인 ″C″위치로 들어올려 디스크 보관대(20)에 놓여있던 100번 디스크(10)를 이동중인 디스크 트레이(33)에 옮겨 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디스크트레이(33)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리드스크류(36)를 따라 메인베이스(30) 전체가 이동을 함으로서 가능해진다.
이렇게 이동을 마친 디스크(10)는, 디스크트레이(33)에 담기어진 ″C″위치에서 디스크트레이(33)의 복원 동작에 따라 제5도에서와 같이 수평이동하여 턴테이블(32)의 상부인 ″D″위치로 복귀되고 나서, 디스크트레이(33)의 하강에 의해 다시 ″A″위치에 이르게 되는데, 이와같이 하강하는 디스크트레이(33)로부터 디스크 (10)가 분리되면서 디스크(10)는 턴테이블(32)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과정을 통해 선택된 디스크(10)는 턴테이블(32) 위에 올려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스핀들 모우터(31) 및 픽업캐리지 (41)내의 슬라이딩모우터(42)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므로 소망하는 곡을 원하는 위치에서 재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신호의 재생은 리드스크류(36)를 따라 이동하는 메인베이스(30)가 선택된 디스크(10) 위치에 이르러 그 위치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서치 및 선곡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보관대(20)에 보관중인 디스크들을 양분하여 나누어진 구역만을 전담할 수 있도록 2이상의 메인베이스(30)가 리드스크류 (36)를 따라 각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양면디스크인 경우 한쪽면의 재생이 끝난후 이어서 다르면의 재생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반대면의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캐리지(41)는 U자형의 랙크부재(34)를 따라 신속히 이동하여 상면의 재생위치로 옮겨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행동작으로서 디스크를 선정하고 그 디스크로부터 선택된 곡을 재생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하였으나, 재생도중 또는 재생에 이어 다음곡이 예약되는 경우에는 재생이 끝난 디스크를 상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하여 복귀시키고 나서 다시 상술한 진행의 순서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원활하고도 신뢰성이 향상된 자동선곡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복수개의 디스크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하로 정열, 수납하고 있는 디스크보관대와 ; 디스크보관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픽업하여 턴에이블 위에 공급하는 디스크트레이와 ; 공급된 디스크의 재생을 위해 턴테이블이 탑재된 스핀들모우터 및 픽업터닝수단을 구비하는 메인베이스와 ; 메인베이스를 상하 이동시켜 선택된 디스크 위치까지 신속히 안내할 수 있도록 기대상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 및 한쌍의 안내축 ; 그리고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메인베이스 일측에 부설되며, 디스크트레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랙크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2단 간헐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기대상의 리드스크류를 따라 상하 승강이동하는 메인베이스가, 독립된 2개 이상의 데크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을 탑재한 메인베이스상에, 디스크 보관대의 정확한 위치로 감지할 수 있도록 디스크 감지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메인베이스 일측에 부설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캠곡선이 형성된 2단 간헐기어와, 상기 2단 간헐기어의 캠곡선을 따를 수 있도록 설치된 로딩레버와, 상기 디스크트레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2단 간헐기어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장축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5. 디스크주크박스 타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이용한 디스크 자동선곡방법이 있어서, 선택코자 하는 디스크의 번호와 디스크에 수록된 곡명을 선택하는 키이선택단계와 ; 설정신호에 따라 턴테이블이 장착된 메인베이스를 상하 이동시켜 선택된 디스크의 하부로 이송 정지시키는 메인베이스 이송단계와 ; 이송된 메인베이스로부터 디스크트레이를 인출하여 디스크보관대에 보관중인 선택된 디스크 직하방에 위치시키는 트레이삽입단계와 ; 디스크하부에 위치한 트레이를 다시 상향이동시켜 트레이에 디스크를 옮겨담는 디스크 탑재 단계와 ; 디스크가 수납된 트레이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 턴테이블에 장착시키는 디스크 장착단계와 ; 장착된 디스크로부터 선정된 곡을 재생하는 단계 ; 그리고 재생완료된 디스크를 원래의 복귀시키는 동시에 다음곡을 준비하는 일련의 연속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선곡방법.
KR1019920023185A 1992-12-03 1992-12-03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KR96000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185A KR960001258B1 (ko) 1992-12-03 1992-12-03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185A KR960001258B1 (ko) 1992-12-03 1992-12-03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1A KR940016131A (ko) 1994-07-22
KR960001258B1 true KR960001258B1 (ko) 1996-01-24

Family

ID=1934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185A KR960001258B1 (ko) 1992-12-03 1992-12-03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47B1 (ko) * 1996-12-27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버
KR20020003688A (ko) * 2000-06-27 2002-01-15 지경자 캔들형 금속필터의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1A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5978A (en) Disc player
US5528566A (en) Apparatus for optical disc storage of optical discs and selective access and/or retrieval thereof via pneumatic control
KR89000426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US4734898A (en)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US4633452A (en)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US4599716A (en) Autochanger type disc player
US5329516A (en) Disk player with internal conveyor for exchanging stored disks
US4674077A (en) Disc reproducing apparatus with carousel using disc clamping device
KR960001258B1 (ko) 디스크 주크박스 타입의 자동선곡이 가능한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자동선곡방법
JP274970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5748577A (en) Device for playing back disks
JP307982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H02121159A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US6052342A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ed medium
US6169712B1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ed medium
KR900000640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KR0145598B1 (ko) 오토 체인저의 콤팩트 디스크 검지방법 및 장치
KR900000637B1 (ko) 디스크 자동교환장치
JP322358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0146133B1 (ko) 더블디스크 재생장치
JP2880225B2 (ja) ディスクの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の制御方法
JP2002093012A (ja) メディア駆動装置
JP316376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582664B2 (ko)
JPH07320463A (ja) チェンジャ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