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01B1 - 공기들이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들이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01B1
KR960000901B1 KR1019860008852A KR860008852A KR960000901B1 KR 960000901 B1 KR960000901 B1 KR 960000901B1 KR 1019860008852 A KR1019860008852 A KR 1019860008852A KR 860008852 A KR860008852 A KR 860008852A KR 960000901 B1 KR960000901 B1 KR 96000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styrene
tire
butadi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885A (ko
Inventor
야수시 기꾸치
가주요시 가야마
유끼지 수주끼
히로유끼 와따나베
슈이찌 아끼다
Original Assignee
요꼬하마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히사아끼
니혼 제온 가부시기가이샤
오오니시 사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꼬하마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스즈끼 히사아끼, 니혼 제온 가부시기가이샤, 오오니시 사부로오 filed Critical 요꼬하마 고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2Incorporating nitrogen atoms into the molec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0Incorporating sulfur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들이 타이어
제1도는 본 발명 타이어의 일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트레드부 1 : 캡층(외표면측 고무층)
2 : 언더층(내면측 고무층) 3 : 카아커스층
4 : 비이드 와이어 5 : 벨트층
6 : 트레드홈 7 : 사이드 부
본 발명은 주행시 타이어 트레드부의 발열이 적고, 저연비성(低燃費性)에 우수하고, 더구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및 적설 결빙노면(結氷路面)에서의 제동성을 모두 함께 현저하게 개선한 공기들이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원절약,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인 요청하에, 자동차에 있어서의 저연비성의 요구가 대단히 재고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개솔린 소리가 적은 엔진의 개발등 자동차 본체의 개발주 물론이거니와, 에너지 손실이 적은 저연비 타이어의 검토가 급속히 행하여져 왔었다.
종래, 저연비 타이어의 타이어 재료용의 고무로서 히스테리시스 로스의(hysteresis loss) 적은 고무재료가 요구되어, 그 중에서도 타이어의 히스테리시스 로스의 50% 이상을 점한다고 하는 트레드부에는, 고무성분으로서 히스테리시스 토스의 적은 천연고무, 폴리이소푸렌 고무, 폴리부타디엔고무, 유리전이점(塡移点)(Tg)이 낮은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등이 사용되어 왔다.
다시금, 고무 조성물로서는 비교적 입자경(粒子經)이 큰 카본블랙을 비교적 적은 배합량으로서 배합하고, 또한, 알로마틱 오일등의 연화제(軟化劑)의 배합량도 가급적 적게 한 고무 조성물이 지금까지는 사용되어 왔었다.
그런데, 최근 타이어에 대하여 보다 많은 기능이 한층 높은 레벨로서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예컨데,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개발된 저연비 타이어에 있어서, 그 저연비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을 뿐더러, 또한 안정성 면에서는 젖은 노면 및 적설, 결빙노면등의 각종 노면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은 제동성능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히스테리시스 로스의 적은 천연고무, 폴리이소푸렌고무, 폴리부타디엔고무, Tg의 낮은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를 사용한 경우에는, 특히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웨트스퀴드 저항성)이 뒤떨어지며, 주행안정성이 극단적으로 저하해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입자경이 큰 카본블랙을 사용한 경우에는 저연비성능은 우수한 것이지만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및 내마모성이라는 특성의 저하는 피할 수가 없었다.
그위에 지금까지의 저연비 타이어의 트레드부 고무는 연화제의 배합량을 적게하고 있기 때문에 저온이 되면 단단해지기가 쉽고, 이로 인하여 적설이나 결빙된 노면에서의 제동성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레벨까지는 도달해 있지 않았다.
한편, 타이어의 저연비성능과 웨트스퀴드 저항성(wet skid resistancd)의 양 특성을 만족시킬 재료로서, 촤근에는 1,2-비닐결합을 50% 함유하는 소위 고비닐폴리부타디엔고무나 고비닐스틸렌-부타니엔 공중합체 고무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고무는 어느것이건 높은 유리전이점(Tg)을 갖기 때문에 내마모성에 뒤떨어지며, 더구나 저온에서는 경화되기가 쉽고, 적설, 결빙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에 현저하게 뒤떨어지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특성을 충족하기에는 역시 불충분하다.
이와같이 현재로어는 저연비성능, 적은 노면에서의 높은 제동성, 적설, 결빙노면에서의 높은 제동성이라고 하는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주는 타이어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특히 지금까지는 노면이 적설이나 결빙때문에 미끄러지기 쉽게 되는 겨울철에 있어서는, 저연비 타이어를 포함한 일반타이어로서는, 이들의 노면에 있어서의 제동성이 대단히 작고, 스노우 타이어의 사용을 불가피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타이어 교환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는 상당한 것이었으며, 일반 여름 타이어로서 상기한 3가지의 특성을 만족하는 사계절용의 타이어의 출현이 대단히 절실히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행시 타이어 트레드부의 발열이 적고, 저연비성에 우수하고, 더구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및 적설, 결빙노면에서의 제동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공기들이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타이어는 여름과 겨울을 불문하고 모든 계절에 걸쳐 사용가능한 소위 사계절용의 공기들의 타이어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트레드부에 신극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므로서 저연비성이며 적은 노면 및 적설, 결빙노면에서의 제동성에 우수한 공기들이 타이어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레드부가 외표면측 고무층과 내면층 고무층의 적어도 2층으로 된 공기들이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측 고무층은, (1) 천연고무 및/또는 폴리이소푸렌고무 20∼90중량부, 결합스틸렌량이 5∼30중량%이고, 부타디엔부의 1,2-비닐결합량이 10∼85%인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10∼80중량부 함유하고, 고무분합계 100중량부이고, 상기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에는 분자사슬 말단 혹은 분자사슬에 하기식,
Figure kpo00001
로서 나타낸 원자단이 도입되어 있고, R1,R2,R3는 각각 수소 또는 치환기를 표시하고, R1은 R2또는 R3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2) 보강제로서, 비표면적(N2SA)이 60∼140㎡/g, 디부틸탈레이트 흡유량(吸由量)(DBP 흡유량)이 100∼150ml/100g인 카본블랙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80중량부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들이 타이어를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은 하기에 기술(記述)에서 명료해질 것이다.
(1)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표면적측 고무층(1)은, 천연고무 및/또는 폴리이소푸텐고무 20∼30중량부의 특징의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10∼8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다.
[고무분 합계 100중량부]
이 범위외의 배합비율로서는, 저연비성,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적설, 결빙노면에서의 제동성의 어느 것인가의 특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 다른 피엔계고무, 에컨데, 폴리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비변성(非變性)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등을 다시금 30중량부 이하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사용하는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에는, 분자사슬 말단 혹은 분자사슬에 하기식으로 나타낸 원자단이 도입되어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I)중, R1,R2,R3는 각각 수소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1은 R2또는 R3과 결합하여 고리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식(I)으로서 나타내는 원자단의 도입은, 하기식의 결합
Figure kpo00003
(식중 M은, O 원자 또는 S 원자를 표시하고, R1,R2,R3는 각각 수소 또는 치환기이며, R1은 R2또는 R3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좋다)을 갖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A라 칭함)을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화합물 A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에틸포름아미드, 아미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N',N'-디메틸아미노아세트아미드, N-페닐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프로피온아미드, N,N-디메틸프로피온아미드; 4-피리딜아미드, N,N-디메틸-4-피리딜아미드, N,N-디메틸벤즈아미드, P-아미노벤즈아미드, N',N'-(P-디메틸아미노) 벤즈아미드, N,N-디메틸-N'-(P-에틸아미노) 벤즈아미드, N-아세틸-N-2-니프틸벤즈아미드; 니코틴아미드, N,N-디에틸니코틴아미드; 호박산아미드, 말레인산아미드, N,N,N',N'-테트라메틸 말레인산아미드; 호박아미드, 말레이미드, N-메틸프탈이미드,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1,2-시클로 랙산디카르복시미드, 옥사미드, 2-프라미드, N,N,N',N'-테트라메틸옥사미드, N,N-디메틸-2-프라미드; N,N-디메틸-8-퀴놀린카르복시아미드, N,N-디메틸-P-아미노-벤잘아세트 아미드, N,N-디메틸-N',N'-(P-디메틸아미노) 신나밀리덴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N',N'-(2-디메틸아미노) 비닐아미드, N'-(2-메틸아미노)비닐아미드, 요소, N,N'-디메틸요소, N,N,N',N'-테트라메틸요소, 카르바민산메틸, N,N-디엘틸카르바민산메틸, ε-카프로락탐, N-메틸-ε-카프로락탐, N-아세틸, -ε-카프로락탐, 2-피로리든, N-메틸-2 피로리든, N-아세틸-2-피로리든, 2-피페리든, N-메틸-2 피페리든, 2-퀴놀른, N-메틸-2-퀴놀른, 2-인드리논, N-메틸-2 인드리논, 이소시아놀산, N-N',N"-트리메틸이소시아놀산등 및 이들의 대응의 함유 황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질소에 알칼리기가 결합한 화합물이다.
상기 식(I)로서 나타낸 원자단이 도입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컨데, (a) 알칼리금속을 토대로 하는 chr매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을 토대로 하는 촉매를 사용하여 스틸렌과 부타디엔과를 중합시키고, 중합반응이 완료한 용액중에 화합물 A을 첨가하는 방법, (b)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중에서, 그 공중합체에 알카리금속 및/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을 부가시켜, 잇따라서 화합물 A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의 중합반응 및 부가반응에 사용되는 알칼리금속을 토대로 하는 촉매는, 리륨, 루비듐, 세슘등의 금속 그 자체, 혹은 이들의 탄화수소 화합물 혹은 극성화합물과의 합성물(예컨데, N-부틸리튬, 2-나프틸리튬, 칼륨-테트라히드로푸란 합성물, 컬륨-디에톡시에탄 합성물등이다.
또 알칼리토류금속을 토대로 하는 촉매는, 특개소 51-115590호, 특개소 52-9090호, 특개소 57-100146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륨, 스트론륨, 칼슘등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촉매계등이 예시될 수 있다.
어떤 금속을 토대로 하는 촉매도 통상적인 용액중합의 촉매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좋고,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종료후, 화합물 A의 도입된 불포화 고무상 중합체는, 메탄올등의 응고제의 첨가, 수증기에 의한 스트립핑등의 통상적인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반응용액중에서 회수된다.
얻어진 불포화 고무상 중합체에는, 분자사슬말단 혹은 분자사슬에
Figure kpo00004
되는 원자단으로서 화합물 A가 도입되어 있다.
상기 식중, R1,R2,R3는 각각 수소 또는 치환기를 표시하고, R1은 R2또는 R3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화합물 A가 도입되는 부위는, 분자사슬의 말단 혹은 그 이외의 부위이더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분자사슬의 말단이다.
분자사슬의 말단이 디에닐구조의 공중합체와 화합물 A와의 반응으로 얻어진 중합체를 사용하므로서, 저연비성의 개선이 다시금 커지기 때문이다.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가 상기 식(I)로서 나타낸 원자단을 분자사슬내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필수의 구성요건이다.
이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은, 상기 식(I)로서 나타낸 원자단을 갖지 않은 통상적인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로서 된 고무 조성물에 비하면 현저하게 개선된 반발탄성을 나타냄.
따라서, 이 고무 조성물을 트레드에 사용한 공기들이 타이어는, 다른 특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해가면서 저연비성을 대단히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틸렌-부타엔 공중합체 고무는, 결합스틸렌량이 5∼3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30중량%이며, 또 부타디엔부의 1,2-비닐결합량이 10∼85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0∼75%이다.
결합스틸렌량이 5중량% 미만에서는 고무 조성물의 웨트스퀴드 저항이 저하하고, 젖은 노면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제동성능을 악화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30중량%를 넘어서면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이 크게 되는 반면, 적설, 결빙노면에서의 제동성 및 내마모성이 악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1,2-비닐결합량이 10% 미만에서는 제조가 곤란할 뿐더러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의 개선효자가 작고, 한편, 85%을 넘으면 발열성이 크게됨과 함께 결빙노면에서의 제동성, 내마모성이 대폭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는, 타이어 제조시에 양호한 가공성을 얻기 때문에, 주석-부타디에닐 결합으로 결합된 분기상(分岐狀)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단, 주석-부타디에닐 결합의 형성을 위차여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의 분자사슬말단이 지나치게 이용되면 상기 식(I)에서 나타낸 원자단을 도입하기 위한 유효 분자사슬말단이 감소하므로, 타이어 제조시에 양호한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인 타이어 성능을 얻고자 한다면, 주석-부타디에닐 결합으로 결합된 분기상 중합체(A)와 분자사슬내에 상기 식(I)으로서 나타낸 원자단이 적어도 1개 도입된 중합체(B)와의 비율 A/B이 0.1 이상 4.0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표면측 고무층(1)이 보강제로서, 카본블랙을 원료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80중량부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카본블랙의 배합량이 30중량부 미만에서는 타이어로서 충분만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내마모성이 얻어질 수가 없다.
한편, 80중량부를 넘으면 타이어의 저연비성이 악화되고, 덧붙여서, 트레드부의 경도가 저온으로 높아지므로 결빙노면에서 미끄러지기 쉽게 되고,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사용하는 카본블랙의 특성으로서는, 질소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N2SA)이 60∼140㎡/g, 바람직하기로는 75∼120㎡/g로서, 디부틸푸탈레이트 흡유량(吸由量)(DBP 흡유량)이 100∼150m1/100g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N2SA가 60㎡/g 미만에서는 타이어의 저연비성에 우수한 것이나,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악화한다.
한편, N2SA가 140㎡/g을 넘으면 타이어의 저연비성이 뒤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DBP 흡유량이 100m1/100g 미만에서는, 타이어의 내마모성이 저하되고, 다시금 조종안정성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150m1/100g을 넘으면, 저온으로 트레드부가 경화되기 쉽고, 적설, 결빙 노면에서의 제동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금, 이 카본블랙으로서는 원심침강법에 의해 측정되는 응집체분포의 반값폭(半値幅)(△Dst)이 85∼130mμ의 것이, 저연비성의 개선에는 보다 더 한층의 효과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드부가 적어도 2층으로 된 공기들이 타이어의 외표면측 고무층에 상술한 바와같은 고무성분, 카본블랙으로서 된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 고무 조성물은, 통상적인 고무공업이서 사용되는 배합제인 가황제(加慌劑), 가황조제(加慌助劑), 노화방지제, 연화제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타이어는 승용차 타이어를 위시하여, 트럭, 버스용 타이어등 모든 타이어에 적용 가능한 것이며, 타이어의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 실시예, 비교예]
여기서 사용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SBR)의 특성을 제표에, 카본블랙의 특성을 제2I표에 나타내 있다.
제3표에 나타낸 배합(중량부)의 고무를 제1도에 나타낸 2층 트레드 구조를 갖는 타이어의 캡층에 사용하고, 165 SR 13의 타이어를 18종류 제작하였다.
각 타이어에 대해서, 젖은도로 제동시험, 결빙도로 제동시험, 굴러가는 저항시험을 실물자동차에 의해 하기의 방법으로 행하여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제3표에 병기(倂記)하였다.
(1) 젖은도로 제동시험:
아스팔트포장노면에 살수하고, 40km/hr로부터의 제동거리를 측정하고, 비교예 1의 타이어를 100으로 했을때의 지수(指數)로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제동성능은 양호하다.
(2) 결빙도로 제동시험:
기온 -5∼-10℃의 분위기하(下), 완전히 결빙된 노면에 있어서 속도 40km/hr로서 주행중에 브레이크를 걸고,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비교예 1의 타이어를 100으로 했을때의 지수로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제동성능은 양호하다.
(3) 굴러가는 저항시험:
자동 707mm이 실내시험장 드럼상에서, 타이어의 내압 1.9kg/㎠, 하중 420kg을 부하하고, 100km/hr의 속도로서 예비주행을 30분간 행한 후, 60km/hr의 속도로서 굴러가는 저항을 측정하고, 비교예 1의 타이어를 100으로 했을때의 지수로서 평가하였다.
지수가 작을수록 굴러가는 저항이 낮고, 저연비성에 우수하다.
[표 1]
Figure kpo00005
주)
* 1 Nipol 1502(Nippon Zeon Co., Ltd)
* 2 Solprene 1204(Asahi chemical Industry Co.,Itd)
* 3 Cariflex 1215(Shell chemical Co.)
* 4 NMR(푸로톤사용)
*5 분기상 중합체의 양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또, (I)식의 도입된 중합체의 양은, 13C-NMR(C13을 사용한 핵자기공명흡수법(Nuclear Magnetic Resonance))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6
주)
*1 사이스트 KH(도오까이 카본).
*2 다이아블랙 A(미쯔비시 까세이).
*3 HTC #100(Cubu Carbon Co., Itd)
*4 ASTM D3037의 방법으로 측정.
*5 JIS K 6221의 방법으로서 측정.
*6 △Dst의 측정은 디스크 센트리퓨지(영국 Joyce Loebl 사제)를 사용하여 다음의 방법에 따라 측정.
즉, 카본블랙을 정확하게 저울에 달아서 20 용량 에탄올 수용액과 계면활성제를 가하고, 카본블랙 농도를5mg/100cc가 되도록 초음파로서 분산시켜 시료용액을 제작한다.
다음에, 디스크센트 리퓨지의 회전속도 8000rpm에 있어서 시료용액 0.5ml을 증류로서 된 스핀액 10m1에 주입하고, 한꺼번에 원심침강을 개시케 하고, 광(光) 침강법에 의해 스토오크스 지름으로 환산된 응집체분포곡선을 작성하고,그 히스토그램(histogram)에 있어서의 최다빈도(chleogmqrhkdeh)은 1/2인때의 응집체의 분포폭을 반값폭(半値幅)(△Dst)으로 한다.
[표 3]
Figure kpo00007
주) :
* 1 TTR-20(TTR. Thailand Tested Rubber)
*2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니렌디아민.
*3 N-시클로로헥실-2-벤조티아질-설펜아미드
제3에서, 실시예 1∼5의 타이어는, 비교예 1의 타이어에 비해시 굴러가는 저항이 작고, 저연비성이 대폭으로 우수한 것이었고, 더구나 젖은 도로 및 결빙도로에서의 제동성도 개선되어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비교예 1∼5의 타이어와 같이 폴리머를 트레드부에 사용한 타이어로서는 젖은 도로에서의 제동성 결빙도로에서의 제동성, 굴러가는 저항성의 모두를 만족하는 타이어는 얻어지지 않고 있다.
또, 천연고무와의 브렌드계에 있어서도 상기 식(1)이 분자사슬중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비교예 6,7,9), 결합스틸렌 양이 30중량% 이상의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비교예 8)를 사용한 경우에는 개선이 불충분하다.
카본블랙에 대해서는, N2SA가 140㎡/g 이상의 SAF 카본을 사용하면 굴러가는 저항성이 뒤떨어지며(비교예 10), N2SA가 60㎡/g 이하의 FEF급의 카본으로서는 충분한 젖은 도로 제동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비교예 11)
이에 대해서, N339 카본 및 실시예 6,7에 나타낸 카본블랙에서는 모든 특성이 동시에 현저하게 내선된 타이어가 얻어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드부에 신규인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를 함유한 고무 조성물을 사용했으므로, 저연비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젖은 노면 및 적설, 결빙노면에서의 제동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사계절용의 공기들이 타이어를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트레드부가 외표면측 고무층과 내면측 고무층의 적어도 2층으로 된 공기들이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표면측 고무층은, (1) 천연고무 및/또는 폴리이소푸렌고무 20∼90중량부, 결합스틸렌량이 5∼30중량%이고, 부타디엔부의 1,2-비닐결합량이 10∼85%인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10∼80중량부 함유하고, 고무분합계 100중량부이며, 상기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에는, 분자사슬 말단 혹은 분자사슬에 하기식,
    Figure kpo00008
    로서 나타내는 원자단이 도입되어 있으며, 상기 식중, R1,R2,R3는 각각 수소 또는 치환기를 표시하고, R1은 R2또는 R3과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2) 보강제로서, 비표면적(N2SA)이 60∼140㎡/g, 디부틸푸탈레이트 흡유량(DBP 흡유량)이 100∼150m1/100g인 카본블랙을 원료로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80중량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들이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외표면측 고무층은, 다시금, 폴리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비변성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를 30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공기들이 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는, 주석-부타디에닐 결합으로 결합된 분기상 중합체를 함유한 공기들이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카본블랙은, 원심침강법에 의해 측정되는 응집체 분포의 반값폭(半値幅)(△Dst)이 85∼135mμ인 공기들이 타이어.
KR1019860008852A 1985-10-23 1986-10-22 공기들이 타이어 KR960000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35294A JPS6296546A (ja) 1985-10-23 1985-10-23 空気入りタイヤ
JP60-235294 198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885A KR870003885A (ko) 1987-05-06
KR960000901B1 true KR960000901B1 (ko) 1996-01-15

Family

ID=1698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852A KR960000901B1 (ko) 1985-10-23 1986-10-22 공기들이 타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296546A (ko)
KR (1) KR960000901B1 (ko)
CA (1) CA1289044C (ko)
DE (1) DE363558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4860B2 (ja) * 1987-06-30 1997-07-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5843249A (en) * 1996-03-07 1998-12-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ruck tire with cap/base construction tread
WO1997039056A1 (fr) * 1996-04-17 1997-10-23 Nippon Zeon Co., Ltd. Composition de polymere diene, processus de preparation de cette composition et composition de caoutchouc contenant cette premiere composition
JP2001261887A (ja) * 2000-03-23 2001-09-26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2552A (ja) * 1984-08-02 1986-03-01 Nippon Zeon Co Ltd ゴム組成物
JPH0629339B2 (ja) * 1985-07-29 1994-04-20 日本エラストマ−株式会社 改善されたタイヤ用ゴ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4624B2 (ko) 1992-10-15
CA1289044C (en) 1991-09-17
KR870003885A (ko) 1987-05-06
DE3635587A1 (de) 1987-04-23
JPS6296546A (ja) 1987-05-06
DE3635587C2 (de) 199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4974B (zh) 冬胎
US5877249A (en) Tire with tread having silica reinforcement field
EP3301131B1 (en) Cap tread rubber composition for cold weather tires
US4822844A (en) Rubber compositions
JP5351244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EP3300923B1 (en) Pneumatic tire
JPS5937014B2 (ja) タイヤ・トレツド用ゴム組成物
JPH0355503B2 (ko)
JP340610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612729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EP1277797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rubber composition
JP2004091505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KR960002964B1 (ko)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960000901B1 (ko) 공기들이 타이어
JPH11255966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4088290B2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タイヤ
JPS58199203A (ja) 重荷重車両タイヤ用トレッドゴム組成物
JPH0753810B2 (ja) タイヤトレツド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04675B1 (ko) 고무 조성물
JPH0643517B2 (ja) 高速用大型空気入り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S5846257B2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2002226631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2613043B2 (ja) トレツド用ゴム組成物
JPH1081782A (ja) 低燃費タイヤ用トレッドゴム組成物
JP2005213380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