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786Y1 - 동전계수기 - Google Patents

동전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786Y1
KR960000786Y1 KR2019890014377U KR890014377U KR960000786Y1 KR 960000786 Y1 KR960000786 Y1 KR 960000786Y1 KR 2019890014377 U KR2019890014377 U KR 2019890014377U KR 890014377 U KR890014377 U KR 890014377U KR 960000786 Y1 KR960000786 Y1 KR 960000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scale
storag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4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891U (ko
Inventor
요시하루 하시
Original Assignee
요시하루 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하루 하시 filed Critical 요시하루 하시
Publication of KR900008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2Coin hold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2Coin holding devices
    • G07D9/004Coin pack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전계수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고안 1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 4(a)도 내지 제 4(b)도는 본 고안 1 실시예의 사용상태 설명도.
제 5 도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서의 눈금에 대한 다른 실시예.
제 7(a)도 및 제 7(b)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제 8 도는 본 고안에서의 눈금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a~7f : 수납홈 10 : 동전계수기
11 : 설치대 20a : 1원짜리 동전
21a : 5원짜리 동전 22a : 10원짜리 동전
23a : 50원짜리 동전 24a : 100원짜리 동전
25a : 500원짜리 동전 A : 중심선
B,B' : 눈금 C : 수납공간
S : 스토퍼
본 고안은 동전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일 영업하는 소매점의 금전등록기에 축적된 동전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그 갯수와 총액을 계수함으로써 동전의 총액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된 동전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소매업을 하는 곳이나 도매업, 음식점등과 같이 현금을 취급하는 곳에서는 금전등록기등으로 동전을 종류별로 계수해서 집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같이 동전을 계수할 경우, 종래에는 예컨대 금전등록기 내부에 동전을 종류별로 넣어둘 수 있도록 된 수납구획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동전을 일일이 꺼내 10개씩 계수한 다음 이를 다시 10개 단위로 블럭을 만들어 그 수를 합해서 총갯수를 산출하고, 이어 총갯수에 동전 금액을 곱함으로써 총액을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하여 동전을 종류별로 계수하고 나면 이를 다시 종류별 금액을 집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전체를 집계하는데에는 일반적으로 4~5분 가량이 걸리게 되고, 이와 같이 영업중 동전을 집계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금전등록기가 정지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손님을 상대하는데 큰 지장이 초래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동전집계작업이 끝나게 되면, 예컨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별로 수납부(1a~1f)를 갖춘 동전케이스(2)에 동전을 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각 수납부(1a~1f)의 주변에는 수납된 동전의 갯수를 표시하는 눈금은 매겨져 있으나, 이 동전케이스(2)는 계수작업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보관용으로서 쓰여지는 것으로서, 동전을 계수하여 집계하는 것은 테이블 같은 것 위에서 사람 손으로 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곳에다 동전의 갯수만 보이도록 투명한 중공(中空) 원통형상의 용기를 설치하고서, 이를 각 용기주변에다 수납된 동전의 갯수를 알아 볼 수 있도록 눈금을 매겨놓은 것이 개발되어 있기도 한데, 이러한 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내에 동전을 차례로 투입해서 적층시켜 가장 위에 있는 동전의 위치에 대응되는 눈금을 읽음으로서 당해 동전의 갯수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에서 동전을 수용해서 적층시킬 때, 동전이 적층되지 않고 도중에 걸리게 된다던지 적층되지 않은 상태로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중히 1개씩 수평상태로 해서 떨어뜨려야 하게 될 뿐만아니라, 상기 동전을 꺼집어낼 때 용기 자체를 뒤집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계수용 용기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전을 넣었다 꺼내는 작업이 번잡할 뿐만아니라, 용기 외주면에 동전의 "갯수"를 표시한 눈금이 매겨져 있는데 불과하기 때문에, 이 눈금을 가지고 알게 된 동전갯수에다 동전금액을 곱하여 총액을 계산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 동전 종류별로 준비된 용기는 동전을 수납할 때 모두 같은 곳에 모아 배열해 놓는 것이 편리하지만, 용기를 꺼꾸로 해서 개개의 용기에 수납된 동전을 꺼집어내는 작업을 용기마다 별도로 해야하기 때문에, 각 용기를 다른 용기와 별도로 분리해서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필요가 있게 되고, 이러한 구성은 취급하기에 번잡하고 제조비용이 비싸지며 용기를 분실하기가 쉽다고 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산출작업은, 몸에 익은 사람에게도 번잡하여 개선이 요망되고, 또 동전갯수를 안 다음 동전 1개의 금액을 곱해서 계산하는 경우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계산이 틀릴 수도 있어 혼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감안해서 고안된 것으로, 현금을 취급하는 업소에서 금전등록기등에 종류별로 분류해서 쌓아둔 동전을 종류별로 꺼내 계수하여 집계하는 작업을 대폭 효율화시킬 수 있도록 된 동전 계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설치대위에 각 종류별로 형성된 위쪽면이 개방되고 세로가 긴 수납홈과, 이 수납홈 바닥면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이어진 중심선 및, 이 중심선의 좌우측에, 교대로 수납되는 동전의 두께에 상당하는 상하방향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방향으로 매겨진 눈금을 맞추고서, 좌우교대로 윗쪽을 향해 형성된 상기 각 눈금의 상하 간격이 수납되는 동전의 두께에 상당함과 더불어, 상기 수납홈 최하부의 동전 스토퍼와 최하위치의 눈금 사이의 간격이 수납되는 동전두께에 상당하고, 또 상기 각 눈금 바로 위에는 당해 각 눈금에 대응하는 동전갯수의 총액을 나타내는 수치가 기재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 동전계수기(10)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 동전계수기(10)는 설치대(11)의 윗쪽면(5)위에 1원짜리 동전으로부터 500원짜리 동전까지 종류별로 세로가 긴 수납홈(7a~7f)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상기 각 수납홈(7a~7f)의 바닥면에는 이 수납홈(7a~7f)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아래쪽으로 부터 윗쪽을 향해 그 수치가 높아지는 같은 간격의 눈금이 매겨져 있다.
여기서 제 2 도의 좌측 끝 1원짜리 동전용 수납홈(7a)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납홈(7a)의 폭방향 중앙에는 이 수납홈(7a)을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중심선(A)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중심선(A)을 중심으로 소정간격(1원짜리 동전 두께의 2배간격)으로 좌우 교대로 수평방향으로 눈금(B, B')이 매겨져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선(A)의 우측에는 홀수의 수치가 좌측에는 짝수의 수치가 기재되어 이 수치가 그 바로아래에 위치하는 눈금(B, B')값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최소값 「1」을 나타내는 눈금 B-1 아래쪽에는 1원짜리 동전 1개분 두께에 상당하는 공간(제 1 눈금 수납공간 : C)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수납홈(7a)최하단에 형성된 동전스토퍼(S)에 첫번째 동전을 올려 놓게 되면 당해 첫번째 동전 바로위의 수치1이 위치하게 된다.
또, 상기 각 눈금(B, B') 바로위에 기재되어져 있는 수치는 금액을 나타내게 되는바, 즉 1은 1원을, 10은 10원을 나타낸다. 한편 중심선(A)의 좌우를 서로 바꿔 홀수를 좌측에, 짝수를 우측에 배치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심선(A)의 우측을 홀수눈금 및 그 수치로함과 더불어, 좌측을 짝수눈금 또는 그 수치로 하면서, 좌우눈금(B, B')의 간격을 수납되는 동전 1개분만큼의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즉, 한쪽편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상하위치에 있는 눈금(예컨대 B-1 과 B-3)사이의 간격이 동전 2개분만큼의 간격이 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납홈(7)의 폭이 수납되는 동전의 직경에 상당하도록 설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동전을 수납시켜 놓게 되면 동전에 의해 가려진 눈금(B, B')과 수치가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홈(7a)내에 쌓여진 동전중 최상단부의 동전의 위쪽면이 좌우 어느 눈금(B 또는 B')과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당해 상부의 동전위쪽면과 일치된 눈금(B)바로 위의 수치가 쌓여진 동전의 총금액으로 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의 사용되는 상태를 제 2 도 및 제 4(a) 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동전계수기(10)에 1원짜리 동전(20a) 1개가 수납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1개의 1원짜리 동전(20a)이 공간(C)에 놓여지게 되므로, 이 첫번째 동전 위쪽면이 수치 1의 바로 아래 눈금(B-1)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동전 위쪽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수치 1이 동전의 합계금액(즉 1원)이 된다.
이에 제 4(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원짜리 동전(20a) 3개를 수납홈(7a)에다 수납시킨 경우에는, 최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3번째의 동전이 쌓여진 상태가 되므로, 아래로부터 3번째 동전(최상부 동전)의 위쪽면이 수치 3의 바로 아래에 매겨진 눈금(B-3)과 일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합계금액은 3원이 된다.
이와같이 1원짜리 동전(20a)인 경우에는 그 갯수가 금액과 일치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으나, 5원짜리 동전(21a)이상이 되면 적층된 갯수를 아는것만으로는 전체금액을 금방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눈금(B) 바로 위에 금액을 명기해 놓음으로써, 다른 수납홈(7a~7f)에서도 눈금(B)을 보는 것만으로 수납된 동전의 전체금액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다른 수납홈(7b~7f)에 있어서도, 수납된 동전의 두께의 차이에 따라 각 눈금의 간격이 다르다는 점과, 각 눈금에 대응하는 수치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구성에 차이가 없다.
물론, 외국의 동전이나 게임용 코인과 같이 두께가 다르고 형상이 다른 동전등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눈금(B)과 수치를 갖는 계수기를 적용하게 되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제 4(b) 도에 도시된 5원짜리 동전수납용 수납홈(7b)에다 47개의 5원짜리 동전(21a)을 적층시켜 놓게 되면 47번째 동전 바로 위에 235라고 하는 수치가 나타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적층된 동전의 총액이 235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통상적으로는 쌓여진 갯수를 별로 알아야 할 필요가 없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갯수를 나타내는 수치를 금액을 나타내는 수치와 병기해 놓아도 좋다.
제 4(c) 도는 10원짜리 동전(22a)의 수납홈(7c)의 설명도로서, 최상위 동전의 바로위에 표시된 수치가 280원임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또한 제 4(d) 도는 500원짜리 동전(25a)의 수납홈(7a)에 관한 것으로, 최상위 500원짜리 동전(25a) 바로위에는 8,500원이라 기재되어 있어서, 적층된 동전의 총액이 8,500원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도에서의 아래쪽에 있는 치수선과 숫자 또는 제 3 도에서의 치수선과 숫자는, 실제로 설계한 경우의 전체 및 각 삽입홈(7)의 치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설치대(11)위에 동전종류별로 그 위쪽면(5)이 개방된 세로길이의 각 수납홈(7)이 배열형성되면서, 각 수납홈(7) 바닥면에 중심선(A)이 상하방향으로 그어지고, 이 중심선(A) 좌우측에는 각각 수납되는 동전의 두께에 상당하는 상하방향 간격으로 수평방향으로 그어진 눈금(B)이 매겨져 있다. 여기서 중심선(A) 좌우의 어느 한쪽만을 착안하면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각 눈금(B)의 간격은 수납된 동전 두께의 2배로 되어있다. 이러한 각 눈금(B)은 동전스토퍼(S)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동전의 위쪽면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적층된 동전의 최상부 동전 바로위에 위치되는 수치가 당해 동전의 전금액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동전을 수납홈(7)내에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놓기만 하면 그 후에는 최상부의 동전 바로 위의 수치를 보는 것만으로 당해 수납홈(7)내에 적층된 동전의 전금액을 쉽게 알 수가 있게 되어, 번잡한 계수작업이 일체 필요치 않게 된다.
이는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라 하더라도 또 능력과는 관계없이 1분이내에 계수하여 집계를 정확히 끝마칠 수가 있게 된다.
또, 그외에도 종래의 계수기용 기구가 갖고 있는 여러가지 불합리(예컨대, 동전의 출입곤란, 코스트 상승 등)를 해소할 수가 있다.
제 6 도는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예컨대 1mm 단위의 눈금(B)를 갖는 자(尺)의 각 눈금(B)마다 그 눈금이 나타내는 수치를 넘버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mm 단위의 눈금을 갖는 자에는 매 10mm 간격으로 10, 20, 30…이라는 숫자가 기입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1mm 눈금에는 숫자를 기재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1mm폭 정도의 근소한 공간에 숫자를 기입하는 것이 곤란할 뿐아니라, 기입하더라도 기입된 숫자가 너무 작아 식별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mm를 나타내는 눈금(B)선상에 숫자를 기입하기 위한 눈금(B)에 이 그어지지 않은 표시부(30)를 마련해서, 이 표시부(30)내에 약 2mm정도의 크기를 갖는 숫자를 기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홀수와 짝수의 각 숫자를 기입하는 위치를 좌우로 번갈아 위치시켜 놓음으로서, 홀수와 짝수의 각 숫자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기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0mm에서 시작해서 6mm 간격으로 6, 12, 18, 24…의 등간격으로 눈금을 매기고자 할 경우, 암산(덧셈 또는 곱셈)된 수치를 mm 눈금의 숫자를 기초로 찾게 되면 목적하는 눈금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로 수납홈(7) 바닥면에 중심선(A)과 눈금(B)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표시는 수납홈(7) 바닥면 이외의 부분인 예컨대 수납홈(7)의 옆쪽에 위치한 수납홈(7)보다 높은 설치대(11)에다 형성시켜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 모든 종류의 동전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7)을 설치대(11)위에다 항상 설치할 필요는 없고, 1개의 수납홈(7)이라도 설치되면 본 고안의 내용을 이룰 수 있는 바, 즉, 1개의 수납홈(7)내에나 또는 그 주변부위에 2가지 종류 이상의 동전용 눈금을 각각 나란히 기재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전계수기를 자동판매기라던가 금전등록기 등의 부품으로 조립시켜 놓고서 집계를 할 때 이 동전계수기를 가지고 집계하도록 하면 대단히 편리하게 된다.
제 7(a), (b)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전계수기의 구성도로서, 내부를 눈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수납통(50)를 축방향을 따라 2쪽으로 분할시켜 구성함과 더불어, 그 표면에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된 눈금을 매겨 놓은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2쪽으로 분할시켜 구성시킨 경우에는, 개폐한 지부(50a)에 의해 2개로 양분된 원통형상의 수납편(51, 52)이 자유로이 개폐시켜지도록 지지되는 한편, 후크 등과 같은 걸림수단(53)에 의해 닫혀진 상태가 유지시켜지도록 구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53)의 구성으로서는 여러가지가 고려될 수 있으나, 원터치(One touch)조작으로 각 수납편(51, 52)을 닫혀지도록 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 된 것이라도 상관이 없다.
그리고, 이 수납통(50)은 각종 동전규격에 따라 각각 별도로 준비하고, 수납부(55)의 형상과 규격을 각 동전의 치수에 맞도록 설정시켜 놓는다. 그리고 상기 수납통(50)의 수납부(55)의 축방향 길이는 어떤 동전 50개를 적층시켰을 때의 전체 두께에 상당하도록 설정시켜 놓게 되면, 수납부(55)내에 동전이 밀착상태로 수납시켰을 경우 눈금을 확인할 것까지도 없이 그 전체가 50개라는 것을 알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수납통(50)은 소정의 동전을 소정갯수, 예컨대 50개를 수납하는 용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어 당해 동전의 계수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예컨대 하루의 일이 끝나 금전등록기 등에 남아 있는 동전을 계수할 때에는, 먼저 동전 종류별로 수납통(50)내에 동전을 적층상태로 채워넣고, 마지막 상자만이 차지 않았을때, 즉 50개가 되지 않았을 때에는 최후의 수납통(50)내의 동전수를 수납통(50)에 매겨진 눈금(또는 제 1 실시예의 동전계수기)로 확인하면 된다.
여기서 이 수납통(50)은 동전 용기로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계수를 한 후 동전을 꺼내지 않고서 동전이 수납 되어진 상태 그대로 은행등에 가지고 갈 수도 있고, 은행측에서는 동전을 수납통(50)에서 꺼집어낸 다음 수납통(50)만을 되돌려 주면 된다.
이 수납통(50)의 재질로서는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수지나 메쉬(mesh)상의 재질등 내부의 동전을 그 적층방향 전 길이에 따라 명확히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된 것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재질을 수지로 구성시킨 경우에는, 상기 개폐힌지부(50a)도 함께 같은 재질로 일체로 성형시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수납통(50)의 표면에는, 예컨대 단수 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메모란을 마련해 놓는 것도 좋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납통(50)을 원통형상으로 하고 있었지만, 원통형상이어서 쉽게 구르게 되는 등의 불편이 걱정되는 경우에는 외형을 다각기둥형상으로 구성시키면서 수납부(55)만을 동전형상에 맞는 원통형상 등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그리고 수납통(50)은 각 동전종류마다 제조하는 것도 좋지만, 각종 동전의 두께에 실질적인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한 가지의 수납통(50)을 여러종류의 동전에 겸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의 동전계수기의 수납홈(7) 또는 제 7 도의 실시예에서의 수납편(51, 52) 내부에 미리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포장용 시이트나 봉지 등을 준비해 놓고서, 이 시이트에 동전을 올려 놓도록 구성하게 되면, 수납통(50)을 용기로 이용하지 않고 이 수납통(50)을 이용하여 동전갯수를 확인한 다음 포장용 시이트 등을 이용해서 내부의 동전을 포장해서 꺼내면 되어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 8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제 1 도의 수납홈(7) 또는 제 7 도 (a) 및 제 7 도의 (b)의 수납통(50) 표면에 형성되는 눈금을 변형시킨 예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표시된 눈금이 수납홈(7)등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의 중심선(A)을 이루면서, 이 중심선(A) 좌우위치에 가늘고 긴 눈금형성영역을 합계 그곳에다 형성시켰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3곳이상의 눈금영역(60a, 60b, 60c)을 병렬로 마련해 놓음과 더불어, 제 1 영역(60a)과 제 2 영역(60b) 및 제 3 영역(60c)에다 되돌려 금액을 표시해 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숫자를 크게 기재할 수가 있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하기가 쉬워져 작업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현금을 취급하는 업무에 있어 금전등록기 등에 쌓여진 동전을 종류별로 꺼내 집계하는 작업이 대폭 효율화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설치대(11)위에 동전 종류별로 형성된 윗면이 개방된 세로가 긴 수납홈(7)과, 이들 각 수납홈(7) 바닥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뻗은 중심선(A), 이 중심선(A)의 좌우측에 수납된 동전의 두께에 상당되는 상하방향간격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교대로 매겨진 눈금(B, B')을 갖추면서, 좌우교대로 윗쪽을 따라 형성된 상기 각 눈금(B, B')의 상하간격이 수납되는 동전의 두께에 상당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각 수납홈(7) 최하부의 동전스토퍼(S)와 최하위치의 눈금(B-1) 사이의 간격도 수납되는 동전의 두께에 상당하도록 되며 상기 각 눈금(B) 바로 위에는 당해 각 눈금(B)에 대응하는 동전갯수의 총액을 나타내는 수치가 기재된 동전계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A)이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계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7) 대신 내부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원통형상의 수납통(50)이 설치되면서, 이 수납통이 축방향을 따라 2쪽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이렇게 분할된 수납통(50) 일부에 눈금(B)가 매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계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뻗은 눈금영역이 3줄이상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계수기.
KR2019890014377U 1988-10-04 1989-10-04 동전계수기 KR9600007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30178(U) 1988-10-04
JP13017888 1988-10-04
JP89-39808(U) 1989-04-04
JP1989039808U JPH0431645Y2 (ko) 1988-10-04 1989-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91U KR900008891U (ko) 1990-05-03
KR960000786Y1 true KR960000786Y1 (ko) 1996-01-27

Family

ID=2637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4377U KR960000786Y1 (ko) 1988-10-04 1989-10-04 동전계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0431645Y2 (ko)
KR (1) KR960000786Y1 (ko)
DE (1) DE3931818B4 (ko)
GB (1) GB2224142B (ko)
HK (1) HK18093A (ko)
SG (1) SG121092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64B1 (ko) * 2013-10-31 2015-03-18 현대위아 주식회사 헤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356A (en) * 1992-03-11 1994-08-23 Donald Cole Coin counting device
AUPQ935600A0 (en) * 2000-08-11 2000-09-07 Tanidis, Petra Show me the money - motivational coin saving device
DE10144999A1 (de) * 2001-09-12 2003-04-03 Hendrik Montag Verfahren zur Feststellung des Münzrolleninhalts von gerollten EURO-Münzen, ohne Entfernung des Handeinrollpapiers
JP5564591B2 (ja) * 2013-03-18 2014-07-30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現金管理装置
JP5564590B2 (ja) * 2013-03-18 2014-07-30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現金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14538U1 (de) * 1981-10-01 Ebbert, Wilhelm, 4290 Bocholt Vorrichtung zum Sammeln, Rollen und Zählen von Münzen
DE344174C (ko) *
GB413568A (en) * 1933-03-02 1934-07-19 Roland Fritschy Improvements in coin counting apparatus
US2804197A (en) * 1954-02-12 1957-08-27 William R Popkess Cash box
DE1148087B (de) * 1958-05-14 1963-05-02 Zeiss Carl Fa Teilung bei Ablesevorrichtungen an Messgeraeten
CH386143A (de) * 1959-10-22 1964-12-31 Margot Voss Vorm Ingeborg Heus Münzenbehälter mit zueinander versetzten Aufnahmeräumen für eine bestimmte Anzahl Münzen, insbesondere für Geldzählkassetten
DE1974919U (de) * 1967-08-18 1967-12-14 Rer Pol Carl Dr Wiemer Huelsenfoermiges gefaess zur zaehlung und aufbewahrung sowie zum transport von geldmuenzen.
JPS4899798U (ko) * 1972-02-23 1973-11-24
JPS4924295U (ko) * 1972-05-30 1974-03-01
JPS561276B2 (ko) * 1973-03-08 1981-01-12
DE2528324C3 (de) * 1975-06-25 1978-05-18 Lacrex Brevetti S.A., Minusio (Schweiz) Behälter zur Aufnahme von aneinandergereihten Geldstucken
JPS54136961A (en) * 1978-04-15 1979-10-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Hair curler
JPS561276U (ko) * 1979-06-15 1981-01-08
JPS5737327U (ko) * 1980-08-12 1982-02-27
JPS5963775U (ja) * 1982-10-16 1984-04-26 安居 弘志 硬貨及びコイン計数収納保管筒
US4545394A (en) * 1983-09-30 1985-10-08 Chang Chen Kun J Coin counter trough
JPS61155982U (ko) * 1985-03-16 1986-09-27
JPS61181520U (ko) * 1985-05-01 1986-11-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64B1 (ko) * 2013-10-31 2015-03-18 현대위아 주식회사 헤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31818A1 (de) 1990-05-03
KR900008891U (ko) 1990-05-03
GB8920904D0 (en) 1989-11-01
JPH02108176U (ko) 1990-08-28
SG121092G (en) 1993-02-19
JPH0431645Y2 (ko) 1992-07-29
HK18093A (en) 1993-03-12
GB2224142B (en) 1992-07-15
GB2224142A (en) 1990-04-25
DE3931818B4 (de)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73431A (en) Dispensing means
KR960000786Y1 (ko) 동전계수기
WO2007094180A1 (ja) 棒金収納庫
US5441448A (en) Coin counting and holding device
US3346109A (en) Clear view coin pack
KR900006893A (ko) 자동거래장치
US4121722A (en) Unit counter for pills, tablets, spheres, coins and the like
US20040029518A1 (en) Motivational coin storage device
CA2497795A1 (en) Inventory control device for counting cigarette packages
US3265077A (en) Coin stacking and handling device
US1762458A (en) Coin box
JP2002216215A (ja) コインカウンター
US3334903A (en) Game apparatus comprising a device for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ly shaped cards
KR200236060Y1 (ko) 동전 보관함
KR200228242Y1 (ko) 동전계수기
US5340356A (en) Coin counting device
JP3115392U (ja) カセットに収納したパチンコ景品の計数兼保管器具
US3741222A (en) Coin holder and counting device
KR960008626Y1 (ko) 출납용 동전함
JP3204389U (ja) 小窓付き紙幣収納祝儀・不祝儀袋
JP3048229B2 (ja) 硬貨計数収納器
US2042022A (en) Coin wrapper
KR200237278Y1 (ko) 동전보관 상자
US2288909A (en) Coin board
JP3241722U (ja) 金種表を有する金銭収容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