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626Y1 - 출납용 동전함 - Google Patents

출납용 동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626Y1
KR960008626Y1 KR2019940012910U KR19940012910U KR960008626Y1 KR 960008626 Y1 KR960008626 Y1 KR 960008626Y1 KR 2019940012910 U KR2019940012910 U KR 2019940012910U KR 19940012910 U KR19940012910 U KR 19940012910U KR 960008626 Y1 KR960008626 Y1 KR 960008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box
compartment
w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232U (ko
Inventor
반채화
Original Assignee
반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채화 filed Critical 반채화
Priority to KR2019940012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626Y1/ko
Publication of KR960000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0Money-bags for conductors or like people; Money-bags with rigid coin-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10Money-bags for conductors or like people; Money-bags with rigid coin-holders
    • A45C2001/102Rigid coin-holders
    • A45C2001/107Rigid coin-holders with coins stored in piles, i.e. several coins stacked in a compartmen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출납용 동전함
제1도는 본 고안 동전함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동전함의 뚜껑을 연상태의 사용 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와 같은 예의 다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본체 2 : 뚜껑
3 : 선형돌기 4 : 선형요부
5 : 절곡단부 6 : 칸막이
7, 7' : 경사진 여백 8, 8' : 단턱
9 : 경사면 11 : 수장칸
11a : 500원권 수장칸 11b : 100원권 수장칸
11c : 50원권 수장칸 11d : 10원권 수장칸
12 : 바닥면 13 : 눈금
본 고안은 은행 등 금융기관이나 회사경리부 등 영업장에서 동적을 계산, 취급 및 보관하기 편리한 동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동전을 취급하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금전출납계원(일명 텔러)들에게 편리한 동전함으로써, 500원짜리, 100원짜리, 50원짜리 및 10원짜리 동전을 각각의 전용칸에 넣고 꺼내들면서 계산이 편리하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금전 출납계원용 동전함(이하 텔러 박스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의 현금출납계원(텔러)들은 하루 일과 중 일과시간이 끝날 무렵인 가장 피곤한 시간에 그날의 시재(時在)(현재 가지고 있는 돈)를 마감하기 위하여 동전을 일일이 세어야 하는데 그 카운트하는 시간이 꽤 많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동전을 모두 센후에도 종류별로 금액을 적고 비닐봉지에 넣어 지폐시재와 함께 보관하였다가 그 익일 영업시간에 비닐봉지에서 다시 꺼내어 영업준비를 하게 된다. 영업시간 중에는 텔러의 좁은 책상위에 동전상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많아 업무에 많은 지장이 있게 된다. 그런데다가 현재는 동전상자의 규격 제품이 없어서 텔러들마다 각자가 생각해 낸 적절한 용기를 사용하여 동전상자로 대용하고 있으나 각종 금액단위의 동전이 함께 섞여 있어서 필요한 액면가의 동전을 매번 찾아서 손님들에게 주고 받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업무가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즉 동전을 금액별로 각기 다른 용기에 넣고 사용하더라도 용기가 차지하는 면적과 텔러와의 거리가 멀어서 동전을 고객과 주고 받아서 분류하는데 여간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불편하지 않았다. 더구나 시재가 그날의 일산(日算 : 그날그날의 계산)과 맞지 않을 때는 모든 동전을 다시 꺼내 놓고 다시 카운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동전을 어떤 용기에 평면으로 펼쳐 놓았을 때 용기 맨 바닥에 있는 동전은 손에 잘 접히지 않아서 취급에 불편이 많았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동전 취급의 불편을 완전해소하여 동전을 금액별로 쉽게 분류하여 넣고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액면별 수납칸을 만들고 그 수납칸의 칸막이마다 눈금을 표시하여 동전을 넣음과 동시에 얼마인가를 알 수 있게 하고 금액별 표시를 하여 쉽게 액면가를 구별할 수 있게 하고 동전을 넣고 꺼내기가 수월하게 동전을 세운상태로 상자에 장전하여 그 상자의 앞뒤에 턱이나 기울기를 형성하여 동전과 용기 사이에 간극을 두므로서 손가락을 넣어서 쉽게 동전을 잡을 수 있도록 하면서 무질서하게 동전을 넣었더라도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흔들어 주기만 하면 동전이 저절로 정리가 되어 투명한 뚜껑을 통하여 동전함 측면에 새겨진 눈금에 의하여 금액별 동전 액수를 저절로 알 수 있게 한 텔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방형 상자본체(1)의 좌우외측면 상단에 뚜껑(2) 결함용 선돌기(3)를 돌설하고 그것에 대향 결합되는 선형 요부(4)를 내향 형성한 절곡 단부(5)를 가진 뚜껑(2)으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1)의 내면을 각 액면가 별로 수장할 수장칸(11)을 칸막이(6)로 구획하되, 각 수장칸(11)의 바닥면(12)은 각 액면가 동전크기에 맞는 호형으로 하여 뚜껑(2)의 아래로 동전이 위치될 수 있는 깊이로 성형하며, 사용빈도별로 500원권 수장칸(11a)과 50원권 수장칸(11c)은 한 칸으로만 하고 100원권 수장칸(11b)과 10원권 수장칸(11d)은 두칸을 인접하여 구획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 칸 짜리에는 칸막이(6)와 바닥면(12) 사이에 경사진 여백(7)(7')을 두고 상자의 전면벽 내측전체에는 일정 간격의 단턱(8)을 형성하면서 각 수장칸(11)의 후면벽 내측마다에는 경사면(9)이나 단턱(8')을 형성하고, 동전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상자의 좌우측 벽면과 칸막이(6)의 좌측경사면 상단에는 해당 동전 두께 만큼의 눈금(13)을 새기며 상기 경사면(9)이나 단턱(8')의 상면에는 해당 동전의 액면가 숫자 표시를 하여 각 액면가 동전의 수장칸(11)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텔러 박스는 각 액면가 동전의 크기에 맞게 구획된 수장칸(11)에 해당 액면가의 동전을 수장하게 됨으로 일단 동전을 수장하게 되면 흐트러지지 않고 아무렇게 넣더라도 뚜껑(2)을 닫고 흔들어주면 수장칸(11)에 저절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정돈이 되며, 각 칸의 크기와 높이는 다르더라도 모두 뚜껑(2)의 아래에 동전이 위치될 수 있게 바닥면(12)에서 뚜껑까지의 높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 무질서하게 해당 동전 칸(11)에 넣기만 하면 뚜껑(2)을 닫고 흔들어서 용이하게 정리가 되고, 꺼집어 내고자 할 때는 500원권 수장칸(11a)과 50원권 수장칸(11c)은 한 칸으로 되어 있지만 구획 칸막이(6) 이와 바닥면(12) 사이에 경사진 여백(7)(7')이 있어서 손으로 동전을 집기가 쉽게 되어 있고, 또한 동전을 빽빽히 채운다 하더라도 상자의 내측앞벽면에는 단턱(8)이, 내측 뒷벽면에는 경사면(9) 또는 단턱(8')이 형성되어 있어서 손가락으로 쉽게 동전을 밀면서 집어 낼 수가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 텔러 박스는 각 액면가 수장칸(11)마다 뒷벽면의 경사면(9)이나 단턱(8')상에 액면가 금액 표시가 되어 있어서 동전을 수장하거나 끄집어 낼 때 식별이 쉬워 수장 및 인출이 용이하여 또한 별도로 세지 않아도 양벽면이나 칸막이(6)의 경사진 상면에 동전 두께 만큼의 숫자 눈금(13)이 새겨져 있어서 동전의 액수를 쉽게 카운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금융기관 출납 계원의 앞이나 옆에 놓고 사용하게 되면 부피와 넓이가 작아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게 되고 액면금액이 표시된 곳에 아무렇게나 넣고 필요시에 흔들어 주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정리가 되며 꺼낼 때도 액면가 표시만 보고 손가락으로 집어서 꺼내게 되면 정확하고 쉽게 액면가의 동전을 인출할 수가 있어서 업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 동전함은 지폐와 함께 보관시에 동전을 박스에서 꺼내지 않고 수장된 채로 지폐와 함께 겹쳐서 보관할 수 있어서 마무리 업무가 신속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장방형의 상자본체(1) 내부공간에 동전크기별로 다수칸의 수장칸(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장칸(11)의 하면은 호형으로 되며, 각 수장칸(11)을 구획하는 칸막이 상면에는 눈금(13)이 새겨진 출납용 동전함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1)의 전면벽 내측전체에는 소정폭의 단턱(8)을 형성하고, 후면벽 내측에는 경사면(9)이나 단턱(8')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9) 또는 단턱(8')의 상측부에는 해당 동전의 액면가를 숫자로 표시하고, 상기 상자본체(1)의 양측 외주면 상단부에 선형 돌기(3)를 돌설하여, 그것에 대향 결합되는 선형 요부(4)가 절곡단부의 내측면에 요설된 뚜껑(2)을 착탈자재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납용 동전함.
KR2019940012910U 1994-06-03 1994-06-03 출납용 동전함 KR960008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910U KR960008626Y1 (ko) 1994-06-03 1994-06-03 출납용 동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910U KR960008626Y1 (ko) 1994-06-03 1994-06-03 출납용 동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32U KR960000232U (ko) 1996-01-17
KR960008626Y1 true KR960008626Y1 (ko) 1996-10-07

Family

ID=1938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910U KR960008626Y1 (ko) 1994-06-03 1994-06-03 출납용 동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6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232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2709A (en) Divided cash drawer with slots and two trays
CA1223568A (en) Hinged coin holder
US4779752A (en) Portable filing box
JPH02500227A (ja) 貴重品保管容器用装置及び方法
US2594653A (en) Cash drawer or till tray
CA2355376A1 (en) Transaction slip organizer
US5297674A (en) Molded bill payment center container with removable trays
US2735541A (en) mosler
US20040094434A1 (en) Transparent scaled coins container
US886345A (en) Cash-box.
KR960008626Y1 (ko) 출납용 동전함
US3265077A (en) Coin stacking and handling device
KR102134038B1 (ko) 휴대용 금전 보관함
US2597365A (en) Change container
GB2224142A (en) Coin counter
JP3235716U (ja) 財布
JP2893448B1 (ja) 貨幣収納ケース
US2768735A (en) Measured coin compartment for cash drawers
US3301479A (en) Cash register drawer construction
JP5026479B2 (ja) 貨幣取引処理装置
US1457227A (en) Cash box
US4030597A (en) Coin container
US2508981A (en) Currency containing cabinet
US1170525A (en) Savings-bank.
JP3018637U (ja) キャッシュレジスター用引き出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602

Effective date: 200406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