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50Y1 - 건축용 보드 - Google Patents

건축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50Y1
KR960000550Y1 KR2019930002003U KR930002003U KR960000550Y1 KR 960000550 Y1 KR960000550 Y1 KR 960000550Y1 KR 2019930002003 U KR2019930002003 U KR 2019930002003U KR 930002003 U KR930002003 U KR 930002003U KR 960000550 Y1 KR960000550 Y1 KR 960000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board
tableting
lines
l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826U (ko
Inventor
이은환
Original Assignee
이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환 filed Critical 이은환
Priority to KR2019930002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550Y1/ko
Priority to CA002092970A priority patent/CA2092970A1/en
Priority to JP5101071A priority patent/JPH06229061A/ja
Priority to FR9305691A priority patent/FR2700566A1/fr
Priority to GB939323987A priority patent/GB9323987D0/en
Priority to DE19944401021 priority patent/DE4401021C2/de
Publication of KR940020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보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의 정면도(91cm×182cm 규격판의 경우)
제 3 도는 제 2 도의 정면도를 형성하는 순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석고보드를 프레임에 부착하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프레임 B : 석고보드
1 : 01선 2 : 02선
3 : 03선 4A : 17.8cm 간격 타정점
4B : 18cm 간격 타정점 5 : 20cm 간격 타정점
6 : 30cm 간격 타정점 7 : 36cm 간격 타정점
8 : 60cm 간격 타정점 9 : 이중 타정점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하는 석고보드(석고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 벽과 천정에 사용되는 석고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획선을 만들고 그 선상에 나사못, 못, 스테플등의 정확한 타정간격점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타정하여 프레임에 석고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 및 천정은 그 조립 및 시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규격화되고 있으며, 이들 벽체와 천정은 경량철골이나 목재로 프레임(상)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양면 또는 일면에 일정규격의 석고보드를 붙여 난연효과 및 방음,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마감재료로 사용하고 있는바, 이때 석고보드는 금속바 또는목재재질의 프레임에 그 위치를 맞추어 못, 나사못, 스테플등의 고정수단으로 타정하여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다. 즉, 벽이나 천정에 석고보드를 부착하여 마감처리할때 목재나 경량철골로 먼저 벽이나 천정의 프레임을 일정하게 즉 91cm×182cm 규격의 석고보드 사용의 경우에는 폭의 2등분 길이인 45.5cm나 폭의 3등분 길이인 30.33cm(91/3cm)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프레임을 반복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규격의 석고보드를 대고 프레임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사못이나 못, 스테플을 타정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석고보드를 프레임에 적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는 프레임이 목재인가 금속인가에 따라서, 그리고 석고보드를 고정시키는 재료가 나사못이나 못, 스테플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서, 또 벽에 부착시키는가 천정에 부착시키는가에 따라서 타정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는데 예컨대 목재의 프레임인 경우, 석고보드를 한겹 시공으로 못으로 천정에 고정할때는 18cm 간격으로 하여야 하지만 벽체에 고정할 경우에는 20cm 간격으로 타정하여야 적정하며, 나사못으로 고정할 때에는 이와는 달리 천정의 경우 30cm∼30.48cm, 벽체의 경우 40cm∼40 64cm 간격으로 타정하도록 하는 것이 석고보드와 프레임을 고정할때 타정회수를 줄이면서도 적절한 고정을 할 수 있는 간격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United States Gypsum Company에서 발행된 "US Gypsum Contruction Handbook"(3rd Edition)의 P107∼109 및 (주)금강의 "석고보드 시공핸드북" 63쪽에 상세히 규정되어 있는바, 이에 의한 타정간격을 추출해보면 18cm, 20cm, 30cm, 40cm 그리고 60cm의 타정간격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또, 석고보드는 물적 특징상 부스러지기 쉬우므로 가장자리의 타정시에는 특히 주의가 요망되는데 상기 책자P106 및 시공핸드북 64쪽에 의하면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1cm(3/8 inch) 떨어진 선상(At least 3/8 1nch from ends or edges of base)에 타정토록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목재프레임에 못으로 석고보드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고자 할때에는 중앙부 30cm 간격 표시점의 양측으로 2.5cm씩, 즉 사이가 5cm가 되도록 이중못질을 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석고보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보드 표면은 어떠한 표지도 없이 깨끗한 상태로 제작되고 타정위치는 물론 프레임의 위치가 전혀 나타나 있지 않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석고보드를 사용하여 못, 나사못, 스테플등을 프레임에 부착하고 고정하고자 할때는 미리 프레임의 위치를 확인해 두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찾아 못등을 그 위에 타정할때 타정점간의 간격이 정확히 지켜지지 않아 불량한 시공이 되고 타정간격을 목측으로 조정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소요되는등 비합리적인 점이 많았다.
더욱이 방음, 방열내구성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 석고보드를 2겹으로 설치할때 이러한 폐단이 더욱 두드러지며 불량한 간격의 타정은 결국 과다한 인력소모 불량한 시공으로 연결지어지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 미국특허 4,927,696호(특허일자 1990. 5. 22)은 조립용도의 자재에 관해 기술하고 있으나, 이 특허는 합판의 측정, 위치표시, 절단을 위한 설치시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기 위함 것으로 이러한 것들은 석고보드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US Gypsum Construction Handbook 및 석고보드 시공 핸드북에서 요구되는 프레임의 재질과 나사못, 못, 스테플등 고정수단의 종류, 보드를 부착하는 곳이 벽체인가 천정인가에 따라 7인치(18cm), 8인치(20cm), 12인치(30cm), 16인치(40cm), 24인치(60cm)등의 타정간격조건을 완전하게 충족시킬 수 없고, 특히 못이나 스테플등의 고정시 가장 많이 찾게되는 7인치(18cm), 8인치(20cm) 간격표시가 없는등 전체적으로 석고보드의 타정위치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었다. 즉, 이 특허에서는 보드상에 12인치 간격으로 적색대쉬를 하고 이의 교차선상에 십자를 하며, 16인치 간격에 녹선 괴선을 하고 이에는 12인치 간격으로 화살표를 하며, 24인치 간격으로 적색선을 할뿐 아니라 측면에도 측정, 절단등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선을 표시하고 있는바, 이는 이 특허의 주목적이 측점, 위치표시, 절단을 위한 것이고 고정을 위한 타정점 표시가 아니기 때문에 주로 선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비록 대쉬선이 2인치 간격이고 점선이 3인치 간격이라 하더라도 작업시 손쉽게 7인치나 8인치 간격으로 타정한다든지 또는 가장자리의 3/8인치선 즉 10mm 테두리 간격선상에서 각 조건의 타정점을 찾아 타성할 수가 없었다.
다시 언급하면 상기 특허 4,927,696호는 선 24, 26중 실선으로 표현된 선상에 7인치, 8인치, 12인치의 타정간격 표현이 없고, 선 24, 26중 점선으로 표현된 선상에는 7인치, 8인치의 타정간격 표현이 없으며 테두리부에도 7인치, 8인치 표현이 없어서 여러 작업조건에 맞는 다양한 타정간격점중 특정 작업조건에 요구되는 타정간격점을 찾아 석고보드를 붙이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다.
한편,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평 2-2929(1990. 1. 10)는 타일을 불이는 부재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는바 이는 칫수가 다른 규격의 타일을 모자이크식으로 붙이기 의한 보조재료로써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고 작은 타일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방법을 표시한 것으로 프레임상에 보드를 부착하는 것과는 별개의 것이라고 할 것이다.
즉 타정점이 폭의 1/2이나 1/3인 선상에 있어야 하는 경우에 이 타정점을 이건 고안에서는 찾을 수가 없으며 이 도면을 석고보드의 일정규격 예컨대 91×182cm 규격에 대입하여 프린트하였을 때에 폭의 1/2 간격선, 1/3 간격선이나 각 간격의 타정점을 찾을 수가 없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 시공요구조건에 맞는 석고보드를 제공하기 위한것으로 석고보드상에 일정 간격을 갖는 종횡의 구획선을 표시하고 이 선상에 특정의 선, 점, 숫자, 문자, 기타 포지등을 나타내어 이것들을 타정점으로 이용하기 위함 것으로 검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은 91cm×182cm의 규격의 석고보드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이 고안은 91cm×242cm, 91cm×273cm, 121cm×242cm, 121cm×273cm 규격 또는 이에 준하여 가로 또는 세로 길이가 일정하게 커진 것에도 이를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목재 또는 금속바로 형성시킨 프레임 (A)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곳에 석고보드(B)를 한겹 또는 두겹으로 부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제 1 도는 폭의 2등분 길이인 45 5cm 간격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여기에 91cm×182cm의 석고보드를 180cm 길이의 중앙 구획선상과 테두리상에 타정하여 고정하는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드(B)의 표면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횡방향으로 굵은 종횡구획선(01)을 폭의 2등분 45.5cm 간격으로 4개 (89cm 길이 3개, 180cm 길이 1개)를 형성하고, 종횡방향으로 가는선의 구획선(02)을 폭의 3등분 길이인 약 30.33 간격으로 각각 형성한다.
또, 가장자리로부터 1cm의 간격을 두고 가로 세로상의 양측테두리에 테두리선(03)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4개의 (01)선, 7개의 (02) 선 및 테두리부의 (03)선상에 각각 17.8cm인 간격점 4A, 18cm간격점인4B, 20 간격점cm(5), 29.33∼30.33cm 간격점(6), 40cm를 대용하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36cm 간격점(7), 약60cm 간격점(8) 5cm의 이중타정점(9)을 형성, 표시하여 타정검으로 활용토록 하였다.
즉, 도면 제 3 도의 a와 같은 91cm×182cm(3자×6자) 석고보드의 표면에 먼저 폭의 2등분 길이인 45.5cm 간격으로 굵은선(01)을 4개 긋고 (b도) 여기에 다시 폭의 3등분 길이인 약 30.33cm 간격으로 가는선 (02)를 7개 그으면 주연부를 따라 가장자리로부터 1cm 간격이 되도록 테두리선(03)을 긋는다 (c도).
이와 같이 형성된 c도와 같은 석고보드의 테두리선(03)상에 상단가로선 (03)의 총길이 89cm (판의 총길이 91cm에서 양측 테두리 간격 1cm씩 뺀 길이)를 5등분하면 간격이 17.8cm가 되는바 이 위치에 각각 짧은 선분(-)을 긋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단부위의 89cm 길이의 (01)(02)(03) 선상에 17.8cm의 타정 간격점 4A를 표현한다.
또한 석고보드 B의 좌우측 테두리선의 길이가 판길이 182cm에서 양측테두리간격 1cm씩을 뺀 180cm인바 이것을 10등분하여 간격이 18cm인 짧은 선분(-)을 긋고 동일한 방법으로 우측의 180cm 길이의 (01)(02)(03)선상에 같은 표지인 18cm 간격점 4B를 표현한다.
또 요구되는 20cm 간격점을 89cm 길이의 (01)(02)(03) 선상에 표현함에 있어서 20cm 간격으로 타정하여 나가면 나중에는 9cm의 간격으로 타정케 되는바 차라리 점 4A를 이용하여 17.8cm 간격으로 타정함이 더욱 합리적이라 하겠고 180cm 길이의 (01)(02)(03)선상에 20cm 간격점을 표현함에는 180cm 길이를 9등분하여 이위치에 20cm간격의 표지검 5를 그린다.
또한, 30cm 간격 타정점을 표시하는 점 6은 선 (01)(02)(03)과 90°로 교차하거나 만나는 (02)선이 약30.33cm 내지 29.33 간격인바 이곳에 표를 하여 점 6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 시공메뉴얼에서 요구하는 40cm(16인치) 간격점은 180cm 길이 선상에서 타정할 경우 6개의 지점에서 타정케 되고 마지막 부분간격은 20cm가 되는바 5등분으로 하면 36cm 간격이 합리적이라 하겠고 이것을 타정점 7로 활용한다.
또 필요로 하는 60cm∼60.96cm(24인치) 간격점은 180cm 길이의 (01)(02)(03)선상에서 2번째마다 교차하는 (02)선과 만나는 점 간격이 약 60.66cm인바 각 선마다 2개소씩 별도 표지를 하여 이 표지를 약 60cm 간격점 8로 활용토록 하며 (01)(02)(03)선상의 타정점 6을 중심으로 진행방향의 선후에 각각 2.5cm씩 간격을 갖는 즉 5cm 간격이 표현되는 점 9의 이중 타정점을 표현한다.
이와 같이 하면 결과적으로 형성된 석고보드상에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18cm(17.8cm 포함) 20cm, 30.33cm, 36cm, 약 60.66cm 마다 각각 다른 형태의 점이 표시되게 된다. 121×242cm 규격판의 경우에는 위의 36cm 간격점 대신 40cm 간격점의 표시가 가능하겠다.
이때에 타정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간격의 타정점은 점, 선, 숫자, 문자, 심볼, 특정의 문양, 기타 형태를 활용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타정점을 가진 석고보드(B)를 프레임(A)상에 고정하려면 각 경우마다 최소한으로 필요하고 합리적인 고정위치를 US Gypsum Construction Handbook은 제시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프레임이 목재인 곳에 한개의 석고보드를 못으로 고정할때 천정의 경우는 l7.8cm∼18cm, 벽체의 경우는 20cm 간격으로 못을 박아야 하므로 천정을 시공시는 상기 석고보드중 17.8m∼18cm 간격표시점 4A나 4B를 따라 주연부에 못을 박고 01선이나 02선을 따라 17.8m∼18cm 간격으로 표시된 위치(도면에서는 -으로 표시됨)에 못을 박으면 손쉽고 견고하게 석고보드를 목재상의 천정에 한겹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 동일한 석고보드를 벽체에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석고보드중 20cm 간격 표시점(5) 및 (4A)의 점을 따라 주연부에 못을 박고 01선이나 02선의 20cm 간격으로 표시된 부분(5)나 4A의 점 (도면에서는·로 표시됨)못을 박으면 용이하게 목재 상의 벽체에 석고보드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제 4 도에 따라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A)는 일반적으로 91cm를 2등분이나 3등분한 45.5cm나 30.33cm 간격으로 형성되므로 여기에 석고보드(B)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부착하게 되는데 제 4 도 a와 같은 방법으로 석고보드를 부착할 때에는 상의 간격이 45.5cm이므로 180cm 길이의 01선상에 표시되어 있는 18cm(17.8cm 포함), 20cm, 30.33cm, 36cm, 60.66cm 등의 각 타정점과 03선상의 각 타정점을 활용하여 석고보드(B)를 프레임(A)에 부착한다.
제 4 도 b의 방법으로 석고보드를 붙일때는 상의 간격이 30.33cm 즉 91/3cm이므로 180cm 길이의 02선상에 표시되어 있는 18cm, 20cm, 30.33cm 내지는 29.33cm, 36cm, 약 60.66cm 등의 각 타정검과 03 선상의 각 타정점을 활용하여 석고보드(B)를 프레임(A)에 부착한다.
한편, 제 4 도 c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석고보드(B)를 프레임(A)에 붙일때는 프레임의 간격이 45.5cm이므로 89cm 길이의 01선상의 각 타정점과 03선상의 각 타정점을 활용하여 고정하면 되며, 제 4 도 d의 방법으로 석고보드를 붙일때는 프레임(B)의 간격이 30.33cm(즉 182/6cm)이므로 89cm 길이의 02선상의 각 타정점 및 03 선상의 각 타정점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석고보드(B)를 프레임(A)상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a, b, c, d 이외에 보강되는 상이 있을 때에는 각 간격에 해당되는 선상에 가로, 세로로 표시된다. 타정점을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의 종류, 시공장소, 시공방법, 고정수단의 조건에 따라 알맞는 타정의치를 찾아 석고보드를 붙이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타정점을 작업과정에서 좀더 손쉽게 식별하기 위하여 점이나 선이외에 숫자, 문자, 심볼, 특정의 문양, 기타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석고보드를 프레임에 못이나 나사못, 스테플을 이용하여 붙일때 표시된 타정점을 활용함으로써 정확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오랜 경험이 없는 미숙련공이라 할지라도 타정표지를 이용하여 쉽고 정확하게 빨리 시공을 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천정 조명등을 달기 위하여 석고보드를 도려낼때에도 01, 02선이 외부로 나타나 있으므로 프레임에 조명등이 배치되지 않도록 사전에 조절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고 하겠다.

Claims (1)

  1. (3회 정정) 가로와 세로로 동일한 간격으로 구획을 형성함 프레임(A)에 석고보드(B)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폭과 길이로 구성된 석고보드의 폭을 2등분하여 세로방향으로 선(01)을 1개 형성시키고, 동일간격으로 길이에 가로방향으로 선(01)을 3개 형성시키며, 다시 폭을 3등분하여 세로방향으로 선(02)를 2개 형성시키고 이와 동일 간격으로 길이에 가로방향으로 선(02)를 5개 형성시키며, 석고보드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1cm 간격을 둔 위치에 테두리선(03)을 사면에 형성시켜, 석고보드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타정간격점 4A, 4B, 5, 6, 7, 8, 9를 각선 (01)(02)(03)상에 각각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보드.
KR2019930002003U 1993-01-21 1993-02-15 건축용 보드 KR960000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003U KR960000550Y1 (ko) 1993-02-15 1993-02-15 건축용 보드
CA002092970A CA2092970A1 (en) 1993-01-21 1993-03-30 Construction board
JP5101071A JPH06229061A (ja) 1993-01-21 1993-04-27 建築用ボード
FR9305691A FR2700566A1 (fr) 1993-01-21 1993-05-12 Panneau de construction.
GB939323987A GB9323987D0 (en) 1993-01-21 1993-11-22 Construction board
DE19944401021 DE4401021C2 (de) 1993-01-21 1994-01-15 Baupla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003U KR960000550Y1 (ko) 1993-02-15 1993-02-15 건축용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26U KR940020826U (ko) 1994-09-17
KR960000550Y1 true KR960000550Y1 (ko) 1996-01-17

Family

ID=1935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003U KR960000550Y1 (ko) 1993-01-21 1993-02-15 건축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5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826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9987A (en) Gridded measur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terials
US5924213A (en) Construction material bearing numerical measurement indicia thereon
US4870788A (en) Building panels
JP2001514734A (ja) 建築材料用のグリッド状測定システム
US562776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guidance and control
US6684522B2 (en) Device for measuring wood blocks and method
US4499666A (en) Universal framing layout tool
US4149320A (en) Building construction measuring tape
US7644510B2 (en) Framing layout tape
US20090188124A1 (en) In-Situ shear wall nailing template
KR960000550Y1 (ko) 건축용 보드
US20200080296A1 (en) Interface strips for structural framing and related framing methods
US20050115196A1 (en) Stucco lath with stud spacing indicators
JP2008519925A (ja) メジャーテープ
US20020038518A1 (en) Layout system and method used in the erection of building structures
JP4037993B2 (ja) スチールハウス用ダブルスタッド等の組立治具と、壁パネル枠の組立て方法
JP3362800B2 (ja) スラブ基礎の配筋構造
AU620817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jig and a method of forming a panel for a building
JP3231853U (ja) 建材割付用具
JPH07292814A (ja) 壁取付け用ランナー金物
US20040261277A1 (en) Estimating apparatus
JPH0762787A (ja) マーク付き面材
JP2000087546A (ja) 寸法目盛付幅木
JPH08284421A (ja) 配筋用間尺材とこの間尺材を使用した配筋方法
JP3010321U (ja) 線入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