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01A -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01A
KR960000501A KR1019940013028A KR19940013028A KR960000501A KR 960000501 A KR960000501 A KR 960000501A KR 1019940013028 A KR1019940013028 A KR 1019940013028A KR 19940013028 A KR19940013028 A KR 19940013028A KR 960000501 A KR960000501 A KR 960000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rinthead
charging electrode
electrod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4001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501A/ko
Publication of KR96000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01A/ko

Links

Landscapes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프린트헤드에 있어서, 버블젯방식 또는 서멀젯방식은 잉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분사를 하기 때문에 잉크의 열화현장 즉, 잉크가 고온에 의해 타는 현상을 막을 수가 없다. 이를 피하기 위해 잉크의 열온도를 낮추면 잉크의 분사속도가 낮아져서 결과적으로 잉크인쇄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잉크분사시 잉크실내에 고압이 발생하여 잉크분사를 위한 히터를 파괴하기도 하여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팅방식에서는 압전방식이 유리하고 압전소자는 전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하는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압전소자는 박막화가 힘들고 박막화가 되더라도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얻기가 힘들기 때문에, 소형, 집적화가 곤란하다. 따라서, 인쇄품질이 떨어지고 또한 고집적화를 하려고 할 경우 저조단가가 높아지거나 프린터자체의 가격이 급속도로 상승을 한다.
또한, 종래 방법은 잉크분사시 잉크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어서 0과 1의 계조표현밖에 하지 못하므로 칼라화상을 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에 전압을 인가하여 잉크가 전하를 띄게 하고, 전하를 띈 잉크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잉크를 종이에 분사시키도록 하는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잉크의 전하량과 분사전극의 전압의 세기, 펄스의 갯수,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등을 조절함으로서 잉크가 분사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잉크의 유동방향이 일직선상으로 되어 잉크가 한번 분사되면 잉크의 점도특성(viscous propserty)에 의하여 잉크가 딸려서 들어오므로 분사된 자리에 잉크가 재충진되는 시간을 줄이고, 또한 버블젯 방식과는 달리 고압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없고 또한 고온동작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프린트헤드가 파손될 일이 없기 때문에 사용시간을 훨씬 늘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대한 에너지준위 상태도 및 절연막 형태도,
제4도는 본 발명 프린트헤드의 단면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 프린트헤드의 사시 분해도,
제7도는 본 발명 프린트헤드의 잉크분사 모식도.

Claims (12)

  1. 잉크를 담는 다수개의 잉크실과, 상기 잉크실내의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를 갖는 노즐과, 상기 잉크실내의 잉크를 충전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가하는 제1, 제2충전전극부와, 상기의 충전된 잉크를 분사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가하는 제1, 제2충전전극부와, 상기의 충전된 잉크를 분사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가하는 제1, 제2분사전극부와. 상기 제1, 제2충전전극부와, 제1, 제2분사전극부에 각각 펄스전압을 인가하는 펄스전압인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잉크는 잉크분말과 이를 포함하는 용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분말은 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고분자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충전전극은 뾰족한 에지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5. 제l항에 있어서, 제2충전전극은 제1충전전극을 향해 반원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제l분사전극은 제1충전전극과 제2충전전극 사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제2분사전극은 인쇄되는 종이뒤에 바(Bar)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
  8. 실리콘기판을 도핑한후 에지형태의 제1충전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충전전극위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절연층위에 제1분사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분사전극의 일부분에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절연층위를 지나는 제2충전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의 소자전면에 폴리이미드를 코팅한후 포토공정을 통해 격리층을 만들어 잉크실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잉크실상부에 원헝의 분사구를 갖는 노즐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충전전극과 분사전극을 내부식성이 강한 탄탈(tantalum)급속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충전전극과 분사전극의 표면을 양극산화법에 의해 산화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노즐판과 격리층과의 접착을 위해 감광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헤드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3028A 1994-06-09 1994-06-09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00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028A KR960000501A (ko) 1994-06-09 1994-06-09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028A KR960000501A (ko) 1994-06-09 1994-06-09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01A true KR960000501A (ko) 1996-01-25

Family

ID=6668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028A KR960000501A (ko) 1994-06-09 1994-06-09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38B1 (ko) * 2005-07-06 200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살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38B1 (ko) * 2005-07-06 200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403152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US6575544B2 (en) Optimizing driving pulses perio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tellite droplets
JP3408060B2 (ja) 液体吐出方法および装置とこれらに用いられる液体吐出ヘッド
JPS57182452A (en) Multinozzle head
KR960000501A (ko) 프린트헤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16966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1225485A (ja) 液体噴射装置
JPH0929541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その駆動方法
EP0990525B1 (en) Print head for use in a ballistic aerosol marking apparatus
KR0133425B1 (ko) 저전압구동 전기장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JP331289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381761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グラッフィックデータの印刷方法、及びインク滴吐出能力回復方法
JPH05131621A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KR100243878B1 (ko) 잉크분사장치
KR0135123B1 (ko) 잉크젯 프린터 헤드
JPS5985765A (ja)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KR100213717B1 (ko) 잉크분사장치
KR100242155B1 (ko) 압전형 잉크젯 프린터 헤드
JPH0729416B2 (ja) 液体噴射記録ヘツド
JPH04327943A (ja) ホットメルトインク記録装置
JPH09141865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H02307755A (ja) 液体噴射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200232139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169678A (ja) 液体噴射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S62183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