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16B1 -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16B1
KR960000416B1 KR1019900022533A KR900022533A KR960000416B1 KR 960000416 B1 KR960000416 B1 KR 960000416B1 KR 1019900022533 A KR1019900022533 A KR 1019900022533A KR 900022533 A KR900022533 A KR 900022533A KR 960000416 B1 KR960000416 B1 KR 96000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resin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283A (ko
Inventor
이인태
양삼주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16B1/ko
Publication of KR92001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이하 “PC”로 칭함)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이하 “ABS”하 칭함)수지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구성되는 내후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C수지는 열안정성과 전기적 성질이 양호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용융점도가 높아서 성형이 어려우며, 또한 성형 후 잔류응력에 의한 크랙의 발생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PC수지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C수지에 ABS수지를 합금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로는 미국특허 제4204047, 4172103, 4526926, 4218544, 4367310, 4677162호 일 특개소 58-67745, 57-55946, 59-227942, 58-59259, 63-63747, 61-261356, 62-240352호 및 한국 특허공고 89-41, 89-42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한 PC와 ABS의 혼합물은 성형성이 양호하여 성형시 또는 성형 후의 전류응력에 의한 스트레스 크랙의 발생을 줄일 수는 있으나, 내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ABS수지 중의 충격보강의 역할을 하는 부타디엔 고무 중의 미반응 이중결합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자는 PC와 ABS의 혼합물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 “PMMA”로 칭함)를 첨가하게 되면 수지의 내후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밝혀 내게 되었다.
본 발명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고분자 물질의 성형시 용융이상(two melt phase)에서 저점도와 고점도의 물질이 존재할 때 저점도의 물질은 고점도의 물질에 비하여 금형 내의 충진이 빠르므로 제품의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내후성이 좋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중 저점도인 PMMA를 선택하여 첨가하게 되면 표면 피막효과를 나타내어 광에의한 부타디엔 고무의 파괴를 줄여주므로 수지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이하의 부 및 %는 각각 중량부와 중량%를 의미한다).
* 그라프트 공중합체(A) ; 시안화 비닐 단량체 30~60%, α-알킬 방향족 비닐단량체 30~60%, 폴리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스티렌 또는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10~32%로 구성된 공중합체
* 방향족 비닐공중합체(B) ; 방향족 비닐단량체와 시안화 비닐단량체의 공중합체로서 그라프트 공중합체(A)에서 설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 PC수지(C) ; 방향족 PC, 지방족 PC, 방향족-지방족 PC등이 사용될 수 있다.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D)
상기 성분 중 (A)를 50~30부, (B)를 20~40부, (C)를 40~75부 함유한 조성물 100부에 대하여 (D)성분을 0.5~5부 첨가하면 목적하는 내후성이 우수한 PC와 ABS의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광안정제 등이 0.01~3%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으며, 물성평가는 아래의 방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 인장강도 ; ASTM-D638(5mm/min)
* 충격강도 ; ASTM-D256(1/4″, 20℃, 노치부 아이조드)
* 열변형 온도 ; ASTM-D648(18.6kg/cm2)
* 내후성 시험기 ; W-O-M(Xenon Lamp)
[제조실시예 1)]
* g-ABS의 제조
반응기에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50부, 스티렌 35부, 아크릴로 니트린 15부와 t-도데실메르캅탄 0.2부, 과황산 칼륨 0.5부를 넣고 통상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중합한 후, 후처리공정을 거쳐 분말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를 얻는다.
[제조실시예 2)]
* 방향족 비닐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75부, 아크릴로니트릴 25부, t-도데실 메르캅탄 0.5부를 넣고 통상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공중합체를 얻는다.
이때 얻어진 공중합체 “SAN”이라 칭한다.
[비교예 1)ㅗㅗ]
제조실시예 1)에서 얻어진 g-ABS 10부, 제조실시예 2)에서 얻어진 SAN 40부, 120℃에서 6시간 동안 건조시킨 폴리카보네이트 50부를 헨셀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통상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상으로 만든다. 이 펠렛을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다음 사출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물성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실시예 1)]
비교예 1)의 조성물 100부에 (D)성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Rohm의 Plexiglas 6N)를 1부 첨가하였으며, 나머지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1)의 조성물 100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된 (D)성분을 3부 첨가하였으며, 나머지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비교예 1)의 조성물 100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된 (D)성분을 5부 첨가하였으며, 나머지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조성물 100부에 실시예 1)에서 사용된 (D)성분을 6부 첨가하였으며, 나머지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 1)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성분이 첨가되지 아니한 실시예 1)은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물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되나, (D)성분이 첨가된 실시예 2~5)는 시간 경과에 따른 물성의 감소가 비교적 작다. 그러나, (D)성분이 6부 이상 첨가되면 내후성은 증가되나 인장강도가 지나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그 적절한 사용량은 5부 이하이다.
[표 1]

Claims (1)

  1. 폴리카보네이트수지 40~75부와 ABS수지 35~60부로 구성된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를 0.5~5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9900022533A 1990-12-29 1990-12-29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6000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533A KR960000416B1 (ko) 1990-12-29 1990-12-29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533A KR960000416B1 (ko) 1990-12-29 1990-12-29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283A KR920012283A (ko) 1992-07-25
KR960000416B1 true KR960000416B1 (ko) 1996-01-06

Family

ID=1930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533A KR960000416B1 (ko) 1990-12-29 1990-12-29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283A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5699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an acrylate graft copolymer
KR1019059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77813B1 (ko) 그라프트 기초물질과 그라프트 외장물질 사이의 부착성이 개선된 입자상 그라프트 중합체
KR100392314B1 (ko) 고무-변성 열가소성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21066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나일론/abs/pmma 얼로이
US4533698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A1290874C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S6237671B2 (ko)
KR960000416B1 (ko)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H02272050A (ja) 透明性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91447B1 (ko) 대전방지성이 우수한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조성물
JPH08269141A (ja) 改善された低温靭性を有する成形材料
CA2010257C (en) Multi-layer structure 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KR100491031B1 (ko) 고온 신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0173878B1 (ko) 중공성형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50063129A (ko) 드로다운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KR100431535B1 (ko)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9980027068A (ko)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2382545B1 (ko) 사출 성형용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EP0462185A1 (en)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carbonate polymer, rubber modified vinyl aromatic-nitrile graft copolymer and 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and blow molding and thermoforming processes using such compositions
KR940011414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3000428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0000871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4180949A (ja) 良流動aas系樹脂組成物
JPH04146910A (ja) 多層グラフト共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