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33946A -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33946A
KR950033946A KR1019950013799A KR19950013799A KR950033946A KR 950033946 A KR950033946 A KR 950033946A KR 1019950013799 A KR1019950013799 A KR 1019950013799A KR 19950013799 A KR19950013799 A KR 19950013799A KR 950033946 A KR950033946 A KR 950033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beam
scanning
incident ligh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8975B1 (ko
Inventor
몬로 코브 죠슈아
죠이 플래터리-프리든버그 캔더스
엑스. 토폴로벡 프란즈
아티스 지민스 얼디스
Original Assignee
윌리엄 티. 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티. 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엄 티. 엘리스
Publication of KR95003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for scann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박적으로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점수차식으로 교정된 카타디옵트릭 레이저 스캐너 또는 중간 대물 렌즈 레이저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도, 제8도는 토릭 렌즈(toric rens)를 사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Claims (20)

  1.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보정하기 위한 장치(an apparatus for correcting astgmatism, bow distortion and field curvature)에 있어서, (a)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적어도 하나의 작업편(at least one workpiece)으로 집속시키는 각α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렌즈(at least one lens)와,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차단하여 주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기구(at least one scanning mechanism)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기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오목 원통형 미러(a concave cylindrical mirror)의 반사면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 전달시키며,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을 상기 작업편으로 전달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이 상기 작업편에 집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시키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빔은 레이저 빔(a leser be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빔은 광 에너지의 조준된 빔(a collimated beam of light ener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기구는 검류계(a galvan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기구는 다각형의 회전 미러(a rotating mirrored polyg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색지움 렌즈(achromatic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그 노달점(nodal point)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곡률 반경은, (a) 상기 렌즈와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the scanning surface)사이의 거리와, (b)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과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 사이의 거리와, (c) 상기 렌즈의 초점 길이(focal length)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렌즈의 상기 각 α는 (a) 개구수(the numerical apertute)에 의해 측정된 시스템의 해상도(the resolution)와, (b)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에서 상기 작업편까지의 동작거리(working distance)와, (c)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과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 사이의 거리와, (d) 상기 렌즈와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 사이의 거리와, (e) 상기 렌즈의 초점길이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a)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적어도 하나의 작업편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각α로 경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means)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렌즈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오목 원통형 미러의 반사면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 전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고있는 스캐닝 기구와, (c)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을 작업편으로 전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이 상기 작업편에 집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시키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빔은 레이저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빔은 광에너지의 조준된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기구는 검류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기구는 다각형의 회전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색지움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그 노달점을 중심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곡률 반경은, (a) 상기 렌즈와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 사이의 거리와, (b)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과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 사이의 거리와, (c) 상기 렌즈의 초점길이(focal length)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렌즈의 상기 각 α는 (a) 개구수에 의해 측정된 시스템의 해상도와, (b)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에서 상기 작업편까지의 동작거리와, (c)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과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의 상기 반사면 사이의 거리와, (d) 상기 렌즈와 상기 스캐닝 기구의 스캐닝면 사이의 거리와, (e) 상기 렌즈의 초점길이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a)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적어도 하나의 작업편으로 접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토릭 렌즈(toric lens)와,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릭렌즈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오목 원통형 미러의 반사면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 전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고 있는 스캐닝 기구와, (c) 상기 오목형 미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을 작업편으로 전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이 상기 작업편에 집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류을 교정시키는 장치.
  20.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적어도 하나의 토릭 렌즈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입사 광빔을 적어도 하나의 작업편으로 접속시키는 단계와, (b)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기구에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을 차단하여 주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기구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을 오목원통형 미러의 반사면 중 적어도 일부분으로 전달시키며, 상기 오목 원통형 미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을 상기 작업편으로 전달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광빔이 상기 작업편에서 접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13799A 1994-05-31 1995-05-30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28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089094A 1994-05-31 1994-05-31
US08/250,890 1994-05-31
US8/250,890 199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946A true KR950033946A (ko) 1995-12-26
KR100228975B1 KR100228975B1 (ko) 1999-11-01

Family

ID=2294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799A KR100228975B1 (ko) 1994-05-31 1995-05-30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828481A (ko)
EP (1) EP0686864A1 (ko)
JP (1) JP3147282B2 (ko)
KR (1) KR100228975B1 (ko)
TW (1) TW3146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9729B1 (en) * 1999-10-15 2002-10-22 Videojet Technologies Inc. Laser marking device and method for marking arcuate surfaces
TW552645B (en) 2001-08-03 2003-09-11 Semiconductor Energy Lab Laser irradiating device, laser irradiat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4397571B2 (ja) * 2001-09-25 2010-01-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照射方法およびレーザ照射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DE10310602A1 (de) * 2003-03-11 2004-09-23 Olympus Biosystems Gmbh Zwischen wenigstens zwei optischen Systemen abbildende optische Abbildungs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torischen Spiegel
JP4408640B2 (ja) * 2003-03-17 2010-02-03 興和株式会社 眼科測定装置
US7466466B2 (en) * 2005-05-11 2008-12-16 Gsi Group Corporation Optical scanning method and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optical aberrations introduced into the system by a beam deflector
JP4960043B2 (ja) * 2006-08-31 2012-06-27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WO2009018856A1 (en) * 2007-08-06 2009-02-12 Stephen Hastings Three-dimensional scanning method using a telecentric beam
CN101377567B (zh) * 2007-08-30 2011-06-15 株式会社东芝 光扫描装置、图像形成装置
DE102009057209B4 (de) * 2009-02-09 2012-06-28 Scansonic Mi Gmbh Vorrichtung mit Scanner-Optik zur Materialbearbeitung mittels Laser
EP2506291A1 (en) * 2011-03-28 2012-10-03 Excico Fr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traight line projection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JP5752082B2 (ja) * 2012-04-18 2015-07-22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走査型投射装置
US9499909B2 (en) 2013-03-15 2016-11-2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for photo-excitation of precursors in epitaxial processes using a rotary scanning unit
DE102023203313A1 (de) 2023-04-12 2024-02-01 Carl Zeiss Smt Gmbh Optisches System für eine Projektionsbelicht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119A1 (de) * 1977-08-31 1979-03-15 Elektro Optik Gmbh & Co Kg Mehrgliedrige linsenanordnung zur korrektur von bildfehlern
DE3020342C2 (de) * 1980-05-29 1985-10-03 Elektro-Optik GmbH & Co KG, 2392 Glücksburg Optisch-mechanische Abtastvorrichtung
JPS6028612A (ja) * 1983-07-27 1985-02-13 Nippon Kogaku Kk <Nikon> 大口径比望遠レンズ
US4588269A (en) * 1984-07-05 1986-05-13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which shapes gaussian beams by spherical mirrors
US4633272A (en) * 1985-04-02 1986-12-30 Eastman Kodak Company Laser printing apparatus having a multiple formatted output
US4796962A (en) * 1987-03-23 1989-01-10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scanner
JP2647091B2 (ja) * 1987-06-19 1997-08-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ーザビーム走査装置
US5168454A (en) * 1989-10-30 1992-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mation of high quality patterns for substrates and apparatus therefor
JPH04287011A (ja) * 1991-03-18 1992-10-12 Hitachi Ltd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使用した記録装置
JPH04305615A (ja) * 1991-04-03 1992-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方屈折力単レンズ
JPH06118325A (ja) * 1992-10-09 1994-04-28 Ricoh Co Ltd 光走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7282B2 (ja) 2001-03-19
KR100228975B1 (ko) 1999-11-01
US5754328A (en) 1998-05-19
TW314666B (ko) 1997-09-01
US5828481A (en) 1998-10-27
EP0686864A1 (en) 1995-12-13
JPH07333540A (ja)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149A (en) Polygonal mirror optical scanning system
KR950033946A (ko) 비점수차, 보우 왜곡 및 필드 곡률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4606601A (en) Single facet wobble free scanner
US4512625A (en) Scanner optics with no cross scan field curvature
EP0046593A1 (en) Beam delivery apparatus
USRE38165E1 (en) Laser scanning system with reflecting optics
BR9913130A (pt) Aparelho e método para medir defeitos de visão de um olho humano
CA2280531A1 (en) F-sin (.theta.) len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same
KR980005330A (ko) 반사굴절 광학계
EP0448668A1 (en) F-theta lens
EP0859258A3 (en) Optical system and image taking apparatus
KR960033638A (ko) 레이저집광방법 및 장치
JPS61175616A (ja) 偏向光ビ−ム用レンズ系
US4588269A (en) Apparatus which shapes gaussian beams by spherical mirrors
KR970703540A (ko) 광학 광선 분할 소자(Optical beam-splitting element)
ATE78935T1 (de) Optisch-mechanischer ablenker.
AU2826789A (en) An optical system for laser marking
CA1325120C (en) Preobjective scanning system
KR920704172A (ko) 프린터용 복사 소스
RU2097813C1 (ru) Скан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GB1567319A (en) Optical apparatus
SU1151908A1 (ru) Зеркально-линзовый объектив с вынесенным входным зрачком
KR930002904A (ko) 홀로그램 보정렌즈계를 갖는 레이저 프린터용 광학장치계
RU1804638C (ru) Ска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907292B2 (ja) 色消しレーザ走査光学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