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896B1 -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896B1
KR950014896B1 KR1019920009586A KR920009586A KR950014896B1 KR 950014896 B1 KR950014896 B1 KR 950014896B1 KR 1019920009586 A KR1019920009586 A KR 1019920009586A KR 920009586 A KR920009586 A KR 920009586A KR 950014896 B1 KR950014896 B1 KR 950014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ircuit
signal
data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126A (ko
Inventor
겐지 시모다
요시히사 사카자키
히데오 스루후사
미노루 요네다
다케오 이노
데루오 이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아베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시마 고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아베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시마 고타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0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24Duty cycle modulation of control pulses, e.g. VHS-CTL-coding systems, RAPID-time code, VASS- or VISS-cu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5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0도는 제9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1도는 제9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3도는 제12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4도는 제12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5도는 제12도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7도는 제16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9도는 제18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0도는 제18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2도는 제21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3도는 제21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4도는 제21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5도는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6도는 제25도의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7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8도는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9도는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0도는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1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2도는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3도는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4도는 트래킹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5도는 트래킹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6도는 파일럿 신호의 다중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7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8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9도는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0도는 트랙의 만곡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1도는 트랙의 만곡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2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3도는 제42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4도는 고립 재생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제45도는 고립 재생 파형의 파형 등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6도는 트랜스 버설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47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8도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9도는 제48도, 제49도의 종래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제50도는 장편 기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1도는 수직 기록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1 : 입력 처리 회로 142 : 부호화 회로
143,160 : 전송로 145 : 전송 데이타 처리 회로
146 : 기록 변조 회로 150,152 : 헤드
151 : 테이프 156 : 파일럿 제거 회로
157 : 등화·동기 회로 158 : 복조·TBC 회로
159 : 에러 정정 회로 161 : 복호화 회로
162 : 출력 처리 회로
본 발명은 정보 신호를 고능률 부호화 처리하여 소정의 매체에 기록하는 동시에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자기 기록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바이어스 기록 방식 및 FM 변조 방식 등의 아날로그 신호 기록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아날로그 신호를 자기 기록하는 장치로서는 VHS, β, 8밀리 규격에 적합한 각 방식의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이 있다. 또 근년에 고음질화 및 고화질화의 요구에서 기록 재생시의 열화가 적은 디지탈 기록 방식의 장치도 제품화되고 있다. 디지탈 신호를 자기 기록하는 장치로서는 음성 신호를 기록하는 DAT(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및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방송용의 D-1, D-2 VTR 등이 있다.
제25도는 이와같은 디지탈 VTR로 구성된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5도의 장치는 D-1, D-2 등의 방송용의 VTR과는 달리 민생용(가정용)으로서 고려된 것이고, 고능률 부호화(압축)에 의하여 정보량을 삭감하고, 장시간 기록을 달성하고 있다.
아날로그 입력 영상 신호는 A/D 컨버터(1)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어 포맷 변환 회로(2)에 출력된다. 포맷 변환 회로(2)는 입력된 인터레이스 신호를 비인터레이스 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처리 단위(예를 들면 8 화소×8 주사선 등의 블록 구성)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포맷 변환 회로(2)로부터의 데이타는 처리단위 마다 압축 회로(3)에 입력되어 고능률 부호화된다.
압축 회로(3) 출력의 데이타량은 입력 데이타량의 수분의 1 내지 수백분의 1이다. 압축 회로(3)로부터의 데이타는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4)에서 패리티 부호가 부가된다. 이 패리티 부호는 자기 기록 매체의 에러 발생 상태를 고려하여 랜덤 에러 및 버스트 에러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타는 변조 회로(5)에 입력되어 기록에 적합한 부호로 변환되어 가산기(6)에 출력한다.
한편 음성 기록 회로(7)는 영상계와 같이 입력 음성 신호를 A/D 변환하여 고능률 부호화를 실시하고, 또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한 후 기록 변조를 실시하여 가산기(6)에 출력한다. 영상 및 음성 데이타는 가산기(6)에서 시간축 다중되어 기록 앰프(8)에 출력한다. 기록 앰프(8)는 비디오 헤드(9)를 통하여 자기 테이프(10)위에 데이타를 자기 기록한다.
재생시에 자기 테이프(10)에서 비디오 헤드(11)에 의하여 독출된 데이타는 재생 앰프(12)를 통하여 영상 회로계 및 음성 회로계로 분배된다. 영상 회로계의 재생 등화 동기 회로(41)는 재생 출력을 등화하고, 동기신호 단위의 디지탈 데이타로 되돌려보낸다. 이 디지탈 데이타는 복조 TBC 회로(15)에서 복조되는 동시에 시간축이 보정되어 출력된다.
복조 출력은 에러 정정 회로(16)에 출력되고, 에러 정정 회로(16)는 재생 복조 데이타에 포함하는 에러를 정정하여 신장 회로(17)에 출력한다. 신장 회로(17)는 입력된 고능률 부호를 복호(신장)해서 원래의 데이타 레이트의 신호로 돌려 보낸다. 복호된 신호는 포맷 변환 회로(18)에 있어서 표시등의 출력 형식에 적합한 포맷으로 되돌려져서, D/A 컨버터(19)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 재생 앰프(12)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음성 회로계의 음성 재생 회로(13)에도 출력되고 있다. 음성 재생 회로(13)는 영상 회로계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고, 재생 신호를 복조한 후, 신장하여 원래의 데이타 레이트의 신호로 되돌려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제25도에서는 A/D 컨버터(1) 및 D/A 컨버터(19)에 의하여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와의 사이에서 데이타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 경우에는 A/D 변환 및 D/A 변화에 의하여 신호가 열화한다. 그러므로 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 규격 CP-340의 음성계에 있어서 디지탈 인터페이스 규격「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정해져 있다. DAT 및 CD(컴팩트 디스크)등에 있어서 이 규격이 채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A/D 및 D/A 컨버터를 통하지 않고 디지탈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가 있고, 테이프를 더빙하면서 편집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신호를 열화시키는 일없이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제26도는 이 규격이 포맷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규격에서는 포맷 표본화 주파수 및 입출력 코넥터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제26도의 도시와 같이 1워드는 32비트로 구성되고, 음성 데이타는 최대 24비트, 통상 20비트가 사용되고, LSB(최하위비트)측으로부터 전송된다. 다른 부분은 4비트의 동기 신호와 V,U,C,P의 각비트로 구성된다. V비트는 유효성 플래그(Validity flag)로 데이타 에러의 유무를 나타낸다. U비트는 사용자비트(User bit)로 각 기기 고유의 서브코드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다. C비트는 채널 상태비트(channel status bit)로 전송하고 있는 데이타의 성질을 정의하는 것이다. P비트는 패리티비트(parity bit)로 전송중의 데이타의 에러를 검출하는 목적과 동기신호의 극성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으로 삽입한다.
L 채널과 R 채널의 신호는 L,R,L,R,L,…와 같이 교대로 시분할 다중되어 전송된다. 이들 2 채널의 신호는 3 종류의 동기 패턴이 사용되어 1 프레임을 구성한다. 192 프레임의 데이타에 의하여 1 블록이 구성된다.
한편 영상 신호에 관해서는 CCIR, Rec.656(SMPTE,RP-125)에 의하여 표본화 주파수, 양자화 수, 유효 샘플수 및 Y, Cr, Cb 신호의 다중 방법등이 정해져 있다(텔레비젼 학회지 Vol.40, No.6, 1986 P442~P448「CCIR 디지탈 텔레비젼 4 : 2 : 2 인터페이스」에 상세히 기술된다).
이와 같이 송신측에서는 전송하는 데이타를 소정의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송출하고 있다. 전송로에 있어서의 에러 정정 부호로서는 간단한 구성의 것만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자기 기록 장치등의 수신측에서는 기록 에러를 정정하기 위하여 에러 정정 부호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수신측은 송신측과는 관계없이 에러 정정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인해 송신측과 다른 에러 정정 부호를 구성하게 되고, 데이타 레이트도 상위함으로 극히 불합리한 결점이 있다.
그런데, 통합 서비스 디지탈망(ISDN ; 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64 Kbps 회선을 사용한 텔레비젼 회의 및 텔레비젼 전화의 고능률 부호화에 대해서는 CCIR H.261 권고가 보고되고 있다. 제27도는 이와같은 텔레비젼(TV) 회의에 채용되는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27도의 장치는 DT 640 부호 복호기(도시바제품)를 채용한 것이다.
TV 회의장 A에서는 참가자를 촬영하는 카메라(21)와 TV 회의장 B의 상황을 표시하는 모니터 TV(22)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21)의 출력 신호는 부호화 복호기(23)(VIDEO CODEC DT 640)에 입력되어 고능률 부호화 처리된 후 송수신기(24)(MK-6000)로부터 송신된다. 전송로로서는 고속 디지탈 회선(25)을 채용할때도 있고, 또 통신 위성을 채용할 때도 있다.
한편 TV 회의장 B 측에서는 송수신기(27)(MK-6000)로 수신한 데이타를 부호화 복호기(28)(VIDEO CODEC DT 640)로 복호한 후 대형 프로젝터(29) 및 모니터 TV(30)등에 표시한다. 이와같이 회의장 A의 상황을 회의장 B에 알 수가 있다. 또 회의장 B의 상황은 카메라(31)로 촬영되어 상기와 반대로 경로를 거쳐 회의장 A의 모니터 TV(22)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원격지의 회의장 A,B 상호간에 회의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음성에 대해서도 영상과 동일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촬영한 영상을 녹화할 경우에는 부호화 복호기(23,28)에 의하여 복호한 신호를 베이스 밴드의 신호로 되돌린 후에 VTR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대의 VTR에는 1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만이 출력된다. 이로인해 회의장 A,B의 상황을 녹하하기 위하여 최저 2대의 VTR이 필요하다. 또 카메라의 대수를 증가시키면 이들의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하여 VTR의 대수를 증가시켜야 하고, 또 카메라와 VTR을 동기시켜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회의를 기록하기 위하여 많은 자기 테이프를 사용함으로 실행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도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과 같이 디지탈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기록 재생에 따르는 에러를 정정하기 위하여 에러 정정 부호를 부가해서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에러 정정 부호로서 리드 솔로몬의 적부호(이하 RS 부호로 기재)가 채용되고 있다.
제28도는 이 RS 부호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28도의 도시와 같이 이 정정 방식에 있어서는 데이타열(35)과 검사 부호열(36)로 구성되는 제1의 정정 계열(P계열)(37)과, P계열에 있어서의 데이타를 구성 요소로 하고, 다른 계열로 이어진 데이타 계열(38)과, 검사 부호열(39)로 구성되는 제2의 정정 계열(Q계열)(40)을 동일한 데이타 공간(적부호 블록)에 형성해서 기록한다. 재생시에는 우선, 한쪽의 P계열을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해서 정정하고, 정정하고 남은 데이타에 대해서는 다른 쪽의 Q계열을 사용해서 정정한다. 이 경우에 P계열의 에러 검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Q계열의 정정 동작시에 높은 정정 능력을 얻고 있다.
그런데, 근래 고품위 방송이 개시되려 하고 있다. 이 고품위 방송에 있어서는 현행 NTSC 방송에 비해서 정보량이 극히 크다. 그래서 양방식의 기록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트랙의 경사각을 가변을 구성함으로써 방식에 따라서 트랙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제29도는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 트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29(a) 내지 (d)도는 각각 NTSC 신호, EDTV 신호 및 HD 신호의 기록 트랙 및 기록 용량을 표시한다. 제29(c)도에 도시하는 HD 신호의 기록 트랙(41)의 1트랙의 길이를 L로 하면 EDTV 및 NTSC 신호의 기록 트랙(42,43)의 길이는 각각 1/2 L 및 1/3 L이다. 이와같이 트랙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랙의 길이를 변경하여 1트랙당의 기록 용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NTSC 및 EDTV 신호의 기록 트랙(42,43)은 기록 트랙(41) 보다도 기록 용량이 작으므로 HD 신호의 정보량에 맞추어서 RS 부호를 구성하면, 이들 트랙(42,43)에서는 Q계열을 완결시킬 수가 없다(제28도 참조). 그 결과 NTSC 및 EDTV 신호의 재생시에 P계열을 가지고 에러 정정을 하게 되고, 정정 능력이 현저하게 열화되고 만다. 또 각 방식 마다 상이한 포맷의 RS 부호를 구성하면 회로 규모가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D-2 디지탈 VTR 등에 있어서는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기록 포맷이 채용되고 있다.
D-2 포맷에 있어서는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62바이트의 트랙 프리앰블 T, 6 싱크 블록(=1140바이트)의 오디오 섹터 A0 내지 A3, 6바이트의 포스트앰블 P, 156바이트의 편집용 갭 EG, 28바이트의 편집 갭 프리앰블 E 및 204 싱크 블록(=38760바이트)의 비디오 섹터 V에 의하여 데이타는 구성된다.
제31도는 이와같은 D-2 포맷을 채용한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의 기록측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아날로그/디지탈 인터페이스(45)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 음성 신호는 음성 데이타 블록화 회로(46)에서 블록화되어 외부호 형성 회로(47)에 출력된다. 외부호 형성 회로(47)는 입력된 데이타에 외부호(Q 부호)를 부가하고, 이어서 음성 데이타 명료화 회로(48)는 음성 데이타를 명료하게 하여 데이타 다중 회로(53)에 출력한다.
한편 입력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데이타 인터페이스(49)를 통하여 채널 분배 스위치(50)에 주어져서 채널별로 블록화된다. 블록화된 데이타는 외부호 형성 회로(51)에서 외부호(Q 부호)가 부가되고, 섹터내 명료화 회로(52)에 의하여 명료화되어서 데이타 다중 회로(53)에 출력된다. 데이타 다중 회로(53)에는 동기 ID 회로(54)로부터 동기 신호 및 ID 신호가 입력되고 따로따로 처리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는 데이타 다중 회로(53)에서 시분할 다중된다. 또 내부호 형성 회로(55)에 있어서 내부호(P 부호)가 부가되고, 채널 부호화 회로(56)에 있어서 채널 코딩되어 기록 증폭기(57)에 출력된다. 기록 증폭기(57)는 입력된 데이타를 증폭하여 각 채널 별로 헬리컬 트랙에 기록한다.
제30도의 도시와 같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 간 및 음성 신호 상호간에는 편집 갭 E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편집 갭 E는 오디오 및 비디오 섹터를 독립적으로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편집 갭 E 앞뒤의 포스트앰블 P 및 프리앰블 P는 비트 동기 클럭의 재생 및 동기의 끌어넣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D-1 포맷의 디지탈 VTR에 있어서도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와는 따로따로 처리되어 외부호가 부가되고, 내부호에 대해서는 공통으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 D-1, D-2 포맷은 둘다 업무용이므로 음성의 멀티 트랙 포맷은 없다.
또, 제32도는 8㎜ VTR에 채용되는 멀티 트랙 시스템의 포맷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32도의 도시와 같이 PCM 음성의 멀티 트랙 시스템에 있어서는 PCM 음성부의 포맷을 사용해서 1 트랙에 제1 내지 제6의 오디오 트랙을 구성하고 있다. 단, 영상 부분은 FM 기록이므로 음성 부분의 포맷에는 관계없다.
이와 같이 따로따로 편집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테이프상에 편집 갭을 형성하여 따로따로 기록하고 있고,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로 상이한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음성과 영상에 대하여 따로따로 신호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음성 부분의 포맷으로 음성만을 1 트랙에 복수 기록할 경우에는 영상 부분과 음성 부분과의 포맷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테이프상에 상이한 포맷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서치 동작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ID 및 서브 코드 부분중 재생 가능한 부분이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기록 용량이 큰 기록 재생 기기에 있어서 서치 기능은 불가결한 부가 기능 요소이다. 서치 기능에 대해서는 고정밀도성 및 고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들면 VTR에 있어서 고정밀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 또는 초단위의 서치에서 프레임 또는 필드 단위의 서치로 변화되고 있다. 또 고속성을 향상시키는, 즉 소정의 테이프 위치까지 어떻게 단시간으로 도달시킬 수가 있느냐에 대해서는 테이프를 고속으로 보내는 수단을 실현시키는 것 외에 인덱스 신호를 확실히 검출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33도는 DAT에 채용되고 있는 트랙 패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33(a)도는 고속 서치시의 헤드 궤적을 도시하고, 제33(b)도는 고속 서치시의 RF 신호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다.
고정 헤드를 갖지 않는 DAT에 있어서는 경사 트랙에 서브 코드 영역을 설치하고 있고, 고속 서치시에는 서브 코드 영역내의 서브 코드를 회전 헤드에 의하여 독출하도록 하고 있다. 제33(a)도의 도시와 같이 헤드는 1회의 주사에 의하여 수 트랙분을 트레이스 한다. 제33(a)의 부호 +, -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1트랙마다 애지머스각은 서로 다르다. 헤드 애지머스가 +라고 하면 재생 엔벨로프는 제33(b)도의 도시와 같다. 제33(b)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재생 엔벨로프는 주판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주기는 1회의 헤드 주사에 의하여 가로지르는 트랙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재생 신호로부터 서브 코드를 얻기 위해서는 재생 엔벨로프의 소정 레벨 이상의 기간이 서브 코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만 얻을 수 있으면 된다. 서치 속도가 빨라질수록 1회의 헤드 주사에 의하여 가로지르는 트랙수가 증가하여 재생 엔벨로프의 주기가 짧아진다. 따라서 동기를 취하기 위한 PLL(위상 고정 루프)의 인입등을 고려하면 라디오 기술(1987년 4월)에 기재된 바와같이 약 400배의 고속 서치까지가 한도로 되어 있다.
또, 고속 서치시에 있어서 인덱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재생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통상 재생시와 동일해지도록 드럼의 회전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통상 재생시(2000 rpm)에 대하여 고속 서치시에는 광범위한 회전수(1000~3000 rpm)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 드럼의 회전수는 클럭 PLL이 로크하는 포인트를 찾아서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속 서치를 실시하려면 드럼의 회전수를 광범위하게 변경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 PLL의 인입을 확인할때까지 서치 동작을 개시할 수 없고 인덱스 신호의 신호 처리 시간도 고려하면 비교적 긴 시간 소정치 이상의 엔벨로프 출력을 얻을 수 없으면 인덱스 신호를 재생할 수는 없다. 따라서, 예를들면 1000 배속 등의 초고배속 서치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테이프상의 다른 영역에 리니어 트랙을 설치하고, 이 영역에 인덱스 신호를 기록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재생 신호 대역은 테이프 전송 속도에 비례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고속 서치를 위하여 신호 처리계를 고대역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SN 비가 열화되는 결점이 있다. 또 테이프 전송 속도를 크게 변화시킨 경우에는 테이프 헤드계의 특성에 의하여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없어진다.
그런데 디지탈 기록 방식에서는 재생시에 "1"과 "0"를 식별할 수 있으면 된다. 자기 매체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S/N이 최종 출력의 S/N에 영향을 주는 아날로그 기록 방식에 비해서 부호 이론에 따른 에러 정정 기술에 의하여 고 S/N의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지탈 기록 방식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병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하고,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기록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재생시에 각 병렬 데이타의 단락을 식별하기 위하여 동기 데이타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동기 데이타는 주신호 데이타의 패턴과의 구별이 가능한 수비트의 패턴으로 구성되고, 통상 수병렬 데이타별의 소정 간격으로 삽입되어 기록된다.
이 동기 데이타는 재생시에 가장 먼저 검출되고, 검출된 타이밍에 따라서 주신호 데이타를 단락지우는 역할을 한다. 동기 데이타가 수 병렬 데이타에 1개의 비율로 부가되고 있으므로 동기 데이타를 검출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수 병렬 데이타분의 주신호도 검출할 수 없게 되어 주신호 데이타의 에러는 크다. 그러나 주신호 데이타와 달라서 동기 데이타에는 재생 데이타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에러 정정 부호를 부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동기 데이타를 검출할 경우에는 재생 데이타의 패턴과 동기 패턴을 비교해서 소정비트수 이내의 상위를 허용하고, 동기 패턴을 검출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채용될 때도 있다. 또 동기 데이타는 소정 간격마다 삽입되고 있으므로 동기 패턴의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기 패턴 검출후의 소정 시간은 검출 정지하는 방법등도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디지탈 기록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기록에 비해서 필요 기록 대역이 넓다. 따라서 아날로그 기록의 VTR에서는 1 필드의 영상 신호를 1 트랙에 기록하고 있으나, 디지탈 기록의 VTR에서는 1 필드의 영상 신호를 수트랙으로 분할해서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로인해, 디지탈 기록에서는 아날로그 기록에 비해서 단위 시간당의 자기 테이프 소비량이 크고, 기록 시간이 짧은 결점이 있다. 그러나 자기 헤드 및 자기 테이프의 진보에 따라서 기록 트랙의 폭을 좁게할 수 있고, 필요한 기록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기록 트랙의 폭을 좁게하면 기록 트랙에 대한 자기 헤드의 상대 위치인 트래킹 에러에 대한 여유가 감소된다. 특히 다른 기기 상호간에서의 기록 재생, 이른바 호환 재생시는 현저하고, 이 경우에는 S/N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고밀도 기록에 있어서는 고정밀도의 트래킹 제어가 필요하다.
제34도 및 제35도는 트래킹 제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34도는 기록시를 도시하고 제35도는 재생시를 도시한다. 또 도면중 사선은 애지머스 기록을 표시하고 있다. VTR 등과 같이 회전 헤드를 이용해서 자기 테이프에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시스템에서는 자기 테이프(90)의 테이프 주행 속도와 회전 헤드(91)의 회전 속도에 의하여 기록시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90)상의 회전 헤드(91)의 주행 궤적(기록 트랙 92)이 결정된다(제34도). 한편 재생시에는 제35도의 파선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기록 트랙(92)상을 회전 헤드(91)가 트레이스하도록 트래킹 조정을 실시한다. 즉, 트래킹 제어는 기록시의 테이프 주행과 헤드 회전과의 관계를 재생시에 있어서 재현하는 것이다.
트래킹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 몇몇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헬리컬스켄 VTR에서 실용화된 방식으로서는β, VHS 방식에 채용되고 있는 제어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서는 자기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전용 트랙을 설치하여 제어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 제어 신호의 위상을 소정치에 맞추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전용 트랙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기록 밀도가 낮고, 또 고정 헤드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자기 테이프의 주행이 변동되기 쉽고 또 주신호 기록 트랙폭 방향으로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없는 등의 결점이 있고, 고밀도 기록에 있어서의 고정밀도 위치 결정 제어에는 적당하지 못하다.
또, 이 제어 방식을 병용하고, 재생 주신호의 진폭을 최대로 하도록 제어하는 이른바 힐. 클라이밍 제어 방식이 채용될 때도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소정 간격으로 소정 주파수 신호가 기록되고 있는 아날로그 기록 VTR에서는 가능하나, 디지탈 기록에서는 재생 신호의 진폭을 확정할 수 없어서 채용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아날로그 기록중 비교적 고밀도 기록인 8㎜ 방식에 있어서 주신호에 트래킹용의 파일럿 신호를 주파수 다중 기록하고, 재생시에 양 인접 트랙으로부터 재생되는 파일럿 신호 레벨을 비교하며, 양자가 동일하도록 위치 제어하는 파일럿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주신호와 동일한 트랙에 트래킹 신호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기록 밀도가 저하하는 일은 없고, 또 주신호 기록 트랙폭 방향으로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고밀도 기록에 적합하다.
8㎜ 방식에 있어서는 파일럿 신호를 애지머스 각도가 상위한 인접하는 트랙으로부터 재생하고 있다. 따라서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로서는 애지머스 효과가 비교적 작은 저역 주파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제36(a)도의 도시와 같이 파일럿 신호 주파수는 주신호인 FM 변조 휘도 신호 및 저역 변환 색신호 보다도 낮은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37도는 8㎜ 방식 VTR에 있어서 각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기 헤드(61)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프리앰프(62)를 통하여 LPF(63), BPF(64) 및 HPF(65)에 부여된다. LPF(63)는 트래킹 파일럿 신호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BPF(64)는 저역 변환 색신호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있고, HPF(65)는 FM 변조 휘도 신호의 대역을 통과 대역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 단자(66) 내지 (68)에는 각각 제36(b)도 내지 (d)도에 도시하는 파일럿 신호, 저역 변환 색신호 및 FM 변조 휘도 신호가 나타난다.
제38도는 트래킹 파일럿 신호를 사용한 디지탈 VTR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입력 단자(71)에는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A/D 컨버터(72)는 입력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73)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73)는 주신호에 에러 정정 부호를 부가하여 디지탈 변조 회로(74)에 출력한다. 디지탈 기록에 있어서는 전자 변환계에 있어서 직류 전송이 불가능함으로 디지탈 변조 회로(74)는 제39(a) 내지 (d)도의 도시와 같이 데이타의 정렬 변경 처리를 실시하여 기록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직류로부터 저역 성분의 진폭을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디지탈 변조 회로(74)의 출력은 동기 데이타 부가 회로(75)에 있어서 동기 데이타가 부가되고, 또 기록 회로(76)에서 파일럿 발생 회로(77)로부터의 파일럿 신호가 부가되어서 테이프(78)에 자기 기록된다.
한편 재생시에는 재생 신호는 HPF(65)에 의하여 FM 휘도 신호가 분리되어서 재생 회로(82)에 주어진다. 재생 회로(82)의 출력은 PLL(81) 및 시간축 보정 회로(83)에 주어져 시간축이 보정되어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에 출력된다.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는 동기 데이타를 검출하고, 디지탈 복조 회로(85)는 기록시의 디지탈 변조 회로(74)의 역처리를 실시하여 영상 신호를 복조한다. 에러 정정 회로(86)는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복조 데이타의 에러 정정을 실시하고, D/A 컨버터(87)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단자(88)에 출력한다. 또 재생 신호는 LPF(63)에도 출력되고 있고, LPF(63)는 재생 신호로부터 트래킹 파일럿 신호를 분리하여 트래킹 제어 회로(도시생략)에 출력하고 있다.
제39(b)도의 도시와 같이 파일럿 신호는 영상 신호로 주파수 다중되어서 기록되고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디지탈 변조 회로(74)는 변조 처리에 의하여 저역 성분의 진폭을 저감시키고 있으나, 아날로그 기록에 비교하면 저역 성분의 레벨은 비교적 크다. 따라서 재생시에 LPF(63)에 의하여 파일럿 신호를 분리하려고 하면 영상 신호의 저역 성분이 제거되어 버려서 재생 주신호의 S/N이 저하한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와 같이 주신호 데이타에는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되고 있고, S/N의 저하에 의하여 재생 신호에 에러가 발생해도 어느 정도는 정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 데이타에는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되고 있지 아니하므로 트래킹 파일럿 신호의 분리에 의한 재생 신호의 S/N 저하에 의하여 재생 에러가 증가하면 동기 데이타의 검출이 불가능해지는 일이 있다. 그 결과 수 병렬 데이타의 주신호 데이타에 에러가 발생하여 에러 정정 능력을 넘어서 재생 신호가 현저히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한 제34도 및 제35도에 있어서 기록 트랙(92)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회전 실린더의 리드 형상등의 영향으로 제40도의 도시와 같이 테이프(90)상의 기록 트랙(93)은 사행한다. 동일한 장치로 기록 및 재생을 실시할 경우에는 기록시와 재생시에 있어서 회전 헤드(91)의 주행 궤적이 일치하므로 기록 트랙(93)이 사행하고 있어도 특별한 문제는 없다.
그런데, 기록 장치와 다른 장치로 재생을 하는 호환 재생시에는 제41도의 파선으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리드의 형상차등의 영향에 의하여 회전 헤드의 주행 궤적은 기록시와 재생시에 있어서 달라지고 만다. 따라서 단순히 테이프 주행과 헤드 회전과의 관계를 기록시와 재생시에 일치시키는 것만으로는 기록 트랙(93)을 확실히 트레이스할 수가 없다. 이와같은 트레이스의 어긋남은 트랙폭이 좁아질수록 악영향을 주고, 충분한 재생 엔벨로프를 얻을 수 없어지는 일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 가동 헤드를 채용하여 확실한 트래킹을 가능케한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제42도는 이 장치에 채용되는 DTF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제43도는 헤드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43도의 도시와 같이 상 실린더(95)에는 압전 소자(97)가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고, 압전 소자(97)의 단부에는 회전 헤드(98)가 배치되어 있다. 압전 소자(97)는 제43도의 화살표시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실린더(95)의 회전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헤드(98)를 트랙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42도의 도시와 같이 가산기(101)는 기록하는 주신호에 소정 주파수의 파일럿 신호를 중첩한다. 가산기(101)의 출력은 기록 앰프(102)에서 증폭된 후 전환 스위치(103)를 통하여 헤드(98)에 주어진다. 헤드(98)는 파일럿 신호가 중첩된 주신호를 자기 테이블(104)에 기록한다. 또 상기와 같이 파일럿 신호는 저역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시에 헤드(98)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전환 스위치(103)를 통하여 프리앰프(105)에 출력되어 증폭된다. 프리앰프(105)의 출력은 재생 신호로서 재생 회로(도시생략)에 출력되는 동시에 BPF(106)에 의하여 파일럿 신호가 분리된다. 검파 회로(107)는 파일럿 신호를 검파하여 레벨을 구한다. 검파 회로(107)는 최대 검파 레벨을 얻을 수 있는 출력을 드라이브 회로(108)에 부여하여 압전 소자(97)를 변위시킨다. 이것으로 헤드(98)는 트랙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록 트랙(93)위를 확실히 트레이스한다.
이와 같이 DTF 회로에 있어서는 파일럿 신호의 검파 레벨에 의하여 회전 헤드의 어긋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서 압전 소자를 구동해서 회전 헤드를 기록 트랙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나, 아날로그 파일럿을 다중한 DTF 회로에 있어서 회전 헤드의 트랙의 어긋남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재생 신호에 파일럿 신호 성분이 혼입되므로 최종적인 에러 레이트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파일럿 신호 성분이 재생 신호에 혼입되지 않도록 HPF를 채용해서 재생 신호로부터 파일럿 주파수 이하의 성분을 제거하거나 BPF에 의하여 파일럿 주파수 근방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면 파일럿 주파수 근방 및 그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기록 주신호까지 제거되어 버린다. 또한 이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 근방의 재생 신호의 위상도 변화해버리는 결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 디지탈 신호를 자기 테이프 등의 매체에 기록 재생할 경우에는 기록 매체와 평행을 이루는 자화 패턴을 형성하는 장편 기록(longitudinal recording)이 채용되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자기 테이프에 스텝 형상으로 변화하는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테이프의 자화 반전은 이상적인 스텝형상이 안된다. 이로인해 재생되는 디지탈 신호의 펄스 파형은 제44도의 도시와 같이 아래쪽이 넓어진 산형의 펄스 파형을 구성한다.
이 재생 파형은 고립 재생 파형으로 호칭되고, 장편 기록의 경우는 거의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생각되고, 하기 (1)식에 표시하는 로렌츠형 함수로 근사할 수가 있다.
f=a/a2+t2………………………………………………(1)
여기에서 t는 시간을 표시하고, a는 펄스폭 계수를 나타내고, a=W50/2T로 표시된다. 단 T는비트 간격이나, W50은 펄스 반치폭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기록에 있어서 부호간 간섭이 없고, 데이타열의 식별이 가능해지는 조건은 제45도의 도시와 같이 다른 부호의 식별점에 있어서 고립 재생 파형의 진폭이 "0"이 되면 된다. 이를 위해 등화 회로를 채용하여 식별점에 있어서의 인접 펄스의 간섭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즉 등화 회로는 비트 간격을 T로 하면 시각 nT에 있어서 하기 (2) 식을 만족하는 출력 파형 h(nT)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h(nT)=0 |n|1
h(0)=1 n=0……………………………………………(2)
등화 회로로서는 통상 제49도에 도시하는 트랜스버설 필터등이 채용된다.
입력 단자(111)로부터의 입력 신호는비트 간격 T의 지연선으로 구성되는 지연선군(112)에 주어진다. 입력 신호 및 각 지연선의 출력은 탭이 부착된 이득 조정기로 구성되는 이득 조정기군(113)에 주어진다. 입력 신호는 각 지연선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시간 T만 지연되어서 복수의 카피 신호가 각 이득 조정기에 입력된다. 각 이득 조정기에는 탭이득이 주어지고 있고, 각 이득 조정기는 카피 신호에 탭이득을 부여하여 아날로그 가산기(114)에 출력한다. 아날로그 가산기(114)는 입력된 신호를 아날로그적으로 가산하여 출력 단자(115)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 단자(115)에는 탭이득에 따르는 출력이 얻어진다. 이와같이 입력 신호를 지연시켜서 입력 신호와 동일한 파형의 카피 신호를 발생시키고, 탭이득을 부여하여 가산함으로써 등화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인 고립 재생 파형이 비대칭형인 경우에는 등화가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재생 신호를 등화함으로써 신호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 신호 검출 방식으로서는 고립 펄스 "00100"을 기록 신호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재생 신호를 어떻게 등화하느냐에 따라서 각종 방식이 있다.
제47도 및 제48도는 각각 검출 방식으로서 PR(1,-1) 방식을 채용한 기록계 및 재생계의 회로도이고, 제49도는 그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이다. 제49(a) 내지 (e)도는 각각 제47도, 제48도의 a 내지 e점의 신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제49(a)도에 도시하는 입력 신호는 프리코더(116)에 부여된다. 프리코더(116)는 1비트 지연 회로(117)와 가산기(118)에 의하여 구성되고, 입력 신호와 1비트 지연 회로(117)의 출력과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하여 출력한다. 즉, 프리코더(116)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mod 2의 연산을 실행하여 제49(b)도 도시하는 기록 신호로 하고 있다. 프리코더(116)의 출력은 기록앰프(119)에 의하여 증폭되고, 링헤드(120)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121)에 기록된다.
재생시에 링헤드(122)에 의하여 재생된 재생 신호는 프리앰프(123)에 의하여 증폭되어 등화 회로(124)에 부여된다. 등화 회로(124)는 재생 신호에 대하여 상기한 파형 등화를 실시하고, 제49(c)도에 도시하는 등화 신호를 출력한다. 3치 비교기(125)는 등화 신호의 3치 검출을 실시하고, 제49(d)도에 도시하는 식별 신호를 PLL(126) 및 식별 회로(127)에 출력한다. PLL(126)은 식별 신호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식별 회로(127)에 부여하고, 식별 회로(127)는 이 클럭을 사용하여 식별 신호의 "1" 및 "-1"을 "1"로 식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식별 회로(127)로부터는 제49(e)도에 도시하는 재생 데이타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기록 신호 "00100"에 대하여 재생 신호를 "001-100"으로 식별하고 있는 것이 되므로, PR(1,-1) 방식으로 호칭되고 있다.
그런데, 앞으로 더욱 고밀도 기록화가 발전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고밀도 기록을 위해서 기록 주파수를 높이면 재생 진폭이 저하되고 또 부호간 간섭이 증가하여 파형 등화에 의하여 S/N 비가 열화된다. 이로인해 장편 기록은 고밀도 기록에 부적합하다.
제50도는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기록 신호의 파장이 λ인 경우의 장편 기록에 있어서의 자화 패턴을 도시한다.
기록 매체(130)의 베이스(131)상의 매체 표면에는 헤드(133)에 의하여 길이가 λ/2이고, 두께가 δ인 자화 패턴(13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화 패턴(132)은 동극끼리가 서로 맞댄 상태를 이루고 있고, 기록 파장 λ를 작게하면 자기 감자율 N[∝δ/(λ/2)]은 커져서 자화 M과 반대 방향의 감자계 Hd(=N×M)도 커진다. 즉 기록 밀도가 높아질수록 자기 감자가 커져서 기록이 곤란해진다. 또 고밀도 기록에 의하여비트 간격 T는 작아지므로 펄스폭 계수 a는 커지고, 그 결과, 고립 재생 파형의 아래쪽의 넓이가 넓어져서 등화에 의한 S/N의 열화가 커진다.
한편 장치의 소형화도 촉진되고 있고, 회전 실린더의 지름도 작아진다. 이로 인해서 테이프 주행계는 불안정해져서 회전 실린더와 테이프간에 공기가 유입한다. 그 결과, 테이프가 부상하여 스페이스 손실이 커진다. 스페이스 손실 Lsp는 스페이스량을 S로 하고, 기록 파장을 λ로 하면, 하기 (3) 식에 나타내는 관계를 갖는다.
Lsp ∝ e×p(-s/λ)………………………………………(3)
이 (3)식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스페이스 손실은 기록 파장이 짧아지면 급격히 증대된다. 이와같은 이유로 장편 기록에 있어서의 디지탈 기록에서는 파장이 약 0.5㎛의 신호의 기록이 한계가 된다고 생각한다.
이것에 대하여 제51도에 도시하는 수직 기록을 채용하면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다.
수직 기록에 있어서 제51도의 도시와 같이 기록 매체(135)의 베이스(136)상의 채체 표면에는 주자극(137)과 보조 자극(138)에 의하여 길이가 항상 δ인 자화 패턴(139)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자기 감자율은 N[∝(λ/2)/δ]로 표시되고, λ작을수록 감자계도 작아지고, 기록 상태는 안정된다. 즉 고밀도 기록에 있어서 큰 재생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제51도의 도시와 같이 자화반전이 급준함으로 출력 신호는 협폭의 펄스 파형을 이루고, 고밀도 기록에 유리하다.
그런데, 수직 기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강하고 또한 급준하게 변화하는 수직 자계 분포를 발생시키는 헤드를 채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면 제5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주자극(137)과 보조 자극(138)으로 구성되는 헤드를 채용하면 된다. 그러나, 회전 실린더를 사용해서 기록재생을 실시하는 VTR등에서는 채용할 수가 없다.
그러나, VTR등에 채용되고 있는 링헤드라 해도 갭에지에 강한 수직 자계성분을 가지고 있고, 기록 매체가 수직 배향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대체적으로 수직 기록이 가능하다. 이것은 준수직 기록으로 호칭되고, 매체로서는 Co-Cr 및 Ba-페라이트등이 사용된다. 특히 Ba-페라이트는 종래의 도포 기술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는 동시에 수직 배향도의 제어가 용이함으로 고밀도 기록 매체로서 기대를 받고 있다.
이와같이 링헤드를 사용해서 수직 기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직 배향도의 기록 매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PEAK SHIFT CHARACTERISTICS FOR BARIUM FERRITE FLEXIBLE DISK DRIVE」(1987 DIJECT OF THE INTER MAG CONFERENCE AB-04)(문헌 1)등에 기재되고 있는 것과 같이 기록 매체의 수직 배향도가 증대되면 고립 재생 파형의 비대칭성도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등화 및 신호 검출에 있어서 고립 재생 파형이 대체적으로 대칭인 것을 전제로 하여 인접 식별점에서 "0"이 되도록 파형 등화하고 있으나 비대칭성이 큰 고립 재생 파형을 식별이 가능한 파형으로 등화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또 파형 등화량의 증가에 의하여 S/N비도 열화되고 만다.
이와같이 상기한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수신측은 송신측과는 관계없이 에러 정정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로인해 송신측과 상이한 에러 정정 부호를 구성하게 되고, 데이타 비율도 서로 다르므로 극히 불합리적인 결점이 있었다.
또, 텔레비젼 회의등에 있어서 촬영한 영상을 녹화할 경우에는 복호 신호를 베이스 밴드의 신호로 되돌린 후에 기록하고 있으므로 카메라에 대응되는 수의 녹화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또 실행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1트랙의 기록 용량을 가변으로 하면 기록 용량이 최대가 되는 모드이외의 오드에서는 에러 정정의 적부호가 완결되지 않고 에러 정정 능력이 현저히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각 방식별로 적부호를 구성하면 회로 규모가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별도로 편집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테이프상에 편집 갭을 설치하여 별도로 기록한 경우에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에 있어서 상이한 신호 처리를 하고 있다. 음성과 영상에 대하여 별도의 신호 처리를 하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 음성 부분의 포멧으로 음성만을 1트랙에 복수 기록할 경우에는 영상 부분과 음성 부분과의 포맷이 상이함으로 테이프상에 상이한 포맷의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서치 동작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ID 및 서브 코드 부분중 재생 가능한 부분이 한정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 고속 서치를 실시하려면 드럼의 회전수를 광범위하게 가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PLL의 끌어넣기를 확인할 때까지 서치 동작을 개시할 수가 없고, 인덱스 신호의 신호 처리 시간도 고려하면 비교적 긴 시간의 소정치 이상의 엔벨로프 출력을 얻을 수 없으면 인덱스 신호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들면 1000 배속등의 초고배속 서치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트래킹 파일럿 신호를 영상 신호로 주파수 다중하고 있으므로 트래킹 파일럿 신호의 분리에 의하여 재생 신호의 S/N비가 저하하여 동기 데이타가 재생 불가능해져서 주신호를 복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아날로그 파일럿을 다중한 DTF 회로에 있어서는 회전 헤드의 트랙어긋남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재생 신호에 파일럿 신호 성분이 혼입되어 버려 최종적인 에러 비율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파일럿 신호 성분이 재생 신호에 혼입되지 않도록 HPF를 채용해서 재생 신호로부터 파일럿 주파수 이하의 성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BEF(밴드 엘리미네이션 필터)에 의하여 파일럿 주파수 근방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면 파일럿 주파수 근방 및 그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기록 주신호까지 제거하게 된다. 또 이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 근방의 재생 신호의 위상도 변화되는 결점도 있었다.
또, 종래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고밀도 디지탈 기록을 실시하기 위하여 수직 배향 기록 매체를 사용해서 링형의 헤드로 수직 기록을 실시하면 그 고립 재생 파형은 비대칭을 이루고, 재생 파형의 식별이 극히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 송신측에 있어서 구성한 에러 정정계와 동일한 에러 정정계를 수신측에 있어서도 구성하여 송신측으로부터의 에러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기록 에러도 정정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복수의 고능률 부호화 신호를 1대의 장치로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1트랙의 기록 용량을 가변으로 했을 경우에는 복수의 방식의 신호를 동일 포맷으로 정정 계열이 완결되도록 적부호를 구성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음성계와 영상계의 신호 처리 회로를 공통화하는 동시에 영상 신호의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종류의 신호의 기록이 가능한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연속적으로 인덱스 신호의 재생이 가능한 동시에 광범위한 서치 배속에 대하여 양호한 SN을 얻을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트래킹 파일럿 신호를 주신호로 주파수 다중 기록 했을 경우에도 동기 데이타의 S/N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생 주신호 데이타의 에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재생 신호의 위상 및 파일럿 주파수 근방의 주파수대의 재생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파일럿 신호만을 제거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링형의 헤드로 수직 배향 기록 매체에 수직 기록할 경우에도 재생 신호의 파형 등화량을 저감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관한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는 기록 재생 매체의 에러 발생 상태에 따라서 설정된 포맷으로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된 전송 데이타가 입력되어 상기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하여 전송시의 에러를 정정하고 상기 에러 정정 부호를 제거하지 않고 전송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에러 정정 회로와 전송 데이타에 상기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기록 재생 매체의 에러 발생 생태에 따른 에러 정정 부호를 상기 전송 데이타에 부가해서 출력하는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와, 전송 데이타에 상기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상기 제1에러 정정 회로의 출력과 상기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전환 수단과, 이 전환 수단의 출력을 상기 기록 재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 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이 재생 수단의 출력이 입력되고 상기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하여 기록 재생시의 에러를 정정하여 출력하는 제2에러 정정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관한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부호화 데이타가 입력되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타의 전송 비율 및 입력 부호화 데이타 수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부호화 데이타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부호화 데이타를 다중 기록하는 동시에 반복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입력된 부호화 데이타를 배열하는 다중 처리 수단과, 이 다중 처리 수단의 다중 방법 및 반복 회수를 표시하는 서브 코드를 작성하여 상기 다중 처리 수단의 출력에 다중하는 부호화 회로와, 이 부호화 회로의 출력을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신호로부터 상기 서브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다중 방법 및 상기 반복 회수를 판별하는 서브 코드 디코드 수단과, 상기 서브 코드 디코드 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재생 신호로부터 부호화 데이타의 반복 및 다중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이 해제 수단의 출력을 복호하는 복호 회로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관한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는 기록 정보에 따른 인덱스 신호를 발생하는 인덱스 신호 발생기와, 상기 인덱스 신호를 분주하는 분주기와,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캐리어를 각각 상기 인덱스 신호 발생기 및 상기 분주기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대역의 인덱스 신호로 변조하여 복수의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 수단과, 상기 복수의 변조 신호를 혼합하여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변조 신호를 소정의 재생 속도로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신호를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인덱스 신호의 대역에 따르는 대역으로 대역 제한하는 대역 제한 수단과, 이 대역 제한 수단의 출력을 복조하여 상기 인덱스 신호를 재생하는 인덱스 디코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있어서, 전송 데이타에 부가되는 에러 정정 부호는 기록 재생 매체의 에러 발생 상태에 따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에러 정정 회로는 전송 데이타에 부가된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하여 전송로에 있어서의 에러 정정을 한다. 전환 수단은 제1에러 정정 회로의 출력을 선택하거나 또는 에러 정정 부호가 전송 데이타에 부가되지 않은 경우에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의 출력을 선택해서 기록 수단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기록 매체에는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된 데이타가 기록된다. 제2에러 정정 회로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 수단에 의하여 재생된 데이타에 대하여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하여 기록 및 재생시의 에러 정정을 실시한다. 전송측의 에러 정정 부호를 이용함으로써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있어서, 판별 수단은 입력 부호화 데이타의 전송 비율 및 입력수로부터 다중 처리 수단에 있어서의 입력 부호화 데이타의 다중수 및 반복수를 구하고 있다. 이 판별 결과에 따라서 다중 처리 수단으로 데이타가 배열되고, 기록 수단에 의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부호화 회로에 의하여 기록되는 데이타에는 다중 방법 및 반복 회수를 표시하는 서브 코드가 다중되어 있고, 서브 코드 디코드 수단은 재생 신호로부터 서브 코드를 디코드하여 부호화 데이타의 반복 및 다중 방법을 판별한다. 해제 수단은 서브 코드 디코드 수단의 출력에서 부호화 데이타의 반복 및 다중을 해제하고, 복수의 입력 부호화 데이타를 얻는다. 이와같이 1대의 장치로 복수의 입력 부호화 데이타의 기록 및 재생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있어서, 분주기는 인덱스 신호를 분주하여 대역이 다른 복수의 인덱스 신호를 발생하고 있다. 이들의 인덱스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의 캐리어를 사용한 변조 수단에 의하여 각각 변조되고, 기록 수단에 의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재생 수단은 소정의 재생 속도로 기록 수단의 변조 신호를 재생한다. 대역 제한 수단은 캐리어 및 인덱스 신호의 대역에 따르는 대역에서 재생 신호를 대역 제한한다. 변조 신호는 재생 속도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캐리어 주파수가 변화하고 또 대역도 변화한다. 이것에 의하여 재생 신호의 인덱스 변조 신호의 어느 1개를 항상 대역 제한 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고, 또 그 대역도 항상 일정하게 함으로써 재생 속도에 관계없이 인덱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입력 처리 회로(141)에는 카메라등에서 입력된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 처리 회로(141)는 입력된 신호를 후단처리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한다. 입력 처리 회로(141)는 예를들면 입력신호를 휘도신호 Y 및 색차 신호 Cr, Cb로 분리하여, 휘도신호 Y에 대해서는 샘플링 주파수 13.5㎒로 샘플링하고, 색차 신호 Cr, Cb에 대해서는 13.5/2㎒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고, 다시 8화소 x 8주사선의 블록단위로 출력한다. 부호화회로(142)는 입력신호 및 기록재생부(144)에 적합한 고능률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에러 정정용 패리티의 부가등을 실행한다.
부호화된 신호는 송신 회로, 전송케이블 및 수신 회로로 구성되는 전송로(143)를 통하여 기록재생부(144)로 전송된다. 기록재생부(144)의 전송 데이타 처리 회로(145)는 전송데이타의 에러 정정등을 실행하여 기록 변조 회로(146)에 출력한다. 길고 변조 회로(146)는 입력된 데이타를 기록매체의 기록에 적합한 부호로 변환하는 동시에 동기 신호등을 부가하여 가산 회로(147)에 출력한다.
한편, 파일럿 발생 회로(148)는 소정의 파일럿 신호를 발생하여 가산 회로(147)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가산 회로(147)는 기록 데이타에 파일럿 신호를 중첩시켜서 기록앰프(149)에 출력한다. 기록앰프(149)는 입력데이타를 증폭하여 비디오헤드(150)에 부여하여 테이프(151)에 자기기록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재생시에는 테이프(151)에 기록된 데이타는 비디오헤드(152)에 의하여 재생된다. 프리앰프(154)는 헤드(152)로부터의 재생신호를 증폭한 후 파일럿 제거 회로(146)에 출력한다. 파일럿 제거 회로(156)는 재생데이타의 파일럿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등화·동기 회로(157)에 출력한다. 등화 동기 회로(157)는 영상 및 음성 신호등의 정보신호만을 재생 등화하는 동시에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복조·TBC 회로(158)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복조·TBC 회로(158)는 기록시의 변조처리의 역처리를 실시하여 재생신호를 복조하는 동시에 시간축을 보정하여 에러 정정 회로(159)에 출력한다. 에러 정정 회로(159)는 재생 신호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출력한다. 기록재생부(144)의 출력은 송신 회로 및 전송케이블 수신 회로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송로(160)를 통하여 복호화 회로(161)에 부여된다. 한편 프리앰프(154)로부터의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는 트래킹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복호화 회로(161)는 에러 정정 회로(도시생략)를 가지고 있고, 수신데이타의 에러 정정을 실시하는 동시에 부호화회로(142)의 역처리를 실시하여 고능률부호를 복호하여 원래의 신호 비율로 되돌린다. 출력 처리 회로(162)는 복호화 회로(161)로부터의 신호를 고능률부호화 처리단위에서 원래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시계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방송 신호 또는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수신·복조 회로(165)에 부여된다. 수신·복조 회로(165) 및 포맷 변환 회로(166)에 의하여 제1도의 입력 처리 회로(141)를 구성하고 있고, 수신·복조 회로(165)는 입력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되돌리고, 포맷 변환 회로(166)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동시에 예를들어 8×8의 블록 단위로 압축 회로(167)에 출력한다.
압축회로(167)는 입력 신호의 종류 및 기록재생부(144)의 기록에 적합한 고능률 부호화 회로를 통하여 입력데이타를 압축하고, 패리티 부가 회로(168)에 출력한다. 압축 회로(167), 패리티 부가 회로(168), 가산 회로(159) 및 서브 코드 작성 회로(170)에 의하여 제1도의 부호화 회로(142)를 구성하고 있고, 패리티 부가 회로(168)는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를 부가하고, 서브 코드 작성 회로(170)는 신호의 종별을 표시하는 서브 코드를 작성한다. 가산 회로(169)는 부호화 출력에 서브 코드를 부가하여 송신 버퍼(171)에 부여한다.
송신 버퍼(171)로부터의 출력은 전송로(143)를 통하여 기록재생부(146-148)의 수신 회로(172)에 주어진다. 수신 회로(172)의 출력은 패리티 부가회로(173), 스위치(174)의 단자 a 및 스위치(175)의 단자 a에 부여된다. 패리티 부가 회로(173)는 수신데이타에 기록용의 패리티 부호를 부가하여 스위치(174)의 단자 b에 부여한다. 스위치(175)의 공통단은 에러 정정 회로(176)에 접속되어 있고, 에러 정정 회로(176)는 패리티 부호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고, 패리티 부호를 제거하지 않고 데이타를 스위치(174)의 단자 c 및 송신 회로(177)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174)는 제어 신호로 제어되어서 송신측에서 패리티 부호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자 b를 선택하여 패리티 부가 회로(173)에 의하여 기록용의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타를 기록 변조 회로(178)에 부여하고, 송신측에 있어서 패리티 부호가 부가되고 있을 경우에는 단자 c를 선택하여 에러 정정 회로(176)의 출력을 기록 변조 회로(178)에 부여한다. 스위치(175)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고, 기록시에는 단자 a를 선택하고, 재생시에는 단자 b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에러 정정 회로(176)는 패리티부호를 이용해서 수신데이타의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스위치(174)의 단자 c에 출력하는 동시에 재생데이타의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송신 회로(177)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기록 변조 회로(146A)는 제1도의 기록 변조 회로(146), 가산 회로(147) 및 파일럿 발생 회로(148)를 구성하고 있고, 수신데이타를 변조하여 파일럿 신호를 부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재생측의 복조·TBC 회로(158)로부터의 재생데이타는 스위치(175)의 단자 b 및 에러 정정 회로(176)를 통하여 송신 회로(177)에 부여된다. 송신 회로(177)는 재생데이타를 전송로(160)를 통하여 출력계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로(160)로부터의 데이타는 수신버퍼(178)를 통하여 에러 정정 회로(179) 및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181)에 입력된다. 에러 정정 회로(179)는 수신데이타에 포함되는 패리티 부호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고, 신장 회로(180)에 출력한다.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181)는 수신데이타에 포함되는 서브 코드를 디코드하여 신장 회로(180)에 부여한다. 신장회로(180)는 서브 코드를 사용하여 압축 회로(167)의 역처리를 실행하여 데이타를 복호한다. 에러 정정 회로(179),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181) 및 신장 회로(180)에 의하여 제1도의 복호화 회로(161)가 구성된다. 포맷 변환 회로(182)는 출력 형식을 원래로 되돌려서 스위치(183)에 출력한다. 스위치(183)에는 수신·복조 회로(165)의 출력도 입력되어 있고, 선택 신호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신호를 모니터(184)에 부여한다. 이와같이 모니터(184)에 의하여 직접 입력 신호와 재생 신호가 표시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영상데이타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복조 회로(165)에 의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는 예를들면 포맷 변환 회로(166)에서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되어서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r, Cb로 분리되나, 또 포맷 변환 회로(166)는 8화소×8주사선의 블록구조로 변환하여 압축 회로(167)에 부여한다. 압축 회로(167)는 소정의 고능률 부호화처리를 실시하고, 패리티 부가 회로(168)는 부호화 데이타에 패리티 부호를 부가한다. 가산 회로(169)는 패리티 부가 회로(168)의 출력에 서브 코드를 부가하여 송신 버퍼(171)에 출력한다.
송신 버퍼(171)의 출력은 전송로(143)를 통하여 기록재생부(146-148)의 수신 회로(172)에 입력된다. 수신 회로(172)에서 수신된 데이타는 스위치(175)의 단자 a를 통하여 에러 정정 회로(176)에 부여된다. 에러 정정 회로(176)는 패리티 부가 회로(168)에 의하여 부가된 패리티 부호를 이용하여 전송로(143)등에 발생한 수신데이타의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스위치(1740의 단자 c에 출력한다. 스위치(174)는 제어 신호로 제어되어 단자 c를 선택하고 있고, 에러 정정 회로(176)의 출력을 기록 변조 회로(146A)에 부여한다.
기록 변조 회로(146A)는 수신데이타를 기록에 적합한 부호로 변환하여 파일럿 신호를 중첩시켜서 기록앰프(149)에 부여한다. 기록앰프(149)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비디오헤드(150)에 부여하여 테이프(151)에 기록시킨다.
재생시에는 비디오헤드(152)에 의하여 테이프(151)로부터 기록데이타가 재생되고, 프리앰프(154)에서 증폭되어 파일럿 제거 회로(156)에 부여된다. 파일럿 제거 회로(156)는 파일럿 신호를 분리하여 트래킹 제어 회로(도시생략)에 부여하는 동시에 재생신호를 등화·동기 회로(157)에 부여한다. 등화·동기 회로(157)에 있어서 영상 및 음성등의 정보 신호만이 재생되어 등화되고, 동기 신호가 분리된다. 또 재생 신호는 복조·TBC 회로(158)에 의하여 원신호별로 되돌려져서 스위치(175)의 단자 b에 부여된다.
재생시에는 스위치(175)는 단자 b를 선택하고 있고, 재생 신호는 에러 정정 회로(176)에 부여된다. 에러 정정 회로(176)는 기록시에 있어서 에러 정정 부호를 제거하지 않고 스위치(174)에 출력하고 있고 재생 신호에 포함되는 에러 정정 부호를 재차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에 의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송신 회로(177)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177)는 재생데이타를 전송로(160)를 통하여 출력계에 출력한다.
출력계의 수신버퍼(178)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타는 에러 정정 회로(179)에 부여된다. 에러 정정 회로(179)는 패리티 부가 회로(168)에 의하여 부가된 에러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전송로(160)에 의한 에러를 정정하여 신장 회로(180)에 부여한다. 신장회로(180)는 서브 코드 디코드회로(181)로부터의 서브 코드를 사용하여 수신데이타를 원래의 데이타로 복호한다. 또 수신데이타는 포맷 변환 회로(182)에 있어서 원래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되돌려져서 스위치(183)에 부여된다. 스위치(183)는 수신·복조 회로(165)로부터의 데이타와 수신데이타를 선택 신호에 따라서 선택하여 모니터(184)에 부여하여 표시시킨다.
또, 기록재생부(146-148)의 스위치(174)는 수신 회로(172)를 통하여 패리티 부호가 부가되지 않는 데이타가 입력된 경우에는 패리티 부가 회로(173)에 의하여 패리티를 부가한 데이타를 기록 변조 회로(146A)에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에러 정정 회로(176,179)는 패리티 부가 회로(173)에 의한 패리티 부호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측과 기록재생부(146-148)(수신측)에 있어서 동일 에러 정정계를 구성하고, 기록재생부(146-148)의 에러 정정 회로(176)에 있어서 에러 정정후에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 부호를 제거하지 않고 기록하도록 하고 있고, 송신측에서 부가한 패리티를 이용한 에러 정정 회로(176,179)에 의하여 전송로(143,160) 및 기록재생시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또, 기록재생부(146-148)의 에러 정정 회로(176)와 출력계의 에러 정정 회로(179)와의 정정 방법으로서 기록매체 및 전송로에 일치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신장 회로(180)에는 2개의 에러 정정 회로(176,179)를 통과한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부터 신장회로(180)에 수정회로도 포함시킴으로써 수정동작을 적게 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영상데이타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텔레비젼 회의에 적용시킨 것이다.
카메라(189)는 회의 상황(도시생략)등을 촬영하여 영상부호를 부호화 회로(190)에 부여한다. 부호화 회로(190)는 소정의 고능률부호화를 실시하여 데이타 비율을 저감하고, 송신 회로(191), 다중수 판정 회로(192) 및 다중 처리 회로(193)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191)는 전송로(도시생략)을 통하여 원격지(도시생략)에 영상데이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원격지(도시생략)의 카메라로부터의 신호는 고능률부호화된 후 ISDN등의 전송선로(도시생략)를 통하여 수신 회로(185)에 입력된다. 수신 회로(185)는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 회로(186), 다중 판정 회로(192) 및 다중 처리 회로(193)에 부여된다. 복호화 회로(186)는 원격지에 있어서의 부호화의 역처리를 실시하여 수신데이타를 복호하여 모니터(187)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제3도에서는 1계통씩의 송신, 수신계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 복수의 송신 및 수신계를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호화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되돌리지 않고 기록계(203)에서 다중화하여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즉, 기록계(203)의 다중수 판정 회로(192)는 기록시에 다중화할 입력수를 판정한다. 다중 처리 회로(193)는 수신 회로(185)로부터 전송데이타가 입력되는 동시에 부호화 회로(190)로부터 카메라(189)로 촬영한 영상데이타가 입력되고 있고, 다중수 판정 회로(192)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어서 입력수에 따른 다중화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레이트 판정 회로(194)는 전송레이트를 판정하여 다중수 판정 회로(192)의 판정결과로부터 다중화 처리후의 총레이트를 계산하는 동시에 기록매체의 여유도로부터 몇번 반복기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입력데이타수가 4이고, 전송레이트가 1Mbps이고, 기록레이트가 30Mbps인 것으로 하면 반복회수는 7회로 설정된다. 반복 회로(195)는 레이트 판정 회로(194)에 의하여 구해진 반복회수만 입력된 데이타를 반복기록시키도록 데이타를 배열한다. 반복 회로(195)의 출력은 패리티 부가 회로(197)에 부여된다. 패리티 부가 회로(197)는 반복 회로(195)의 출력에 에러 정정용 플래그를 부가하여 가산 회로(198)에 출력한다.
한편 서브 코드 작성 회로(196)는 레이트 판정 회로(194)의 출력에 따라서 다중화 및 반복의 내용을 표시하는 서브 코드를 작성하여 가산 회로(198)에 출력한다. 가산 회로(198)는 패리티부호가 부가된 데이타에 서브 코드를 다중하여 기록 변조 회로(199)에 출력한다. 기록 변조 회로(199)는 기록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앰프(200)에 부여한다. 기록앰프(200)는 기록데이타를 증폭하여 비디오헤드(201)에 부여하여 테이프(202)에 자기기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생계(216)에 있어서는 비디오헤드(204)가 테이프(202)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한다. 재생앰프(205)는 헤드(204)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증폭하여 재생등화 동기 회로(206)에 부여하고, 재생등화 동기 회로(206)는 재생 신호를 파형등화하여 동기 신호를 추출하여 복조·TBC 회로(207)에 출력한다. 복조·TBC 회로(207)는 기록 변조 회로(199)의 역처리를 실시하여 재생데이타를 복조하고, 시간축을 보정하여 에러 정정 회로(208) 및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212)에 출력한다.
에러 정정 회로(208)는 기록재생과정에서 발생한 에러를 정정해서 반복 해제 회로(209)에 출력한다.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212)는 재생 신호에 포함되는 서브 코드를 디코드함으로써 반복방법 및 다중방법의 정보를 반복 해제 회로(209), 다중 해제 회로(210) 및 수정 회로(211)에 출력한다. 반복 해제 회로(209)는 반복 기록되고 있는 재생데이타로부터 1회분의 데이타만을 취출하여 다중 해제 회로(210) 및 수정 회로(211)에 출력하고, 다중 해제 회로(210)는 다중되고 있는 데이타를 분리하여 수정 회로(211)에 출력한다.
수정 회로(211)는 반복 해제 회로(209)의 출력이 주어지고 있고, 원신호의 에러를 다른 반복기록 신호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정한다. 수정 회로(211)의 출력은 신호 선택 회로(213)에 부여된다. 신호 선택 회로(213)는 표시 신호 지정입력에 따라서 모니터(215)에 표시하는 신호를 선택하고, 복호화 회로(214)에 부여한다. 복호화 회로(214)는 입력된 데이타를 복호하여 모니터(215)에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복호화회로(214) 및 모니터(215)는 각각 복호화 회로(186) 및 모니터(187)로 겸용해도 좋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테이프(202)상의 기록포맷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수신 회로(185)에는 도시를 생략한 원격지의 텔레비젼 카메라로부터의 신호가 고능률 부호화되어서 전송된다. 한편 카메라(189)로 촬영한 영상은 부호화 회로(190)에 있어서 고능률 부호화되어서 송신 회로(191)에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회로(185)에서 수신한 수신데이타와 송신 회로(191)로부터 송신하는 송신데이타를 기록계(203)에서 다중기록한다. 즉 수신 회로(185)의 출력 및 부호화회로(190)의 출력은 베이스 밴드 신호로 되돌려 지지않고 다중수 판정 회로(192) 및 다중 처리 회로(193)에 부여된다.
다중수 판정 회로(192)는 다중화하는 입력수를 판정하여 다중 처리 회로(193)의 다중화 처리를 제어한다. 또 레이트 판정 회로(194)는 전송레이트를 판정하여 데이타의 반복기록하는 회수를 반복 회로(195)에 지시한다. 예를들면 수신 회로(185) 및 부호화 회로(190)의 출력이외에 도시를 생략한 다른 수신 회로로부터도 데이타가 입력되어서 다중 처리 회로(193)에 IN1 내지 IN3의 3개의 데이타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다중수 판정 회로(192) 및 레이트 판정 회로(194)는 예를들면 제4도의 도시와 같이 1트랙에 IN1, IN2, IN3, IN1, IN2,…로 기록되도록 다중 처리 회로(193) 및 반복 회로(195)에 데이타를 배열시킨다. 이 경우 데이타를 반복회수는 입력데이타수(3), 전송레이트 및 기록레이트에 의하여 결정된다.
서브 코드 작성 회로(196)는 다중화 및 반복내용을 표시하는 서브 코드를 작성하여 가산 회로(198)에 출력한다. 반복 회로(195)의 출력은 패리티 부가 회로(197)에서 패리티가 부가되어 가산 회로(198)에 주어지고 있고, 가산 회로(198)에서 기록 신호에 서브 코드가 다중되어서 기록 변조 회로(199)에 출력된다. 기록 변조 회로(199)의 출력은 기록앰프(200)에 의하여 증폭되고, 비디오헤드(201)를 통하여 테이프(202)에 기록된다.
재생시에 헤드(204)에서 재생된 신호는 재생앰프(205), 재생등화 동기 회로(206) 및 복조·TBC 회로(207)에 의하여 복조되어 에러 정정 회로(208)에 부여된다. 에러 정정 회로(208)는 기록재생시의 에러를 정정하여 반복 해제 회로(209) 및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212)에 부여한다.
서브 코드 디코드 회로(212)는 재생 신호의 서브 코드를 디코드하여 기록시의 데이타 반복 방법 및 다중 방법등에 관한 정보를 반복 해제 회로(209), 다중 해제 회로(210) 및 수정 회로(211)에 부어한다. 반복 해제 회로(209) 및 다중 해제 회로(210)에 의하여 재생데이타의 반복 및 다중이 해제되어서 IN1 내지 IN3의 데이타가 분리 출력된다. 수정 회로(211)는 반복기록된 데이타의 동일 위치에 에러가 남아있는 가능성이 극히 작은 것을 이용해서 반복 해제 회로(209)의 출력으로부터 에러를 검출하여 수정한다.
신호 선택 회로(213)는 수정 회로(211)의 출력중 모니터(215)에 의하여 표시시키는 신호를 표시 신호 지정 입력에 따라서 선택하여 복호화 회로(214)에 출력한다. 복호화 회로(214)에서 복호된 데이타는 모니터(215)에 부여되어서 표시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회로(185) 및 복호화 회로(190)의 출력을 베이스 밴드 신호로 되돌리지 않고 다중화 처리 회로(193)에 부여하고 다중수 및 전송레이트로부터 다중처리 및 반복회수를 결정하여 테이프에 다중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텔레비젼회의에 있어서 1대의 기록재생장치에 의하여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동시에 기록할 수가 있다.
제5도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는 제3도중의 다중수 판정 회로(192) 및 레이트 판정 회로(194) 대신 동일한 기능을 같는 레이트·입력갯수 판정 회로(217)를 설치하고, 다중 처리 회로(193) 및 반복 회로(195) 대신 동일한 기능을 갖는 반복·다중 처리 회로(218)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중화 전에 데이타를 반복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제6도의 설명도의 도시와 같이 데이타 IN1을 반복기록한 후에 데이타 IN2를 반복기록할 수 있다. 또 제6도에서는 4개 이상의 데이타가 다중 기록되고 있음이 도시되고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에러 정정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제8도는 제7도중의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타의 독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는 NTSC, EDTV 및 HDTV의 3가지 형태의 신호를 기록할 경우에 적용한 것이다. 또, 이들의 NTSC, EDTV 및 HDTV에 있어서의 기록데이타량의 비는 2 : 3 : 6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도의 부호화 회로(142), 에러 정정 회로(159) 및 복호화 회로(161)에 해당되고, 기록시에 데이타에 에러 정정용의 검사부호를 부가하는 검사 부호 부가부(220)와, 재생시에 에러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221)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기록계 처리 회로인 검사 부호 부가부(220)에서는 입력단자(2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는 메모리부(223)에 기입된다. 메모리부(223)는 제8a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Q계열의 데이타 계열에 따르는 순서를 데이타를 출력한다. 또 NTSC, EDTV 및 HDTV의 신호형태에 따라서 입력되는 유효데이타량은 상위하나 무효데이타가 발생해도 특별히 회로동작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메모리부(223)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는 Q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4)에 부여된다. Q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4)는 입력된 계열별로 검사부호를 산출하고, 데이타 및 검사부로를 메모리부(225)에 출력한다. 메모리부(225)는 입력되는 데이타와 Q계열 검사부호를 제8b도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배열로 기입한다. 메모리부(225)로부터의 데이타는 화살표로 표시하는 P계열의 데이타 계열을 따라서 독출되어, P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6)에 부여된다. 이 경우에서도 무효데이타가 발생되고 있어도 회로 동작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P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6)는 입력되는 계열별로 검사부호를 산출하여 데이타 및 검사부호를 메모리부(227)에 출력한다. 메모리부(227)는 입력되는 데이타와 P계열 검사부호를 제8c도의 도시와 같이 기입한다. 메모리부(227)로부터는 기록시 계열순으로 데이타가 독출되어서 출력단자(228)에 출력된다.
재생계의 처리 회로인 에러 정정부(221)의 입력단자(229)에는 재생데이타가 입력된다. 이 재생데이타는 메모리부(230)에 주어져서 기입되고, P계열의 데이타 계열에 따라서 데이타 및 검사부호가 독출되어서 P계열 에러 정정부(231)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P계열 에러 정정부(231)는 입력되는 정정계열별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한다. P계열 에러 정정부(231)는 정정하고 남은 데이타 및 검사부호에 에러플래그를 부가하여 메모리부(232)에 출력하여 소정의 어드레스로 기입한다. 메모리부(232)는 Q계열의 데이타 계열에 따라서 데이타 및 검사부호와 에러플래그를 독출하여 Q계열 에러 정정부(233)에 부여한다.
Q계열 에러 정정부(233)는 입력되는 데이타 및 검사부호와 에러플래그를 사용하여 각 정정계열별로 정정 동작을 실시하고, 데이타를 출력단자(234)로부터 출력하고, 에러플래그를 출력단자(235)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록 동작시와 동일하게 에러 정정 동작에 있어서도 기록데이타량에 관계없이 회로동작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도 제28도 및 제2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8도는 1트랙에 기록되는 데이타의 에러 정정 부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록데이타가 가장 많은 HD 기록시의 데이타량을 1로 하면, NTSC, EDTV에서는 각각 데이타량은 1/3 및 1/2이다. 각 데이타량의 역수의 최소 공배수가 6이므로 HD 기록시의 1트랙의 데이타가 동일 구성의 6개의 에러 정정 적부호 계열로 구성되도록 각 부호구성을 설정한다.
검사 부호 부가부(220)의 입력단자(222)에는 부호화된 데이타가 입력된다. 이 입력데이타는 메모리부(232)에 기입되고, 제8a도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Q계열의 데이타 계열에 따라서 독출된다. 또, NTSC, DTV 및 HD의 신호형태에 의하여 입력되는 데이타의 유효데이타량은 상위하나 무효데이타가 발생되고 있어도 특별히 회로동작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메모리부(233)에서 독출된 데이타는 Q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4)에 부여되어 검사부호가 부가된다. Q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4)는 입력되는 계열별로 검사부호를 산출하고 있고, 제8b도의 도시와 같이 각 데이타열 1 내지 6마다에 Q1 내지 Q6의 검사부호가 부가되고 있다. 이 데이타는 메모리부(225)에 부여되어서 제8b도에 도시하는 배열로 기입된다. 메모리부(225)로부터는 P계열의 데이타 계열에 따라서 데이타가 독출되어서 P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6)에 부여된다. 또 이 경우에도 무효데이타가 발생하고 있어도 회로동작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P계열 검사부호 산출부(226)는 입력되는 계열별로 검사부호를 산출하고, 제8c도의 도시와 같이 각 적부호블록 RS1 내지 RS6에 각각 검사부호 P1 내지 P6을 부가하여 메모리부(227)에 출력한다. 메모리부(227)는 이들의 데이타 및 P계열 검사부호를 제8c도에 도시하는 배열로 기입하고, 기록시 계열순으로 독출하여 출력단자(228)에 출력한다.
이와같이 기록시에 있어서는 기록데이타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회로동작을 하면 된다. 이것은 기록데이타량에 관계없이 트랙시단으로부터 트랙시단까지를 헤드가 주사하는 시간은 일정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제29a도의 도시와 같이 트랙 길이가 최장모드의 1/3인 경우에는 유효 데이타량도 1/3이 되고, 제8c도에 도시하는 적부호블록 RS1, RS2가 기록된다. 이들의 2개의 적부호블록 RS1, RS2는 모두 완결되고 있고, 적부호를 사용한 에러 정정이 가능하다. 적부호블록 RS3 이후의 무효데이타부가 출력단자(228)에 공급되는 기간은, 헤드는 데이프에 접촉되지 않고, 특히 데이타 출력을 금지할 필요는 없다(제29d도 참조).
한편, 재생시에 재생데이타는 입력단자(229)를 통하여 에러 정정부(221)에 입력된다. 이 재생데이타는 메모리부(230)에 기입되고, P계열의 데이타 계열에 따라서 데이타 및 검사부호가 독출되어 P계열 에러 정정부(231)에 부여된다. P계열 에러 정정부(231)는 입력되는 정정 계열별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을 한다. 에러검출만으로 정정되지 않는 데이타 및 검사부호에는 에러플래그가 부가되어 메모리부(232)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입된다.
이어서 메모리부(232)는 Q계열의 데이타계열에 따라서 데이타 및 검사부호와 에러플래그를 독출하여 Q계열 에러 정정부(233)에 출력한다. Q계열 에러 정정부(233)는 입력되는 데이타 및 검사부호와 에러플래그를 사용하여 각 정정 계열별로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데이타를 출력단자(234)로부터 출력하고 에러플래그를 출력단자(235)로부터 출력한다. 기록시와 동일하게 에러 정정 동작에 있어서도 기록데이타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회로동작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은 무효데이타부에서의 에러 정정 동작의 결과는 유효데이타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데이타량에 따라서 1트랙에 기록하는 적부호블록의 수를 결정하여 메모리부(223,225,227)의 기입 및 독출을 제어함으로써 Q계열 검사부호 및 P계열 검사부호를 각 적부호 블록별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기록하는 데이타의 데이타량에 관계없이 데이타의 기록이 완결되게 되고, 에러 정정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데이타량이 1 : 1/2 : 1/3의 3개의 신호를 기록재생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기록데이타량의 모드가 더욱 증가했을 경우라도 1트랙에 데이타량의 역수의 공배수만 적부호 블록을 구성하면 되는것은 명백하다. 그런데 적부호 블록을 크게함으로써 버스트에러에 대한 정정능력은 향상한다. 따라서 기록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공배수가 가급적 작아지도록 배려하는 것은 버스트에러에 대한 에러 정정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극히 의의가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9a도는 부호화측을 표시하고, 제9b도는 복호화측을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동일 트랙내에 기록하는 경우에 적용한 것이다.
제9a도에 있어서 입력단자(241)에는 도시를 생략한 부호화 회로에 의하여 영상 신호가 압축되어 음성 신호와 함께 패리티 부호가 부가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입력된다. 이 입력 신호는 메모리(242)에 부여되어 기억된다. 메모리(242)는 수직 방향으로 계열을 가지는 외부호 패리티(Q 부호)에 따르는 순서로 데이타를 Q계열 부호화 회로(243)에 출력한다. Q계열 부호화 회로(243)는 Q 부호를 구하여 데이타에 부가하여 메모리(244) 및 스위치(246)의 단자 b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44)는 수직 방향으로 계열을 외부호 패리티(R 부호)에 따른 순서로 데이타를 R계열 부호화 회로(245)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R계열 부호화 회로(245)는 Q계열 부호를 포함하는 수직 방향의 계열의 R 부호를 구하여 데이타에 부가하여 스위치(246)의 단자 a에 출력한다. 스위치(246)는 제어 신호로 제어되어, 각 채널의 데이타 상호간에 설치되는 편집 갭부분을 패리티로서 사용할 경우에만 단자 a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자 b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스위치(246)로부터의 데이타는 메모리(247)에 출력되고, 메모리(247)는 수평방향으로 계열을 갖는 내부호 패리티(P 부호)에 기초하여 차례로 데이타를 P계열 부호화 회로(248)로 출력된다. P계열 부호화 회로(248)는 P계열 부호를 구해서 데이타에 부가하여 메모리(249)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제9(b)도에 도시하는 복호측에 있어서는 메모리(251)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타는 P계열 복호화 회로(252)에 입력된다. P계열 복호화 회로(252)는 P계열 부호를 복호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고 데이타를 메모리(253)를 통하여 R계열 복호화 회로(254)로 출력함과 동시에 스위치(256)의 단자 b에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R계열 복호화 회로(254)는 R계열 부호를 복호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스위치(256)의 단자 a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256)는 재생 트랙의 편집갭이 패리티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자 a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자 b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256)로부터의 데이타는 메모리(257)를 통하여 Q계열 복호화 회로(258)로 출력된다. Q계열 복호화 회로(258)는 입력된 데이타로부터 Q계열 부호를 복호하여 에러 정정을 실시하고 , 데이타를 메모리(259)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1트랙내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 각 블록의 부호 구성이 음성의 2채널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1프레임을 4트랙으로 구성하고, 1트랙은 17블록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의 부호구성을 제10도에 도시한다. 제10도에 있어서 C1은 수평방향으로 계열을 갖는 내부호의 패리티를 표시하고, C2는 수직 방향으로 계열을 갖는 외부호의 패리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부호구성에 있어서 음성 데이타 부분은 제10도의 도시와 같이 130×16=2080 바이트이다. 음성을 채널로 구성하고, 음성의 샘플링 주파수가 48HKz이고, 20비트로 양자화하는 것으로 하면 1트랙으로 기록하는 음성 데이타의 바이트 수는 48000×20×2÷30÷4÷8=2000바이트/트랙이다. 즉 제10도에 도시하는 부호구성에 있어서는 음성데이타 부분에서 2채널분의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또 이 부호 구성에서는 C1 계열에서 3심볼 정정이 가능하고, C2 계열에서는 4소실 정정이 가능하다. 즉 정정전의 심볼에러 레이트가 1/(10의 3승)이라 하면 정정후의 보정활률은 1/(10의 21승)정도이고, 충분한 정정 능력을 이루고 있다.
제11도는 1트랙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중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편집갭이고 수평계열 2개분의 길이를 이루고 있다. 각 블록중의 숫자는 블록번호를 나타내고, 사선으로 편집갭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블록 16을 음성 블록으로서 사용하고, 제9a도의 스위치(246)를 적절히 전환함으로써 블록 15,16 상호간의 편집갭(261)을 그대로 편집갭으로 사용하고, 그 밖의 편집갭(262)은 패리티로서 사용하기로 한다. 따라서 1트랙은 1개의 음성 블록과 16개의 음성 블록으로 구성되는 영상 블록에 의하여 구성된다.
영상부분의 데이타량은 16×130×16=33280 바이트이다. 휘도신호 Y 및 색차신호 Cr, Cb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신호(4 : 2 : 2)를 샘플링주파수 4fsc(fsc는 색부반송파 주파수)로 샘플링하고, 8비트로 양자화한 경우의 1트랙 당의 데이타량이 768×488×2÷4=187392바이트/트랙이다. 따라서 영상 부분에는 컴포넌트 신호를 약 1/5.5(2.84비트/화소)로 압축한 영상 데이타를 기록할 수가 있다.
또, 영상블록에는 패리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편집갭(262)(2×15×136바이트)영역이 추가되고, 영상데이타 부분과 C1, C2 패리티 부분과의 (20×16×136바이트)에 대하여 RS(32,3) 계열이라는 제3번째의 계열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부호어를 추가함으로써 3소실정정까지 가능해지고 C1계열 30개분(4080바이트)의 버스트 정정 능력을 갖게된다.
다음에 멀티트랙에 음성을 기록하기로 한다. 모든 편집갭을 그대로 편집갭으로서 사용한다. 이와같이 하여 17트랙의 오디오 트랙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각 블록은 동일한 부호구성이고, 상기와 동일하게 충분한 정정 능력을 갖고 있다.
또, 영상 부분에 기록하는 압축화의 압축률을 약1/13.3(1.2비트/화소)로 하기로 한다. 제11도에 있어서, 블록 0 내지 6이 1개의 영상 블록을 구성하고, 블록 7이 음성 블록을 구성하며, 블록 8 내지 14가 또 하나의 영상 블록을 구성하고, 블록 15가 또 하나의 음성 블록을 구성한다.
여기에서 1개의 영상 블록에 있어서 영상 데이타의 기록용량은 1트랙당 16×7×130=14560바이트/트랙이다. 압축률이 약1/13.3(1.2비트/화소)의 경우에는 데이타량은 1트랙당 187392÷13.3=14090바이트/트랙이 된다. 영상 블록에는 패리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영역으로서 2×6×136 바이트가 추가되고 있고, 영상데이타와 C1, C2 패리티와의 20×7×136 바이트에 대하여 RS(35,3) 계열이라는 제3번째의 계열을 부가할 수가 있다. 이 부호어를 추가함으로써 3소실 정정까지 실시할 수 있게 되고, C1 계열 12개분(1632 바이트)의 버스트 정정 능력을 갖게 된다.
또, 한쪽의 영상 데이타에 대해서도 동일한 버서트 정정능력을 갖는다. 각 영상 데이타별로 2채널의 음성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고, 그밖의 2채널의 음성 데이타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과 음성의 포맷을 공통으로 해서 멀티트랙에 음성과 영상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시에 멀티트랙의 각 블록 상호간의 편집갭을 패리티로서 사용함으로써 버스트 정정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입력신호에 관계없이 테이프상은 동일 포맷이므로, 예를들면 영상과 음성등이 상이한 신호형태가 기록된 경우에도 동일한 신호형태가 기록된 경우와 동일하게 ID 및 서브 코드등의 정보를 서치 동작시 등에 재생할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제13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하는 기록 포맷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는 디지탈 기록에 있어서의 초고속 서치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3도의 도시와 같이 테이프(270)상에 회전헤드에 의하여 기록하는 영상 신호 트랙(271)과, 고정헤드에 의하여 기록하는 음성 신호 트랙(272) 이외에 리니어트랙인 콘트롤트랙(273)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콘트롤트랙(273) 위에 종래 채용되는 VISS(VHS : 인데스 서처 시스템), VASS(VHS : 어드레스 서치 시스템)와 동일하게 인덱스 신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제12도에서 기록계(274)의 입력단자(275)에는 테이프위치, 시각 및 타이틀등 기록정보가 입력된다. 이 기록정보는 인덱스 신호발생기(276)에 부여된다.
인덱스 신호발생기(276)는 기록정보에 따라서 대역이 fs의 인덱스 신호를 작성하고, 변조기(277), 10분주기(278), 100분주기(279) 및 1000분주기(280)에 출력한다. 10분주기(278), 100분주기(279) 및 1000분주기(280)는 각각 인덱스 신호를 10분주, 100분주 및 1000분주하여 변조기(281,282,283)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발진기(284-287)는 각각 주파수가 fc, fc/10, fc/100, fc/1000의 신호를 발생하고 있고, 이 신호를 캐리어로 하여 변조기(277-283)에 각각 출력한다. 변조기(277-283)는 인덱스 신호 및 그 분주신호를 각 발진기(284-287)로부터 캐리어가 부여되어 변조되고, 변조 출력을 혼합기(288)에 부여한다.
혼합기(288)는 변조기(277,281,282,283)의 출력을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4개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인덱스 신호를 기록 앰프(289)에 출력한다. 기록 앰프(289)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290)를 통하여 헤드(291)에 부여하여 테이프(270)의 콘트롤 트랙(273)에 기록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재생계(292)에 있어서 헤드(291)가 콘트롤 트랙(273)으로부터 재생한 인덱스 신호는 스위치(290)를 통하여 재생앰프(293)에 주어진다.
재생앰프(293)는 재생 신호를 증폭한 후 BPF(밴스 패스 필터)(294)에 출력한다.
재생 신호에는 4개의 스펙트럼 성분, 즉 캐리어가 fc/1000, fc/100, fc/10, fc인 인덱스 신호의 변조 신호가 함유되어 있고, BPF(294)는 주파수 fc 근방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대의 신호를 통과시켜서 복조기(295)에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 재생앰프(293)는 BPF(294)의 특성을 커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BPF(294)를 통과하는 신호는 fc를 캐리어로 하는 변조신호 뿐이다.
복조기(295)는 입력된 변조신호로부터 원래의 인덱스 신호를 재생하여 HPF(296)에 부여한다. HPF(296)는 테이프의 주행 불균형등에 의한 변동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정주파수 이상의 성분만을 통과시켜서 인덱스 디코더(297)에 부여한다. 인덱스 디코더(297)는 인덱스 신호를 디코드하여 기록 정보를 복원하여 테이프 위치, 시각 및 타이틀등의 정보를 얻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14도 및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횡축에 주파수를 취하고, 종축에 이득을 취하여 인덱스 신호의 대역을 표시하고, 제15도는 횡축에 주파수를 취하고 종축에 이득을 취하여 기록신호의 주파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입력단자(275)를 통하여 입력된 기록정보에 따라서 인덱스 신호 발생기(276)는 인덱스 신호를 작성한다. 인덱스 신호의 대역은 제14도의 도시와 같이 fs이다. 분주기(278,279,280)는 각각 인덱스 신호를 10분주, 100분주 또는 1000분주하여 변조기(281,282,283)에 부여한다. 인덱스 신호는 변조기(277)에도 입력되고 있고, 변조기(277-283)에는 각각 대역이 fs, fs/10, fs/100, fs/1000의 인덱스 신호가 부여된다.
변조기(277-283)는 발진기(284-287)에서 캐리어가 부여되고 있고, 각 대역의 인덱스 신호에 의하여 각 캐리어를 변조한다. 변조기(277-283)로부터의 변조신호는 혼합기(288)에 있어서 혼합되고 기록 앰프(289)에서 증폭되어 스위치(290)를 통하여 헤드(291)에 부여된다. 헤드(291)는 테이프(270)상의 콘트롤 트랙(273)(제13도 참조)에 신호를 기록한다. 제15도의 도시와 같이 콘트롤 트랙(273)에는 4개의 스펙트럼 성분(301,302,303,304)이 기록된다.
여기에서 통상 재생이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헤드(291)에 의하여 콘트롤 트랙(273)으로부터 재생된 기록 신호는 스위치(290)를 통하여 재생앰프(293)에서 증폭되어 BPF(294)에 부여된다. BPF(294)는 제15도의 파선에 표시하는 통과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재생신호의 4개의 스펙트럼 성분(301-304)중 스펙트럼 성분(304)만이 BPF(294)를 통과하여 복조기(295)에 부여된다. 복조기(295)는 스펙트럼 성분(304)을 복조하여 인덱스 신호를 재생한다. 이 인덱스 신호는 HPF(296)에 있어서 테이프의 주행 불균일 등에 의한 변동 성분이 제거되어서 인덱스 인코더(297)에 부여되어서 기록 정보로 복원된다. 이와같이 출력단자(298)에는 테이프위치, 시각 및 타이틀등의 정보가 출력된다.
다음에 10베속 서치를 실시하기로 한다. 이 경우 테이프 속도는 기록시의 10배가 되므로 테이프(270)와 헤드(291)와의 상대속도도 10배가 되고, 재생되는 신호 대역도 10배가 된다. 기록 신호의 각 스펙트럼 성분은 상대적으로 캐리어가 10배가 되고, 또 신호대역도 10배가 된다. 즉 제15도의 도시와 같이 스펙트럼 성분(303)은 스펙트럼 성분(304)의 주파수 대역까지 시프트하고, 또 신호 대역은 10배가 되어 fs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펙트럼 성분(303)은 BPF(294)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스펙트럼 성분(304)은 시프트하여 BPF(294)의 통과대역 밖으로 이동한다. BPF(294)를 통과하는 스펙트럼 성분(304)은 신호대역이 통상 재생시의 성분과 동일함으로 이후의 처리는 통상 재생시와 동일하다.
또 100배속 서치 및 1000배속 서치에 있어서는 각각 스펙트럼 성분(302,301)이 BPF(294)를 통과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BPF(294)를 통과하는 신호의 대역은 통상 재생시의 성분과 동일한 fs이고, 복조기(295)에 있어서 용이하게 인덱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각 캐리어끼리의 간격을 인덱스 신호의 대역에 대하여 충분히 넓게 설정하는 동시에 BPF(294)의 대역을 널리 설정하면 서치 배속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 경우에도 인덱스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주기(278-280)에 의하여 인덱스 신호의 대역을 저감하는 동시에 주파수가 상이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변조하여 기록하고 재생시에 소정의 대역을 통과시키는 BPF(294)에 의하여 재생 속도에 따른 1개의 스펙트럼 성분을 복조기(295)에 부여함으로써 초고속 서치시에 있어서도 인덱스 신호의 재생을 가능케 하고 있다.
VISS 및 VASS에 있어서는 약 100 내지 200배까지의 서치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이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극히 광대역의 신호 처리계를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000내지 10000배의 초고속 서치 모드를 설정해도 재생회로의 BPF의 특성을 적절히 설정하면 인덱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또, BPF를 서치배속 범위에 비해서 좁은 통과 대역으로 설정함으로서 노이즈 대역을 제한하여 S/N 비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드럼의 회전수를 변경할 필요는 없고, 또 데이타의 재생 가능한 상태를 검출하는 조작도 불필요하고, 이들의 처리에 필요한 회로 및 시간도 불필요하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6도에 있어서 제38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는 동기 데이타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헬리컬 주사 방식의 디지탈 VTR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제16도에 있어서 입력단자(71)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는 A/D 컨버터(72)에 입력된다. A/D 컨버터(72)는 입력 영상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부호 부가회로(73)에 출력한다. 에러 정정 부호 부가회로(73)는 재생시의 기록 데이타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패리티 코드를 부가한다. 이 패리티 코드로서는 예를들면 강력한 정정 능력을 갖는 리드솔로몬 부호를 채용한다.
패리티가 부가된 기록 데이타는 디지탈 변조회로(74)에 입력된다. 디지탈 변조회로(74)는 직류성분을 0으로 하는 정렬 변경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들면 DAT에 채용되는 8-10 변조방식에 있어서는 8비트의 입력데이타를 블록 단위의 직류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하여 할당하고, 전체의 직류성분이 유한기간 내에 0이 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도 이 8-10 변조 방식을 채용한다.
디지탈 변조된 기록 데이타는 동기 데이타 부가회로(75)에 입력된다. 동기 데이타 부가회로(75)는 기록 데이타에 소정 주기로 동기 데이타를 부가한다. 이 동기 데이타로서는 검출시에 주신호 데이타와 식별이 가능한 패턴이 선택되고, 동기 데이타 부가회로(75)는 동기 데이타를 도시를 생략한 타이밍 발생 회로로부터의 동기 데이타 삽입 신호의 타이밍을 변조 데이타에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한편 정현파 발생 회로(310)는 동기 데이타의 삽입 주기로 영점을 통과하는 정현파 예를들면 동기 데이타 삽입 주기의 2배의 주기의 정현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정형파는 진폭 변조회로(311)에 출력된다. 또, 파일럿 신호 발생 회로(77)는 트래킹 파일럿 신호를 발생하여 진폭 변조회로(311)에 출력하고 있다. 트래킹 파일럿 신호로서는 재생시에 양쪽의 인접 트랙의 재생 파일럿 신호를 비교하여 트래킹을 조정하므로 애지머스 손실 효과가 작은 저역 주파수가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8㎜ VTR 방식과 동일하게 트랙별로 4개의 상이한 주파수의 파일럿 신호를 전환하여 기록하는 4주파 파일럿 방식을 채용한다.
진폭 변조회로(311)는 입력된 파일럿 신호를 정현파로 진폭 변조하여 기록 회로(76)에 출력한다. 기록 회로(76)는 동기 데이타가 삽입된 기록 데이타에 정현파로 진폭 변조된 파일럿 신호를 동기 데이타 위치에서 진폭이 0이 되는 위상으로 가산한다. 또 기록 회로(76)는 가산한 데이타를 소정의 기록 레벨로 설정하여 도시를 생략한 로터리 트랜스를 통하여 회전 드럼(79)상의 자기 헤드(80)로 전송하여 자기 테이프(78)에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자기 테이프(78)상에 기록된 신호는 자기 헤드(80)에 의하여 재생된다. 재생 신호는 도시를 생략한 로터리 트랜스를 통하여 프리앰프(도시생략)로 증폭 처리된 후 HPF(65) 및 LPF(63)에 부여된다. HPF(65)는 재생 신호의 기록 신호 대역밖의 불필요한 저역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재생 회로(82)에 출력한다. 재생 회로(82)는 전자 변환계의 기록 재생시에 있어서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한 후 디지탈 신호로서 재생하여 PLL(81) 및 시간축 보정회로(83)에 출력한다.
PLL회로(83)는 재생 데이타에 따라서 클럭을 재생하여 시간축 보정회로(83)에 출력한다. 시간축 보정회로(83)는 PLL회로(81)로부터 재생 데이타의 시간축 변동 성분을 포함하는 클럭이 부여되어서 이 클럭에 동기하여 메모리(도시생략)에 재생 데이타를 기입하고 안정된 클럭을 사용해서 독출함으로써 기록 재생시의 시간축 변동 성분을 제거하여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는 재생 데이타를 기록시의 동기 패턴과 비교하여 동일패턴, 또는 기록 재생시의 에러를 고려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내의 패턴을 검출하여 동기 부분으로 판정한다. 동기 데이타 검출회로(84)는 검출한 동기 데이타에 따라서 주신호 데이타를 추출하고 디지탈 복조회로(85)에 출력한다.
디지탈 복조회로(85)는 기록시의 변조와 반대 처리에 의하여 10비트의 데이타를 8비트의 데이타로 변환하여 에러 정정 회로(86)에 출력한다. 에러 정정 회로(86)는 기록시에 부가한 패리티를 사용하여 데이타의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한다. 정정된 영상 신호 데이타는 D/A 컨버터(87)에 부여되고, D/A 컨버터(84)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88)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LFP(63)는 재생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 대역밖의 고역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샘플홀드회로(312)에 출력한다. 샘플홀드회로(312)는 동기 데이타검출회로(84)에서 검출돈 동기 데이타가 부여되고, 동기 데이타의 중간 위상으로 샘플 홀드 펄스를 발생하고, 이 펄스 타이밍으로 재생 파일럿 신호를 샘플링 하여 홀드한다. 즉 샘플홀드회로(312)는 재생 파일럿 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샘플링하여 홀드하고 단자 313을 통하여 도시를 생략한 트래킹 제어회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17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7a도는 입력단자(71)로부터 입력되는 주신호 데이타를 도시하고, 제17b도는 동기 데이타의 삽입 위상을 도시하고, 제17c도는 기록 데이타를 도시하고, 제17d도는 정현파 신호를 도시하고, 제17e도는 파일럿 발생 회로(77)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도시하고, 제17f도는 진폭변조 회로(311)로부터의 기록 파일럿을 도시하고, 제17g도는 샘플홀드 펄스를 도시하는 것이다.
입력단자(71)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는 A/D 컨버터(72)에 의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서 에러 정정 부호 부가회로(73)에 부여된다. 에러 정정 부호 부가회로(73)는 예를들면 리드솔로몬 부호등의 패리티 코드를 부가하여 디지탈 변조 회로(74)에 출력한다. 디지탈 변조 회로(74)는 예를들면 8-10 변조 방식을 채용해서 기록 데이타를 변조하여 동기 데이타 부가회로(75)에 출력한다. 제17a도에 도시하는 디지탈 변조된 기록 데이타는 데이타 부가 회로(75)에 입력되고, 제17b도에 도시하는 동기 데이타 삽입신호의 타이밍으로 동기 데이타가 부가된다. 이와같이 제17c도의 도시와 같이 동기 데이타(사선부)가 소정 주기로 삽입된 기록 데이타가 기록회로(76)에 부여된다.
한편, 정현파 발생 회로(310)는 제17d도에 도시하는 정현파를 발생하여 진폭 변조 회로(311)에 출력하고 있다. 또 파일럿 신호 발생 회로(77)는 제17e도에 도시하는 트래킹 파일럿 신호를 발생하여 진폭 변조 회로(311)에 출력하고 있다. 진폭 변조 회로(311)는 정현파 신호에 의하여 파일럿 신호를 진폭 변조하여 제17f도에 도시하는 기록 파일럿을 발생하여 기록 회로(76)에 출력한다. 이 기록 파일럿은 동기 데이타 삽입 위상에 있어서 진폭이 0을 이루고 있다.
기록 회로(76)는 기록 데이타와 기록 파일럿을 가산하여 소정의 기록 레벨을 설정하고, 도시를 생략한 로터리 트랜스를 통하여 자기 헤드(80)에 부여한다.
자기 헤드(80)는 자기 테이프(78)에 기록한다.
재생시 자기 헤드(80)에 의하여 재생된 신호는 로터리 트랜스를 통하여 출력되어서 프리앰프(도시생략)에서 증폭된 후 HPF(65) 및 LPF(63)에 부여된다.
HPF(65)는 기록 신호 대역밖의 불필요한 저역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재생 회로(82)에 출력한다. 재생 회로(82)는 전자 변환계의 기록 재생시에 있어서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한 후에 디지탈 신호로서 재생하여 PLL회로(81) 및 시간축 보정 회로(83)에 출력한다.
PLL회로(81)은 재생 데이타에 따르는 클럭을 재생하고, 시간축 보정회로(83)는 PLL회로(81)로부터의 클럭을 사용해서 재생 데이타의 시간축을 보정한다. 이어서 재생 신호는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에 주어져서 기록시의 동기 패턴과 비교된다.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는 동일 패턴 또는 대략 동일 패턴 부분을 동기 데이타 부분인 것으로 판단하여 주신호 데이타 부분을 추출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동기 데이타에는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되지 않고 있으나 동기 데이타 부분의 파일럿 신호는 기록시에 있어서 진폭이 0으로 제어되고 있으므로 동기 데이타의 재생 S/N 비의 열화는 제어되고 있다. 따라서 동기 데이타 검출 회로(84)에 있어서는 파일럿 신호 무기록시와 동일하게 동일 데이타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주신호 데이타는 디지탈 복조 회로(85)에 부여되어 복조되고, 에러 정정 회로(86)에 있어서 에러 정정이 실시되어 D/A 컨버터(87)에 부여된다. D/A 컨버터(87)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88)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LPF(63)는 재생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 대역밖의 고역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샘플홀드회로(312)에 출력한다. 샘플 홀드 회로(312)는 제17g도에 도시하는 샘플 홀드펄스의 타이밍으로 재생 파일럿 신호의 최대 진폭치를 홀드하여 단자(313)에 출력한다. 트래킹 제어회로(도시생략)는 인접 트랙끼리의 재생 파일럿 신호의 진폭이 최대가 되도록 트래킹을 조정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일럿 신호를 동기 데이타 삽입 위치에서 진폭이 0이 되는 정현파로 진폭 변조하여 기록하고 있고, 파일럿 신호에 의하여 동기신호의 재생 S/N 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기 데이타 부분의 S/N 비를 다시 확보하기 위하여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를 진폭 변조 신호와 동일하게 동기 데이타 삽입 타이밍으로 영점을 통과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누화 성분의 영향을 고려하여 인접 트랙간에서 동기 데이타 부분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설정하므로서 동기 데이타 재생시에는 인접 트랙으로부터도 파일럿 신호가 재생되지 않고, 동기 데이타 부분의 재생 S/N 비의 열화를 다시 더 한층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는 디지탈 기록 VTR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디지탈의 정보 신호에 동기 데이타를 부가하여 기록 재생하는 장치이면 적용이 가능하고 정보 신호가 영상 신호 이외의 것이라도 좋고, 또 복수의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 기록 매체가 자기 테이프가 아니라도 좋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제42도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재생 신호로부터 효과적으로 파일럿 신호를 분리하여 에러레이트의 약화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기록계의 구성은 제42도의 종래예와 동일하다. 즉 기록하는 주신호는 가산기(101)에 주어진다. 가산기(101)에는 파일럿 신호도 입력되어 있고, 가산기(101)는 주신호에 파일럿 신호를 부가하여 기록 앰프(102)에 출력한다.
기록 앰프(102)는 기록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103)를 통하여 회전 헤드(98)에 출력한다. 헤드(98)는 테이프(104)에 기록 신호를 자기기록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재생계에 있어서 헤드(98)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스위치(103)를 통하여 프리앰프(105)에 부여된다. 프리앰프(105)는 재생 신호를 증폭하여 감산기(320) 및 BPF(321)에 출력한다. BPF(321)는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대를 통과대역으로 하고 있고, 통과 신호를 PLL(322)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PLL(322)는 VCO(323)의 출력도 입력되어 있고, VCO(323)의 발진 주파수와 BPF(321)로부터의 파일럿 신호 주파수와의 오차 출력을 VCO(323)에 부여함으로써 VCO(323)의 발진 주파수를 재생중의 파일럿 주파수로 로크시키도록 구성된다. VCO(323)는 재생 파일럿 신호 주파수의 출력을 VCA(전압 제어 앰프)(324)에 출력한다.
한편, 프리앰프(105)의 출력은 파일럿 신호 레벨 변동 추출 회로(325)에도 입력되고 있고, 파일럿 신호 레벨 변동 추출회로(325)는 재생신호의 레벨 변동에 따른 출력을 VCA(324)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기록시의 파일럿 신호는 일정 레벨이나, 재생 파일럿 신호의 진폭은 변동되고 있다. BPF(321)의 출력에는 파일럿 신호 이외에 주신호인 파일럿 주파수 대역의 성분도 포함되고 있다.
이로인해 BPF(321)의 출력을 검파해도 파일럿 신호의 변동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 출력되고 만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재생 신호의 엔벨로프를 검파함으로써 파일럿 신호의 녹화 및 재생에 있어서의 변동분에 근사 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파일럿 신호 레벨 변동 추출 회로(325)는 녹화 및 재생시에 파일럿 신호의 변화분으로서 VCA(324)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VCA(324)는 VCO(323)로부터의 파일럿 주파수의 신호를 파일럿 신호 레벨 변동 추출회로(325)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레벨 조정하여 감산기(32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VCA(324)로부터는 재생 파일럿 신호와 근사한 레벨 변동을 갖는 신호가 감산기(320)에 부여되게 된다. 감산기(320)는 프리앰프(105)의 출력으로부터 VCA(324)의 출력을 감산함으로써 재생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분을 제거하여 주신호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감산기(320)의 출력은 재생 회로(도시생략)에 부여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19도 및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9도는 기록시의 각 신호파형을 도시하고 있고, 제19a도는 파일럿 신호를 도시하고, 제19b도는 주신호의 파일럿 주파수대의 성분을 도시하고, 제19c도는 파일럿 주파수대의 기록 신호를 도시하고, 제19d도는 전대역의 기록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또 제20도는 재생시의 각 신호파형을 도시하는데, 제20a도는 재생 파일럿 신호를 도시하고, 제20b도는 재생신호의 파일럿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도시하고, 제20c도는 전대역의 재생신호를 도시한다.
기록하는 주신호는 가산기(101)이고, 제19a도에 도시하는 일정 진폭의 파일럿 신호와 가산되어서 기록 앰프(102)에 주어진다. 기록 앰프(102)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위치(103)를 통하여 헤드(98)에 부여하여 테이프(104)에 기록시킨다. 제19b도의 도시와 같이 주신호는 파일럿 신호 주파수대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기록신호의 파일럿 주파수대의 성분은 제19a도, 제19b도의 합의 파형이 된다(제19c도). 또 전대역의 기록 신호는 제19d도의 도시와 같이 일정 진폭이다.
재생시 헤드(98)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스위치(103)를 통하여 프리앰프(105)에 부여되어 증폭된다. 프리앰프(105)의 출력의 일부는 BPF(321)에 부여되어서 파일럿 주파수의 신호만이 PLL(322)에 주어진다. PLL(322)은 VCO(323)의 출력을 재생 파일럿 신호 주파수에 일치시키기 위한 오차 출력을 VCO(323)에 부여한다.
이와같이 VCO(323)로부터는 재생 파일럿 주파수의 일정 진폭의 신호가 VCA(324)에 출력된다.
재생 신호 중의 파일럿 신호는 제20a도의 도시와 같이 녹화 및 재생에 있어서 진폭이 변동된다. 또 도면중 파선으로 기록시의 진폭을 나타내고 있고, 사선부가 녹화 및 재생에서의 변동분이다. 또 제20b도는 재생 신호의 파일럿 주파수대의 성분을 표시하고 있고, 제20a, b도의 비교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재생 신호의 파일럿 주파수대의 성분의 변동분은 파일럿 신호의 변동분과는 완전히 상위한 것이다. 이로인해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대역의 재생 신호의 엔벨로프(제20c도의 실선)를 검출함으로써 파일럿 신호의 변동분을 구하고 있다. 즉, 프리앰프(105)로부터의 재생 신호는 파일럿 신호레벨 변동 추출 회로(325)에도 부여되어 녹화 및 재생에 있어서의 변화분이 추출되고 있다.
파일럿 신호레벨 변동 추출 회로(325)의 출력은 VCA(324)에 주어져서 VCA(324)의 이득을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VCA(324)로부터는 재생 파일럿 신호 주파수의 신호가 파일럿 신호의 변동에 근사하는 레벨만큼 변동해서 출력되게 된다. VCA(324)의 출력은 감산기(320)에 주어져서 프리앰프(105)의 출력에서 감산된다. 이것에 의하여 감산기(320)로부터는 파일럿 신호가 제거된 재생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시에 재생 파일럿 신호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켜, 이 신호를 재생 신호의 엔벨로프의 변동에 따라서 레벨 변화시킴으로써 주신호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재생 파일럿 신호를 근사적으로 얻어서 재생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재생 신호의 위상 및 대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에러레이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도의 기록 변조 회로(146), 기록앰프(149), 헤드(150,152), 테이프(151) 및 프리앰프(154)에 대응하고 있고, 수직 배향 기록 매체로의 기록 재생에 적용한 것이다. 제21도는 재생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기록계의 구성은 제47도와 동일하다. 제21도에 있어서 제48도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우선 제22도 및 제23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2도는 횡축에 시간을 취하고, 종축에 정규화된 레벨을 취하고, kp를 변화시킨 경우의 고립 재생 파형의 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제23도는 고립 재생 파형의 등화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 배향 기록 매체에 대하여 링 헤드를 사용하여 기록 재생을 실행하면 그 재생 파형은 비대칭을 이룬다. 참고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립 재생 파형은 하기(4) 식으로 주어진다.
f(t)-(1-kp)·a/a2+t2+kpt/(a2+t2)…………………………………………(4)
단, a는 펄스폭 계수이고, kp는 수직 성분 계수이다. kp=0일때가 장편 기록이고, Kp=1은 완전한 수직 기록이 된다. 고밀도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kp=1의 상태와 대략 같은 테이프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 제22도의 도시와 같이 kp가 커질수록 즉 피크의 직전에서 제2의 피크가 발생하여 그 레벨이 증대하여 비대칭성이 커진다. 면내 배향 테이프에서는 고립 재생 파형을 인접 식별점에서 0이 되도록 등화하고 있었으나, kp=1의 수직 기록용의 테이프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이러한 등화는 곤란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립 재생 파형의 등화량을 저감하도록 비트 간격 T에서 -1과 1의 피크를 갖는 파형이 되도록 등화하고 있다.
즉, 제23a도에 도시하는 kp=1의 고립 재생 파형을 2개의 피크를 갖고, 이 2개의 피크의 간격이 비트간격 T가 되도록 파형 등화한다. kp=1인 경우 고립 재생 파형의 주피크와 제2의 피크와의 크기는 동일해지고, 파형은 원점에 대하여 점 대칭이 된다. 따라서 이 고립 재생 파형은 제23b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파형 A,B의 합에 의하여 대략 근사할 수 있다. 파형 A,B는 비트 간격이 T/2 에서 대략 kp=0의 고립 재생 파형으로 생각할 수 있고, 제48도에서 도시한 종래예의 등화 회로(124)를 사용하여 T/2 비트 간격으로 등화함으로써 제23d도의 파형 A',B'로 등화할 수 있다. 즉 등화 후의 파형은 제23c도에 도시하는 것이 된다.
등화후의 파형은 제23c도의 도시와 같이 비트 간격 T에 있어서 피크치가 -1,1을 이루고 있고, -1에서 1로 또는 1에서 -1로 변화하는 포인트를 "1"로 판별하고, 다른 경우에는 "0"으로 판별함으로써 고립 재생 파형으로부터 재생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제21도에 있어서 링헤드(122)를 수직 배향 테이프(121)에서 기록 신호를 재생하여 프리앰프(123)에 부여한다. 프리앰프(123)는 재생 신호를 증폭하여 등화 회로(330)에 출력한다. 등화 회로(330)는 재생한 고립 재생 파형을 제23c도에 도시하는 파형으로 등화하여 3치 비교기(125)에 출력한다.
3치 비교기(125)는 파형 등화된 신호를 3치 검출한다. 즉 3치 비교기(125)는 입력된 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1", "0", "1"의 식별신호를 발생하여 식별회로(127) 및 PLL(126)에 출력한다. PLL(126)은 식별신호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식별회로(127)에 부여하고, 식별회로(127)는 클럭타이밍으로 식별신호의 레벨을 식별하여 "-1", "1"을 "1"로 하고, "0"을 "0"으로 하는 식별 데이타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 데이타는 1비트 지연 회로(331) 및 앤드 회로(332)에 부여된다. 1비트 지연 회로(331)는 식별 데이타를 1비트 지연시켜서 앤드 회로(332)에 출력한다. 앤드 회로(332)는 1비트 전후의 식별 데이타의 논리적을 구하여 복조 회로(도시생략)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제24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4a도는 입력 신호를 표시하고, 제24b도는 제24e도는 식별 데이타를 도시, 제24f도는 재생 데이타를 도시하는 것이다.
기록계에 있어서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PR(1,-1) 방식과 동일하게 1비트 지연 부호와의 mod 2 연산에 의한 프리 코딩을 실시한 후 기록 앰프(2) 및 링 헤드(3)(제47도 참조)를 통하여 수직 배향 기록 테이프(121)에 기록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4a도에 도시하는 입력 신호는 제24b도에 도시하는 기록 신호로 변환되어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링 헤드(7)에 의하여 수직 배향 테이프(121)의 기록 데이타를 재생하여 프리앰프(123)에서 증폭한다. 이 재생 신호는 제23a도의 도시와 같이 원점에 대하여 점대칭의 2개의 피크를 갖는 고립 재생 파형이 된다. 등화 회로(330)는 비트 간격 T/2로 파형 등화함으로써 제23a도의 고립 재생 파형을 제23c도에 도시하는 파형으로 변환하여 3치 비교기(125)에 출력한다(제24c도). 또 이경우에는 제24b, c도의 도시와 같이 기록 신호의 최소자화 반전 간격(최고 기록 주파수) 부분에 있어서의 등화 파형의 진폭은 고립 재생 파형의 피크끼리 가산되므로 다른 부분의 2배가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최고 기록 주파수 부분은 스페이스 손실 및 기타 손실을 받기 쉽고, 가장 식별 에러가 발생되기 쉬운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등화 파형의 진폭이 다른 부분의 2배가 되므로 식별 에러가 저감되고, 극히 고밀도 기록에 적합하다.
등화 파형은 3치 비교기(125)에 부여되어 3치 검출된다. 3치 비교기(125)로부터는 제24d도에 도시하는 식별 신호가 식별 회로(127) 및 PLL(126)에 출력된다. 식별 회로(127)는 PLL(126)이 식별 신호로부터 추출된 클럭에 따라서 제24c도에 도시하는 식별 데이타를 작성하여 1비트 지연 회로(331) 및 앤드 회로(332)에 출력한다. 앤드 회로(332)에는 1비트 전후의 식별 데이타가 입력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앤드 회로(332)는 등화 파형의 "1"에서 "-1" 또는 "-1"에서 "1"로 변화하는 변화점, 즉 제로크로스 점을 검출하게 되고 제24f도의 도시와 같이 입력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등화 회로(330)가 비트 간격 T/2로 고립 재생 파형을 파형 등화하고, 등화 신호의 제로크로스 점을 검출함으로써 재생 데이타를 얻고 있다. 작은 등화량으로 용이하게 고립 재생 파형을 등화할 수 있고, 또 최고 기록 주파수에 있어서의 등화 파형의 진폭이 커지므로 고밀도 기록에 적합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하면, 송신측에 있어서 구성한 에러 정정계와 동일한 에러 정정계를 수신측에 있어서도 구성하고 있으므로 송신측으로부터의 에러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기록 에러도 정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고능률 부호화 신호를 1대의 장치로 동시에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광범위한 서치 배속에 양호한 S/N 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위치(175)를 통하여 수신부(144/172)로부터 기록/재생 매체의 에러 발생 상태에 따라 설정된 포맷으로 에러 정정 부호가 부가된 전송 데이타가 입력되어,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하여 전송시에 발생되는 에러를 정정하고, 에러 정정 부호를 제거함이 없이 전송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에러 정정 회로(176)와; 전송 데이타에 상기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기록/재생 매체의 에러 발생 상태에 따른 에러 정정 부호를 상기 전송 데이타에 부가해서 출력하는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173)와; 전송 데이타에 상기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고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에러 정정 회로의 출력과 상기 에러 정정 부호 부가 회로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 수단(174)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상기 기록/재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146A,149,150)과; 상기 기록/재생 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152~158)과; 스위치(175)를 통하여 상기 재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재생 수단의 출력이 입력되고, 에러 정정 부호에 따라 기록/재생 동작시에 발생되는 에러를 정정하며, 정정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2에러 정정 회로(1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2. 최소한 하나의 부호화 데이타가 입력되고, 입력된 부호화 데이타의 전송 레이트 및 입력된 부호화 데이타의 수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192,194)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부호화 데이타가 입력되고, 입력 부호화 데이타를 다중 기록함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입력된 부호화 데이타를 배열하는 다중 처리 수단(193,195)과; 상기 다중 처리 수단의 다중 방법 및 반복 회수를 나타내는 서브-코드를 작성하여 상기 다중 처리 수단의 출력에 다중하는 부호화 회로(196,198)와; 상기 부호화 회로의 출력을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199~201)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수단(204~207)과; 상기 재생 신호로부터 서브 코드를 추출하여 다중 방법 및 반복 회수를 판정하는 서브 코드 디코드 수단(212)과; 상기 서브 코드 디코드 수단의 출력에 따라 재생 신호로부터 부호화 데이타의 반복 및 다중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209,210)과; 상기 해제 수단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2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재생 장치.
  3. 기록 데이타에 따른 인덱스 신호를 발생하는 인덱스 신호 발생기(276)와; 상기 인덱스 신호의 주파수를 분주하는 분주기(278~280)와;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캐리어를 상기 인덱스 신호 발생기 및 상기 분주기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인덱스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 수단(277,281~283)과; 상기 복수의 변조 신호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혼합하여 기록하는 기록 수단(288~291)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변조 신호를 미리 설정된 재생 속도로 재생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수단(290,291,293)과; 재생 신호의 대역폭을 인덱스 신호 및 캐리어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대역폭으로 제한하는 대역폭 제한 수단(294)과; 상기 대역폭 제한 수단의 출력을 복조하여 인덱스 신호를 재생하는 인덱스 복호화 수단(295~29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KR1019920009586A 1991-06-04 1992-06-03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KR950014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32996 1991-06-04
JP13299691A JP3356442B2 (ja) 1991-06-04 1991-06-04 データ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126A KR930001126A (ko) 1993-01-16
KR950014896B1 true KR950014896B1 (ko) 1995-12-16

Family

ID=1509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586A KR950014896B1 (ko) 1991-06-04 1992-06-03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04248A (ko)
JP (1) JP3356442B2 (ko)
KR (1) KR950014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896A (ja) * 1992-12-28 1994-07-15 Canon Inc 記録再生装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085819B2 (ja) * 1993-05-20 2000-09-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システムおよび再生システム
KR0180922B1 (ko) * 1993-10-15 1999-10-01 모리시타 요이찌 디지틀데이터기록방법
JPH07226026A (ja) * 1994-02-15 1995-08-22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H0887840A (ja) * 1994-09-16 1996-04-02 Canon Inc 再生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H0887577A (ja) * 1994-09-19 1996-04-02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US6236801B1 (en) * 1995-07-11 2001-05-22 Thomson Licensing S.A. Video replay automation with manual control track editing
US5890017A (en) * 1996-11-20 1999-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independent audio stream mixer
US7031391B1 (en) 1997-02-18 2006-04-18 Harris Corporation Narrowband video codec
US6160953A (en) * 1997-04-21 2000-12-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VD-compatible optical recording disk conveying audio signals encoded both as PCM data and as single bit stream data generated by sigma-delta modulation, and encoder apparatus and decoder apparatus for same
US6509932B1 (en) * 1998-10-20 2003-01-21 Div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in a digital video system
US6192082B1 (en) * 1998-11-13 2001-02-2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data format conversion with automatic parity detection
US6662335B1 (en) * 2000-01-25 2003-12-09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VD data
JP4352567B2 (ja) * 2000-03-17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US6996133B2 (en) * 2000-04-18 2006-02-0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obustly encoded data
US7187698B2 (en) * 2001-03-13 2007-03-0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obust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74075A1 (en) * 2001-07-25 2005-04-07 Hiroshi Miyagi Feeble signal extracting circuit
KR100798076B1 (ko) * 2001-12-22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냉각장의 에어 공급량 조절장치
US7133228B2 (en) * 2003-10-10 2006-11-07 Seagate Technology Llc Using data compression to achieve lower linear bit densities on a storage medium
US20060071432A1 (en) * 2004-09-29 2006-04-06 Staudner Rupert A Seal for trocar
JP4697012B2 (ja) * 2006-04-04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磁気記録再生方法
US8289640B2 (en) * 2008-08-11 2012-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rror burst detection and amelioration
JP5810670B2 (ja) * 2011-06-24 2015-11-11 富士通株式会社 誤り訂正処理回路および誤り訂正処理方法
US8717698B2 (en) 2011-10-12 2014-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erarchical control of tiered error recovery for storage devices
US10482918B1 (en) * 2018-08-17 2019-11-19 Seagate Technology Llc Changing bit spacing for selected symbols written to a magnetic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713B2 (ja) * 1976-06-28 1983-06-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2値信号の逐次境界差分符号化伝送方式
US5198940A (en) * 1985-07-04 1993-03-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ignal recording system
JP2914975B2 (ja) * 1988-02-05 1999-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2920975B2 (ja) * 1989-12-29 1999-07-1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vtr
US5150432A (en) * 1990-03-26 1992-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s to improve quality of a specific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04248A (en) 1995-04-04
JP3356442B2 (ja) 2002-12-16
KR930001126A (ko) 1993-01-16
JPH04358358A (ja) 199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896B1 (ko)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JP3237152B2 (ja) ディジタル情報信号の記録装置
EP0239326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100263695B1 (ko)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자기 기록 장치
JPH0486183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4301266A (ja) 磁気記録担体上のトラックの開始部にクロックのロック用コード語を記録する装置
US4768108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5870522A (en) Backward compatible HDTV recording/reproducing system
EP0227210B1 (en) Magnetic-record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recording by selectively using one of two kinds of recording systems
US6134061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collectively recording inspecton codes and forming a gap therebetween during post-scoring
JPH01138648A (ja) 再生信号の分離回路
JP2688197B2 (ja) 画像情報記録装置
JP2688196B2 (ja) 画像情報再生装置
US5715358A (en) Method for recording at least two picture signals and method of reproduction at least two picture signals
US6507695B2 (e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to a record medium and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from a record medium
JP2614616B2 (ja) 画像再生装置
US6671455B1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259298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記録装置
JP2728654B2 (ja) 画像再生装置
KR100194035B1 (ko) 역호환성을 갖는 hdtv 기록 및 재생 시스템
JPH0644376B2 (ja) 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3250281B2 (ja) デジタル情報の磁気記録再生装置
JP3240755B2 (ja) ディジタルテレビとディジタルvtr
Itoi et al. A half inch consumer-use digital VCR
JPH05328300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