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877B1 -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877B1
KR950014877B1 KR1019910000331A KR910000331A KR950014877B1 KR 950014877 B1 KR950014877 B1 KR 950014877B1 KR 1019910000331 A KR1019910000331 A KR 1019910000331A KR 910000331 A KR910000331 A KR 910000331A KR 950014877 B1 KR950014877 B1 KR 95001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teral movement
sensor
endless belt
move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767A (ko
Inventor
사또시 모리
요시히꼬 스즈끼
소오교오 고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83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40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8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40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85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5208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4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 G03G15/75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for maintaining the lateral alignment of the ba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56Meandering prevention by controlling drive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를 이용한 상정착의 부분 평면도.
제2도의 제1도 실시예의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상정착장치를 이용한 상형성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무단필름의 외부도.
제5도는 필름센서와 필름위치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필름위치와 필름센서출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8,9,10 및 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이동제어의 플로우 챠트.
제12도 및 13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이동제어의 플로우 챠트.
제14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실시예에 따른 횡이동제어의 플로우 챠트.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정착장치의 평면도.
제17a 및 b도는 상정착필름의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챠트.
제19도 및 제20도는 정착필름의 다른예의 평면도.
제21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무단벨트(정착벨트) 14 : 히터
16 : 광센서
본 발명은 로울러들 사이에 뻗어서 회전하는 무단벨트의 횡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무단벨트를 사용하는 상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단벨트를 사용하는 기계는 상정착고정장치와 감광벨트를 포함하고 있지만 상정착고정장치는 전형적인 실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취하게 될 것이다. 상정착고정장치용으로서 히트 로울러 정착 시스템과 같은 여러가지 구조가 제안되었다.
최근에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출원 제206,767, 409,341, 416,539, 426,082, 435,247, 430,437, 440, 380, 440,678, 444,802, 446,449호는 얇은 필름무단벨트를 사용하는 상정착고정장치를 제안하였는데, 여기에서 대기기간은 줄어들었다.
무단벨트가 사용될 때, 벨트는 회전축선(횡이동)을 따라서 회전하는 동안 이동된다. 횡이동은 로울러와 같은 2개 이상의 무단벨트 연장부재 사이에 평행하게 또는 꼬여서 정밀하게 기계적으로 야기된다. 하지만 기계적 정밀성의 증진은 한계가 있으며, 그러므로 기계적 정밀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무단벨트의 횡이동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리브 등을 사용하여 횡이동을 강제로 한정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하지만 무단벨트필름이 열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매우 작은 두께를 갖춘다면, 기계적 횡이동제한은 필름의 두께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미국 특허출원 제446,449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센서에 의해서 횡이동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횡이동방향은 예를 들면 인장 로울러의 축선의 변위에 의해서 그러므로 소정의 범위내에 무단벨트를 횡으로 왕복시킴으로써 센서의 출력에 따라 계획적으로 변한다.
그러나, 무단벨트의 횡이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무단벨트의 횡위치는 적어도 2곳의 위치에서 검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복수위치 검출센서가 요구된다. 또한, 횡이동기구의 역기능이 발생되면, 무단벨트는 소정의 영역을 넘어 벗어나게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비정상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위치센서의 갯수가 그 이상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위치센서로 무단벨트의 복수위치를 검출하기에 충분한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센서로 무단벨트가 역회전하는 위치와 비정상위치를 검출하기에 효과적인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단벨트의 한쪽끝에 경사부분을 가진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을 입지 않는 무단벨트형상의 정착필름을 사용한 상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고려하면 보다 명백하여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이동 제어시스템으로 구비된 무단벨트를 사용하는 화상 정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는 장치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 정착장치와 통합된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면, 전사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화상형성장치는 케이싱(50)의 상판(51)에서 왕복가능한 원본 지지 플래튼(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본 지지 플래튼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를 통해서 왕복된다. 복사될 원본(53)은 원본 지지판(52)의 상부 표면상에 놓여 있으며, 원본 커버링 판(54)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하향으로 면한 원본(53)의 표면은 원본 지지 플래튼(52)의 전방 또는 후방 스트로크에서 조명 시스템(55)에 의해 슬릿을 통해 조명된다. 참조번호 56은 조명 광원을 나타낸다.
원본에 의해 반사된 빛은 화상 렌즈(57 ; 짧은 촛점 화상 요소 어레이)를 통해서 감광드럼(58)의 표면상에 연속 영사하며 감광드럼은 원본 화상의 스캐닝과 동기적으로 회전한다.
감광드럼(58)은 디스차아저(59)에 의해서 양 또는 음극에 균일하게 충전되며 화상의 빛에 노출되어 정전기적 잠상은 원본 화상에 따라 드럼의 주변 표면상에 연속 형성된다.
잠상을 갖춘 감광드럼(58)의 표면은 분말 토너로 현상장치(60)에 의해 현상된다. 감광드럼(58)상의 현상된 화상은 드럼의 연속회전으로 전사 디스차아저(61)의 위치에 도달한다.
한편 기록재료(P)는 픽-업 로울러(63)에 의해서 기록재료 카세트(62)로부터 복사기내로 이송되고, 이때에 회전하고 있지 않는 정합로울러(64) 사이에 형성된 닙(nip)에 의해서 정지한다. 감광드럼(58)의 회전과 동기화된 소정의 시기에 정합로울러(64)는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것에 의해 기록재료(P)는 안내부재를 따라서 감광드럼(58) 쪽으로 이송된다. 이것은 감광드럼(58)과 전사 디스차아저(61) 사이의 화상전사위치내로 유입되며, 이것에 의해 감광드럼(58)상의 현상된 화상은 기록재료(P)상에 연속 전사된다.
전사된 화상을 갖춘 기록재료(P)는 도시되지 않은 분리부재에 의해서 감광드럼(58)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운반시스템(65)에 의해서 화상정착장치(1)내로 유입되어 화상정착작용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방출 로울러에 의해서 외부 방출 트레이(67) 상으로 방출된다. 화상전사후 감광드럼(58)의 표면은 크리닝 장치(68)에 의해서 청소된다.
화상형성장치는 기록재료 이송로와 실제로 동일한 경계로 상부 및 바닥 유니트내로 개방가능하며 장치가 개방되거나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주스위치는 개방된다. 장치가 고장 배제 작용 또는 수리후에 폐쇄되었다면 주스위치는 폐쇄된다.
다음은 정착장치(1)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2도에서 인장로울러로서 역시 기능하는 종동자 로울러(12)와 무단필름 구동로울러(1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무단필름(11)은 로울러(12,13) 주위에 뻗어있다. 구동 로울러(13)는 화살표로 표시된 시계방향으로 구동모우터(27)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에 의해 피구동되며, 이것에 의해 무단필름(11)은 소정의 원주속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필름(11)은 10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40미크론 이하의 총 두께를 갖추고 있으며, 내열성을 갖추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약 20미크론의 두께를 갖추고 PI(폴리이미드), PEI(폴리에테르이미드), PES(폴리에테르 설파이드), PFA(퍼플루오로알콕시)류 그리고 화상 접촉측에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약 10미크론의 두께를 갖춘 파아팅(parting) 층으로 만들어진 베이스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14)는 무단필름(11)의 바닥 이동의 안쪽과 접촉하는 화상정착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히터(14)는 필름(11)의 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길거나 선형이다. 히터는 열을 발생하도록 전력이 공급된다.
가압로울러(15)는 양호한 파아팅 특성을 갖춘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고무 탄성층을 갖추고 있다. 가압로울러(15)는 4-5㎏의 총압력으로 도시되지 않은 가압부재에 의해서 히터(14)쪽으로 무단필름(11)의 바닥 이동쪽으로 가압된다. 가압로울러는 필름의 운동방향과 함께 그리고 동시에 필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원주속도로 함께 회전한다.
정착되지 않은 토너화상(t : 가열용융 토너화상)을 운반하는 기록재료(P)는 전사위치(61 ; 제3도)로부터 운반부재(65)에 의해서 정착장치(1)까지 운반한다. 기록재료(P)는 무단필름(11)과 가압로울러 사이에 형성된 닙(정착닙) 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기록재료(P)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정착필름(11)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움직인다.
닙을 통과하는 동안에 기록재료(P) 상의 토너화상은 히터(14)로부터 필름을 통해서 열에 의해 가열되며 이것에 의해 적어도 토너화상(t)의 표면 구역은 완전히 연화되며 기록재료(P) 표면상에 가열정착되도록 용융된다.
정착닙(N)을 통해서 지나는 기록재료(P)는 기록쉬트가 필름 구동 로울러(13)에 의해서 통과할 때 로울러(13)를 따라 필름의 곡선에 의해 필름(11)의 표면으로분리된다.
다음의 설명은 무단필름용 횡이동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울러(13)와 종동자 로울러(12)는 정착장치(1) 전방판(19)과 후방판(18)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참조번호 21과 22로 표시된 것은 각각 종동자 로울러(12)의 전방 및 후방판에서의 베어링이다.
구동 로울러(13)가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필름을 움직이도록 피구동될 때, 필름은 필름의 횡방향끝이 전방 또는 후방판(18 또는 19)으로 마찰되는 범위까지 제1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필름(11)의 최초위치로부터 좌우측으로 횡으로 움직인다.
횡이동은 로울러(13,12)의 히터(14)의 X,Y,Z 축선방향으로 위치 에러에 기인한다. 횡이동은 X,Y,Z 방향으로 구동 로울러(13), 종동자 로울러(12), 히터(14) 그리고 가압로울러(15) 사이의 평행 에러가 0이 아닐 때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측의 종동자 로울러(12)의 베어링(20)은 판(18)에 대하여 화살표(A,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가동된다. 이것은 압축스프링(22)에 의해서 A방향으로 통상 가압되며 제1위치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서 정지된다. 이것은 솔레노이드(23)의 플런저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의 여자화에 따라, 베어링(20)은 쇄선으로 표시된 제2위치까지 움직이도록 압축스프링(22)의 스프링력에 대하여 B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솔레노이드의 여자화와 비여자화에 의해서 종동자 로울러(12)의 평행은 구동 로울러(13)와 히터(14)에 대하여 변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20)이 제1위치(솔레노이드(23)가 여자되지 않는)에 있을 때, 필름(11)은 부재(13,12,14) 주위를 이동할 때 필름 폭방향으로 왼쪽으로 다시말해서 로울러(13,12)의 후방쪽으로 이동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솔레노이드(23)가 작동되어 베어링(20)이 쇄선으로 표시된 제2위치에 있을 때 필름(11)은 오른쪽으로, 즉 로울러(13,12)의 전방쪽으로 향한다.
광센서(16)는 필름의 횡이동을 검출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1)의 전방 측면 끝 근처에서, 마스크는 해칭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6)의 빛을 차단하도록 필름의 주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16)는 사진단속기 타입이다. 광센서(16)가 반사 타입이라면 필름(11)의 끝은 반사재질로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킹은 필름(11)의 단지 하나의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크리닝 부재(4)는 필름의 횡끝부분을 청소한다. 필름의 끝부분이 오염되면, 예를 들어 반사타입센서가 사용된다면 필름위치의 잘못된 리딩이 발생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필름의 횡끝부분은 항상 깨끗하다. 본 실시예에서, 크리닝 부재는 평편하지만 크리닝 효과을 갖추고 있다면 다른 것도 가능하다.
제4도는 필름의 외부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개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무단벨트이며 직경이
Figure kpo00001
M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1)은 횡방향 끝(전방끝)에서 경사지게 절단된다. 최대길이는 Lmax이고 최소길이는 Lmin이다. 그리고 필름(11)의 경사진 절단은 치수가 Lmax-Lmin=ΔL(경사진 절단)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절단은 광센서(16)에 의해서 필름(11)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정착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5도는 광센서(16)와 필름(11) 사이의 위치관계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16)는 투명타입이고 검출위치는 기준(b)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11)의 위치가 위치(b) 넘어 후방에 있다면, 광센서(16)는 작동되며, 위치(b)를 넘어 전방쪽에 있다면, 광센서(16)는 작동되지 않는다. 필름(11)의 경사진 절단부분은 검출위치(b)에 있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필름(11)이 제12도에 도시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며, 광센서(16)는 온 및 오프를 반복한다. 부가하여 필름의 횡이동량에 따라 온-기간과 오프-기간(듀티비율)은 변한다.
제5도에서, 필름은 필름(11)의 경사절단의 중심이 광센서(기준위치)의 검출위치(b)에 있도록 위치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6도는 기준위치에 대하여 광센서(16)의 오프-기간과 필름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6도로부터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필름(11)이 기준위치(b)에 있을 때 광센선(16)의 오프-기간은 c초이다. 필름(11)이 ΔL/2 이상으로 기준위치(B)를 넘어 전방으로 편위되어 있을 때, 광센서(16)의 오프 기간은 0초이다.
반대로, 필름(11)이 ΔL/2 이상으로 기준위치로부터 후방쪽으로 횡방향으로 편위되어 있을 때, 광센서(16)는 계속 오프된다.
필름(11)이 광센서(16)가 계속 오프되는 범위까지 편위되기 직전에 오프기간은 d초가 된다. 이것은 1회전을 통해 회전하도록 필름(11)에 요구되는 타임 주기와 동일하다. c초의 오프 기간은 d초 오프 기간의 약 반이며 때문에 이것은 경사진 필름 절단의 중앙에 대응한다.
이러한 장치로, 광센서(16)의 연속 오프 기간이 d초 보다 짧고 d/2초 보다 긴 (3/4)d초 이상 길게 될 때, 솔레노이드(23)는 정하여진다. 반대로, (d/2)초 보다 짧은 (1/4)d가 될 때, 솔레노이드(23)는 비여자된다. 여자와 비여자는 필름 구동 동안에 반복된다.
따라서, 무단필름은 소정의 범위내에서 왕복되며 범위를 넘어서 횡이동되지 않는다.
제7도는 횡이동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6)는 광센서(16)가 연결된 입력단자(IN1)와 솔레노이드(23)가 연결된 출력단자(OUT1)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것은 정착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모우터(27)용 회전제어신호가 산출되는 출력단자(OUT2)로 구성되어 있다.
+5V의 전압원이 VDD 단자에 연결되며, GND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정착장치를 이용하는 복사기로부터 그리고 복사기쪽으로 신호를 수신하고 산출하기 위한 단자로 역시 구비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6)는 상기한 장치의 개방에 의해서 주스위치의 바작동으로 인하여 또는 장치의 개방에 의해서 주스위치의 바작동으로 인하여 또는 장치의 주스위치의 비작동으로 인하여 마이크로컴퓨터(26)에의 전원이 단락될지라도 메모리를 유리하지 않는 비휘발 메모리 RAM, 복사 연속 기능 프로그램 등을 갖춘 RAM 및 ROM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8-11도는 본 실시예의 정착장치에서 프로그램된 필름 횡이동제어기능의 플로우 챠트이다. 본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컴퓨터(26)의 ROM에 역시 내포되어 있으며, 정규 간격 또는 원하는 간격으로 주연속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된다. 시작후에 단계(1 ; 제8도)에서 모우터(27)가 작동되는지 아닌지로 판별이 이루어진다. 작동이 되면 단계 2가 실행된다. 작동되지 않으면 기능은 단계(1)로 되돌아가고 모우터(27)의 작동을 위해 기다린다.
단계(2)에서, 판별은 필름 횡이동제어가 전방측으로 실시되는지 아닌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컴퓨터(26)에서 비휘발 RAM의 소정의 어드레스에서의 메모리는 전방측 플래그에 세트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상기 판별이 이루어지는데, 즉, 메모리가 파스트(past)제어가 전방쪽으로 되는 것을 표시하는 1이 되면, 솔레노이드(23)가 작동되는 단계(S3)가 수행되며, 횡이동은 전방쪽에 세트된다. 그리고 단계(4)가 수행된다. 단계(2)에서 전방측 플래그가 파스트 제어가 후방쪽으로 되는 것을 표시하는 0으로 되면, 단계(4)가 수행된다. 단계(4)에서, 센서가 작동되는지 안되는지 판별된다.
센서(16)가 작동되면, 단계(8)가 수행된다. 작동안되면 단계(5)가 수행된다. 단계(5)에서 에러 타이머는 0으로 리세트되며, 측정을 시작한 후, 단계(6)가 수행된다.
단계(6)에서 센서(16)가 작동되는지 안되는지 판별이 이루어진다. 작동안된다면 작동은 단계(7)로 진행된다. 단계(7)에서 에러 체크 루틴이 수행되며, 작동은 단계(6)로 되돌아온다.
제10도를 참조하면, 에러 체크 루틴은 개시될 것이다.
먼저 단계(S1)에서 모우터(27)가 여자되는지 안되는지 판별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단계(S2)가 실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은 단계(13 ; 제9도)로 진행한다. 단계(S2)에서 판별은 에러 타이머의 내용이 d초보다 더 작거나 큰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그것이 작다면, 작동은 이 루틴의 출구로 스킵한다. 만약 단계(S2)에서 에러 타이머 카운트가 d초 보다 더 크다면, 단계(S3)가 실행된다.
단계(S3)에서, 에러 플래그가 세트되면, 작동은 루틴의 출구로 스킵한다. 단계(S6)에서, 만약 센서(16)가 작동되면, 단계(S8)는 에러 타이머가 0으로 리세트되는 곳에서 실행되며 또한 측정이 개시된다. 그러면, 단계(9)가 실행된다.
단계(9)에서 판별은 센서(16)의 비작동 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그것이 오프가 아니면, 작동은 에러 체크 루틴이 실행되는 단계(10)로 진행하며 작동은 단계(9)로 복귀한다. 센서(16)가 비작동될 때, 작동은 타이머 카운트가 0으로 리세트되는 단계(11)로 진행하며, 또한 측정으로 개시한다. 그러면 단계(12)(제9도)가 실행된다.
단계(12)에서, 판별은 모우터(27)의 작동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작동은 단계(14)로 진행한다.
단계(14)에서, 판별은 센서(16)의 작동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면, 작동은 에러 체크 루틴이 실행되는 단계(15)로 진행하며 작동은 단계(14)로 복귀한다. 만약 센서(16)가 작동되면, 단계(16)가 실행된다.
단계(16)에서, 판별은 타이머(1)의 카운트가 d/4초 보다 작은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필름(11)은 전방을 향하여 편위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나서, 작동은 솔레노이드(23)가 횡이동방향으로 후방으로 전환시키도록 비여자화되는 단계(17)로 진행한다. 전방 플래그가 0으로 리세트되고 작동은 단계(20)로 진행한다.
단계(16)에서, 만약 타이머(1)의 카운트가 d/4초 보다 더 작지 않으면, 작동은 단계(18)로 진행한다. 단계(18)에서, 판별은 타이머(1)의 카운트가 3/4d초 보다 더 큰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은 단계(20)로 진행한다.
만약 더 크다면, 필름(11)은 후방을 향하여 편위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나서, 단계(19)는 솔레노이드(23)가 횡이동방향을 전방으로 전환시키도록 여자화됨에 따라 실행된다. 전방 플래그가 1로 세트되고 작동은 단계(20)로 진행한다.
단계(20)에서, 에러 타이머는 0으로 리세트되고 측정을 시작한다. 그러면, 작동은 단계(21)로 진행한다.
단계(21)에서, 판별은 센서(16)의 비작동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비작동되지 않으면, 작동은 에러 체크 루틴이 실행되는 단계(22)로 진행하며 단계(21)로 복귀한다.
단계(S21)에서, 만약 센서(16)가 비작동되면, 작동은 타이머(1)가 0으로 리세트되는 단계(23)로 진행하며 측정을 시작한다. 그러면 작동은 단계(21)로 복귀한다.
만약 모우터(27)가 단계(13)에서 작동되지 않으면, 작동은 타이머(1)의 측정이 중지되는 단계(13)로 진행하며, 0으로 리세트된 후 솔레노이드(23)는 비여자화된다. 그러면 작동은 단계(1)로 복귀한다.
제11도는 주프로그램의 일부인 필름 역기능 제거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트이다. 여기에서, 판별은 에러 플래그의 세트 여부에 관하여 단계(24)에서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은 출구로 스킵되며 결과적인 주연속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만약 에러 플래그가 단계(24)에서 세트되면, 작동은 장치(이 실시예에서는 복사기)의 모든 출력이 포기된다. 그러면, 작동은 필름 역기능이 표시되는 단계(26)로 진행한다. 단계(26)는 주프로그램의 실행을 금지시키는 영구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정착장치의 무단벨트(11)는 모우터의 회전하에 솔레노이드(23)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에, 솔레노이드(23)는 신속한 중지 바로 직전에서 제어 횡이동방향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RAM의 내용에 따라 제어된다. 그러면, 모우터 회전중에, 센서(16)가 작동되지 않으면, 오프상태로의 전환이 대기된다.
또한 센서(16)가 오프될 때, 온단계로의 전환 및 이에 따른 오프상태로의 전환이 대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필름위치센서(16)에서의 타이밍이 검출된다. 이는 초기세팅의 끝이다. 그러면 온상태로의 전환까지의 센서(16)의 오프기간은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카운트된다.
필름(11)이 제어가 센서(16)의 오프 기간이 초기 카운팅까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횡이동방향은 이전의 방향과 동일하게 세트되며 이에 의해 필름의 비정상 횡이동이 제어불가능 기간중에 방지된다.
따라서,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의 센서(16)의 전환으로부터 센서(16)의 오프기간 대 오프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센서의 전환이 카운트된다.
오프기간은 횡이동방향의 전환에 의해 소정의 범위(이 실시예에서는 d/4초 및 3d/4초 사이)내에서 정해지며, 이에 의해 필름위치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제어된다.
이 방식으로 단일의 센서(16)의 출력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역전방향의 2곳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충분하다.
기간 d/4 sec 및 3d/4 sec으로 규정된 무단필름의 경사절단 ΔL의 마운트보다 더 작다.
센서(16)가 필름 역전위치에 상응하는 타임주기 d/4 및 3d/4 보다 더 긴 소정의 기간동안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지속할때, 역기능 발생이 예측되며, 장치는 작동중단되어서 필름의 손상 및 장착장치의 손상은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16)의 출력은 무단필름의 역전위치뿐만 아니라 무단필름의 제어가능범위를 초과 또는 비정상 위치를 검출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16)는 투명타입이지만, 마이크로스위치타입 또는 반사형 광 센서일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필름 횡이동 제어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그외의 구조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러한 부분의 설명은 간결성을 위하여 생략된다.
제12도에 있어서, 개시후에 모우터(27)의 작동여부에 대한 판단은 단계(101)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작동되어야 한다면, 단계(104)가 수행된다. 만약 그 반대의 경우라면, 작동은 모우터(27)의 작동이 대기되는 단계(101)로 복귀한다.
단계(102)에서는 필름을 제어하여 전방쪽으로의 이동여부에 관한 판별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히는, 마이크로컴퓨터(26)내의 소정의 어드레스에서 비휘발성 램(RAM)은 전방 플래그가 되도록 배치되며, 메모리가 1이라면, 즉 즉각적인 사전제어가 전방측부를 향하여 있으면 단계(103)가 수행되어서 솔레노이드(23)는 제어를 전방이동으로 세트하도록 수행된다. 그때, 작동은 단계(104)로 진행한다. 만약, 단계(102)에서 전방 플래그가 제로라면, 이는 즉각적인 사전제어가 후방을 향하여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작동은 단계(104)로 직접 진행한다.
단계(104)에서는 센서(16)의 작동여부에 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센서가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다면, 단계(108)가 수행된다. 센서가 작동되는 것으로 판별된다면, 작동은 단계(105)로 진행한다.
단계(105)에서는 에러 타이머의 카운트는 0으로 리세트되며, 카운팅이 시작된다. 그때 작동은 단계(106)로 진행한다.
단계(106)에서는 센서(16)의 비작동 여부에 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센서가 작동된다면, 단계(107)가 수행된다. 단계(107)에서는, 에러체크루틴이 수행되며, 그때 작동은 단계(106)로 복귀한다. 여기서, 에러체크루틴의 내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제1실시예).
만약, 단계(106)에서 센서(16)가 비작동된다면, 작동은 에러타이머의 카운트가 0으로 리세트되는 단계(108)로 진행하며, 카운팅이 시작되어 작동은 단계(109)로 진행한다. 단계(109)에서는 센서(16)의 작동부여부에 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센서가 작동되지 않으면 단계(110)가 수행되어 에러체크루틴이 수행되며, 작동은 단계(109)로 복귀된다.
만약 센서(16)가 작동된다면, 작동은 타이머(1)의 카운트가 0으로 리세트되는 단계(111)로 진행하며, 카운팅이 시작된다. 그때, 작동은 단계(112)로 진행한다.
단계(112)에서는 모우터(27)의 작동여부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모우터가 작동된다면, 단계(114)가 수행된다.
단계(114)에서는 센서(16)의 비작동여부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작동된다면, 단계(115)가 수행되어 이로써 에러체크루틴이 수행되며, 작동은 단계(114)로 진행한다. 만약 비작동된다면, 단계(116)가 수행된다.
단계(1116)에서는 타이머(1)의 카운트가 d/4 sec보다 더 작은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더 작다면, 필름(11)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으로서 간주되며, 따라서 작동은 솔레노이드(32)가 후방쪽으로 전환된 필름(11)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비작동되는 단계(117)로 진행하며, 전방플랫은 0으로 리세트된다. 그때, 작동은 단계(120)로 진행한다.
만약 단계(116)에서 타이머(1)의 카운터가 d/4 sec보다 작지 않다면, 작동은 단계(118)로 진행한다.
단계(118)에서는 타이머(1)의 카운트가 3d/4 sec 보다 더 큰지의 여부에 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더 크지 않다면, 작동은 단계(120)로 진행한다. 만약 더 크다면, 필름은 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작동은 솔레노이드(32)가 횡이동방향을 전방쪽으로 전환하도록 작동되는 단계(119)로 진행하며 부가적으로 전방플래그는 (1)로 세트된다. 그때, 작동은 단계(120)로 진행한다.
단계(120)에서는 에러 타이머의 카운트는 0으로 리세트되며, 카운팅이 시작된다. 그때, 작동은 단계(121)로 진행한다.
단계(121)에서는, 센서(16)의 작동여부에 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작동되지 않는다면, 작동은 에러체크루틴이 수행되는 단계(122)로 진행되며, 작동은 단계(121)로 복귀한다.
만약, 단계(121)에서 센서(16)가 작동된다면, 작동은 타이머(1)의 카운트가 0으로 리세트되는 단계로 진행하며, 카운팅이 시작되어서 작동은 단계(112)로 복귀한다.
만약, 단계(112)에서 모우터(27)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단계(113)는 타이머(1)의 카운팅이 중단되는 곳에서 실행되며, 카운트는 0으로 리세트되며, 그때 솔레노이드(23)는 비여자된다. 그러면 작동은 단계(101)로 복귀한다.
에러체크루틴 및 주프로그램의 일부분인 필름 역기능 소거 프로그램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 설명은 간결성을 위하여 생략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모우터 회전의 시작에서는 솔레노이드(23)는 즉각적인 사전 제어방향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램의 내용에 관련하여 제어된다. 그때 모우터 회전중에 센서(16)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그 작동은 대기된다. 센서(16)의 상태가 「온」상태에 있으면 「오프」상태로의 스위칭, 「온」상태로의 스위칭 및 「온」상태로의 스위칭은 대기된다. 필름위치센서(16)의 출력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스위칭되는 타이밍을 검출함으로써, 초기세팅이 완성된다.
그때, 스위칭에 대한 센서(16)의 다음 작동으로부터 오프상태까지의 센서(16)의 온-기간을 측정함으로써, 필름(11)의 위치는 먼저 검출된다. 센서(16)의 온-기간의 제1검출까지 필름(11)의 제어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불가능기간중에 횡이동방향은 제어의 즉각적인 사전방향과 동일하도록 선택되며, 이로써 필름은 제어불가능기간동안에 비정상적으로 편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후,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의 광센서(16)의 전환으로부터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의 전환으로 센서의 온-기간이 카운트되며, 필름변환방향은 전환되어서 온-기간은 소정의 범위(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d/4 sec와 3d/sec 사이)내에 있다.
상기와 같이 수행됨으로써, 필름 위치는 제어가능범이내에서 만약 센서(16)가 소정의 기간(본 실시예에서는 d sec.)을 초과하는 기간동안 온 또는 오프가 되도록 계속된다면, 필름 역기능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장치는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수행됨으로써, 필름 및/또는 정착장치의 손상은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제3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안정 래칭 솔레노이드(31)는 제1실시예의 솔레노이드(23)의 장소내에 사용된다.
제14도는 전기 제어시스템을 도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32)는 필름(11)의 위치검출용 광센서(16)가 연결되는 곳에 입력 터미널(IN1)을 가지며, 단안정 래칭 솔레노이드(31 ; 래칭 솔레노이드)가 연결되는 곳에 출력터미널(OUT1,OUT2)를 갖는다.
이것은 더블코일타입이며, 흡인코일은 터미널(OUT1)로 연결되며 릴리징코일은 터미널(OUT2)로 연결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또다른 터미널(OUT3)를 가지며 이는 고정장치 구동용 모우터를 위하여 회전제어신호를 제공한다.
VDD 터미널에는 +5V의 전압이 연결되며, GND 터미널은 정지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도시되지 않은 본 실시예의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복사기계를 위한 외부 압력 및 출력신호용 터미널로 또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32)에 있어서는, ROM 및 RAM 종류가 있으며, 그곳에 연속작동 프로그램이 복사기계의 복시기능을 위하여 포함된다.
설명은 래칭 솔레노이드(31)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것이다.
솔레노이드는 영구자석을 갖는다. 흡인코일이 플런저를 가압하기 위하여 전압이 인가될때, 플런저는 영구자석에 의하여 유지되며, 따라서 유도코일에의 전압 공급은 필요하지 않다. 전압이 릴리이징코일에 인가될 때, 영구자석의 자력을 중화시키는 자력이 발생되며, 따라서 흡인력의 유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압축 스프링(22)에 의하여 해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해제후 릴리징코일에 대한 전압 공급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펄스 전압공급은 래칭 솔레노이드에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펄스 전압은 100㎳의 펄스폭을 갖는다.
제15도는 본 실시예의 횡이동 제어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이 프로그램은 마이크로컴퓨터(32)의 롬(ROM) 내에 포함하며 주 연속프로그램에 의하여 필요 또는 규칙 간격으로 액세스된다.
개시후에, 모우터(27)의 작동여부의 판별은 단계(201)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모우터가 작동된다면, 그 작동은 단계(202)로 진행한다. 만약, 작동되지 않는다면, 그 작동은 모우터(27)의 작동이 대기되는 단계(201)로 복귀한다.
단계(202)에서는 에러 타이머의 카운트가 리세트되며, 카운팅이 시작된다. 그때, 그 작동은 단계(203)로 진행한다. 단계(203)에서는 센서(16)의 작동여부에 관한 판별이 이루어진다. 만약, 센서가 작동된다면, 그 작동은 단계(204)로 진행한다. 단계(204 에서는 센서(16)가 비작동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비작동되었으면 작동은 단계(205)로 진행한다.
단계(205)에서는 에러체크루틴이 실행되며, 작동은 204로 진행한다. 에러체크루틴의 내용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략함을 위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16)가 단계(204)에서 비작동되면, 작동은 온플래그가 제로로 리세트되는 단계(206)으로 진행하고, 오프-타이머는 제로로 리세트되며, 카운팅을 개시된다. 그 다음에 작동은 단계(207)로 진행한다.
단계(207)에서 온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그렇다면 작동은 온플래그가 제로로 세트되는 단계(208)으로 진행하며, 작동은 단계(210)으로 진행한다. 단계(210)에서는 온타이머의 카운트가 3d/4초보다 더 큰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작다면, 작동은 단계(211)로 진행한다. 크다면, 필름은 전방쪽으로 이동된 것으로 간주되면, 그 결과 작동은 솔레노이드(31)용 유도릴리징구동신호가 발생되는 단계(212)로 진행하며, 필름의 이동방향은 후방측에서 변환되고 작동은 단계(211)로 진행한다. 단계(211)에서는 오프 타이머의 카운트가 제로로 리세트되며 카운팅은 개시된다.
그다음에 작동은 단계(220)으로 진행한다. 온플래그가 단계(207)에서 세트되지 않으면, 작동은 에러체크루틴이 수행되는 단계(209)로 진행하며, 작동은 단계(222)로 진행한다.
센서(16)가 단계(203)에서 작동하지 않으면, 단계(213)에서는 센서(16)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 작동하지 않으면, 작동은 에러체크루틴이 실행되는 단계(214)로 진행하며, 작동은 단계(213)로 복귀한다. 센서(16)가 작동되면, 작동은 온플래그가 1로 설정되는 단계(215)로 진행하며, 온 타이머는 제로로 리세트되며 카운팅이 개시된다.
그다음에 작동은 단계(216)로 진행한다. 단계(216)에서는 온 플래그의 리세트 여부를 판단한다. 리세트되면, 작동은 온플래그가 1로 설정되는 단계(217)로 진행하며, 작동은 단계(219)로 진행한다.
단계(219)에서는 오프-타이머의 카운트가 3d/4초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작다면, 단계(220)는 실행된다.
만약 그것이 더 작다면, 단계(220)가 수행된다. 만약 그것이 더 크다면, 필름은 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그 작동은 솔레노이드(31)용 흡인구동신호가 전방쪽으로 필름(11) 이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발생되는 단계(221)로 진행하며, 그리고 작동은 단계(220)로 진행한다.
단계(220)에서, 온 타이머의 카운트가 0으로 리세트되며 카운팅이 시작된다. 그러면, 단계(220)가 실행된다. 만약 단계(216)에서, 온 플래그가 1로 세트되면, 단계(218)는 에러체크루틴이 실행되는 곳에서 실행되며, 작동은 단계(222)로 진행한다.
단계(222)에서, 판별은 모우터(27)의 작동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단계(224)가 실행된다. 단계(224)에서, 판별은 센서(16)의 작동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그렇게되면, 단계(216)가 실행된다. 만약 작동되지 않으면, 단계(207)는 상기 처리단계를 반복하도록 실행된다.
만약 단계(222)에서 모우터(27)가 비작동되면, 단계(223)가 실행된다.
단계(223)에서, 온 타이머와 오프타이머가 리세트되고, 작동은 모우터(27)의 작동이 대기되는 단계(201)로 진행한다. 에러체크루틴과 주프로그램의 일부인 필름 역기능 소거프로그램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따라서, 설명은 간소화를 위해 생략되었다.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만약 센서(16)가 모우터 회전의 시작하에 작동된다면,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이 검출된다. 만약 센서(16)가 작동되면, 온상태로 전환되는 타이밍이 검출된다. 따라서, 초기세팅은 완료된다. 그러면,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의 센서(16)의 전환으로부터의 센서(16)의 오프시기와 온상태로의 전환으로부터 오프상태로의 전환의 온기간, 이에 의한 필름(11)의 위치가 먼저 검출된다.
따라서, 온기간 또는 오프기간의 제1검출까지, 필름(11) 위치제어는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래칭 솔레노이드(31)는 직전에 선택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필름을 이동시키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불가능 기간도중의 필름의 비정상 편위가 방지될 수 있다.
그후,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의 전환으로부터,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의 전환으로의 센서의 오프기간, 및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의 전환으로부터,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의 전환으로의 온기간이 측정되며, 필름이동방향은 오프기간 및 온기간이 소정의 기간(이 실시예에서는 3d/4초) 내에 있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필름위치는 소정의 제어가능범위내에 있도록 제어된다.
만약 센서(16)가 소정의 기간(이 실시예에서는 d초)을 초과하는 기간동안 온 또는 오프상태로 지속하면, 필름역기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장치는 정지되며 이에 의해 필름 및/또는 정착장치의 손상은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래칭 솔레노이드가 사용되기 때문에, 단지 펄스전압이 솔레노이드를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데 충분하며, 따라서 동력소비는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같이 단일의 센서의 출력은 무단벨트의 복수위치를 검출하는데 유효하다. 게다가, 비정상위치에 대한 추가 센서의 필요성이 배제된다.
제16도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솔레노이드(23) 및 센서(16)는 동일한 쪽에 배치된다. 마스크된 부분(3)의 쉬트 통로측은 무단필름(11)의 회전방향과 평행하며 마스킹의 폭은 변화된다.
제17도는 무단필름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제17a도에는, 단지 필름의 일부분만이 필름위치검출 목적상 절취되어 있으며, 제17b도에는 절취부분이 전체 정착필름(15)에 걸쳐 존재한다.
제17a도 형상에 있어서, 재료의 일부분이 버려질 것이다. 그러나 제18b도에 있어서, 재료는 양쪽이 균일 및 유용하기 때문에 버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게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16)의 온기간 또는 오프기간이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며, 이에의해 무단필름의 위치가 검출된다.
제18도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센서(16)의 출력은 시간적분되며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실시예의 작동은 설명될 것이다. 시작후에 판별은 단계(31)에서의 모우터의 작동 여부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모우터가 작동되면, 작동은 단계(32)로 진행한다. 모우터가 작동되지 않으면 이동 제어가 달성되지 않으며 작동은 출구(스텝(36))로 스킵하며, 작동은 주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스텝(32)에서는 광센서의 광수신기측의 전압이 시간적분된다. 그것이 1V 보다 더 큰가의 여부에 관한 판별의 결과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RAM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가해진다. 그러면, 비교가 그 전압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세팅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만약 그 시간적분된 전압이 1V 이상이 되면, 작동은 단계(35)로 진행한다. 만약 1V 이상이면, 다음 단계(33)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만약 4V 이상이면, 단계(34)가 실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은 단계(32)로 복귀한다.
단계(34)에서, 솔레노이드(23)가 여자되며, 플래그가 세트되고 작동은 출구(단계(36))로 진행한다. Y측이 스텝(32)에서 선택될때, 스텝(35)은 솔레노이드(23)가 비여자되는 곳에서 실행되며 플래그가 리세트된다. 그러면, 작동은 출구(단계(36))로 진행하며, 주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광센서의 상, 하한은 1V와 4V로 세트된다. 이 값은 다른 값이어도 좋다.
제19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필름의 형상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빗금친부분(26)은 필름 비정상검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코우팅, 프린팅, 에칭, 임프레싱, 페인팅등에 의해 처리된다. 따라서 필름(11)위치 검출은 광센서(16)가 감지하는 필름의 적어도 한쪽끝에 경사진 성질을 제공함으로써 허용된다.
이들예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용지만이 제공되지만, 복수의 용지도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전체 온기간 및/또는 오프기간이 카운트된다.
제20도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착필름(15)의 형상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경사부분(3)이 정착필름의 끝 바깥쪽에 구비되어 필름의 비정상위치가 검출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센서는 반사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제21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허용부재가 종동자 로울러(12)의 표면상에 구비된다. 정착필름(11)의 끝이 제21도에 도시된 끝으로 올때, 필름(11)은 차단시키도록 마스킹된다. 따라서 그쪽으로의 이동이 검출될 수 있다.
제19도와 관련하여 기재된 처리는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가지며 종동자 로울러(12)의 표면상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박필름마이크로컴퓨터단벨트는 정착장치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나, 무단벨트의 횡이동제어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두꺼운 무단벨트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는 무단필름을 직접 검출하지만, 무단필름의 횡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한 레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센서가 변위가능한 레버를 검출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설명된 상세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량의 목적 또는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 드는 바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을 망라하고자 한다.

Claims (11)

  1.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에 있어서, 끝부분에 경사부분을 가지고 있는 무단벨트, 횡이동력을 가하는 로울러, 상기 로울러를 옮겨서 횡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재, 상기 경사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를 행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단벨트가 소정의 정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센서부의 온기간 또는 오프기간을 검출하여 무단벨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재, 그리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서 검출된 기간이 소정의 범위내가 되도록 상기 전환부재를 조절하는 제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분이 무단벨트의 오직 한쪽의 횡방향 끝에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분이 무단벨트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분이 벨트재료를 비스듬히 절단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무단벨트의 오직 한쪽의 횡방향 끝에 대해서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검출부재에 의해서 검출되는 기간과 비교되는 첫번째 소정의 기간과 그 첫번째 소정의 기간과 다른 두번째 소정의 기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검출된 기간이 상기 첫번째 및 두번째 소정의 기간과 다른 세번째 소정의 기간보다 클 경우에 에러를 판별하는 판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재가 에러를 판별하면 상기 장치를 정지시키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재가 에러를 판별하면 역기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벨트가 히터를 가지고, 무단벨트와의 사이에 닙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히터와 협동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닙은 미정착화상을 기록재료상에 정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이동제어장치.
KR1019910000331A 1990-01-11 1991-01-11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 KR950014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83 1990-01-11
JP408390A JP2924036B2 (ja) 1990-01-11 1990-01-11 定着装置
JP2-4084 1990-01-11
JP408490A JP2924037B2 (ja) 1990-01-11 1990-01-11 定着装置
JP385290A JP2925208B2 (ja) 1990-01-11 1990-01-11 定着装置
JP2-3852 1990-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67A KR910014767A (ko) 1991-08-31
KR950014877B1 true KR950014877B1 (ko) 1995-12-16

Family

ID=2727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0331A KR950014877B1 (ko) 1990-01-11 1991-01-11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57444A (ko)
EP (1) EP0437204B1 (ko)
KR (1) KR950014877B1 (ko)
DE (1) DE69103911T2 (ko)
FR (1) FR2656934B1 (ko)
IT (1) IT1244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382A (en) * 1990-11-28 1993-08-10 Mitsuboshi Belting Ltd. Belt deviation control apparatus
JPH04371983A (ja) * 1991-06-20 1992-12-24 Canon Inc エンドレスフィルムの寄り防止機構
US5305066A (en) * 1991-08-06 1994-04-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device employing endless belt
US5774153A (en) * 1991-11-15 1998-06-3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Digital precision positioning system
JPH05346746A (ja) * 1992-06-16 1993-12-27 Nec Niigata Ltd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3234660B2 (ja) * 1992-12-04 2001-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9314776T2 (de) * 1993-04-07 1998-04-09 Hewlett Packard Co Kodierungssystem für ein Abbildungsband eines Laserabtasters im elektrostatisch-grapischen Drucken
US5467171A (en) * 1993-09-17 1995-11-14 Xerox Corporation Compact active steering roll for belt loops
JP2851533B2 (ja) * 1994-03-23 1999-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フェーサ
JP3397466B2 (ja) * 1994-10-13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5659851A (en) * 1995-11-17 1997-08-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teering an endless belt
US5729812A (en) * 1996-10-02 1998-03-17 Xerox Corporation Heat and pressure fuser utilizing rigid rolls and belts to form an extended contact zone between the belts including preheat and pressure zones
US5927189A (en) * 1997-12-30 1999-07-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fusing with two textured endless belts
US6088558A (en) * 1998-03-05 2000-07-11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belt shift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126512A (en) * 1998-07-10 2000-10-03 Aplex Inc. Robust belt tracking and control system for hostile environment
JP4217340B2 (ja) 1999-04-15 2009-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検出装置及び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039614A (ja) 1999-07-30 2001-02-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198902B1 (en) * 1999-08-02 2001-03-06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ographic reproduction machine including a dual function fusing belt deskewing and heating assembly
US6237752B1 (en) * 1999-09-29 2001-05-29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misaligned conveyor
JP3605042B2 (ja) * 2001-03-28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US6607458B2 (en) 2001-05-24 2003-08-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s for robust endless belt tracking control
US6852050B2 (en) * 2002-04-17 2005-02-08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Lateral sensor for conveyor belt
JP4058335B2 (ja) * 2002-12-24 2008-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JP4115268B2 (ja) * 2002-12-24 2008-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JP4194536B2 (ja) * 2004-06-23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413759B2 (ja) * 2004-12-02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ベルト駆動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630652B2 (ja) * 2004-12-10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93067A (ja) * 2005-04-12 2006-10-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444876B2 (ja) * 2005-04-28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JP5031213B2 (ja) * 2005-09-13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32205B2 (ja) * 2005-09-27 2012-05-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パイプコンベヤ
GB0524027D0 (en) * 2005-11-25 2006-01-04 Smith & Nephew Fibrous dressing
JP4965124B2 (ja) 2005-12-28 2012-07-04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走行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122795A (ja) * 2006-11-14 2008-05-2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060315B2 (ja) * 2007-01-17 2012-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38835B2 (ja) * 2008-12-0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US8152167B2 (en) * 2008-12-17 2012-04-10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having optical sensor unit
JP5506458B2 (ja) * 2010-03-04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076837A (ja) * 2010-09-30 2012-04-19 Brother Industries Ltd 記録装置
JP5591057B2 (ja) 2010-10-13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751841B2 (ja) 2011-01-13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93308B2 (ja) 2011-03-16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04735B2 (ja) 2011-03-16 2015-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47534B2 (ja) 2011-10-21 2016-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プリント装置およびジャム処理方法
DE102014101477A1 (de) * 2014-02-06 2015-08-06 Precitec Gmbh & Co. Kg Laserbearbeitungskopf
JP6393084B2 (ja) 2014-06-04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9592683B2 (en) 2014-11-19 2017-03-1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US10399805B2 (en) 2015-01-09 2019-09-0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ance apparatus
US20170069074A1 (en) * 2015-09-09 2017-03-09 Key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Adjustably Positioning an Object of Interest
EP4001695A1 (de) * 2020-11-20 2022-05-25 Manuel Lindner Automatische einstellung und überwachung eines riemenantrieb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4298A1 (de) * 1966-10-26 1971-05-13 Agfa Gevaert Ag Vorrichtung fuer die Lageeinstellung eines endlosen Bandes
US4404572A (en) * 1979-01-31 1983-09-1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4286706A (en) * 1979-06-19 1981-09-01 Xerox Corporation Belt tracking system
EP0032262B1 (en) * 1980-01-02 1984-04-18 Agfa-Gevaert N.V. Web controlling apparatus
US4344693A (en) * 1980-04-14 1982-08-17 Xerox Corporation Belt tracking system
US4429985A (en) * 1981-02-20 1984-02-07 Ricoh Company, Ltd. Recording system provided with a device for correcting deviation of recording member in endless belt form
JPS57160651A (en) * 1981-03-31 1982-10-04 Ricoh Co Ltd Recording device
US4547059A (en) * 1981-10-28 1985-10-15 Ricoh Company, Ltd. Image-transfer-type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DE3301797A1 (de) * 1982-01-18 1983-07-28 Ricoh Co., Ltd., Tokyo System zum korrigieren einer bandabweichung
US4483607A (en) * 1982-09-06 1984-11-20 Ricoh Company, Ltd. Recording system
JPS60171906A (ja) * 1984-02-16 1985-09-05 Ricoh Co Ltd 無端ベルト駆動装置
JPS60178111A (ja) * 1984-02-21 1985-09-12 Ricoh Co Ltd 無端ベルト
US4565439A (en) * 1984-10-31 1986-01-21 Xerox Corporation Low mass heat and pressure fuser
DE3711916A1 (de) * 1987-04-09 1988-10-27 Haensel Otto Gmbh Vorrichtung zum erfassen und steuern des geradlaufs eines angetriebenen transportbands
DE3854801T2 (de) * 1987-06-16 1996-06-13 Canon Kk Bildfixiergerät
EP0363686B1 (en) * 1988-09-19 1994-11-30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ixing apparatus
US4998121A (en) * 1988-10-03 1991-03-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026276A (en) * 1988-10-24 1991-06-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ixing apparatus using a detachable film
US5083168A (en) * 1988-11-15 1992-01-21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fixing heater for use in the same
US5027160A (en) * 1988-12-08 1991-06-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ixing apparatus with movable film and means for controlling film position
US4959040A (en) * 1989-04-21 1990-09-25 Rastergraph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ely positioning and stabilizing a continuous belt or web or the like
EP0443799B1 (en) * 1990-02-20 1995-08-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apparatus using film driven by rotatabl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7204B1 (en) 1994-09-14
DE69103911D1 (de) 1994-10-20
ITRM910012A0 (it) 1991-01-10
EP0437204A3 (en) 1992-02-26
US5157444A (en) 1992-10-20
DE69103911T2 (de) 1995-01-19
FR2656934B1 (fr) 1994-07-29
KR910014767A (ko) 1991-08-31
EP0437204A2 (en) 1991-07-17
IT1244891B (it) 1994-09-13
ITRM910012A1 (it) 1992-07-10
FR2656934A1 (fr) 199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877B1 (ko) 무단벨트용 횡이동제어장치
EP0437203B1 (en) Lateral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n endless belt and fixing device using the same
KR940005135B1 (ko) 화상정착장치
US539209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member for cleaning charging wire
US5118920A (en) Image fixing apparatus
US68193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leaning mechanism therefor
JP3094532B2 (ja) 像加熱装置
EP0239277A2 (en) Automatic exposure device for copying machine
JP3094533B2 (ja) 像加熱装置
JP3063308B2 (ja) 像加熱装置
JP2924036B2 (ja) 定着装置
JP3013537B2 (ja) 像加熱装置
JP3070628B2 (ja) 像加熱装置
JP2924037B2 (ja) 定着装置
JPH08220846A (ja) 帯電装置
JP2881890B2 (ja) 定着装置
JPH04355486A (ja) 画像形成装置
JP3070187B2 (ja) 像加熱装置
JPH04349483A (ja) 画像形成装置
JPH02168289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76768A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H05100590A (ja) 加熱装置
JPH0968882A (ja) 定着装置
JPH03231263A (ja) 定着装置
JPH0925861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