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568B1 -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568B1
KR950013568B1 KR1019920019378A KR920019378A KR950013568B1 KR 950013568 B1 KR950013568 B1 KR 950013568B1 KR 1019920019378 A KR1019920019378 A KR 1019920019378A KR 920019378 A KR920019378 A KR 920019378A KR 950013568 B1 KR950013568 B1 KR 95001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thiazol
thiomethyl
carboxylic acid
thiadiazol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190A (ko
Inventor
안승호
이광혁
김영진
윤명식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김정순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568B1/ko
Publication of KR94000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07D501/36Methylene radicals, substituted by sulfur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항생물질로 유용한 구조식 (I)의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상기 구조식(I)의 아실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유기용매중에서 구조식(II)의 화합물과 구조식(III)의 화합물의 아미노기를 보호시킨 후 아실할라이드 화합물로 전환시켜 아실화 반응후 보호기를 탈리시켜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USP 4,399,132).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반응물의 작용기를 보호시킨 후 다시 탈리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생성물의 수율이 낮고,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여 좋은 수율과 품질의 생성물을 합성할 수 없었다. 본 말명자들은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보다 개선된 합성공정을 연구하는 과정중 T, Fujisawa 등에 의해 리튬 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를 디클로로트레페닐 포스포란과 반응시켜 아실옥시포스포니움염 유도체를 생성시킨 다음 그리냐드 시약과 반응을 진행시켜 케톤 화합물을 합성하는 문헌이 보고됨을 확인하였다(Chem, Letters 1267(1983)).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2-(2-아미노티아졸-4-일)-2-씬-메톡시이미노초산과 7-아미노-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과의 아실화 반응을 진행시킴에 있어서 아실옥시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 유도체로 생성시킨 후 이를 유리시킴이 없이, 아실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좋은 품질과 수율로 목적생성물을 합성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트리페닐포스핀(Ph3P)과 헥사클로로에탄(C2CI6)을 유기용매중에서 구조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구조식(Ⅳ)의 아실옥시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 유도체를 유리시킴이 없이, 실릴화제 시약을 사용하여 구조식(III)의 화합물을 유기용매중에서 염기존재하 또는 염기존재 없이 실릴화 반응시켜 생성되는 화합물과의 아실화 반응시킴을 특증으로 하는 구조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공정을 반응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실옥시포니포니움 클로라이드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트리페닐포스핀과 헥사클롤에탄을 유기용매중에서 반응시켜 디클로로트리페닐 포스포란을 생성한 후 2-(2-아미노티아졸-4-일)-2-씬-메톡시이미노초산과 반응시키면 아실옥시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이들 반응중에서 구조식(IV)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이 바람직하며, 이중 디클로로메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조식(III)의 화합물에 대한 트리페닐 포스핀 및 헥사클로로에탄의 사용량은 1.0∼1.3당량이 적당하며, 이 반응은 0-60℃에서 수행하는데 반응개시 후 1-4시간이 경과되면 구조식(IV)의 화합물이 생성된다.
구조식(II)의 화합물의 실릴화 반응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이 바람직하며, 이중 디클롤메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릴화제 시약으로는 디클로로디메틸실란, 클로로트리메틸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N,N-비스 트리메틸실릴우레아 등이 바람직하며, 구조식(II)의 화합물에 대하여 2.0-4.0당량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등이 있다. 실릴화 반응은 10-45℃에서 0.5-2.0시간 동안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화 반응으로 구조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온도는 -5-40℃가 바람직하며, 반응시간은 1-3시간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정량적으로 부반응이 없이 진행되며, 반응이 종료되면 이어서 반응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탄산수소나트륨 등과 같은 염기 및 물을 넣고 교반시킨 다음 층을 분리시키고 물층에 유기용매를 넣어 pH를 등전점으로 조정시켜서 구조식(I)의 화합물을 침전상태로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반응온도가 실온 근처에서 진행되고 반응이 완료된 후, 쉽게 목적물을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아실옥시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 유도체(IV)를 거쳐 이를 유리함이 없이 반응을 진행하므로 높은 수율 및 높은 품질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제조공정이라 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A단계 : 3구 플라스크에 트리페닐포스핀 12.14g, 헥사클로로에탄 10.96g 및 디클로로에탄 170.0ml를 넣고 25℃정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2-(2-아미노티아졸-4-일)-2-씬-메톡시이미노초산 8.88g을 넣고,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B단계 : 3구 플라스크에 7-아미노-3-[1,2,3-티아티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12.2g, 디클로로메탄 230.0ml 및 트리에틸아민 9.28g을 넣은 다음 15℃정도에서 클로로트리메틸실란 9.97g을 적가한 후, 1.0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A단계에서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가한다. 2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혼합물에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 150.0ml를 넣고 교반시켜 물층을 분리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60.0ml 및 아세토니트릴 30.0ml를 넣고, pH 2.5정도로 조정하여 백색 결정을 석출시킨다.
이를 여과, 건조하여 순수한 17.35g(92%)을 얻는다.
IR(KBr, cm-1) : 1780,1678,1614,1515
HNMR(DMSO-d6)δppm : 3.75(pair of doublets 2H, J= 18Hz), 3.86(s,3H), 4.24(s,2H), 5.20(d,1H,J=5Hz), 5.77(dd,1H, J=5Hz), 6.75(s,1H), 7.20(bs,2H), 8.90(s,1H)
[실시예 2]
A단계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B단계 : 클로로트리메틸실란 대신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22.5g을 사용하여 염기는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반응시킨 후 처리하여 순수한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17.48g(92.7%)을 얻는다.
[실시예 3]
A단계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B단계 : 디클로로메탄 대신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동량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반응시킨 후 탄산수소나트륨 및 물 180.0ml를 넣고 교반하면서 소금으로 포화시켜 물층을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8 : 2의 혼합용매 95.0ml를 넣고 pH 2.5정도로 조정하여 백색 결정을 얻는다.
이를 여과, 건조하여 순수한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16.90g(89.6%)을 얻는다.

Claims (5)

  1. 트리페닐포스핀(Ph3P)과 헥사클로로에탄(C2Cl6)을 유기용매중에서 구조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구조식(IV)의 아실옥시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 유도체를 유리시키지 않고, 구조식(II)의 화합물을 유기 용매중에서 염기존재하 또는 염기존재 없이 실릴화제 시약을 사용하여 실릴화 반응시켜 얻은 화합물과 아실화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구조식[I]의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실옥시포스포니움 클로라이드의 생성 및 실릴화 반응의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릴화 시약은 디클로로디메틸실란, 클로로트리메틸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N,N-비스-트리메틸실릴우레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아실화반응은 -5∼40℃온도에서 1-3시간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20019378A 1992-10-21 1992-10-21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95001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9378A KR950013568B1 (ko) 1992-10-21 1992-10-21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9378A KR950013568B1 (ko) 1992-10-21 1992-10-21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190A KR940009190A (ko) 1994-05-20
KR950013568B1 true KR950013568B1 (ko) 1995-11-09

Family

ID=1934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378A KR950013568B1 (ko) 1992-10-21 1992-10-21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5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190A (ko) 199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170B1 (ko) 4-아세톡시-3-히드록시에틸아제티진-2-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505981B2 (ja) 新規なチア(ジア)ゾル酢酸の反応性チオホスフェ―ト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3568B1 (ko) 7β-[2-(2-아미노티아졸-4-일)-(Z)-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2,3-티아디아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US531709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KR950013569B1 (ko) 7-[α-(Z)-메톡시이미노-α-(2-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5-카르복시메틸-4-메틸티아졸-2-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950013567B1 (ko) 세펨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192616B1 (ko) 7-[1-(1h)-테트라졸일아세트아미도]-3-[2-(5-메틸1,3,4-티아디아졸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JP3298929B2 (ja) カルボン酸エステル又はカルボン酸チオエステルの新規製造方法
JPH025758B2 (ko)
KR950013571B1 (ko) (6r, 7r)-7-[(z)-2-(2-아미노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피리디늄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이염산염의 제조방법
KR970004043B1 (ko) 7β-[(Z)-2-(2-아미노-4-티아졸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US20060247457A1 (en) Method for the synthesis of methyl-tri-oxo-rhenium
KR0125806B1 (ko)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2-t-부톡시카르보닐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피리디늄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US4421686A (en) 4-Norbornyl-sulfonyl azetidinone intermediat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3-acylamino-4-substituted-2-azetidinones
KR960011778B1 (ko) 신규한 결정성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472048B1 (ko) 아즈트레오남의 신규제조방법
JPH07103129B2 (ja) ペニシラン酸誘導体の改良された新規合成方法
KR830002896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073559B1 (en) Process for preparing desacetoxycephalosporanic acid
EP0574784B1 (en) Process for preparing (1'R,3S,4R)4-acylthio azetidinones
EP0080942B1 (en) Novel intermediat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3-acylamino-4-substituted-2-azetidinones
KR930007816B1 (ko) 세펨 화합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KR0139590B1 (ko) 세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229175B1 (ko) 세펨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633919B2 (ja) ラクタム誘導体の製造中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