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410B1 -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410B1
KR950013410B1 KR1019900021886A KR900021886A KR950013410B1 KR 950013410 B1 KR950013410 B1 KR 950013410B1 KR 1019900021886 A KR1019900021886 A KR 1019900021886A KR 900021886 A KR900021886 A KR 900021886A KR 950013410 B1 KR950013410 B1 KR 95001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rganic
management
storage means
terminal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306A (ko
Inventor
다까도시 다께모도
가즈나리 가와시마
마사히로 이시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에이스 덴껜
다까도시 다께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에이스 덴껜, 다까도시 다께모도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에이스 덴껜
Publication of KR91001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자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섬에서의 결선 접속부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전자관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블록도.
제 4 도는 단말관리장치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제 5 도는 집적관리장치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제 6 도는 집적관리장치의 제어반의 기능을 도시한 블록도.
제 7 도는 섬의 사시도.
제 8 도는 유기장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기기 2 : 섬
3 : 볼대출기 4 : 경품볼계수기
5 : 단말관리장치 6 : 집적관리장치
7a∼7x : 결선 접속부 17a∼17c : 단말접속부
본 발명은 유기용(遊技用) 매개물로서 작은 볼을 사용하는 빠찡꼬기, 화폐, 메달을 사용하는 어레인지볼기, 작구(雀球)빠찡꼬대 등의 메달게임기,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에 적용할 수 있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들 빠찡꼬대를 분산관리하는 전자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전자관리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1988)-35271호 공보에 개시(開示)된 것이 있다.
즉, 그 유기기의 전자관리장치는 관리장치가 고정의 경우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유기기 2대마다 1대의 관리복스를 부설하여, 복수의 관리복스를 전자조작표시기로 조작함으로써 유기기를 관리하는 것이며, 각 관리복스는 전자제어장치를 가지고 타구중지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런데, 유기장을 새로 장식하는 경우 등 유기장에서의 유기기등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이 유기객의 기호에 맞추고, 수익을 도모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전자관리장치를 유기장에 배치되는 빠찡꼬대, 슬롯머신, 어레인지볼기, 작구빠찡꼬대 등의 유기기나 볼대출기 등과, 이들과 전자관리장치와를 접속하는 결선이 고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관리장치는 각 결선에 대응하여 유기기를 종류 등마다 관리하고 있으므로, 유기기의 배치를 변경할 수 없으며, 보다 바람직한 배치를 잡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유기장치에서의 유기기등의 배치를 자유로 변경하여 유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1. 유기기(遊技機) 복수대 또는 볼대출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가 부설된 유기장(遊技場)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유기장에서는, 상기 유기장 또는 상기 볼대출기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부가 복수배설되고,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에 신호선을 통하여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유기기 및 상기 볼대출기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관리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단말위치기억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관리어드레스와, 상기 단말위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와를 결합시키는 단말설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자관리장치는 또한 상기 복수의 단말관리장치를 집중관리하는 집중관리장치를 가지고, 상기 집중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관리장치의 각각의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관리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말관리장치의 각각의 단말위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총합위치기억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관리어드레스와, 상기 총합위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와를 결합시키는 총합설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에 있다.
관리대상설정수단은 유기장마다 미리 설정되는 관리어드레스와, 유기기의 배치를 자유로 결합가능하고, 그러므로 유기장에서의 유기기 등의 배치를 자유로 변경하여 유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유기기 복수대 및 볼대출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여,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하는 경우에는, 유기기 등을 복수대마다 관리하므로, 부분적인 배치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빠찡꼬기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8 도는 유기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유기장에는, 복수의 섬(鳥)(2)이 배치되어 있다. 각 섬(2)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대의 유기기(1)와 볼대출기(3)와 경품볼계수기(4)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4대의 유기기(1) 및 4대의 볼대출기(3)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5)가 부설되어 있다.
각 섬(2)의 단말관리장치(5)는 집적관리장치(6)에 의해 집중관리되고 있다.
단말관리장치(5)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호입력부(151)와, 제어부(152)와, 메모리(153)와, 신호출력부(154), 네트워크제어부(155)에 의해 상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신호입력부(151)는 유기기(1) 및 볼대출기(3)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152)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52)는 그 신호에 따라서 신호입력부(151)로부터 데이터를 메모리(153)에 입력시킨다. 그후, 제어부(152)는 메모리(153)로부터 기억된 데이터를 얻어 연산처리하고, 메모리(15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신호출력부(154)는 제어부(15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153)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출력신호로서 발한다.
또한, 네트워크제어부(155)는 제어부(15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153)로부터 데이터를 얻는다.
네트워크제어부(155)는 집적관리장치(6)의 섬콘트롤러부(163)와 연락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단말관리장치(5)는 각종 신호검출과 데이터처리, 유기기 등의 상태관리와 제어, 각종 외부인터페이스에의 신호출력, 보급신호의 출력, 섬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전송 등을 행한다.
집적관리장치(6)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부(161)와, 메모리(162)와, 섬콘트롤러부(163)와, 제어반(164)과, 통신포트부(165)에 의해 상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관리장치(5)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데이터의 처리, 축적, 제어반에의 표시데이터의 작성, 인쇄데이터의 작성, 유기기(1)에의 각종 제어지령의 접수와 발행, 각종 상수의 관리, 통신포트의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제어반(164)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선제어부(171)와, 입력부(172)와, 표시부(173)와, 인쇄부(175)와, 표시설정부(1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유기기에의 제어요구, 각 유기기, 유기장의 상태표시, 집계데이터의 인쇄, 이상의 통시 등을 행하는 것이다.
이로써, 단말관리장치(5) 및 집적관리장치(6)에 의해 들어간볼·나온볼의 감시, 대출기의 감시, 볼보급의 감시, 타구중지의 제어, 타구중지의 해방, 이상의 감시, 피버의 감시 등을 행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자관리장치의 유기기이 배치의 관리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도의 배치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기장의 섬(2)의 좌측의 면에는 유기기(1) 및 볼대출기(3)가 a∼x까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기기(1) 및 볼배출기(3)를 a에서 x까지의 차례로 관리하려고 할 때, 이 배치는 총합관리어드레스로서 설정된다.
이 총합관리어드레스는 a∼h까지와, i∼p까지와, q∼x까지로 분할되어, 각각의 순서로 단말관리장치(5)의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6)에 기억되고, 각각의 배치는 단말관리어드레스로서 설정된다.
총합관리어드레스는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6)을 통하여 집적관리장치(6)의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3)에 기억된다.
단말 및 총합관리어드레스는 유기기 등을, 예를들면 빠찡꼬대, 슬롯머신, 어레인지볼기, 작구빠찡꼬대 등의 유기기의 종류마다 또는 볼대출기마다 관리하기 위해, 유기장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이다.
섬(2)에는 각 유기기(1) 및 각 볼대출기(3)의 설치위치에 결선접속부(7a∼7x)가 배설되어 있으며, 결선접속부(7a∼7x)의 a∼x의 각 유기기(1) 및 각 볼대출기(3)의 각각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섬(2)의 뒤쪽에는 4대의 유기기(1)를 위한 4개 및 4대의 볼대출기(3)를 위한 4개의 합계 8개의 결선접속부(7a∼7h)에 1개의 단말접속부(17a)가 접속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결선접속부(7i∼7p)에 단말접속부(17b)가 접속되고, 결선접속부(7q∼7x)에 단말접속부(17c)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단말접속부(17a∼17c)는 각 단말관리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접속부(7a)에 접속된 단말관리장치(5)는 결선접속부(7a∼7h)의 설치위치를 기억하는 단말위치기억수단(38)을 가지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단말접속부(17b, 17c)의 단말관리장치(5)는 각각 결선접속부(7i∼7q), (7q∼7x)의 설치위치를 기억하는 단말위치기억수단(38)을 가지고 있다.
집적관리장치(6)는 단말위치기억수단(38)을 통하여 결선접속부(7a∼7x)의 설치위치를 기억하는 총합위치기억수단(35)를 가지고 있다.
단말관리장치(5)는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6)에 기억되는 단말관리어드레스와, 단말위치기억수단(38)에 기억되는 유기기(1) 및 볼대출기(3)의 각 4대의 설치위치를 자유로 결합가능한 단말설정수단(37)을 가지고 있다.
단말설정수단(37)은 조작반(39)에 의해 조작된다.
또, 집적관리장치(6)는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3)에 기억되는 총합단말관리어드레스와, 총합위치기억수단(35)에 기억되는 모든 유기기(1) 및 볼대출기(3)의 설치위치를 자유로 결합가능한 총합설정수단(34)을 가지고 있다.
총합설정수단(34)은 제어반(164)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 「유기기」란, 예를들어 빠찡꼬기, 어레인지볼기, 작구빠찡꼬대 등의 메달게임기,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이며, 「볼」이란, 예를들면 빠찡꼬기에서 사용되는 작은 볼, 어레인지볼기나 작구빠찡고대 등에서 사용되는 화폐나 메달, 기타 이 종류의 빠찡꼬대에 사용되는 유기용 매개물을 말한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2 도에서 섬(2)의 좌측의 면에 도시된 유기기 및 볼대출기 a∼h의 배치를 우측의 면에 도시된 e, d, a, b, g, f, c, h 순의 배치로 변경한 경우, 미리 설정된 단말관리어드레스에 따라서 이들 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조작반(39)을 사용하여,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6)에 기억되는 a의 위치를 단말위치기억수단(38)에 기억되는 결선접속부(7c)의 위치와 결합하도록 단말설정수단(37)에 설정한다.
또, 마찬가지로 b와 7d, c와 7g, d와 7b, e와 7a, f와 7f, g와 7e, h와 7h를 각각 결합시킨다.
이로써, a∼h의 순의 관리어드레스에 따라서 유기기 및 볼대출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유기장에서의 유기기 및 볼대출기의 배치를 각 4대마다 부분적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단말관리장치(5)에 의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또, 유기장에서의 유기기 및 볼대출기의 배치를 전체적으로 변경하여, 섬(2)의 좌측의 면에 도시된 유기기 및 볼대출기 a∼x의 배치를 우측의 면에 도시된 e, d, a, …의 배치로 변경한 경우, 미리 설정되는 총합관리어드레스에 따라서 이들 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어반(164)을 사용하여,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33)에 기억되는 a의 위치를 총합위치기억수단(35)에 기억되는 결선접속부(7c)의 위치와 결합되도록 총합설정수단(34)에 설정한다.
또, 마찬가지로 b와 7d, c와 7g, d와 7b, …를 각각 결합시킨다.
이로써, a∼x의 순의 관리어드레스에 따라서 유기기 및 볼대출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유기장에서의 유기기 및 볼대출기의 배치를 전체적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총합관리장치(6)에 의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단말설정수단(37) 및 총합설정수단(34)은 유기장마다 미리 설정되는 관리어드레스와, 유기기 등의 배치를 자유로 결합가능하며, 그러므로 유기장에서의 유기기 등의 배치를 자유로 변경하여, 유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또, 1대의 집적관리장치(6)가 4대의 단말관리장치(5)를 구비하고, 이것으로 4대의 유기기(1)와 4대의 볼대출기(3)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가령 단말관리장치(5)가 고장났다고 해도,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4대의 유기기(1)와 4대의 볼대출기(3)가 가동정지될 뿐이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설정수단은 유기장마다 미리 설정되는 관리어드레스와, 유기기의 배치를 자유로 결합가능하며, 그러므로 유기장에서의 유기기 등의 배치를 자유로 변경하여, 유기기구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유기기 4대 및 볼대출기 4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를 부설하고, 복수의 상기 단말관리장치를 집적관리장치에 의해 집중관리할 경우에는, 1대의 집적관리장치가 4대의 단말관리장치를 구비하고, 이것으로 복수대의 유기기와 동수 대의 볼대출기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가령 전자관리장치가 고장났다고 해도,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대의 유기기와 동수 대의 볼대출기가 가동 정지될 뿐이며,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Claims (2)

  1. 유기기(遊技機) 복수대 또는 볼대출기 복수대마다 1대의 단말관리장치가 부설된 유기장(遊技場)의 전자관리장치로서, 상기 유기장에서는, 상기 유기장 또는 상기 볼대출기와 분리가능하게 접속되고, 접속시에는 상기 유기기 또는 상기 볼대출기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접속부가 복수배설되고,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에 신호선을 통하여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유기기 및 상기 볼대출기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관리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접속부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단말위치기억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관리어드레스와, 상기 단말위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와를 결합시키는 단말설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관리장치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자관리장치는 또한 상기 복수의 단말관리장치를 집중관리하는 집중관리장치를 가지고, 상기 집중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관리장치의 각각의 단말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관리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단말관리장치의 각각의 단말위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총합위치기억수단과,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총합관리어드레스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관리어드레스와, 상기 총합위치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정보와를 결합시키는 총합설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KR1019900021886A 1989-12-29 1990-12-27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KR950013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43872 1989-12-29
JP34387289A JPH07112510B2 (ja) 1989-12-29 1989-12-29 遊技場の電子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306A KR910011306A (ko) 1991-08-07
KR950013410B1 true KR950013410B1 (ko) 1995-11-08

Family

ID=1836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886A KR950013410B1 (ko) 1989-12-29 1990-12-27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12510B2 (ko)
KR (1) KR950013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1425B2 (ja) * 2000-09-27 2011-06-15 サン電子株式会社 遊技台の異常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9783U (ja) * 1982-11-02 1984-05-11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パチンコ台集中管理装置
JPH0630677B2 (ja) * 1985-12-06 1994-04-27 株式会社大一商会 パチンコ機の管理装置
JPS6322967U (ko) * 1986-07-30 1988-02-15
JPS6335271A (ja) * 1986-12-27 1988-02-15 株式会社 エ−ス電研 遊技機の電子管理装置
JP2639701B2 (ja) * 1987-09-04 1997-08-13 株式会社日商 パチンコ遊技機の集中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12510B2 (ja) 1995-12-06
KR910011306A (ko) 1991-08-07
JPH03205077A (ja) 199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5809A (en) Entertainment machines
JPH086685A (ja) 相互接続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ケーブル管理装置
JPH113147A (ja) 二重電圧モジュール相互接続
KR950013410B1 (ko) 유기장의 전자관리장치
EP0174446B1 (en) distributed multiprocessing system
JPH0525517B2 (ko)
JP2000078168A (ja) 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装置
JP3763370B2 (ja) 遊技場管理システム
JPH10234987A (ja) 遊技台システム
WO2020027451A1 (ko) 다중 vr게임 장치 연동 보상 지급 시스템
JPH1043408A (ja) パチンコ店用データ通信方法
JP2004261281A (ja) 遊戯設備のアドレス設定装置
JP2624144B2 (ja) テストボード
JP2683913B2 (ja) パチンコ機の管理装置
JP2002346171A (ja) 遊技機島システム
JPH0586377U (ja) パチンコ機の配線処理装置
HUT69824A (en) A system controlling takings and prizes in gaming machines
WO2020045815A1 (ko)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vr 게임과 상품지급 서비스의 운영 시스템
JP2728378B2 (ja) パチンコ遊技装置の制御装置
JP4179485B2 (ja) 遊技場管理システム
JP3547809B2 (ja) 玉類貸機管理システムおよび玉類貸機
JP2780067B2 (ja) 景品管理端末装置
JP2001104625A (ja) 台間機通信システム、台間機、転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791721B2 (ja) 景品交換システムのタ−ミナル
JPH0631050A (ja) メダル・コイン等自動補給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