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104B1 -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104B1
KR950013104B1 KR1019870007050A KR870007050A KR950013104B1 KR 950013104 B1 KR950013104 B1 KR 950013104B1 KR 1019870007050 A KR1019870007050 A KR 1019870007050A KR 870007050 A KR870007050 A KR 870007050A KR 950013104 B1 KR950013104 B1 KR 95001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group
halogen
formula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948A (ko
Inventor
스튀쯔 안톤
누스바우메르 페터
Original Assignee
산도즈 파마슈티칼스 코오포레이숀
제랄드 디. 샤르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도즈 파마슈티칼스 코오포레이숀, 제랄드 디. 샤르킨 filed Critical 산도즈 파마슈티칼스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87000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104B1/ko
Publication of KR89000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본 발명은 특정 아민유도체, 아민유도체의 항진균제 및 농업용 살균제로서의 사용방법과, 그들을 함유하는 약학 및 농화학 조성물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리형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산부가염 형태의 하기 일반식(I) 화합물의 항진균제 및 농업용 살균제로서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중, R1은 하기일반식의 기이고,
Figure kpo00002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또는 R1과 R2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하기일반식(IIg)의 기를 나타내고,
Figure kpo00003
일반식(IIa) 내지 (IIg)에 있어서, R7및 R8는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9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10및 R11은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및 R11중의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인 경우에, 다른 하나는 수소이외의 다른 것이고, X는 산소, 황, 이미노, 저급알킬이미노, -O-CH2- 또는 -CH2-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S는 3,4 또는 5이고, V는 3,4,5 또는 6이고, 일반식(IId)의 -CH2-기중 1 또는 2개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3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할로겐알킬기이고, R6는 하기일반식의 기이고,
Figure kpo00004
일반식(IIIa) 내지 (IIIe)에 있어서, R7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3(R3는 상기정의와 동일함)이고,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콕시카르보닐, 저급알킬티오, 페닐, 펜알킬, 트리알킬실릴, 디알킬페닐실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페닐 또는 펜알킬은 페닐,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펜알콕시, 저급알콕시페닐, 저급알킬페닐, 할로겐페닐, 할로겐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치환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카르보닐로 치환되며, 또는 R1은 상기 정의와 같이 일반식(IIa)내지 (IIf)의 기이고, R2와 R3는 함께 -(CH2)u-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u는 1 내지 8의 정수이고, R4,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각 저급알킬기는 1 내지 4, 특히 2 또는 1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기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예. 알릴, 프로페닐 또는 프로피닐) 전술한 기들은 직쇄형 또는 측쇄형 모두 가능하다.
대표적인 시클로알킬리덴은 시클로헥실리덴이다. 시클로알킬은 보르닐 또는 아다만릴등의 폴리사이클을 포괄하는 것이나 시클로헥실, 시클로펜틸 또는 시클로프로필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R7,R8및 R9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X는 황, 이미노 또는 저급 알킬이미노기이다.
헤테로사이클의 예로는 질소, 산소 또는 황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5 또는 6원고리 화합물이다(예, 티오펜). 이들은 R7에서 정의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함유하여도 된다.
R1은 일반식(IIc) 또는 (IId)의 기가 바람직하고 일반식(IIa) 또는 (IIb)의 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2는 수소가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R3는 저급알킬기이다. R6는 (IIIa)가 바람직하다.
P,S,U,V 및 W는 통상적으로 7원 고리, 바람직하게는 6 또는 5원고리를 형성하도록 선택한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또는 브롬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a) 하기 일반식(IV)화합물을
Figure kpo00005
하기일반식(V)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Figure kpo00006
b) 하기일반식(Ib) 화합물에
Figure kpo00007
R'3기를 첨가하여 하기일반식(Ia)화합물을 제조하거나,
Figure kpo00008
c) (i)하기 일반식(VI)화합물을
Figure kpo00009
하기 일반식(VII)화합물과 반응시켜서
R6-Me (VII)
하기일반식(Ic)화합물을 제조하거나,
Figure kpo00010
(ii) 하기 일반식(VIa) 화합물을
Figure kpo00011
하기 일반식(VIIa)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R1-Me (VIIa)
하기일반식(Id)화합물을 제조하거나,
Figure kpo00012
하기의 일반식(VIb)화합물을
Figure kpo00013
하기일반식(IVb) 또는 (IVc)의 위티히시약과 반응시켜서
Figure kpo00014
하기일반식(Ie)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또는
Figure kpo00015
e) 하기일반식(Ih),(Ii)의 시프염기를 환원시켜서
Figure kpo00016
또는
Figure kpo00017
하기일반식(If) 및 (Ig)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렇게해서 제조된 화합물을 유리형태 또는 산부가염형태로 회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18
상기식중, R1,R2,R3,R4,R5및 R6은 일반식(I)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고, Y중 하나는 이탈기이며 다른 하나는 -NH-R3이고, R'3는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은 저급알킬기 이고, Me는 금속등가물이고, R'6은 하기일반식(IIIf)의 기이다 :
Figure kpo00019
(식중, R13,R14및 R15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페닐, 펜알콕시, 저급알콕시페닐, 저급알킬페닐, 할로겐페닐, 할로겐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이다)
방법 a)는 축합에 의해 3차 아민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 방법은 저급알칸올(예, 에탄올), 경우에 따라서는 물과 혼합한 알칸올, 방향족탄화수소(예, 벤젠 또는 톨루엔), 고리형 에테르(예, 디옥산), 또는 카르복실산디알킬아미드(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불활성용매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상온 내지 반응 혼합물의 끓는점으로 하며, 상온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산결합제(예,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탄산염)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이탈기는 일반적으로 요오드, 바람직하게는 브롬 또는 염소이고,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유기술포닐옥시(예, 알킬술푀옥시), 이중에서도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거나(예, 메실옥시 또는 알킬페닐술포닐옥시) 7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것(예, 토실옥시)이 바람직하다.
방법 b)는 2차아민을 알킬화하는 종래의 방법, 예를들면, 할로겐화물 또는 황산염 등의 알킬화제로 직접 알킬화하거나 환원적으로 알킬화하고,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알데히드와 반응시키고 연속 또는 동시적으로 환원시켜서 수행한다. 환원적 알킬화는 일반적으로 불활성용매(예, 메탄올등의 저급알칸올)의 존재하에서 일반식(Ib)의 화합물을 당해 알데히드와 반응시켜서 수행한다. 환원은, 예를들면 환원제로서 NaBH4또는 NaCNBH3등의 착화금속 수소화물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NaH2PO3수용액(H.Loibner 등 Tetrahedron Letters 1984/2535) 또는 환원제 및 반응매체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포름산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방법 c)는 유기금속 화합물과 관련된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20℃ 내지 +50℃의 불활성용매(예, 에테르)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d)는 고리형에테르(예, 테르라하이드로푸란 또는 톨루엔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등의 반양성자용매중에서 20℃ 내지 반응 혼합물의 끓는점의 온도로 위티히반응을 일으키는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방법 e)에 의한 환원은 NaBH4등의 착화수소화합물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불활성용매(에, 메탄올등의 저급알칸올) 중의 상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생성물은 종래의 방법으로 분리 및 정제한다. 일반식(I)화합물의 유리염기는 염형태로 전환가능하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적합한 산부가염은 염산염, 푸마르산수소염, 또는 나프탈린-1,5-디술포네이트이다.
일반식(VI) 및 (VIa)의 출발물질은 일반식(IV)의 당해 아민을 포름알데히드 및 일반식 ROH의 저급알코올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h)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Vd)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VI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있다 :
Figure kpo00020
상기식중, R1,R2,R4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일반식(Ii)의 출발물질은 하기일반식(IVe)화합물을 하기 일반식(IX)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
Figure kpo00021
나머지 중간물질들은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거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지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 몇가지는 신규한 물질로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들은 하기일반식(Ij)의 유리형태 또는 산부가염형태의 화합물들이다 :
Figure kpo00022
상기식중, R4및 R5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R"1, R"2, R"3및 R"6은 각각 하기의 조건하에 R1,R2,R3및 R6의 정의와 동일하다 :
a) RA이 나프틸인 경우에, R"2,R"3,R4및 R5는 수소이고, R"6은 일반식(IIIa)의 기이고, 일반식(IIIa)에 있어서, R8이 수소이면 R12및 R7은 할로겐이 아니고 R7이 수소이면 R12는 할로겐 또는 메틸이 아니다.
b) R"1이 하기 일반식의 기인 경우에,
Figure kpo00023
(식중, R'7및 R'9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S는 3,4 또는 5이다)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X가 산소, 황 또는 질소이고, R4및 R5가 수소이면 R"6은 하기 일반식의 기가 아니다 :
Figure kpo00024
상기 식중, Z′는 산소 또는 황이고, R"7수소이고,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12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할로겐이다.
항진균제 및 농업용 살균제로서 유용한 대표적인 화합물군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식(Ij)의 화합물이다.
일반식(I)의 또다른 대표적인 화합물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a) R1은 일반식(IIa) 내지 (IIf)의 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또는 R1과 R2가 함께 일반식(IIg)의 기를 형성하며, 일반식(IIa) 내지 (IIg)에 있어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6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10및 R11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또는 R11중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이면 다른 하나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산소, 황, 이미노, 저급알킬이미노 또는 -CH2-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u는 3,4 또는 5이고 V는 3,4,5 또는 6이고, 일반식(IId)의 기에 있어서 CH2기중 1 또는 2개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3는 수소,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알킬이고 R6은 일반식(IIIa) 내지 (IIIe)의 기이고, R7및 R8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3이고 여기에서 R3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며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페닐, 펜알킬, 트리알킬실릴, 디알킬페닐실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페닐 및 페알킬은 저급알콕시로 치환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며, 또는 b) R1은 a)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일반식(IIIa) 내지 (IIIf)의 기이고, R2와 R3가 함께 -(CH2)u-를 형성하며 u는 1 내지 8의 자연수이고 R4,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또한, 일반식(I)의 대표적인 화합물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a) R1은 일반식(IIa) 또는 (IIb)의 기이고 b)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길,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c) R2는 소수 또는 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알킬기이고 d) R2은 일반식(IIIa)의 기이고 상기 식중, R7및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X는 -O-CH2, 산소 또는 황, 특히 황이 바람직하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 특히 수소가 바람직하고,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콕시카르보닐, 저급알킬티오, 페닐, 펜알킬, 트리알킬실릴, 디알킬페닐실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페닐 또는 펜알킬은 페닐,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펜알콕시, 저급알콕시페닐, 저급알킬페닐, 할로겐페닐, 할로겐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치환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카르보닐로 치환된다.
또한, 일반식(I)의 대표적인 화합물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도 있다 :
R1은 일반식(IIa),(IIb),(IIc),(IId) 또는 (IIe)의 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거나, R1과 R2가 함께 일반식(IIg)의 기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저급알콕시이고, R9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이고, R10및 R11은 각각 수소, 저급알킬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또는 R11중의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이면 다른 하나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산소, 황, 이미노, 저급알킬이미노, -O-CH2- 또는 -CH2-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s는 3,4 또는 6이고 v는 3,4,5 또는 6이고, 일반식(IId)의 CH2기중 1 또는 2개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3는 수소,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알킬기이고 R6은 일반식(IIIa),(IIIb),(IIIc),(IIId) 또는 (IIIe)의 기이고, 여기에서 R7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3(R3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이고, R12는 일반식(I)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또는 R1은 일반식(IIa) 내지 (IIe)의 기이고, R2와 R3는 함께 -(CH2)u-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u는 1 내지 8의 정수이고 R4,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우수한 화학요법 특성을 가지며, 특히 국소 및 경구투여시에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약제용, 특히 항진균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작용은 기이니아피그의 각종 진균류(예, Trichophyton spp., Aspergillus spp., Microsporum spp., Sporothrix schenckii 및 Candida spp.)에 대한 0.003 내지 50μg/ml 농도에서의 시험관내 희석시험과 실험적 피부진균증 또는 자궁내-질내 전염병의 생체내시험을 통해서 입증할 수 있다.
피부진균증 시험에 있어서, 시험화합물을 폴리에틸렌글리코올에 용해하여 전염된 피부표면에 7일 동안 매일 문지른다. 항진균효과는 0.1 내지 2% 농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복용효과는 체중당 2 내지 70mg/kg의 투약범위내의 기인니아피그 백선증생체실험을 통해서 입증되었다.
일일투여량은 하루에 2 내지 4회의 분할용법 또는 서방형태로 70-2000mg이 적합하고, 경구투여시의 투약량은 17.5-1000mg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염기형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의 형태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유리염기와 동일한 활성을 가진다. 상기 산부가염의 예로는 염산염, 푸마르산수소염 및 나프탈린-1,5-디술포네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에 허용되는 종래의 희석제 및 담체,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희석제와 혼합하여 정제, 캡슐제, 크리임제, 틴크제 또는 주사제로 제조하여서 경구투여, 국소투여, 정맥투여 또는 비경구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 및 각종질환의 치료방법과, 일반식(I)의 유리염기형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형태의 화합물 유효량을 투여하는 방법 및 약제용, 특히 항진균제용의 상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유리형태, 농업적으로 허용되는 염형태 또는 금속착염형태의 본 발명에 의한 화학물은 식물병원체균을 박멸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의 살균효과는 Uromyces appendiculatus(콩의 녹균)에 대한 덩쿨콩의 생체내실험 및 기타녹균류에 대한 커피, 밀, 아마 및 관상식뭍(예, Pelargonium, snapdragon)의 생체내실험과, Erysiphe cichoracearum에 대한 오이의 생체내 실험 및 기타분말형곰팡이(예, E.Graminis f. sp, tritici. E. gram. f. sp. hordei, Podosphaera leucotricha, Uncinula recator)에 대한 밀, 보리, 사과 및 포도의 생체내실험을 통해서 입증할 수 있다.
다음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N-(5,7-디플루오로-1-나프틸메틸)-N-메틸-4-t-부틸벤질아민(방법 a))
N-메틸-4-t-부틸벤질아민 0.3g, 탄산칼륨 0.25g 및 순수한 디메틸포름아미드(DMF) 5ml의 혼합물에 5,7-디플루오로-1-브로모메틸나프탈렌 0.4g을 적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물은 에테르와 수층으로 분리한다. 유기상은 건조증발시킨다.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헥산/에틸아세테이트=95/5)에 의해서 유상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2]
N-(4-t-부틸-1-시클로헥세닐메틸)-1-나프틸메틸아민(방법 e))
4-t-부틸-1-시클로헥센카르브알데히드 2g, 1-나프틸메틸아민 1.9g 및 톨루엔 15ml를 4Å 분자체를 사용하면서 4시간동안 70℃로 가열한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정한후 여액을 증발시킨다. 잔여물을 무수메탄올 30ml에 용해하고 두 부분으로 나누어 1/2시간동안 각각 나트륨보로하이드라이드 0.5g과 반응시킨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증발시키고, 그 잔여물을 수층과 디클로로메탄층으로 분리한다.
유기상은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다량의 메탄올성염산과 반응시킨 후 증발건조시킨다. 잔여물을 이소프로판올/에테로로 재결정 화한다.
1N 가성소오다로 처리하고 에테로로 추출하여 m.p.(염화수소)가 153-155℃이고 유상의 순수염기형태인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3]
N-(4-t-부틸-1-시클로헥세닐메틸)-N-(1-나프틸메틸)메틸아민(방법 b))
N-(4-t-부틸-1-시클로헥세닐메틸)-1-나프틸메틸아민 0.8g을 1N NaH2PO3용액 13ml와 반응시키고 디옥산 15ml를 첨가하여 용액으로 만든다. 이어서 37% 포르말린용액 1.1m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60℃로 가온한후, 가성소오다로 액성을 알카리로 만들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유기상을 건조증발시켜서 유상의 순수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4]
N-메틸-N-(1-나프틸메틸)-4-(2-페닐-2-프로필)벤질아민(방법 c))
2-(4-브로모페닐)-2-페닐프로판 3g, 마그네슘 265mg 및 에테르 25ml로 그리나드 시약을 제조한다. 상온에서 강교반하에 에테르 5ml중의 N-에톡시메틸-N-메틸-1-나프틸메틸아민 2.5g을 적가한 후, 이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염화암모늄 포화용액을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수용액상에 에테르로 추출한다. 혼합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한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톨루엔/에틸아세테이트=95/5)에 의해 유상의 순수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5]
N-메틸-N-(1-나프틸메틸)-4-[1-(4-메톡시페닐)-에테닐]벤질아민(방법 d))
톨루엔 5ml에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나트륨아미도 1.37g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동안 교반한다. N-메틸-N-(1-나프틸메틸)-4-(4-메톡시벤조일)벤질아민 1g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 1 1/2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이어서 농축하여 잔여물을 에테르에 용해한다. 이것을 여과하여 여액을 농축한 후 용리제로 톨루엔을 사용하여 실리카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상의 표제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1 내지 5 또는 전술한 방법들과 유사하게, 하기 일반식(Ik)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필요한 출발물질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
A) 4-(3,3-디메틸-1-부티닐)벤질브로마이드(실시예 6)
사염화탄소 50ml에 4-(3,3-디메틸-1-부티닐)톨루엔 3.35g, N-브로모숙신이미드 3.47g 및 디벤조일퍼옥사이드 100g을 첨가하여 8시간동안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한다. 헥산을 용리제로 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상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다.
A)와 유사한 방법으로 유상의 하기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
B) 4-브로모메틸-4'-메틸벤조페놀(실시예 29)
C) 2-(4-브로모메틸페닐)-2-(4-톨루엔)프로판(실시예 35)
D) 3-t-부틸벤질브로마이드(실시예 17 및 52)
E) 2-(3,3-디메틸-1-부티닐)벤질브로마이드(실시예 23)
F) 4-(2-메톡시-2-프로필)벤질브로마이드(실시예 25)
G) 3-(브로모메틸)-6-t-부틸피리딘(실시예 72)
H) N-메틸-4-페닐벤질아민(실시예 7)
4-비페닐카드발데히드 10g과 33% 에탄올성 메틸아민 40ml를 4Å 분자체를 사용하면서 상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여 감압하에 농축한다. 잔여물은 에탄올 60ml중에서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2g과 반응시킨후 3시간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에테르와 수층으로 분리한후 유기상을 건조 및 농축한다. 디클로로메탄/에탄올=9/1을 용리제로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유상의 순수염기를 얻는다.
H)와 유사한 방법으로 유상의 하기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
I) N-(2,3-메틸렌디옥시벤질)메틸아민(실시예 10)
J) 1-(나프틸메틸)시클로프로필-아민(실시예 18)
K) N-메틸-2,3-디메틸벤질아민(실시예 60 및 61)
L) N에톡시메틸-N-메틸-1-나프틸메틸아민(실시예 4, 37, 50 및 71)
얼음 냉각하에서 N-메틸-1-나프틸메틸아민 21g과 무수에탄올 9g에 파라포름발데히드 3.6g을 소량씩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 메탄올을 첨가한후, 여과 및 농축한다. 진공증류(1.3mbar/135-138℃)에 의해 담황색 유상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다.
M) N-(5,7-디플루오로-1-나프틸메틸)메틸아민(실시예 1 및 59)
a) 4-(2,4-디플루오로페닐)-4-온-부티르산
1,3-디플루오로벤젠 11.4g과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28g을 디클로로메탄 75ml에 첨가하고 38℃에서 숙신사무수물 10g을 소량씩 첨가한후에 6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이 혼합물을 얼음/염산에 부어 디클로로메탄으로 처리한후, 1/2시간동안 교반한다. 액상을 분리하여 수용액상은 디클롤메탄으로 추출하는 한편 합성 유기층은 묽은 가성소오다를 혼합한다.
침전물은 흡인여과하여 제거하고, 수세 및 건조한다(m.p. ; 113-115℃)
b) 4-(2,4-디플루오로페닐)부티르산
아연 50g, 염화수은(II) 5g, 농염산2.5ml 및 물 75ml를 10분동안 강교반한다. 수층은 경사분리하여 제거하고 아연 아말감은 물 30ml, 농염산 75ml, 아세트산 3ml 및 4-(2,4-디플루오로페닐)-4-온-부티르산 16g으로 처리한다. 이 혼합물에 2시간 간격으로 농염산 10ml를 첨가하면서 8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유기상은 제거하고, 아연으로부터 용액을 경사분리하여 톨루엔으로 추출한다. 혼합 유기상을 수세, 건조 및 농축한다. 잔여물을 1N 가성소오다 과량에 용해하고, 팔라듐 200mg 및 활성탄으로 처리한후, 상은 및 정상압력에서 36시간동안 수소화한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성을 산성으로 만들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결정성 미정제물은 0.13mbar/120℃에서 보올-튜우브 증류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m.p. 45-47℃
c) 5,7-디플루오로-1-테트랄론
다중인산 120g 및 오산화인 12g을 60℃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한다. 4-(2,4-디플루오로페닐)부티르산 43g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80℃에서 1 1/2 시간동안 교반한 후, 얼음물에 부어 에테르로 추출한다. 혼합 유기상을 탄산나트륨용액 및 염화나트륨용액으로 세정 및 건조하고, 소량의 활성탄과 함께 교반한 후 증발시킨다. 미 정제물은 0.65mbar/100℃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헥산/에틸아세테이트=4/1) 또는 진공승화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m.p.=89-91℃
d) 5,7-디플루오로-1-메틸-테트랄올
에테르 20ml에 5,7-디플루오로-1-테트랄온 2g을 에테르 20ml에 용해하여 마그네슘 0.34g, 메틸아이오다이드 2g 및 에테르로 제조한 그리나드시약에 첨가한다. 2 1/2 시간동안 환류시킨 후에, 이 혼합물을 얼음/포화 암모늄 클로라이드에 부어 1/2 시간동안 교반한다. 에테르로 수용액상을 추출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톨루엔/에틸아세테이트=9/1)에 의해 무색오일을 정제한다.
e) 5,7-디플루오로-1-메틸나프탈렌
5,7-디플루오로-1-메틸-테트랄올 2.5g, 트리페닐메탄을 3.6g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2.6g을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16ml 중에서 5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이 혼합물을 얼음 물에 부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이 유기상을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정하여 중화하고 건조 및 농축한다. 유상의 미정제생성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헥센)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f) 5,7-디플루오로-1-브로모메틸나프탈린
사염화탄소 10ml 중의 5,7-디플루오로-1-메틸나프탈린 1.35g을 N-브로모숙신이미드 1.4g 및 디벤조일퍼옥사이드 50mg과 함께 4 1/2 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냉각시킨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한다. 결정성 미정제 생성물의 순도는 후속 반응에 사용하기에 충분하다.
m.p.는 74-76.5℃
g) N-(5,7-디플루오로-1-나프틸메틸)메틸아민
5,7-디플루오르-1-브로모메틸나프탈린 2.3g을 에탄올 10ml에 용해한후에, 냉각하면서 35% 에탄올성 메틸아미노용액 15ml에 서서히 적가한다. 1시간후에 냉각을 중지하고,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2N 염산에 첨가한다. 수용액상은 에테르로 세정하고 고체탄산칼륨으로 알칼리성으로 만든다. 에테르로 추출하여 m.p.(HCl)가 224-228℃인 무색오일상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N) 5,8-디플루오로-1-브로모메틸나프탈린(실시예 19)
a) 5,8-디플루오로-4-메틸-1-테트랄올
5,8-디플루오로-4-메틸-1-테트랄온 5g을 메탄올 75ml에 용해하고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1g을 소량씩 첨가한다. 상온에서 2시간 경과후에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여물은 수층과 에테르층으로 분리한다. 수용액층은 에테르로 추출하는 한편 혼합 유기층은 건조 및 농축한다. n-헥산으로 재결정화하여 m.p.가 73-75℃인 무색 결정의 순수한 생성물을 수득한다.
b) 5,8-디플루오로-1-메틸나프탈린
5,8-디플루오로-4-메틸-1-테트랄올 3g을 황 1g과 함께 5시간동안 환류시킨다. 혼합물을 냉각하여 에테르로 희석하고, 0℃에서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생성물은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섹산)에 의해 정제한다.
c) 5,8-디클로로-1-브로모메틸나프탈린
If)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라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 헥산/에틸아세테이트=98/2)에 의해 순수한 화합물을 얻는다.
O) (5-플루오로-1-나프틸메틸)메틸아민(실시예 53 및 65)
a) 5-플루오로-1-나프트알데히드
5-플루오로-1-나프토니트릴 1.95g을 순수한 톨루엔 40ml에 용해하고 -30℃로 냉각한다. 이 온도에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톨루엔중의 20% 용액) 11ml를 적가한 후 냉각시키지 않고 2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한다. 상을 분리하고, 수용액상은 톨루엔으로 추출하는 한편 혼합 유기상은 건조 및 농축한다. 에테르/석유 에테르에 의해 재결정화하여 m.p.가 93℃인 무색결정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는다.
b) (5-플루오로-1-나프틸메틸)메틸아민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5-플루오로-1-나프탈데히드 및 메틸아민으로부터 무색유상의 화합물을 얻는다.
P) 4-(디메틸페닐실릴)벤질브로마이드(실시예 24)
a) 4-(디메틸페닐실릴)톨루엔
브로모톨루엔 5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ml에 용해하고 065℃에서 헥산중의 부틸리튬 등몰량과 서서히 반응시킨다. -65℃에서 30분 경과후, 디메틸페닐클로라이드실란 5g을 적가하고 냉각을 중지한다. 상온에서 2시간 경과후, 혼합물을 얼음물에 부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0.13mbar/95℃에서 보올-튜우브로 증류한다.
b) 4-(디메틸페닐실릴)벤질브로마이드
Q) 1-페닐-1(4-브로모메틸페닐)에틸렌(실시예 31)
a) 1-메톡시-1-페닐-1-톨릴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ml 중에서 1-페닐-1-톨릴에탄올 2g을 80% NaH 0.56g과 하게 하룻밤동안 교반한다. 여기에 메틸아이오다이드 3.7g을 첨가하고 6시간동안 계속해서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염산 수용액에 용해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유상의 생성물을 실리카겔컬럼(용리제 ; 시클로헥산)으로 정제한다.
b) 1-페닐-1(4-브로모메틸페닐)에틸렌
A)와 유사한 방법으로, 1-메톡시-1-페닐-1-톨릴에탄을 출발물질로 하여 유상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R) 5-클로로-2-(4-브로모메틸벤조일)티오펜(실시예 32)
a) 5-클로로-2-(4-메틸벤조일)티오펜
AlCl35.17g을 디클로로에탄 1.2ml에 현탁하고, 2-클로로티오펜 3.84g 및 p-톨루일클로라이드 5g을 냉각하에 적가한다. 상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이 혼합물을 HCl 수용액과 혼합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톨루엔을 용리제로 하여 실리카컬럼에 의해 유상의 생성물을 정제한다.
b) 5-클로로-2-(4-브로모메틸벤조일)티오펜
A)와 유사한 방법으로, 5-디클로로-2-(4-메틸벤조일)티오펜을 출발물질로 하여 유상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S) 1-(4-클로로페닐)-1-(4-아미노메틸페닐)시클로프로판(실시예 34)
a) 1-(4-클로로페닐)-1-(4-시아노페닐)에틸렌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4-클로로-4'-시아노벤조페논을 출발물질로 하여 직접 반응시킬 수 있는 유상의 생성물을 얻는다.
b) 1-(4-클로로페닐)-1-(4-시아노페닐)시클로프로판
구리분말 600mg을 톨루엔 10ml 중에서 요오드 10mg으로 부식시킨다. 디요오드메탄 1.2g 및 1-(4-시아노페닐)-1-(4-클로로페닐)-에틸렌 500mg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40시간동안 환류시킨 후에 여과하여 여액을 농축한다. 톨루엔을 용리제로 하여 유상의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한다.
c) 1-(4-클로로페닐)-1-(4-아미노메틸페닐)시클로프로판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230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ml에 현탁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ml 중의 1-(4-클로로페닐)-1-(4-시아노페닐)시클로프로판 234mg을 적가하여 이 혼합물을 18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1N HCl로 가수분해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유상의 표기 화합물을 직접 반응시킨다.
T) N-메탈-3-t-부틸-2-메톡시벤질아민(실시예 62 및 63)
a) 3-t-부틸-2-메톡시벤질브로마이드
A)와 유사한 방법으로, (2-t-부틸-6-메틸페닐)메틸에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후속 반응에 적합한 미정제 생성물을 얻는다.
b) N-메틸-3-t-부틸-2-메톡시벤질아민
M) g)와 유사한 방법으로 무색오일을 얻는다.
U) 1-페닐[1-(4-아미노메틸)페닐]시클로프로판(실시예 12)
S)와 유사한 방법으로, 1-페닐-1-(4-시아노페닐)에틸렌을 출발물질로 하여 유상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V) (6-플루오로-1-나프틸메틸)메틸아민(실시예 58)
O)와 유사한 방법으로 유상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NMR-스펙트라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Claims (4)

  1. 유리형태 또는 산첨가염형태의 하기 일반식(Ij)의 화합물 :
    Figure kpo00039
    상기식중, R"1은 하기 일반식의 기이고 ;
    Figure kpo00040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또는 R"1과 R"2가 이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하기 일반식(IIg)의 기를 형성하고 ;
    Figure kpo00041
    일반식(IIa) 내지 (IIg)에 있어서, R7및 R8는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9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10및 R11은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및 R11중의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인 경우에 다른 하나는 수소 이외의 다른 것이고, X는 산소, 황, 이미노, 저급알킬이미노, -O-CH2- 또는 -CH2-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s는 3,4 또는 5이고, v는 3,4,5 또는 6이고, 일반식(IId)의 -CH2-기중 1 또는 2개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3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할로겐알킬이고, R4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6는 하기 일반식의 기이고 ;
    Figure kpo00042
    일반식(IIIa) 내지 (IIIe)에 있어서, R7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3(R3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이고,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콕시카르보닐, 저급알킬티오, 페닐, 펜알킬, 트리알킬실릴, 디알킬페닐실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알킬, 페닐 또는 펜알킬은 페닐,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펜알콕시, 저급알콕시페닐, 저급알킬페닐, 할로겐페닐, 할로겐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치환가능하고 ; 카르보닐에 의해 임의 치환되며 ; 또는 R"1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IIa) 내지 (IIf)의 기이고, R"2및 R"3가 함께 -(CH2)u-(여기에서, u는 1 내지 8의 정수이다)를 형성하며, R4,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단, a) R"1이 나프틸인 경우에, R"2,R"3,R4및 R5는 수소이고, R"6은 일반식(IIIa)의 기이고, 일반식(IIIa)에 있어서, R8이 수소이며 R12및 R7은 할로겐이 아니고, R7이 수소이면 R12는 할로겐 또는 메틸이 아니며, b) R"1이 하기 일반식의 기인 경우에,
    Figure kpo00043
    (식중, R'7및 R'9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s는 3,4 또는 5이다.)
    R"2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X가 산소, 황 또는 질소이고 R4및 R5가 수소이면 R"6은 하기 일반식의 기가 아니다 ;
    Figure kpo00044
    (상기식중, Z'는 산소 또는 황이고, R"7은 수소이고,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12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할로겐이다.)
  2. N-메틸-N-(1-나프틸메틸)-4-(2-페닐-2-프로필)벤질아민.
  3. 제 2 항에 있어서, 산첨가염의 형태인 화합물.
  4. 약학적 허용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유리형태 또는 약학적 허용 산첨가염형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약학조성물.
KR1019870007050A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95001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050A KR950013104B1 (ko)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050A KR950013104B1 (ko)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48A KR890001948A (ko) 1989-04-06
KR950013104B1 true KR950013104B1 (ko) 1995-10-24

Family

ID=1926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050A KR950013104B1 (ko)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1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48A (ko) 198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4575A1 (en) 2-amino-4 or 5-methoxycyclohexyl amides useful as analgesics
JP2902701B2 (ja) 新規な1,2―シクロヘキシルアミノアリールアミド類
KR920010574B1 (ko) 아민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EP0000896B1 (en) Propenyl amin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63313753A (ja) プロペニルアミン類、その製造法、これを含む薬剤組成物および医薬としてのその用途
JPH05503517A (ja) シグマレセプターリガンド及びその用途
CA2541066C (fr) Derives d'indanyl-piperaz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CA1334973C (en) Amin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fungicides containing the same
JP5565667B2 (ja) 新規ジヒドロナフタレ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5231092A (en) Hexahydroazep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1995004028A1 (en) Indane and tetrahydronaphthalene derivatives as calcium channel antagonists
KR950013104B1 (ko)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NL8001981A (nl) Benzoxepinederivaat en farmaceutische preparaten op basis daarvan.
EP0230020B1 (en) 1,2,3,4,4a,9b-hexahydro-4a-aminoalkyldibenzofuran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HU213671B (en) Process for producing novel and known 4-aryl-4-piperidine or pyrrolidine or hexahydroazepine carbino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novel compounds
US3997608A (en) N-substituted-dihydroxyphenethylamines
JPH0617341B2 (ja) 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真菌剤
WO2006106432A2 (en) 4-arylpiperid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for preparing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cns disorders
US3956391A (en) Amino substituted tetrahydropleiadenes
US2740795A (en) Isoindolineicompounds
GB2120663A (en) Allylamine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CA2417361C (en) New phenyl- and phenylalkyl-substituted ethanolamines and ethylenediamines
JPS62201850A (ja) アミン誘導体類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CA2139116A1 (fr) 1-aryl (o-alcoxyphenyl-4 piperazinyl-1)-2, -3 ou -4 alcanol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our la preparation de medicaments
PL155263B1 (en) Method of obtaining novel ami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