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48A - 아민유도체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아민유도체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48A
KR890001948A KR1019870007050A KR870007050A KR890001948A KR 890001948 A KR890001948 A KR 890001948A KR 1019870007050 A KR1019870007050 A KR 1019870007050A KR 870007050 A KR870007050 A KR 870007050A KR 890001948 A KR890001948 A KR 89000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group
halogen
formula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104B1 (ko
Inventor
스튀쯔 안톤
누스바우메르 페터
Original Assignee
제랄드 디.샤르킨
산도즈 파마슈티칼스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랄드 디.샤르킨, 산도즈 파마슈티칼스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제랄드 디.샤르킨
Priority to KR101987000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104B1/ko
Publication of KR89000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아민유도체 및 그 용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8)

  1.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약제에 받아들일 수 있는 산첨가 염형태의 전신약제용 화합물.
    상기 식중, R₁은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기이고,
    R₂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또는 R₁과 R₂가 탄소원자를 공유하여 연결된 것은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기이고,
    구조식(IIa) 내지 (IIg)에 있어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기이고,R9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기이고,R10및 R11은 각각 수소, 할로겐,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및 R11중의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인 경우에 다른 하나는 수소가 아닌 다른 것이고, X는 산소, 황,아미노, 저급알킬이미노, -O-CH₂- 또는 -CH₂-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S는 3,4 또는 5이고, V는 3,4,5 또는 6이고, 구조식(IId)의 -CH₂- 중 1 또는 2개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₄ 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₃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할로겐 알킬기이고,R6는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기이고,
    구조식(IIIa) 내지 (IIIe)에 있어서, R7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₃(R₃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이고,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시클로알킬알킬,저급알콕시, 저급알콕시카르보닐,저급알킬티오,페닐, 펜알킬, 트리알킬, 트리알킬시릴, 디알킬페닐시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시클로알킬알킬,페닐 또는 펜알킬은 페닐,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펜알콕시, 저급알콕시페닐, 저급알킬페닐, 할로겐페닐, 할로겐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치환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카르보닐로 치환되고, 또는 R₁은 상기 정의와 같이 구조식(IIa) 내지 (IIf)의 기이고, R₁와 R₃는 공히 -(CH₂)u-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u는 1내지 8의 정수이고, R₄,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신항진균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구조식(I)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농업에 받아들일 수 있는 염 또는 금속 착화물형태의 농화학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식물병원체균의 퇴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약제에 받아들일 수 있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전신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된 구조식(I)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약제에 받아들일수 있는 산첨가염 형태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신약제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비국소적 전신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농업에 받아들일 수 있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 1항에서 정의한 구조식(I)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농업에 받아들일수 있는 염 또는 금속 착물형태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농화학 조성물.
  8.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I)의 화합물의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의한 조성물 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의한 용도. 구조식(I)에 있어서, a) R₁은 구조식(IIa) 내지 (IIf)의 기이고 R₂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또는 R₁과 R₂는 공히 구조식(IIg)의 기를 나타내고, 구조식(IIa)내지 (IIg)에 있어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9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10및 R11은 각각 수소, 저급알킬,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또는 R11중의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인 경우에 다른 하나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산소, 황 ,이미노, 저급알킬아미노 또는 -CH₂-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u는 3,4 또는 5이고, V는 3,4,5 또는 6이고, 구조식(IId)의 기에 있어서 1 또는 2개의 CH₂기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₄ 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₃는 수소,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알킬기이고 R6은 구조식(IIIa)내지 (IIIe)의 기이고, R7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₃(R₃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이고,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페닐, 펜알킬, 트리알킬시릴, 디알킬페닐시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페닐 및 펜알킬은 저급알콕시로 치환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카르보닐로 치환되며 또는 b) R₁은 a)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구조식(IIa) 내지 (IIf)의 기이고, R₂ 및 R₃는 공히 -(CH₂)u-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u는 1내지 8의 자연수이고, R₄,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9.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I)의 화합물의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의한 조성물 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의한 용도. 구조식(I)에 있어서, (i) a) R₁은 구조식(IIa) 또는 (IIb)의 기이고, b) R₂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c)R₃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d) R6은 구조식(IIIa)기이고, 식중, R7및 R8은 각각 산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X는 -O-CH₂-, 산소 또는 황이고, R₄ 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이고 R12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콕시카르보닐, 저급알킬티오, 페닐, 펜알킬, 트리알킬시릴, 디알킬페닐시릴 또는 할로겐이고,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알킬, 페닐 또는 페닐알킬은 페닐, 저급알콕시, 저급알킬티오, 펜알콕시, 저급알콕시페닐, 저급알킬페닐, 할로겐페닐, 할로겐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 치환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카르보닐기로 치환되고, (ii) a) R₂는 수소이고, b) R₃는 저급알킬기이고, c) R7및 R8은 수소이고, d) X는 황이고, e) R₄ 및 R5는 수소이며 그밖의 치환체는 (i)에서의 정의와 동일하고, (ⅲ) R₁은 구조식(IIa),(IIb),(IIc),(IId)또는 (IIe)의 기이고 R₂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또는 R₁와 R₂는 공히 구조식(IIg)의 기를 나타내고, 식중, R7및 R8은 각각 수소,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9는 수소, 할로겐,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기이고, R10및 R11은 각각 수소, 저급알킬,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저급알콕시 또는 저급알킬티오기이고 R10또는 R11중의 하나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콕시기인 경우에 다른 하나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산소 ,황, 이미노, 저급알킬이미노, -O-CH₂- 또는 -CH₂이고, P는 1,2 또는 3이고, S는 3,4 또는 6이고, V는 3,4,5 및 6이고, 구조식(IId)의 1 또는 2개의 CH₂기는 산소 또는 황으로 치환가능하고 R₄ 및 R5는 각각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₃는 수소,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알킬기이고 R6은 구조식(IIIa),(IIIb),(IIIc),(IIId) 또는 (IIIe)의 기이고, 식중 R7및 R8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고, W는 2,3,4,5 또는 6이고, Z는 산소, 황, 또는 N-R₃(R₃는 상기 정의의와 동일함)이고 R12는 구조식(I)의 정의와 동일하고, 또는 ,R₁은 구조식(IIa) 내지 (IIe)의 기이고, R₂ 및 R₃는 공히 -(CH₂)u-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u는 1 내지 8의 자연수이고 R₄ R5및 R6은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
  10.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I)의 화합물의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의한 조성물 또는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의한 용도. 구조식(I)에 있어서,a) R₁은 나프틸이고, R₂R₃,R₄ 및 R5는 수소이고, R6은 구조식(IIIa)의 기이고, 식중, R8은 수소이고, R7및 R12은 동시에 할로겐이 아님은 물론 R7이 수소인 경에 R12는 할로겐 또는 메틸기가 아닌 다른 것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 1항의 정의와 동일하고, 또는 b) R₁은 구조식 (IIa),(IIb),(IIc) 또는 (IId)의 기이고, 식중, R8은 수소이고, R7및 R9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R₂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X는 산소, 황 또는 이미노기이고, R₄ 및 R5는 수소이고, R6은 구조식(IIIa) 또는 (IIId)의 기가 아닌 것을 제외하고는 제 1항의 정의와 동일하고, Z는 산소 또는 황이고, R7은 수소이고,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12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할로겐이다.
  11.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산첨가염형태의 화합물
    상기 식중, R₄ 및 R5는 제 1항의 정의와 동일하고, R″₁,R″₂,R″₃ 및 R″6은 각각 하기의 조건하에 R₁,R₂,R₃ 및 R6의 정의와 동일하다. a)R″₁이 나프틸인 경우에,R″₂,R″₃ R″₄ 및, R5는 수소인 한편 R″6은 구조식 (IIIa)의 기이고, 구조식(IIIa)에 있어서, R8이 수소이면 R12및 R7은 할로겐이 아니고 R7이 수소이면 ,R12는 할로겐 또는 메틸이 아니다. b)R″₁이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기인 경우에,
    식중, R'7및 R'9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S는 3,4 또는 5이고, R'₂가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 X가 산소, 황 또는 질소이고, R₄ 및 R5가 수소이면 R″6은 하기의 구조식을 가지는 기가 아니다.
    상기 식중, Z'는 산소 또는 황이고, R″7은 수소이고, R'8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알킬기이고 R12는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할로겐알킬 또는 할로겐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구조식(I)의 치환제는 제11항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제 8항의 정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11항에 있어서, 구조식(I)의 치환제는 제11항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제 9 항의 정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4. N-메틸-N-(1-나프틸메틸)-4-(2-페닐-2-프로필)벤질아민.
  15. 제14항에 있어서, 산첨가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6. 약제에 받아들일 수 있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11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구조식(I)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약제에 받아들일수 있는 산첨가염형태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약제조성물.
  17. 제11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구조식(I)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약제에 받아들일수 있는 산첨가염형태의 약제용 화합물.
  18. 제11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구조식(I)을 가지는 유리형태 또는 약제에 받아들일수 있는 산첨가염형태의 항진균제용 화합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70007050A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95001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050A KR950013104B1 (ko)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050A KR950013104B1 (ko)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48A true KR890001948A (ko) 1989-04-06
KR950013104B1 KR950013104B1 (ko) 1995-10-24

Family

ID=1926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050A KR950013104B1 (ko) 1987-07-01 1987-07-01 아민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1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104B1 (ko) 199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342A (ko) 1,4-디아제핀 유도체 및 그의 약학적 이용
HUP0004529A2 (hu) VLA-4 által mediált leukocita adhéziót gátló szulfonilezett dipeptid-származékok, ezeket tartalmazó gyógyászati készítmények, valamint alkalmazásuk
CA2457054A1 (en) Activator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delta.
DE69827785D1 (de) 1,4-substituierte cyclische aminderivate
DK490288A (da) Substituerede thiazolidindionderivater
KR900018098A (ko) 피리돈 카르복실산과 항균제
ATE102193T1 (de) Thiazolidinedionederivate.
KR910016697A (ko) 테트라히드로피리딘 유도체
ATE175661T1 (de) Benzamid-derivate als vasopressin-antagonisten
EP0775487A4 (en) TRIAZINE DERIVATIVE AND MEDICINE
KR870007099A (ko) 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DK657988D0 (da) Substituerede alkylaminderivater, deres fremstilling og anvendelse
KR900004728A (ko) 부티닐아민 유도체
KR900014396A (ko) 티에노-트리아졸로-디아제핀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치료 조성물
NO941451D0 (no) Oksazolinderivat
KR920016089A (ko) 제i형 당뇨병의 치료방법
KR890014448A (ko) 아실페놀 유도체
KR920016448A (ko) 피페리딘 유도체
HUP9700955A2 (hu) Szubsztituált 2-naftoil-guanidin-származékok, előállításuk, valamint az e vegyületeke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ek
DE69416683D1 (de) Benzolactam-derivate
KR920014818A (ko) 항균제
KR890001948A (ko) 아민유도체 및 그 용도
HUP9904594A2 (hu) Piperazinoszármazékok, ezeke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ek és alkalmazásuk
KR860003247A (ko) 티아디아진 화합물 및 그 염의 제조방법
DE69226931D1 (de) Guanidinothiazolederivate und ihre Anwendung als H2-Rezeptor-Antagonis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