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623B1 - 팝노이즈 제거회로 - Google Patents

팝노이즈 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623B1
KR950011623B1 KR1019880017614A KR880017614A KR950011623B1 KR 950011623 B1 KR950011623 B1 KR 950011623B1 KR 1019880017614 A KR1019880017614 A KR 1019880017614A KR 880017614 A KR880017614 A KR 880017614A KR 950011623 B1 KR950011623 B1 KR 95001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ollector
resistor
transistor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145A (ko
Inventor
최고희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최근선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623B1/ko
Publication of KR90001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팝노이즈 제거회로
제1도는 종래외 팝 노이즈 제거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11 : 저항 Q1~Q9 : 트랜지스터
C1, C2 : 콘덴서 A : 정상상태시 동작되는 회로부.
본 발명은 팝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파워 앰프 및 기타 회로에 적당하도록 한 SCR동작을 이용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팝 노이즈 제기회로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PNP트랜지스터(Q1, Q2)는 에미터가 서로 연결되어 저항(R3)을 거쳐 전원 Vcc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콘덴서(C1)와 저항(R2)의 병렬연결을 통해서는 접지되고 저항(R1)을 거쳐서는 전원 Vcc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콘덴서(C2)와 저항(R7)의 병렬연결을 통해서는 접지되고 저항(R6)을 거쳐서는 Vcc와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 및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테 동시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3, Q4)의 에미터는 각각 저항(R4)(R5)를 거쳐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는 저항(R8)을 거쳐 전원 Vcc와 연결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 베이스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와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9)을 거쳐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7)의 에미터는 저항(R11)을 거쳐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는 콘트롤 전압 Vo와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10)을 거쳐 전원 Vcc와 연결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1~Q4)는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며 콘덴서(C1, C2)는 이 증폭기의 비교입력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제1도에서 콘덴서(C1, C2)을 콘덴서(C2)보다 적당히 크게 선택하면 '온'하는 순간 콘덴서(C1)가 콘덴서(C2)보다 충전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해서 트랜지스터(Q1)가 '온'이 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오프'가 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Q3, Q4, Q5)도 오프되어 저항(R8)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6)만으로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7)가 '온'하게 되어 저항(R10)을 거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7), 저항(R11)을 통하여 접지로 흐르므로 파워 앰프의 콘트롤 전압 Vo는 '로우'로 나타나게 된다.
일정시간이 지난후 콘덴더(C2)의 전압이 콘덴서(C1)의 전압보다 낮아지면 트랜지스터(Q1)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가 '온'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Q3, Q4, Q5)도 '온'되어 저항(R8)을 거쳐 흐르는 전류가 트랜지스터(Q5)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6, Q7)는 '오프'가 되어 콘트롤 전압 Vo는 전원 Vcc로 나타나게 된다.
즉 상기 회로는 콘덴서(C1, C2)의 충전전압 차이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5)를 '온' '오프'시키고 이것때문에 트랜지스터(Q7)가 '온' '오프'되어 콘트롤 전압 Vo를 '하이'와 '로우'로 조정하여 파워 앰프를 '온' '오프'시킨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를 '온'하는 순간 발생하느 팝 노이즈는 전원을 '온'하는 순간 콘트롤 전압 Vo로 파워 앰프를 '오프'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상 동작을 하게된다.
그런데 종래 회로는 IC회로를 구성할 때 콘덴서(C1, C2)를 2개 사용해야 하므로 칩상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또 콘덴서(C1, C2)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칩 외부의 핀을 사용하여 외부 소자로 구성하게 되므로 별도의 핀이 2개 필요하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보다 약간 낮거나 같도록 정확하게 맞추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에 따라 구성 및 동작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서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가 서로 연결되고 각 에미터는 전원 Vcc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와 연결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6, Q7)의 베이스 및 트랜지스터(Q5)콜렉터와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3)를 거쳐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저항(R2)을 거쳐 접지되고, 그 베이스는 콘덴서(C1)를 거쳐서 접지됨과 동시에 저항(R1)을 거쳐서는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저항(R1, R6)을 거쳐서는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와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4, Q5)는 베이스가 서로 연결되고 각 에미터는 저항(R4)를 거쳐 전원 Vcc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4, Q5)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6, Q7)의 에미터는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와 연결됨과 동시에 저항(R5)를 거쳐 전원 Vcc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는 전원 Vcc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는 저항(R8)을 거쳐 접지되며 그 콜렉터는 저항(R7)을 거쳐 전원Vcc와 연결됨과 동시에 콘트롤 전압 Vo와 연결된다.
상기 구성 회로의 동작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에서 전원 스위치를 '온'하는 순간에는 저항(R5), 트랜지스터(Q8) 및 저항(R6), 트랜지스터(Q9), 저항(R8)만이 동작하게 되어 전원 Vcc는 저항(R7), 트랜지스터(Q9), 저항(Q8)을 거쳐 접지로 흐르므로 콘트롤 전압 Vo는 '로우'가 되고 또는 이때 전원 Vcc는 트랜지스터(Q8), 저항(R6, R1)을 거쳐 콘덴서(C1)로 인가되므로 콘덴서(C1)가 충진되기 시작한다.
일정시간 후 콘덴서(C1)에 트랜지스터(Q3)를 '온'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 충전되면 트랜지스터(Q3)가 '온'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1, Q2)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6, Q7)를 '온'시키면 트랜지스터(Q4, Q5)도 '온'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6, Q7)는 포화상태이므로 저항(R5)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7)을 통해서 접지로만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8, Q9)가 '오프'되고 따라서 콘트롤 전압 Vo는 Vcc의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또 트랜지스터(Q8)이 '오프'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콘덴서(C1)가 방전하기 시작하여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Q1, Q2)도 오프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는 저항(R4, R5), 트랜지스터(Q4~Q7)로 구성된 'A'부 만이 동작하게 되며 파워 앰프 콘트롤 전압 Vo는 계속 전원 Vcc가 나타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Q9)가 '온'되었을 때 '로우', '오프'되었을때 '하이'의 콘트롤 전압 Vo로써 파워 앰프를 '온', '오프'콘트롤 하는데 여기서 전원스위치 '온'하는 순간 발생하는 팝 노이즈는 파워 앰프를 '오프'시킴으로서 출력에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원 스위치를 '온'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팝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 할뿐 아니라 콘덴서를 하나만 가지고 동작시킴으로 IC회로 설계시 핀이 수를 줄일 수 있고 또 SCR동작 회로를 트랜지스터 회로로 변환시킴으로 해서 회로설계가 용이하며 프로세서(process) 과정에서는 PNPN접합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파워 앰프 뿐만 아니라 기타 팝 노이즈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모든 시스템(통신기기, TV, VCR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팝 노이즈 제거 회로에 있어서, 베이스가 서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1, Q2)의 각 에미터에 전원 Vcc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이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동시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2)이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6, Q7)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3)을 거쳐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저항(R2)을 거쳐 접지되며 그 베이스는 콘덴서(C1)을 접지되고 저항(R1)을 거쳐서는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에 연결된 저항(R6)에 동시 연결되고, 베이스가 서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4, Q5)의 에미터는 저항(R4)를 거쳐 전원 Vcc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4, Q5)의 베이스에 동시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6, Q7)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5)을 거쳐 전원 Vcc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는 전원 Vcc이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는 저항(R8)을 거쳐 접지되고 그 콜렉터는 저항(R7)을 거쳐 전원 Vcc가 인가되고 동시에 콘트롤 전압 Vo이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노이즈 제거회로.
KR1019880017614A 1988-12-28 1988-12-28 팝노이즈 제거회로 KR95001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614A KR950011623B1 (ko) 1988-12-28 1988-12-28 팝노이즈 제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614A KR950011623B1 (ko) 1988-12-28 1988-12-28 팝노이즈 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45A KR900011145A (ko) 1990-07-11
KR950011623B1 true KR950011623B1 (ko) 1995-10-06

Family

ID=1928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614A KR950011623B1 (ko) 1988-12-28 1988-12-28 팝노이즈 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6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45A (ko)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58314A (en) Switching semiconductor devices
JP2693874B2 (ja) 遅延パルス発生回路
JP2648126B2 (ja) 低周波増幅器
KR950011623B1 (ko) 팝노이즈 제거회로
JPH0136290B2 (ko)
US5066874A (en) Signal output circuit having bipolar transistor in output stage and arranged in cmo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S61144905A (ja) スプリアス信号低減化回路
JPS5941642Y2 (ja) 送受信切換信号発生回路
EP0685941B1 (en) Bootstrap circuit
SU1633486A1 (ru) Полевой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KR940006927Y1 (ko) 오디오에서의 뮤팅회로
JP2776621B2 (ja) 出力回路
SU1665473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транзисторным ключом
JP2731284B2 (ja) 電圧駆動型素子の駆動回路
JPH0230900Y2 (ko)
KR100489587B1 (ko) 시간지연회로
KR870003013Y1 (ko) 바이어스 전압이 필요없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JPS6122345Y2 (ko)
JPH0722898Y2 (ja) ポップ音防止回路
JPS6419417A (en) Constant voltage source circuit
SU16369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вакуумным прибором
SU1238229A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KR900009976Y1 (ko) 뮤팅 회로
JPH0115217Y2 (ko)
JPS623520A (ja) 遅延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