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399B1 -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399B1
KR950011399B1 KR1019930005154A KR930005154A KR950011399B1 KR 950011399 B1 KR950011399 B1 KR 950011399B1 KR 1019930005154 A KR1019930005154 A KR 1019930005154A KR 930005154 A KR930005154 A KR 930005154A KR 950011399 B1 KR950011399 B1 KR 95001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parts
pts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713A (ko
Inventor
이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럭키
Priority to KR101993000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399B1/ko
Publication of KR94002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0Dyes ;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세정제 조성물의 모형도이다.
제2도 (1-1) 내지 (1-3)은 종래기술의 변기세정제 조성물의 모형도이다.
제2도는 (1-4)는 (1-3)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변기 세정효과 외에도 살균 및 방향효과를 강화시킨 2중 특수구조의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변기에 설치된 물탱크 속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탱크속 물에 용해되어 있다가 물탱크의 물이 변기통으로 쏟아져 들어갈때 유효성분도 함께 들어가서 변기를 세척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변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으면 물탱크의 물이 주위 낙하균 등에 의해 부패가 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 방향효과를 강화시킨 무용기형 변기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 변기세정제로서는 변기의 일정위치에 설치하여 물 공급에 의해 자동세정을 하는 2차적 세정제류와 세정제류를 뿌린 후 직접 브러시 등으로 하는 1차적 세정제류로 나눌수 있으며, 2차적 세정제류는 용기에 세정제를 투입시켜 설치하는 용기형과 용기가 없는 상태로 조성물 자체를 물탱크 내에 설치하는 무용기형 고형으로 다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은 후자에 해당한다. 종래 용기형 변기 세정제는 액체상으로 균일한 색상 유지와 방향효과를 겸비하여 청결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으나, 사용후 용기제거의 불편함과 용기 설치시나 용기 제거시 용액 누출이 심한 불편함을 안고 있다.
영국특허 제2021143호에 기재된 종래 무용기형 변기세정제는 세정기능과 수용액상의 용해성능만 강조하여 용기형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나, 고형에서 오는 세정기능 물질 선택의 한계와 균일치 못한 색상으로 인한 청결이미지 미비 및 고형유지와 세정기능 강조로 인한 살균, 방향효과 성분이 균일하게 용출되지 않아 어려움을 안고 있다.
액체 용기형태의 경우 최근 오렌지 껍질에서 추출한 D-리모넨의 세정기능과 방향기능이 탁월하여 다목적세제 등 여러분야에 적용하고 있다(유럽 특허 제0467660호 일본국 특허공개 소 61-238940호).
또한 미합중국 특허 4, 578, 207호에 기재된 변기세정제는 도면제2도 (1-3)과 같이 세정기능부분(A)와 소취기능부분(B)을 조합하여 제조하는데, 이것은 사용시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으나 소취성분의 적용 중량부가 세정성분에 대비하여 크므로 소취효과는 충분히 발휘하나 변기세정제의 1차적 기능인 세정효과와 청결 이미지 부여 목적의 염료 용출량이 상대적으로 미약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용출상태 불량으로 인한 균일 색상유지의 어려움을 지닌 무용기 형태와 용기 설치 및 제거의 불편함을 안고 있는 용기 형태들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효과 발휘 성분들을 각기 제조하고 이를 특수한 이중구조 형태로 조합한 고형 변기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은 주세제성분, 용해조절제, 경도강화제 및 염료로 구성된 제1성분(A)에 용해조절제, 경도강화제 및 방향과 살균성분으로 구성된 제2성분(B)를 조합한 이중구조 형태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주세제 성분은 5내지 20중량부 함유하고, 용해 조절제는 10내지 50중량부 함유하며, 경도강화제는 25 내지 40중량부 함유하며, 방향 및 살균성분은 3내지 20중량부 함유하고, 염료는 2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을 주세정성분 5 내지 20 중량부와 살균, 방향성분 3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며 특수한 이중구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살균, 방향효과성분(B)와 기타 세정, 청결효과성분(A)를 각기 제조하고 이들을 다시 혼합하여 두개의 정제가 하나의 정제형태(tablet)를 이루어 한정제에서 동시에 두 효과 성분들이 용출되어 각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할 수 있다.
세제성분으로는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고형이기 때문에 분말과 상온에서 고상을 나타내는 라우릴황산나트륨염이 적합하며, 그의 사용량은 5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세정성분을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세정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으며 20중량부 이상 사용하는 경유는 지나친 기포현상으로 청결한 이미지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에서 용해조절제로는 탄소수 10 내지 18개의 지방산계 모노 에탄올 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의 사용량은 10 내지 50중량부가 적합하다. 사용량을 10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는 용해조절 기능 발휘가 곤란하고 50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경우는 용해조절 기능이 너무 강해 다른 성분의 배출이 곤란하다.
또한 경도 강화제로서는 황산나트륨을 25 내지 4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25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는 경도가 낮아 제조 및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고 50 중량부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고형 형성이 곤란하다.
그외에, 방향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향을 첨가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런 향들로서는 오렌지 껍질 추출인 D-리모넨이나 소나무 향인 파인향 등이 있다. 살균효과 부여 목적으로 사용하는 살균성분은 C1위치가 치환된 디페닐 에테르가 적당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4, 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 에테르를 들 수 있다. 방향 및 살균성분의 사용량은 3 내지 20중량부가 적당하며, 3중량부 미만인 경우 제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20 중량부 이상인 경우 필요 이상의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살균성분은 0. 1내지 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에서 제1도의 (A)는 세정기능 부분(제1성분)을 나타내며, (B)는 살균, 방향기능 부분(제2성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은 제 2 성분(B)를 작은 정제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제1성분(A)에 이중구조 형태로 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정제형 무용기 변기세정제 조성물은 변기의 세정, 청결효과 및 살균, 방향효과가 대단히 높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다음 표 1의 조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완전 교반시켜 변기세정제 조성물의 제1및 2성분을 제조하여 정제형의 이중 특수 형태로 조합하였다.
[표 1]
평가방법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포도 측정 시험방법(KS M-2709), 생분해도 측정방법(KS M-2714), 용해분산성시험, 관능시험에 의거한 냄새 평가 및 살균평가를 수행하였다.
1. 기포도 시험
○ : Ross-Miles 측정기로 200ml 이하의 경우
× : Ross-Miles 측정기로 200ml 이상의 경우
2. 생분해도 시험
○ : 90%이상(KS M-2714에 의거, 실험 7, 8일자의 평균)
× : 90%이하(KS M-2714에 의거, 실험 7, 8일자의 평균)
3. 용해 분산성
(1) 시험방법
변기의 수조 용량을 10리터로 하여 20℃ 수조에서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20시간, 24시간 간격을 사용할 때 마다의 색 변화를 색차계(Color Difference Meter)로 측정하되 1일 사용량은 1.5g의 15회 분할량인 0. 1g을 표준치로 비교 평가하였다.
※ 시료 1개 중량 : 45g
※ 1일 화장실 평균 사용횟수(4인 가족 기준) : 15회
(2) 결과
색차계에 의한 표준치의 파란 색상치를 -3.0으로 잡을때 실시예 1내지 비교예 4의 각 6시료가 간격당 -2.0내지 -8.0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4. 방향효과 평가(자체 시험)
1평의 밀폐된 공간에서 60W 백열전구 1개의 조도에 30일간 30명이 직접 사용하면서 용변 전후 관능적으로 평가함.
○ : 청결한 느낌
× : 역겨운 느낌
5. 살균력 평가(자체시험)
(1) 실험 대상 균주 : 곰팡이, 박테리아
(2) 방법
1회 이론적 사용농도(0.1g조성물/10l)에 각 균주를 접종하여 초기 균주를 측정하여 24시간 방치후 균주의 변화를 측정한다.
(3) 평가
○ : 감소 균주가 10 이상으로 관찰될 때(살균력이 있다고 평가)
× : 감소 균주가 10 미만으로 관찰될 때(살균력이 없다고 평가)
상기 시험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표 2]

Claims (3)

  1. 주세제성분으로 라우릴황산나트륨염, 용해조절제로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산계 모노에탄올아미드, 경도강화제로 황산나트륨, 및 청색 1호 염료로 구성된 제1성분(A)에, 용해조절제로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산계모노 에탄올 아미드, 경도강화제로 황산나트륨, 방향성분으로 디-리모넨 또는 파인향 및 살균성분으로 C1 위치가 치환된 디페닐에테르로 구성된 제2성분(B)를 조합한 이중구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세제 성분은 5 내지 20중량부, 상기 용해조절제는 10 내지 50중량부, 상기 경도 강화제는 25 내지 40중량부, 상기 방향 및 살균성분은 3내지 20 중량부, 상기 염료는 2 내지 15 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변기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살균성분이 0.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살균성분이 2, 4, 4-트리클로로-2'-히드록시 디페닐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KR1019930005154A 1993-03-30 1993-03-30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KR95001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154A KR950011399B1 (ko) 1993-03-30 1993-03-30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154A KR950011399B1 (ko) 1993-03-30 1993-03-30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713A KR940021713A (ko) 1994-10-19
KR950011399B1 true KR950011399B1 (ko) 1995-10-02

Family

ID=1935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154A KR950011399B1 (ko) 1993-03-30 1993-03-30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713A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6778A (en) Environment safeguarding aqueous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s
CN101254157B (zh) 防腐剂组合物
US6267976B1 (en) Skin cleanser with photosensitive dye
JPH08283123A (ja) 水系ジェル状洗浄剤組成物
CA2304669A1 (en) Acidic, thickened cleaning and disinfecting compositions
JPH10509209A (ja) 液体クレンザとその使用
ES2081969T3 (es) Composicion liquida para la limpieza y la desinfeccion de inodoros.
KR950011399B1 (ko) 무용기형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JPS604876B2 (ja) 抗微生物性水性溶液
JPH02182793A (ja) 洗浄剤組成物
JPH01178596A (ja) 洗浄剤組成物
KR950008983B1 (ko) 액체형 변기 세정제 조성물
WO2006088446A1 (en) Use of dishwashing liquids for malodor reduction
CA1061675A (en) Antimicrobial cleaning compositions
JP2001181700A (ja) 水性液体洗浄剤
JP3995445B2 (ja) 台所用液体洗浄剤組成物
RU2221548C1 (ru) Жидкое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мыло
KR970002055B1 (ko) 항균 소취효과가 개선된 액체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4744732B2 (ja) 洗浄剤
JP2000070349A (ja) 防臭・消臭組成物
KR100555039B1 (ko) 주방용 세제 조성물
RU227987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жи рук
KR950008982B1 (ko) 디-리모넨을 함유한 액체 변기 세정제 조성물
JPS63248896A (ja) 洗浄剤
KR20010100419A (ko) 겔형 소변기 세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