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724B1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0724B1 KR950010724B1 KR1019930006084A KR930006084A KR950010724B1 KR 950010724 B1 KR950010724 B1 KR 950010724B1 KR 1019930006084 A KR1019930006084 A KR 1019930006084A KR 930006084 A KR930006084 A KR 930006084A KR 950010724 B1 KR950010724 B1 KR 9500107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st
- vehicle
- distance
- test vehicle
- dat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운전면허 기능시험장에서 주행시험 코스의 개요도.
제 2 도는 종래의 주행시험 코스에서 시험 검지선내 합격유무 판단하는 기준을 보여주는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주행시험 코스의 시험 검지선에 배치된 자성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 3 도(a)는 평면도이고 제 3 도(b)는 제 3 도(a)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시험차량에 부착된 자성체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시험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장치의 블럭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제어부(42)의 구체 블럭도.
제 7 도는 시험차량의 주행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적산부의 구조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탑재장치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
제 9 도는 제 8 도에서 시험 검지선 합격유무 판단모드의 제어 흐름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통제실에 구비된 통제실 제어장치의 구성 블럭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통제실 제어장치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시험차량 4 : 통제실
6 : 자성체 32 : 자성체 감지부
40 :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 42 : 제어부
44 : 무선송수신부 60 : 무선 제어부
62 : 주제어부 64 : 통제실 무선 송수신부
본 발명은 운전면허 기능시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체를 이용한 시험차량 위치검출 및 무선데이타 전송으로 주행시험 및 코스시험을 수행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운전면허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은 국가에서 실시하는 필기시험 및 기능시험에 응시하여야 한다. 그중 기능시험은 실제 운전에서 운전자가 당면하는 기본적인 외부 환경들을 가상적으로 만들어 놓고 응시자가 그 외부 환경에 잘 대처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상기 기능시험에는 코스시험과 주행시험으로 구별되어 있다. 코스시험에서는 굴절코스, T코스 및 S코스들에 대한 운전테스트가 있다. 그리고 주행시험에서는 주행도로 상에서의 외부 환경들 예를 들면, 좌우회전에서 깜박이 등의 정확한 사용여부, 일단정지, 신호대기, 돌발사태, 언덕등반 중 정지여부, 굴곡 있는 노면에서의 진행할 때의 운전테스트 등이 있다.
주행시험을 치르는 도로상에는 각 코스의 합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각 코스마다 감지등(통상적으로 운전면허시험장에서는 “안전기둥”이라 칭함)이 설치되어 있다. 감지등은 시험도로의 외곡에 수십 센치미터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으며 통제실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지등은 시험차량의 이동과 정지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결과 데이타를 유선을 통하여 통제실로 전송한다. 통제실에서는 시험차량의 각 구간마다의 결과데이타를 누적하고 그를 통하여 합격유무를 산출하여 레포팅한다.
제 1 도는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운전면허 기능시험장의 주행시험 코스를 보여주고 있다. (a)~(h)는 주행시험 각 코스들이다. (a)는 자동차의 출발선이고, (b)는 좌회전 구간이며, (c)는 신호대기선이다. 그리고 (d)는 횡단보도 지점이고, (e)는 돌발구간이며, (f)는 언덕시험 검지선 구간이다. (g)는 요철 및 좌회전 구간이며 (h)는 종료선이다. 감지등(8)은 상기 각 코스지점(a)~(h)의 도로 양쪽 외곽(또는 한쪽 외곽)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감지등(8)은 도로표면에서 수십 센치미터 또는 수 미터정도 높이를 가진 기둥이다. 이 기둥에는 센서(수신용)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 1 도에 도시된 시험차량(2)(시험차량 두 대가 도로상에 있음을 일예로 들고 있음)에는 좌,우측 깜박이의 작동상태, 주행거리 및 진동 등을 감지하여 각 코스의 합격사항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도로외곽에 설치된 감지등(8)으로 전송하기 위한 센서(송신용)가 있다. 이 센서(송신용)는 시험차량(2)의 차체에 부착되어 있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적외선이나 초음파와 같은 신호를 감지등(안전기둥)(8)으로 방사한다. 따라서 감지등에 구비된 센서(수신용)는 시험차량(2)의 센서(송신용)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이나 초음파 같은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의 차량(2)이나 감지등(8)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이다.
제 2 도는 종래의 주행시험 코스에서 시험 검지선내 합격유무 판단하는 기준을 보여주고 있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시험차량(2)의 차체에 부착된 센서(10)가 감지등(8)으로 신호를 적외선이나 초음파로 방사한다. 이때 센서(10)가 감지등(8)을 향하여 방사하는 각도는 보통 30도에서 50도 범위이다. 그리고 이때의 방사력은 차량(2)으로부터 감지등(8)까지의 거리(M)가 멀어질수록 떨어진다.
감지등(8)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12)는 시험차량(2)의 적외선(또는 초음파)센서(10)에서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적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감지등(8)의 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는 매설된 유선을 통하여 통제실(제 1 도의 4)로 전송한다. 통제실(4)에서는 유선선로를 통하여 각 감지등(8)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종합 분석하여 주행시험의 합격여부를 판단한다.
제 1 도와 제 2 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종래의 운전면허 기능시험의 채점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방식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주행중인 시험차량(2) 및 감지등(8)에 장착되어 있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므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한다.
첫째로,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시험차량(2)과 감지등(8)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때의 문제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이 방식은 바람이 많이 불때에 공기 중으로 초음파를 전달하는 전달율이 적어진다. 그리고, 비가 많이 올때에는 빗방울에 의한 초음파의 산란(난반사)으로 인해 감지등(8)의 센서(12)에서 수신하는 수신율이 떨어진다. 특히, 빗물이 센서의 진동자 케이스 내부로 스며들어 가면 초음파 센서는 전혀 작동하지 않는다.
둘째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시험차량(2)과 감지등(8)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때의 문제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이 방식은 태양광 등에 의한 외란이 심하다. 그리고 주위온도의 변화가 심할 경우 적외선의 간섭이나 기타 외부영향으로 감지등에 있는 센서(12)에서의 적외선 검출이 부정확하다. 또한 시험차량(2)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는 비가 내릴 경우에는 빗방울로 인한 난반사로 감지등(8)의 센서(12)에서 신호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한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사용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들은 주행시험 합격유무 판단기준에 치명적인 결함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방식의 다른 문제점은, 감지등이 도로상에 노출되어 있어 쉽게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받아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해 쉽게 노후 된다는 것이다. 또한 주행시험 응시자의 미흡한 운전으로 인한 충돌로 인해 시험차량 및 감지등 파손이 잦다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은, 각 주행코스의 감지등(8)들과 통제실(4) 사이에는 일일이 유선선로를 매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설치공사할때 뿐아니라 설치된 유선선로가 단선되거나 단락되면 이를 유지보수하는데도 어려움을 주었다.
그리고, 제 2 도의 시험차량(2)이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등(8)을 중심으로 주행시험의 합격범위에 있어도 시험차량(2)과 감지등(8)간의 거리(M)에 따라서 합격여부가 달라질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거리(M)가 짧으면 합격을 판단하는 신호감지폭이 적어져 불합격이 판정이 될 가능성이 있게 되고, 거리(M)가 넓으면 합격 판정이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면허 기능시험에 있어서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에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중인 시험차량을 도로바닥에 깔린 자성체의 자계를 이용하여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중인 운전면허 시험장의 시험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장치의 합격여부에 대응된 데이타를 무선으로 통제실에 전송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시험 코스 시험 검지선에서의 합격유무를 정확히 판단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진행 실시간 채점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부품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든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2도를 참조하면, 운전면허 기능시험 코스의 도로바닥(22)의 시험 검지선 밑에는 자성체(6)가 깔려 있다. 시험차량(2)에는 상기 자성체(6)의 자력선을 감지하고 거리를 측정하며 그에 따라 시험 검지선에서의 합격여부를 판단하여 통제실(4)로 무선으로 보내주기 위한 차량탑재장치(100)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통제실(4)에는 상기 차량탑재장치(100)에서 무선으로 보내주는 데이타를 수신하고 또 송신요구를 각 시험차량(2)으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제실 제어장치(200)가 구비되어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주행시험 코스의 시험 검지선에 배치된 자성체(6)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 3(a) 도는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제 3(b) 도는 제 3(a) 도의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제3(a)도에서 X는 시험 검지선 합격범위를 의미한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된 종래의 감지등(8)이 설치되어 있던 제 1 도에 도시된 각 구간(a~h)의 도로상, 즉 시험 검지선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자성체(6)가 배치되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감지등(8)은 필요가 없다. 자성체(6)는 소성 자게를 가지는 영구자석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성체(6)를 영구자석으로 사용하였지만, 영구자석뿐만 아니라 전자석 및 기타 자계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성체(6)의 치수는 가로(b)×세로(c)×높이(d)가 15×5×2센치미터 정도이다. 현 주행시험 코스의 한개 차선 도로폭(W)은 대략 3.5미터 정도가 되므로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정도의 자성체(6)가 시험 검지선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접한 자성체(6)간의 간격(1)은 80~100센치미터 정도가 좋다. 상기와 같이 자성체(6)를 몇개로 해서 소정 거리의 간격을 두어 시험 검지선에 배치하는 것은 원가 절감을 위해서이다. 이때 유의해야 할 것은 자성체(6)들은 자계가 상기 시험 검지선 영역에 모두 미치도록 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성체(6)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표면(22)에서 어느 정도 깊이(m)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험차량(2)의 하중에 의해서 자성체(6)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묻혀지는 깊이(m)는 도로 표면으로 충분한 자계가 형성되도록 고려해야 한다. 상기 자성체 매설 깊이(m)는 약 1~2센티미터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규격으로 실시하면, 자성체(6)의 자력선의 수직 반경은 대략 40센티미터 정도로 형성한다. 도로표면(22)에서의 시험차량(2)의 차측까지의 높이는 대략 20~40센티미터 정도이므로 자성체(6)의 자력선은 하기 설명될 시험차량(2)의 차측에 장착된 자성체 감지부(제 4 도의 32)에 충분히 감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6)의 배치는 도시된 제3(a)도 및 제3(b)도와 같이되어 있으나, 도로의 폭이나 시험차량(2)에 장착된 자성체 감지부(32)의 감지도를 높이도록 고려하면 자성체(6)의 갯수를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도와 같은 실시예는 주행시험 코스의 시험 검지선에 배치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들고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코스시험의 시험 검지선(출발선, 종료선 등)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행코스의 시험 검지선에 배치된 자성체(6)의 자력선을 감지하기 위해서 시험차량(2)의 차측에는 자성체 검지부(3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성체 감지부(32)는 제12도에 도시된 차량탑재장치(100)에 속한다.
제 4 도는 상기 자성체 감지부(32)가 부착된 시험차량(2)의 배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자성체 감지부(32)는 상기 제 3 도에서 설명된 자성체(6)의 자력선을 감지하여 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홀센서(Hall Sensor)[또는 홀소자(Hall Element)]이다. 자성체 감지부(32)인 홀센서들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의 전륜측(30)에 3~4개 정도로 배치되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홀센서들은 전륜측(30)의 가이드 전해철 철판에 일렬로 부착되어 있다. 자성체 감지부(32)를 다수개의 홀센서로서 설치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홀센서만이라도 자력선을 감지하면 시험차량(2)의 제어부로 감지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것은 자력선 감지효율을 높인다.
자성체(6)의 자력선을 감지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자성체 감지부(32)는 감지한 자력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하기에 설명되어질 차량탑재장치(100)의 제어부(제 5 도의 42)로 자계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시험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장치(100)의 블록도로서, 자성체 감지부(32),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40), 제어부(42) 및 무선송수신부(44)로 구성한다.
자성체 감지부(32)는 주행시험 코스의 시험 검지선에 매설된 자성체(6)의 자계를 감지하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2)로 자계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40)는 시험차량(2)의 주행거리 및 진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42)로 인가한다. 제어부(42)는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40)에서 인가되는 거리 및 진동감지신호 및 상기 자성체 감지부(32)로부터 출력되는 자계 감지신호들을 입력으로 해당 주행코스에서의 합격유무를 판단하고, 통제실(4)의 데이타 전송요구가 있으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무선송수신부(44)는 상기 제어부(42)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변조하여 무선으로 송출하고 통제실(4)이 무선으로 요구하는 전송요구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42)로 인가한다.
상기 차량탑재장치(100)의 제어부(42)의 구체 블럭도는 제 6 도와 같다.
제어부(42)에서, CPU(50)는 제어부(42)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롬(52)은 상기 CPU(50)에 의하여 제어되며 주행시험 각 코스의 합격유무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이 맵핑되어 있다. 램(54)은 상기 CPU(50)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프로그램에 수행후 생성된 합격유무 결과데이타를 통제실(4)의 전송요구가 있을 때까지 임시 저장한다. 신호입력부(56)는 시험차량(2)의 출발, 종료, 좌측 깜박이, 신호대기, 안전벨트 착용유무, 시동장치, 돌발상태, 언덕의 구간 등의 상태를 신호와,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제 5 도의 40)의 신호와, 자성체 감지부(3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CPU(50)로 인가한다. 그리고, 입출력포트(56)는 상기 CPU(50)와 무선송수신부(제 5 도의 44)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한다.
본 발명에서 시험 검지선내 합격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은 자계 검출 및 거리 측정인데, 자계를 발생하는 자성체(6) 및 자계를 검출하는 자성체 감지부(3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시험차량(2)의 주행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적산부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 7 도에서는 시험차량(2)의 주행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적산부를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거리 적산부에서 적산된 거리신호는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40)에서 감지되어 제 5 도의 제어부(42)를 인가된다.
제 7 도를 참조하여 거리 적산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시험차량(2)의 한바퀴 회전수 거리 적산원반(74)의 한 바퀴 회전수와 같다. 이때 시험차량(2)의 바퀴 회전을 전달하는 축은 케이블(72)이다. 상기 거리적산원반(74)상에는 10개의 자성체(70)가 거리적산원반(74)의 원주를 따라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열되어 있다. 제 7 도의 윗 도면은 거리적산원반(74)의 정면도이고, 아랫 도면은 그의 평면도이다. 상기 자성체(70) 바로 위에는 거리 신호감지부(40)가 위치되어 있다.
거리신호 감지부(40)는 상기 자성체(70)들이 감지될 때마다 펄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거리적산원반(74)이 한바퀴 회전하면(시험차량(2)의 바퀴가 한바퀴 회전함) 거리신호 감지부(40)에서는 10개의 펄스(거리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 5 도의 제어부(42)에서는 거리신호 감지부(40)에서 발생하는 펄스의 갯수로서 시험차량(2)이 진행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차량(2)이 한바퀴 회전할 때 1미터를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거리신호 감지부(40)에서는 10개의 펄스를 출력하면 시험차량(2)은 1미터를 진행한 것이다. 그리고, 1개의 펄스가 출력되면 시험차량(2)은 10센치미터의 거리를 진행한 것이다.
제 8 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탑재장치(100)에서 수행하는 제어흐름도를 보여주고 있고, 제11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통제실 제어장치(200)에서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제 8 도의 7c단계에는 시험 검지선 합격유무를 판정하는 서브루틴이 있는데, 그 서브루틴의 흐름도는 제 9 도에서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통제실(4)에 구비된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구성 블럭도를 보여주고 있다. 무선 제어부(60)는 주행 중인 시험차량(2)들에게 주행시험 각 코스에 따른 구간합격유무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고, 통제실 제어장치(200)내 무선송수신부(64)를 통하여 수신되는 구간합격유무 데이타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구간 합격유무를 데이타들을 집선하여 주제어부(62)로 제공한다. 주제어부(62)는 상기 무선 제어부(62)에서 제공하는 집선된 구간 합격유무 데이타들을 채점용 컴퓨터 및 대기자 모니터로 인가한다. 그러면 채점용 컴퓨터에서는 주제어부(62)에서 제공해 주는 데이타로서 주행시험에 대한 최종적인 결과를 채점한다. 그리고 대기자 모니터에서는 채점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주제어부(62)에서는 주행시험 코스에 있는 각 시험차량(2)들에 대한 출발명령 등에 응답하여 출발신호를 통신실 무선송수신부(64)를 통하여 각 시험차량(2)에 인가한다. 통제실 무선 송수신부(64)는 상기 무선 제어부(60)의 전송데이타 요구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신호로 시험차량(2)에 송출하며 시험차량(2)의 무선송수신부(제 5 도의 44)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 송수신은 폴링(Polling)방식으로 수행된다. 폴링방식은 무선 제어부(60)에서 각 시험차량(2)들에 대하여 수행한다. 통제실 제어장치(200)에서 각 시험차량(2)에 대해 무선송수신 수행하는 제어흐름도는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차량탑재장치(100)와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수행동작을 제 8 도 및 제11도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통제실(4)에 있는 통제관이 시험차량(2)들의 출발을 마이크를 통하여 명령하고 이에 대응하는 키를 동시에 누르게 된다.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주제어부(제10도의 62)에서는 출발명령에 대응된 데이타를 통제실 무선 송수신부(64)를 통하여 무선으로 변조하여 시험차량(2)으로 송출되게 제어한다. 무선으로 송출된 출발명령은 시험차량(2)에 탑재된 차량탑재장치(100)의 무선송수신부(44)를 통하여 복조되고 제어부(42)로 인가된다. 즉 이 신호는 상기 제어부(42)내에 있는 입출력 포트(58)로 통하여 CPU(50)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CPU(50)는 제 8 도의 7a단계와 같이 차량출발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을 한다. 이때 CPU(50)는 신호 입력부(56)의 출발에 대한 신호 및 거리 적산에 대한 신호플래그를 “세트”시킨다.
한편 해당 시험차량(2)에 승차된 주행시험 응시자는 스피커를 통해서 송출되는 통제관의 음성을 듣고 시험차량(2)을 출발시킬 것이다. 시험차량(2)이 주행시험 코스를 출발하게 되면, 상기 시험차량(2)에 탑재된 차량탑재시스템(100)의 제어부(42)는 후술될 제 8 도의 7c단계~7j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주행시험 코스를 출발한 주행시험 응시자는 각 구간의 시험 검지선에 정지시키려고 브레이크를 밟을 것이다. 시험차량(2)은 상기 응시자가 브레이크를 밟음에 따라 시험 검지선 앞에서 멈출 수 있고 상기 시험 검지선 뒤에서도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시험 검지선 상에 정확히 멈출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차량탑재시스템(100)의 제어부(42)는 7c단계에서 시험 검지선 합격유무를 판단모드의 서브루틴을 수행한다.
제 8 도의 7c단계의 시험 검지선 합격유무 판단모드의 서부루틴은 제 9 도와 같다. 제 9 도를 참조하면, 차량탑재장치(100)의 CPU(50)의 11a단계에서 시험차량(2) 정지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시험차량(2) 정지가 아니면 11b단계로 진행하여 자계검출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시험차량(2)의 정지는 제 6 도의 신호입력부(56)를 통하여 인식되며, 상기 자계검출은 시험 검지선 구간에서 자성체 감지부(제 5 도의 32)와 상기 신호입력부(56)를 통하여 인식된다. 이때 CPU(50)가 시험차량(2)의 정지를 먼저 인식하면 시험차량(2)은 시험검지선 지나기 전에 멈춘 것이고, CPU(50)가 자계를 먼저 인식하면 시험차량(2)은 상기 시험 검지선을 지난후 멈춘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시험 검지선을 지나기 전에 멈추었을때에는 CPU(50)는 11a단계~11k단계를 수행하여 합격유무를 판단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CPU(50)는 상기 11a단계에서 시험차량(2)의 정지를 감지하면 제 5 도의 램(5)에 있는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시킨다. 그후 시험차량(2)이 다시 출발하면 이를 11d단계에서 검출하고, 11f단계로 진행하여 제 5 도의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부(40)를 통하여 인가되는 펄스를 계수한다. 펄스의 계수(counting)는 제 7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시험차량(2)의 진행거리가 얼마인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차량탑재장치(100)의 CPU(50)가 펄스를 계수하다가 11g단계에서 제 5 도의 자성체 감지부(32)로부터 자계를 검출하면, 즉 시험차량(2)이 시험 검지선을 통과하게 되면 CPU(50)는 11j단계로 진행하여 지금까지 계수한 펄스의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계수 펄스의 수보다 적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계수펄스의 수는 시험 검지선 앞에서 정지한 시험차량(2)이 다시 출발한 지점으로부터 시험 검지선을 통과할 때까지, 즉 자성체 감지부(32)를 통하여 자성체(6)의 자계가 감지될 때까지의 거리가 합격범위(제 3 도에 도시된 X)내 일때의 최대 임계값이다.
따라서 상기 11j단계에서 지금까지의 계수한 펄스의 수가 상기 기준계수펄스의 수보다 작으면 충분히 합격범위에 들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CPU(50)는 이때에 11k단계로 진행하여 제 6 도의 램(54)상에 있는 그 주행구간에서의 양호 플래그를 “세트”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양호 플래그는 그 주행구간에서의 합격유무를 나타내는데, 만약 그 값이 “세트”상태이면 합격을 의미하고 “리셋”상태이면 불합격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 9 도의 11d단계와 11e단계에서 시험차량(2)이 정지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도 다시 출발하지 않으면 이는 불합격임으로 11m단계로 진행하여 양호 플래그를 “리셋”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11g단계에서 자계를 검출하지 못하면 즉, 시험차량(2)이 시험 검지선까지 가지 못하면 11m단계로 진행하여 양호 플래그를 “리셋”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11j단계에서 지금까지의 계수한 펄스의 수가 기준계수펄스의 수보다 크게 되면 합격범위에 들지 못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와 같이 11m단계로 진행하여 양호 플래그를 “리셋”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시험차량(2)이 시험 검지선을 지난 후 멈추었을 때에는 CPU(50)는 11b, 11h, 11i단계, 11g~11k단계를 수행하여 합격유무를 판단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CPU(50)는 상기 11a단계에서 시시험차량(2)의 정지를 감지못하면 11b단계를 수행한다. 11b단계에서 CPU(50)는 자계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시험차량(2)이 시험 검지선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자계는 검출되는데 이에 응답하여 CPU(50)는 11h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하고 거리 및 진동신호 감지를 통하여 인가되는 펄스를 계수한다. 그후 CPU(50)는 시험차량(2)이 정지하면 11i단계에서 이를 검출하고, 전술한 11g~11m단계를 수행한다. 즉 이때까지의 계수된 펄스의 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 계수펄스의 수와 비교하여 양호 플래그를 “세트”시키거나 “리셋”시킨다.
상기 제 9 도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시험 검지선에서의 합격유무판단 모드에 의하여 그 구간에서의 합격여부가 판정되면, 차량탑재장치(100)의 CPU(50)는 제 8 도의 7d단계로 진행한다.
제 8 도로 다시 돌아가면, CPU(50)는 7d단계에서 7c단계에서의 합격유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소정 포맷형식에 맞게 포맷팅한다. 상기 데이타의 포맷형식은 해당 주행구간 ID와 합격여부의 정보를 포함하게 되어 있다. 그후 CPU(50)는 7e단계에서 통제실(4)의 통제실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타 전송을 요구하는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통제실 무선 송수신부(64)는 폴링방식으로 각 시험차량(2)에 대하여 데이타 전송요구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7e단계에서 전송요구가 있으며 CPU(50)는 7d단계에서 포맷된 정보를 통제실(4)의 통제실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데이타 전송은 차량탑재장치(100) 및 통제실 제어장치(200) 의 무선송수신부(44,64)를 통하여 무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 8 도의 7e단계에서 통제실 제어장치(200)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요구가 없으면, 7f단계로 진행하여 전송할 데이타를 램(54)에 저장해 놓는다. 이렇게 구간 합격유무를 알리는 데이타를 저장시켜 놓는 것은 통제실 제어장치(200)와의 무선 불통 또는 무선 혼잡이 발생할때의 상기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CPU(50)는 7f단계에 응답하여 7g단계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을 기다리다가 다시 7e단계로 되돌아가 데이타 전송요구가 있는지를 계속 판단한다. 만약 무선 불통 또는 무선 혼잡이 없어져 통제실 제어장치(200)로 부터의 데이타 전송요구가 있으면 CPU(50)는 제 8 도의 7g단계에서 7h단계로 진행하여 램(54)에 저장된 데이타를(또는 데이타들을) 통제실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만약 시험차량(2)이 주행코스의 마지막 단계인 종료선(h)을 통과할때 통제실 제어장치(200)로부터의 데이타 전송요구가 있었다면, 지금까지 시험차량(2)이 통과한 모든 구간의 합격/불합격의 정보가 한꺼번에 전송될 것이다.
제 8 도의 7h단계에 수행한 CPU(50)는 7i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i단계에서는 지금까지 감지한 자성체의 감지횟수가 주행시험의 종료선(h)을 알리는 최종 자성체 감지횟수와 같은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감지한 자성체의 감지횟수가 상기 최종 자성체 감지횟수와 같지 않으면 시험차량(2)이 종료선(h)의 지점까지 도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CPU(50)는 7j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진행될 주행코스 구간을 설정하고 전술한 제 8 도의 7c단계로부터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7i단계에서 감지한 자성체의 감지횟수가 최종 자성체 감지횟수와 같으면 시험차량(2)이 종료선(h)의 지점을 통과한 상태이므로, CPU(50)는 과정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통제실(4)내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무선 제어부(60)가 각 시험차량(2)에 대하여 합격유무를 나타내는 데이타의 전송요구를 수행하는 동작을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금 통제실(4)에 있는 통제관은 주행시험시 즉 시험차량(2)이 주행코스에 있을때 시험차량(2)과의 통신을 위하여 키를 입력시킨다.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무선제어부(60)는 제11도의 8a단계에서 시험차량(2)과의 통신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있으면 8b단계로 진행하여 송수신모드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8b단계에서의 송수신모드제어에 의하여 송신모드로 설정(또는 전환)되었다면 무선 제어부(60)는 8c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8a단계에서 첫 해당 시험차량(2)에게 데이타 전송요구신호를 송출한다. 그후 8f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해당 시험차량(2)에게 데이타 전송요구를 신호를 송출한다. 그 다음에는 8g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시험차량(2)이 전송하는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한 8c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8c단계에서 모드제어가 송신모드가 아니면 8d단계에서 수신모드인가를 판단하고, 수신모드이면 무선 제어부(60)는 8h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시험차량(2)으로부터 데이타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타는 통제실 무선 송수신부(64)를 통하여 무선으로 수신된다. 상기 8h단계의 판단에서, 데이타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타를 통제실 제어장치(200)의 주제어부(62)로 출력한다. 이때 수신된 데이타는 해당 시험차량(2)의 주행시험 코스 하나의 구간에서의 합격유무 데이타일 수도 있고 주행시험 코스 전구간의 합격유무 데이타 모두가 될 수도 있다.
상기 8h단계에서 무선 제어부(60)가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하면 8j단계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 경과후 다시 데이타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하고, 수신되면 8i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이때에도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하면 8I단계로 진행하여 송신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8i단계를 수행한 무선 제어부(60)는 8k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타 수신완료인가를 판단하고 데이타 수선완료이면 과정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8I단계로 진행하여 송신모드로 전환한다. 데이타 수신완료는 해당 시험차량들이 주행시험 코스에 대한 합격유무 데이타를 무선 제어부(60)에 모두 전송하였을 때 발생한다. 그리고 상시 송신모드로의 전환은 다음 해당 시험차량 또는 다음 구간에서의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기 위함이다. 8k단계에서 송신모드로 전환되면 무선 제어부(60)는 8c단계로 되돌아가 그때부터의 전술한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한 제11도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차량(2)의 차량탑재장치(100)와 통제실(4)의 통제실 제어장치(200)는 통신을 수행하며 결국 통제실 제어장치(200)에서는 각 시험차량(2)의 주행시험 코스에 대한 합격유무를 모두 수신하게 된다.
송신/수신의 모드를 폴링방식으로써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의 해당 시험차량(2)의 주행코스에서 코스의 모든 구간을 다 실행할 때까지 수행하고 난 다음 종료한다. 수신된 모든 데이타는 제11도의 8i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62)로 출력되며, 주제어부(62)에서는 주행코스의 구간 및 해당시험챠랑들의 최종적인 합격유무를 국가에서 지정한 기준점수와 비교하여 판정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운전면허 기능시험의 주행시험을 일실시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에 입각하면 코스시험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음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여 진다. 그리고 일반적인 주차장의 출입구, 차량 톨게이트 등에서 일단 정지 및 정지 위치의 정확한 검출 유무를 판단할 때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면허 기능시험을 치르는 시험차량의 시험 검지선상의 정지의 합격유무를 시험 검지선 상에 위치한 자성체의 자계와 시험 검지선과 정지한 시험차량 간의 거리로서 판단하므로 운전면허 기능시험의 채점을 정확히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데이타의 무선송수신방식을 채택하므로 채점의 실시간 처리할 수 있고 시험자료(시험차량 및 채점기)의 손·망실이 별로 없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시스템 고장시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면허 기능시험 주행로의 시험 검지선 상에 배치되며 소정세기의 신호를 윗방향으로 발산하는 신호발산수단과, 상기 주행로를 주행하는 시험차량에 탑재되며 상기 발산되는 신호의 검출유무와 상기 시험차량의 상기 시험 검지선 근처에서 정지한 거리정도에 의거하여 기능시험 소정 구간 코스의 합격유무를 판단하고 소정 데이타 전송요구에 의하여 상기 합격유무의 데이타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운전면허 기능시험의 통제실내에 구비되며 해당되는 시험차량에게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의 전송요구를 소정 무선 통신방식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통제실의 주제어수단에 제공하는 제 2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산수단은 자계를 발산하는 자성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시험차량의 바퀴측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발산수단에서 발산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수단과, 상기 시험차량이 주행한 거리를 적산하는 거리적산수단과, 상기 진호감지수단의 신호감지때부터 상기 시험차량 정지때까지의 거리를 상기 거리적산수단으로부터 검출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시험 합격유무를 판단하고 소정 데이타 전송요구에 의하여 상기 합격유무의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탑재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수단의 무선 전송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탑재 제어수단에 인가하며 상기 차량탑재 제어수단이 출력하는 합격유무의 데이타를 상기 제 2 수단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차량탑재 무선송수신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시험차량에게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고 상기 시험차량의 제 1 수단으로부터 송출하는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를 상기 통제실의 주제어수단에 제공하는 통제실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으로부터 무선 송출된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통제실 제어수단에 인가하며 상기 통제실 제어수단의 전송요구를 상기 제 1 수단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제실 무선송수신수단으로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운전면허 기능시험 주행로에 시험 검지선에 깔려 있는 자성체와, 주행로를 주행하는 시험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성체 감지수단과, 주행거리를 적산하는 거리적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에서 해당 구간 합격유무 판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험차량이 시험 검지선 전 정지후에 재출발할때부터 상기 시험 검지선의 자성체를 감지할때까지 주행한 주행거리를 상기 거리적산수단으로 적산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시험차량이 시험 검지선의 자성체를 감지할때부터 시험 검지선을 통과후 정지할때까지 주행한 주행거리를 상기 거리적산수단으로 적산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과또는 제 2 과정에서 상기 적산한 시험차량의 주행거리가 해당 구간 합격기준의 거리범위에 있으면 합격으로 판단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 또는 제 2 과정에서 상기 적산한 시험차량의 주행거리가 해당 구간 합격기준의 거리범위에 있지 않으면 불합격으로 판단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시험 검지선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로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가로×세로×높이가 바람직하게는 15×5×2센치미터이며, 상기 시험 검지선에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매설깊이는 바람직하게 1~2센치미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수단은 자계를 검출하는 홀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면허 기능시험 주행로의 시험 검지선들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소정 세기의 자계를 윗방향으로 발산하는 자성체와, 시험차량의 바퀴측 근처에 부착되며 상기 시험차량의 주행시 상기 자성체에서 발산되는 자계를 감지하는 자성체 감지부와, 상기 시험차량에 탑재되며 상기 시험차량이 주행한 거리를 소정 단위 거리당 발생하는 펄스의 수로서 적산하는 거리적산부와, 상기 자성체 감지부에서의 자계감지와 상기 시험차량의 시험 검지선 부근 정지때까지의 주행거리를 상기 거리적산부에서 검사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시험 합격유무를 판단하고 소정 데이타 전송요구에 의하여 상기 합격유무의 데이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탑재 제어부와, 상기 시험차량에 탑재되며 상기 데이타 전송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탑재 제어부에 인가하며 상기 차량탑재 제어부에서의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차량탑재 무선송수신부와, 통제실에 구비되며 상기 시험차량에게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고 인가되는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를 상기 통제실의 주제어부에 제공하는 통제실 제어부와, 상기 통제실에 구비되며 상기 시험차량에서 무선 송출된 상기 합격유무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통제실 제어부에 인가하며 상기 통제실 제어부의 데이타 전송요구를 상기 시험차량으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제실 무선 송수신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 운전면허 기능시험 주행로에 시험 검지선에 깔려 있는 자성체와, 주행로를 주행하는 시험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자성체를 감지하는 자성체 감지부와, 주행거리를 적산하는 거리적산부를 구비하고 있는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에서의 기능시험 채점방법에 있어서, 통제실에서 상기 시험차량의 기능시험 주행로 출발을 상기 시험차량에게 지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 응답하여 상기 시험차량이 시험 검지선 전에 정지후 재출발할때부터 상기 시험 검지선 통과시 자성체를 감지할때까지 주행한 주행거리를 상기 시험차량의 거리적산수단으로 적산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 응답하여 상기 시험차량이 시험 검지선의 자성체 감지로부터 시험 검지선 통과후 정지때까지 주행한 주행거리를 상기 시험차량의 거리적산수단으로 적산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 또는 제 3 과정에서 상기 적산한 시험차량의 주행거리가 해당 구간 합격기준의 거리범위에 존재유무에 의거하여 상기 시험차량에서 구간 합격유무를 판단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구간 합격유무를 소정 무선통신방식에 맞는 전송데이타로 포맷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통제실에서 데이타 전송을 무선으로 요구함에 응답하여 상기 포맷된 전송데이타를 상기 시험차량에서 상기 통제실로 전송하는 제 6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에서 통제실에서 상기 데이타 전송요구를 하지 않으면 시험차량에서는 상기 포맷된 전송데이타를 소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6084A KR950010724B1 (ko) | 1993-04-12 | 1993-04-12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06084A KR950010724B1 (ko) | 1993-04-12 | 1993-04-12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4642A KR940024642A (ko) | 1994-11-18 |
KR950010724B1 true KR950010724B1 (ko) | 1995-09-22 |
Family
ID=1935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6084A KR950010724B1 (ko) | 1993-04-12 | 1993-04-12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107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2178B1 (ko) * | 2012-08-28 | 2014-04-04 | 한경열 |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4994B1 (ko) | 2019-10-25 | 2021-03-31 | 김미화 | Gps 기반의 운전능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
1993
- 1993-04-12 KR KR1019930006084A patent/KR9500107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2178B1 (ko) * | 2012-08-28 | 2014-04-04 | 한경열 | 장애인 전동 휠체어 및 스쿠터 안전운전 교육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4642A (ko) | 1994-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05556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with laser the passage by a vehicle of a point for monitoring on a road | |
JP3767285B2 (ja) | 移動体案内システム | |
US7701361B2 (en) | Parking information sens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
KR101705888B1 (ko) | 차량감지장치 및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과속 및 졸음 운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 |
JP4473809B2 (ja) | 移動体案内装置 | |
JP3530935B2 (ja) | 沿道環境監視システム | |
KR950010724B1 (ko) | 운전면허 기능시험 채점 시스템 및 방법 | |
JP2001307291A (ja) |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用通信装置 | |
JP3069341B1 (ja) |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 |
JP2004199587A (ja) |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 |
CN110555999B (zh) | 一种基于缓冲区的通过道路关卡的车辆辅助检测方法 | |
CN208110835U (zh) | 车辆信号采集检测控制系统 | |
JP3018175B1 (ja) | 走行支援道路システム | |
JP4394270B2 (ja) |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 |
JP2000194987A (ja) | 大型車誘導・警告システム | |
KR20140121499A (ko) | 주차유도 시스템 | |
CN207938198U (zh) | 一种智能停车管理系统 | |
CN102436747A (zh) | 高速公路违章占道车辆实时跟踪检测方法 | |
JP5338941B2 (ja) | 交通システム、および、装置 | |
JP5182551B2 (ja) | 交通システム、および、装置 | |
JP5082777B2 (ja) |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路車間通信方法とこれに用いる光ビーコン | |
KR102365476B1 (ko) | 도로상의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해서 신호체계를 자동 제어하는 its 기반 교통제어 시스템 | |
JP2739428B2 (ja) | 車両長検知装置 | |
JP2004013700A (ja) |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 |
CN219951630U (zh) | 一种基于行车振动检测隧道道路结构状况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