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04B1 -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04B1
KR950009604B1 KR1019860002479A KR860002479A KR950009604B1 KR 950009604 B1 KR950009604 B1 KR 950009604B1 KR 1019860002479 A KR1019860002479 A KR 1019860002479A KR 860002479 A KR860002479 A KR 860002479A KR 950009604 B1 KR950009604 B1 KR 95000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rce
wall
elastic
fr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077A (ko
Inventor
베르사니 피에르
Original Assignee
파르테우로사, 소시에테 아노님
피. 슈미트 · 지. 메나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테우로사, 소시에테 아노님, 피. 슈미트 · 지. 메나저 filed Critical 파르테우로사, 소시에테 아노님
Publication of KR8600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10T403/4602Corne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테이너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의 일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이밍 부재의 일예의 부분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체결 스크루우 및 스프링을 제거힌 제3도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의 개략적 단면도.
본 발명은 조립벽부재로 구성되는 건축부재로서 널리 사용될 콘테이너(container)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벽부재에는 콘테이너의 내측으로 벽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콘테이너 모서리를 연결하는 일체로 된 비임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벽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그와 같은 콘테이너는 공지되어 있다. 패널형 벽재가 비임 사이의 잔존 공극을 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제647965호, 제1347177호 및 1603613호 참조). 상기 콘테이너형 건축부재의 주 결점은 콘테이너에 작용하는 모든 응력을 모두 자체 흡수해야 하는 프레임에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은 매우 견고하고 매우 무겁게 설계되어야만 한다. 더우기 패널을 프레임과 다른 재료로 제조하는 경우 팽창 계수차이의 문제가 일어난다. 상기 팽창계수차이로 인하여, 임계 환경 상태에서, 예컨대 빠르고 광범위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벽부재의 프레임사이에 약간의 이완이 일어남과 함께 밀봉결함이 일어날 수 있다. 그 밖에, 벽부재의 파괴 또는 영구변형이 상기 팽창계수차이로 인하여 신속히 일어날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이 없는 콘테이너가 공지되어 있는바, 이 경우 콘테이너가 받는 응력은 패널 유닛에 직접 흡수된다. 그와 같은 콘테이너는 상이한 재료 사이의 팽창계수 차이로 인한 결점이 없고 무게가 가볍다는 이점이 있다.
그와 같은 용기는 접착에 의하여 조립되는 벽부재에 의하여 간단히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은 아교가 노화하는 결점을 야기시킨다. 더욱이, 건축부재를 형성토록 널리 설계되는 콘테이너는 강력하고 견고한 벽을 가져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벽은 주로 콘테이너 내측면에 무거운 장치를 걸게되어 많은 응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그와같은 조건하에서 상기 요건 및 운반 요건을 충족시키는 콘테이너를 제작하기란 매우 곤란하다. 사실상 단지 접착에 의하여 조립된 무거운 벽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콘테이너의 인양은 패널 및 후크 부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이들 재료와 관련하여 상당한 문제점으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점이 없으며 운반이 용이한 콘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와 같은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라 벽부재를 함께 연결토록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진 벽부재를 위한 제2조립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서두에 언급한 콘테이너에 의하여 해결되는데, 상기 탄성력 방향은 콘테이너의 외측으로 벽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벽부재를 위한 상기 제2조립수단은 통상의 환경조건하에 부재 조립상태에서 탄성 프리스트레스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테이너는 또한 프레이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이밍 부재는 콘테이너 모서리 사이에 배열되며, 그중 몇개는 최소한 상기 제2조립수단을 형성하며 그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각종 벽부재 사이 및 상기 벽부재와 프레이밍 부재 사이의 팽창계수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조립수단을 형성하는 각 프레이밍 부재는 통상의 환경조건하에 조립상태에서 예정된 축방향 거리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두개의 부품, 및 상기 두개의 부품을 연결하며 이들 부품을 합치는 방향으로 이들 부품에 작용하는 최소한 하나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조립수단은 콘테이너로부터 두개의 대향 벽부재 사이에 배열되며 그의 길이의 최소한 일부에서 상기 벽부재를 서로를 향하여 견인하도록 설계된 상기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가장 임계적인 환경조건하에서 장기간 노화후에도 기밀성이 있을 뿐만아니라 더욱이 공지 콘테이너에 비하여 놀라울 정도로 매우 가벼운 중량을 가지며, 심지어 프레이밍 부재를 갖는 콘테이너의 경우에도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콘테이너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았다. 사실상,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이밍 부재는 벽부재가 외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만 사용될 수 있으머, 예컨대 콘테이너를 인양하거나 운반하는데 요하는 외부 응력을 받지 않는다. 그와 같은 응력은 프레이밍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레임내에 삽입되는 벽부재에 직접 안내된다. 따라서 각을 이룬 형상의 비교적 가벼운 프레이밍 부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부재를 심지이 벽부재에 접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임계 상태에서 완전히 기밀성이 있으며 건축부재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콘테이너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그 벽부재는 그의 중량에 공지 기술에서와 같은 중실의 매우 중량의 프레임을 첨가함이 없이 그 자체 비교적 견고하고 강력한바, 이는 콘테이너의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나타냈다.
제1도는 콘테이너 동체를 형성하는 벽부재를 배치한 육면을 갖는 평행 육면체 콘테이너(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벽부재는 콘테이너의 내측으로 벽부재의 이탈을 못하게 하는 공지의 제1조립수단에 의하여 함께 조립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단은 벽부재가 함께 조립이 가능하도록 부재의 변부를 계단식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예컨대 제5도의 부호 49참조). 그러나 상기 수단은 벽부재가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공지기술에 의하여 벽부재를 함께 접착하게 되는데, 이는 아교의 노화로 인하여 불충분하며, 그와 같은 작용은 콘테이너를 건축부재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및 벽부재가 그 자체 중량인 경우 두드러지게 강조되고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공지기술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이 제공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자체 무거우며 벽부재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벽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그러나 상기 프레임은 임계적 환경 조건하에서 그와 같은 제2목적을 매우 불충분하게 수행하며, 심지어 상기 프레임과 벽부재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이들 부품 사이의 팽창 계수 차이로 인하여 조립된 조립체의 악화를 일으킨다.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재(2-13)는 벽 부재를 위한 제2조립 수단이며, 도시한 실시예에서 각각은 두개의 콘테이너 모서리를 연결하고, 상기 하나의 모서리(예컨대 제1도에서 모서리(15))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모서리(예컨대 제1도에서 부호(17))에 연결된 강성부재(예컨대 제1도에서 부호(16))를 향하여 견인되는 나선부재(4)에 탄성력을 발휘한다. 강성 부재(16)에 가해지는 상기 탄성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평행 육면체형 콘테이너의 각 변부에 그와 같은 제2조립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각 콘테이너 변부마다 그와 같은 수단을 하나씩 갖게 할 필요는 전혀 없음을 알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콘테이너 변부에 제1도의 부호(60 및 61)로 표시한 것과 같은 다수의 제2조립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도에 제2조립수단의 실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경우 상기 수단은 콘테이너 모서리 사이에 배열되는 프레이밍 부재(18)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에는 이 실시예에서는 자체 공지의 모서리 부재(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재는 에컨대 상기 콘테이너를 보우트 또는 프레일러 갑판에 인양하거나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콘테이너에 외력을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모서리부재(19)에는 판(20)(제2도) 및 판(20')(제3도)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머, 이들 판(20 및 20')은 모서리 부재에 용접되어 측벽부재(21)(제2도) 및 콘테이너 저면벽 부재(제2도에 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모서리를 덮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판은 예컨대 자체 공지의 고정수단(22)을 통하여 벽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서리 부재(19)는 이 실시예에서 벽부재(21)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외력을 받을 때 상기 외력은 벽부재(21)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부재는 그와 같은 외부 응력을 견디어 냄은 물론 예컨대 무거운 장치를 상기 벽부재에 걸때 콘테이너의 내부로부터 생기는 응력을 견디어내도록 강력하고 견고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프레이밍 부재(18)는 제2-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L형 앵글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플랜지(23 및 24)는 콘테이너 변부를 둘러싼다. 또한 상기 앵글은 통상의 환경조건하에 조립된 콘테이너에서 축방향 거리(27)까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두개의 부품(25 및 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앵글 부품(25 및 26)은 예컨대 용접에 의하여 모서리 부재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앵글 부품(26)과 모서리 부재(19) 사이의 고착(28)만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앵글 부품 사이에, 프리스트레스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경질재료 실린더(29)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는 또한 두개의 부품(30 및 31)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는 또한 두개의 부품(30 및 3l)으로 구성되고, 그중 하나의 부품(30)은 예컨대 부호(32)(제3도 참조) 또는 부호(44)(제4도 참조)에서 용접에 의하여 앵글 부품(2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부품(31)은 부호(33)에서 용접에 의하여 직접 또는 모서리 부재(19)를 통하여 앵글 부품(2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부품(30 및 31)은 최소한 거리(27)와 동일한 축방향 거리(44)까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실린더 부품(30)의 공통 내부에 링형부재(35)가 배치되어 있고, 나선 구멍(36)이 실린더(29)와 동축을 이루고 있다. 상기 링형 부재(35)는 가능한한 서로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실린더 부품(30)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나선구멍(36)은 체결 스크루우(38)로부터 나선단부(37)와 협동한다. 상기 스크루우는 실린더(29)를 향하여 모서리 부재(19)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39)을 통과하여 그 단부(37)가 스크루우(38)로부터 헤드(40)와 대향되게 나삽되면서 공동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통과한다. 혜드(40)는 구멍보다 크므로 앵글 부품(25 및 26)을 멀리 확산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앵글 부품(26)으로부터 조절가능한 거리에서 링형 부재(35)를 유지시킨다.
실린더 부품(30)의 단부에 예컨대 부호(41)에서 용접에 의하여 링형 슬리이브(42)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의 축방향 구멍(43)은 스크루우(38)의 원통부가 통과하게 한다.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는 실린더 부품(3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며 그의 외경은 실린더 부품(31)에 들어가 양부품이 서로에 대하여 확실하게 활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슬리이브(12)의 돌출부분은 실린더 부품(30 및 31)사이의 축방향 거리(44)보다 긴 길이, 및 축방향 거리(27)와 동일한 모서리 부재(19)로부터의 축방향 거리(45)에 놓이기에 충분히 긴 길이를 갖고 있다.
프리 스트레스 코일 스프링(34)은 한편으로는 스크루우(38)에 의하여 실린더 부품(31)으로부터 조절가능한 거리에 유지되는 링형부재(35)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린더 부품(30)에 고정된 링형 슬리이브(42)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실린더 부품(3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링형 부재(35)와 상기 링형 슬리이브(42)는 스프링(34)에 대한 정지부재로서 작용한다.
제3도에서, 스프링(34)은 통상의 환경 조건하에 조립된 콘테이너 상태에서 초기응력이 가해지기전에 상측 실린더 절반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정지 상태에 있다. 그 다음 스크루우(38)는 정지부재(35)가 모서리 부재(19)에 가까이 가도록 조여지며, 이결과 스프링이 제3도의 하축 절반으로 나타남에 따라 스프링(34)으로부터 코일이 함께 압착된다.
상기 스프링 위치에서, 스프링은 앵글 부품(25 및 26)이 인장 초기응력을 받게 한다. 통상의 환경조건하에서, 스프링은 초기응력에도 불구하고 앵글 부품을 서로 가까이 오게 할 수 없는바, 그 이유는 상기 부품이 벽부재 크기에 의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각 모서리 부재에 의하여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위치에서, 벽부재는 앵글 부품을 서로 가까이 오게하여 벽부재의 외방 이탈을 방지하려고 하는 앵글 부품의 인장 작용을 받는다. 그와 같은 인장작용을 발휘하기 위하여, 앵글은 접착에 의하여 벽부재에 반드시 연결시킬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벽부재를 접착에 의하여 함께 연결시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전체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경량 프레이밍 부재에 의하여 부여되는 탄성 시스템의 작용하에 함께 유지된다.
더욱이, 임계적 환경 조건의 경우, 예컨대 밤과 낮사이에 높은 온도차이가 일어날때, 금속 앵글은 벽부재보다 더욱 팽창한다. 그와 같은 팽창차이는 상술한 탄성부재에 의하여 흡수된다. 사실상 앵글의 긴 부분(18)은 짧은 부분(26)에 더욱 가깝게 이동하여 실린더 부품(30) 및 정지부재(42)를 모서리 부재(19)를 향하여 구동시킨다. 정지부재(35)와 정지부재(42) 사이의 간격은 더 넓어지게 되고 스프링(34)은 이완되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앵글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면서 상기 팽창차이를 흡수하며, 프레이밍 부재가 팽창이 보다적은 벽부재를 여전히 애워싸게 한다.
실린더 부품(30)은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모서리 부재(19)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덮개(46)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덮개(46)와 정지부재(35)사이에 놓이는 용적이 변할때를 고려하여 상기 덮개(46)에 개구(47)를 설치할수도 있다.
스크루우(38)는 나사 돌리는 기구로 돌릴수 있는데, 상기 나사 돌리는 기구는 예컨대 모서리 부재(19)의 일측에서 체결 스크루우의 축방향 연장부에 형성된 통로(48)를 통하여 도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모서리 부재는 외부 응력을 받는 벽부재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벽부재에 대하여 상기 모서리 부재를 간단히 접착시키거나 또는 균일하게 압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 부재는 벽부재에 접착 또는 간단히 압착된 프레이밍 부재에 일체로 연결되어 프리스트레스 탄성부재에 의하여 벽부재에 형성된 박스를 애워싼다.
그러나 이 경우 외부 응력이 모서리 부재에 가해지는 경우 그와 같은 응력은 벽부재에 결합되지 않고 오히려 프레이밍 부재에 결합된다. 따라서 프레이밍과 콘테이너 동체 사이에 존재하는 팽창계수 차이의 함수로서 뿐만아니나 모서리 부재를 통하여 프레이밍 부재에 결합될수도 있는 인장력의 함수로서 선택될 탄성력이 탄성부재에 요구된다.
제5도에는 프레이밍 부재를 함유하지 않은 콘테이너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조립수단은 두개의 대향된 콘테이너 벽부재(예컨대 51 및 52)사이에 배치된 체결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의 강력한 합성섬유로 형성된 케이블(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53)은 그의 양 단부가 스크루우-보울트(55)의 단부에 유지된 작은 구멍(54)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양부재는 자유롭게 회전된다. 스크루우-보울트(55)는 통로(56)에서 벽부재(52)를 통과하여 너트(57)에 의하여 조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는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탄성부재로서 코일 또는 탄성섬유 스프링 뿐만아니라 스프링 와셔, 또는 심지어 유압 또는 공기잭 장치같은 기타 스프링 형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체결부재가 벽부재 동체에 완전히 매입되게 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 및 상기 실시예에서, 특히 정상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대한 온도 변화가 고려되었을지라도, 저온에 대한 온도변화에 알맞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를 또한 설계할 수 있다.
더욱이, 스프링이 그의 최대 탄성강도에 도달함에 구조체에 직접 응력을 결합시키도록 적당히 배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물론 필요하다. 상기 정지부재의 강도는 콘테이너가 받게 될 응력의 함수로서 설계된다.

Claims (15)

  1. 건축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콘테이너(1)에 있어서, 조립 벽부재(21; 51, 52)에 콘테이너의 내측으로 벽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조립수단(49)을 형성시키고, 또한 탄성력을 가지며 벽부재(21; 51, 52)를 함께 연결토록 배치되는 벽부재(21; 51, 52)용 제2조립수단(2-14, 60, 61; 18; 50)을 형성시키되, 그의 탄성력 방향이 콘테이너의 외측으로 벽부제(21; 51, 52)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벽부재(1; 51, 52)용 상기 제2조립수단(2-14, 60, 61, 18; 50)은 그의 조럽상태에서 통상의 환경조건하에 탄성 프리스트레스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콘테이너(1)의 모서리 사이에 프레이밍 부재를 배치시키되, 그중 몇몇은 최소한 상기 제2조립수단(18)을 형성하며 그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각종 벽부재(21) 사이 및 상기 벽부재(21)와 프레이밍 부재 사이의 어떠한 팽창계수차이라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제2조립수단(18)을 형성하는 각 프레이밍 부재를 조립상태에서 통상의 환경조건하에 예정된 축방향 거리(27)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두개의 부품(25, 26), 및 상기 두개의 부품(25, 26)을 연결하며 이들 두개의 부품을 합치는 방향으로 그에 작용하는 최소한 하나의 탄성부재(29-31 및 34)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각 프레이밍 부재를 상기 콘테이너(1)로부터 두개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변부를 둘러싸는 앵글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6. 제3항에 있어서, 콘테이너(1)에 외력을 연결하기 위한 힘-연결부재(19)를 자체 공지방식으로 구성시키고, 제2조립수단(18)을 형성하는 각 프레이밍 부재의 각 단부를 그와 같은 힘-연결부재(19)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힘-연결부재(19)를 벽부재(21)에 고정시키는 한편, 프레이밍 부재를 힘-연결부재(19)를 통해서만 또는 부분적으로 벽부재(21)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힘-연결부재(19)와 관련된 제2조립수단(18)을 형성하는 각 프레이밍 부재를 단지 상기 어떠한 팽창계수차이라도 흡수하기에 충분히 강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9. 제6항에 있어서, 프레이밍 부재를 벽부재(21)에 접착시키는 한편, 힘-연결부재(19)를 프레이밍 부재를 통해서만 또는 부분적으로 벽부재(21)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힘-연결부재(19)와 관련된 제2조립수단(18)을 형성하는 각 프레이밍 부재를 상기 팽창 계수차이의 함수로서 뿐만아니라 힘-연결부재(19)를 통하여 프레이밍 부재(18)에 연결될수도 있는 어떠한 인장력의 함수로시 선택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1. 제4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성부재(29-31 및 34)를 관련하는 프레이밍 부재부품(25, 26)에 초기인장을 받게하는 프리스트레스 스푸링(34)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조립수단(18)으로서 사용되는 각 앵글을 두개의 부품(25, 26)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각 부품을 콘테이너(1)에 외력을 연결시키도록 제공되는 자체 공지의 모서리 부재(19)에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를 두개의 부품(30, 31)으로 구성되는 중공 실린더(29)로 구성시키되, 하나의 부품(30)은 제1앵글 부품(25)에 일체로 연결시키고, 다른 하나의 부품(31)은 제2앵글 부품(26)에 일체로 연결시키고, 상기 실린더 부품(30, 31)을 앵글 부품(25, 26)을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거리(27)와 최소한 동일한 거리(44)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키고, 정지부재(35)를 서로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제1실린더 부품(30)내에 배치시키되 제2앵글부품(26)에 대하여 조절가능한 거리로 위치시키고, 정지부재(42)를 서로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제2실린더 부품(31)내에 배치시키되 상기 제1실린더 부품(25)에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스프링(34)을 상기 양 정지부재(35, 42)사이에 배치시켜 그의 간격의 방향으로, 즉 서로 가까이 이동하는 상기 부품(25, 26)의 방향으로 그에 작용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3. 제4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탄성 합성 섬유의 코오드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4. 제4항 대지 제10항중 어느 하나에 있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유압 또는 공기 잭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수단(50)을, 콘테이너(1)로부터 두개의 대향 벽부재(5, 52)사이에 배치되며 최소한 그의 길이(53)의 일부에 결쳐 상기 벽부재(51, 52)를 서로를 향하여 견인하도록 설계된 상기 탄성력을 갖는 체결부재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KR1019860002479A 1985-04-17 1986-04-02 콘테이너 KR950009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85855A LU85855A1 (fr) 1985-04-17 1985-04-17 Conteneur
LU85855 1985-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077A KR860008077A (ko) 1986-11-12
KR950009604B1 true KR950009604B1 (ko) 1995-08-25

Family

ID=1973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479A KR950009604B1 (ko) 1985-04-17 1986-04-02 콘테이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835922A (ko)
EP (1) EP0199392B1 (ko)
JP (1) JPH0714746B2 (ko)
KR (1) KR950009604B1 (ko)
CN (1) CN1005331B (ko)
AT (1) ATE55794T1 (ko)
BR (1) BR8601704A (ko)
CA (1) CA1302913C (ko)
DE (1) DE3673547D1 (ko)
ES (1) ES8701888A1 (ko)
IL (1) IL78319A (ko)
LU (1) LU85855A1 (ko)
TR (1) TR27545A (ko)
ZA (1) ZA862306B (ko)
ZW (1) ZW7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1168B2 (en) * 2010-01-06 2015-09-01 Home Ec. Modular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75844A (en) * 1968-01-16 B. Phipps Ward Walls of interlocked adhesively secured building blocks and sealing means therebetween
GB647965A (en) * 1947-10-01 1950-12-28 Peter Karl Nikolaus Sau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rame constructions for use in panelled and like structures
GB825059A (en) * 1956-03-10 1959-12-09 Brockhouse Steel Structures Lt Improvements relating to constructional frameworks
FR1227745A (fr) * 1958-07-09 1960-08-24 Dispositif d'assemblage et de fixation d'éléments de châssis
US3152421A (en) * 1958-11-17 1964-10-13 Prescon Corp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CH384824A (de) * 1961-05-12 1965-02-26 Koller Ernst Wand, insbesondere zerlegbare Zwischenwand in Gebäuden
US3269069A (en) * 1962-12-10 1966-08-30 Donald A Carlso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US3203376A (en) * 1963-12-30 1965-08-31 Combustion Eng Buckstay arrangement for furnace walls
GB1347177A (en) * 1971-04-09 1974-02-27 Saipem Spa Container accommodating arc-welding machines
AU458996B2 (en) * 1971-04-30 1975-02-26 Hansjoachim Welz Transportable prefabricated buildings
US4145856A (en) * 1976-10-12 1979-03-27 Wise William D Tolerance adjustment device
GB1603613A (en) * 1977-05-19 1981-11-25 Stringer D Grandstands
AT359244B (de) * 1978-11-23 1980-10-27 Krems Huette Gmbh Quaderfoermige raumzelle
FR2455135A1 (fr) * 1979-04-27 1980-11-21 Fillod Const Cellule en prefabrication legere a panneaux de bardage
US4338756A (en) * 1980-06-12 1982-07-13 Thermacon Industries, Inc. Panel and insu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601704A (pt) 1986-12-16
DE3673547D1 (en) 1990-09-27
KR860008077A (ko) 1986-11-12
ES553765A0 (es) 1986-12-01
CN86102461A (zh) 1986-10-15
JPS61246442A (ja) 1986-11-01
ZW7686A1 (en) 1986-10-15
EP0199392A2 (fr) 1986-10-29
IL78319A (en) 1994-08-26
TR27545A (tr) 1995-06-07
CN1005331B (zh) 1989-10-04
EP0199392B1 (fr) 1990-08-22
JPH0714746B2 (ja) 1995-02-22
ZA862306B (en) 1986-11-26
IL78319A0 (en) 1986-07-31
CA1302913C (fr) 1992-06-09
EP0199392A3 (en) 1988-03-23
LU85855A1 (fr) 1986-11-05
US4835922A (en) 1989-06-06
ES8701888A1 (es) 1986-12-01
ATE55794T1 (de) 199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701A (en) Splice closure apparatus
JPH06323321A (ja) 積層ガラスへの保持部材または固定部材の螺子止め固着
KR950009604B1 (ko) 콘테이너
EP0518803B1 (en) Shipping container for works of art
US4664471A (en) Junction box for joining the ends of underwater optical fiber cables by welding
FR2539701A1 (fr) Fuselage composite pour helicoptere
JP2011106675A (ja) リング形状の継手ボディを有する継手
BRPI1007749B1 (pt) Dispositivo para a fixação de uma primeira peça a uma segunda peça que é fixada a uma terceira peça e o conjunto de três peças
SU1642959A3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 рессора
ES2077288T3 (es) Dispositivo para el apoyo y la orientacion de antenas o telescopios.
GB2180802A (en) Box structure
CA2867047C (en) Blanket installation method and blanket unit
JPH0624220A (ja) 連結幌
JPH01192937A (ja) パイプ結合構造
SU16971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ломбировани
CN215664657U (zh) 软幕封装组件及软幕封装系统
DE9311188U1 (de) Behälter, insbesondere Spülkasten mit einem daran befestigten Montageelement
KR100212778B1 (ko) 로드 고정용 크립
KR101501185B1 (ko) 외압용기
JPH055878U (ja) ヘルドフレーム
SU1326473A1 (ru) 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20900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армированного пьез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EP1437072B1 (en) Pannel joining system for a display case
HUT66980A (en) Suspension device for pipe
JPH0743743Y2 (ja) 広告器における看板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