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25Y1 - 대차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반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9525Y1 KR950009525Y1 KR2019930000794U KR930000794U KR950009525Y1 KR 950009525 Y1 KR950009525 Y1 KR 950009525Y1 KR 2019930000794 U KR2019930000794 U KR 2019930000794U KR 930000794 U KR930000794 U KR 930000794U KR 950009525 Y1 KR950009525 Y1 KR 9500095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lley
- base plate
- carriage
- post
- b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32—Unloading land vehicles using fixed tipping installations
- B65G67/46—Apparatus for lifting and til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대차 반전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반전장치를 대차의 탑재(진입)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반전장치를 대차의 반전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반전장치에 사용하는 대차의 사시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반전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절단분말 회수라인의 개략도.
제 6 도는 제 1 종래예의 반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 7 도는 제 2 종래예의 반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 8 도는 제 3 종래예의 반전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전장치 2 : 접지프레임
3 : 차륜 4 : 나사식 스톱퍼
6 : 포스트 7 : 캐리지
8 : 유압실린더 11 : 체인
12 : 지지아암 13 : 수평축
14 : 대판 15 : 대차
16 : 틸트 실린터 17 : 스프링
18 : 유압유닛 19 : 승강조작레버
20 : 경사이동(傾動)조작레버 22 : 차체프레임
23 : 버킷 (bucket) 24 : 차륜
25 : 수동핸들 26 : 스톱퍼로드
27 : 훅 29 : 회수상자
30 : 공작기계 C : 절단분말
본 고안은 대차를 상승 반전시켜 대차내의 절단분말이나 먼지등을 회수상자에 방출하도록 구성한 대차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반전장치로서, 예를 들면,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나타낸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제 6 도에 나타낸 제 1 종래예의 반전장치는 접지 프레임(31)에 포스트(32)를 세워 설치하고, 포스트(32)에 브래킷(33)을 승강자유롭게 지지하고, 브래킷(33)에는 버킷(bucket)(34)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하강위치의 버킷(34)에 절단분말을 수용하여 장치전체를 방출 장소까지 이동하고, 그곳에서 브래킷(33)을 상승시켜 버킷(34)을 반전하여 절단분말 회수상자등에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7 도에 나타낸 제 2 의 종래예의 반전장치는 접지프레임(31)에 문(門)형태의 포스트(32)를 세워 설치하고, 포스트(32)의 내측에 대판(35)을 승강 및 경사이동 자유롭게 배치함과 동시에, 그 대판(35)을 구동하는 승강기구(36)을 가설하고, 버킷(34)을 탑재한 대차(37)를 대판(35)상에 올려놓고 대판(35)을 상승위치에서 경사이동시키고, 대차(37)를 반전하여 버킷(34)내의 절단분말을 회수상자에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8 도에 나타낸 제 3 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버킷(34)을 탑재한 대차(37)와, 이를 승강시키는 포크리프트(38)를 사용하여 대차(37)를 방출 장소까지 이동시켜 포크리프트(38)로 대차(37)를 들어올려 기울여서 버킷(34)내의 절단분말을 회수상자(39)에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의 종래예에 의하면, 반전장치에 버킷(34)이 일체로 장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복수대의 공작기계로부터 나온 절단분말을 하나의 회수상자에 집하하는 경우에, 각 공작기계마다 반전장치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일 뿐만아니라, 공작기계의 주변에 반전장치용의 스페이스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는 낭비도 있었다.
제 2 의 종래예의 경우는 버킷(34)을 탑재한 대차(37)를 사용함으로써 반전장치의 대수를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버킷(34)의 반전방향에 승강기구(3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승강기구(36)보다 높은 위치가 아니면 대차(37)를 기울일 수가 없어 버킷(34)의 반전 위치가 제한된다는 불편이 있었다.
제 3 의 종래예의 의하면, 포크리프트(38)을 사용하기 때문에, 버킷(34)을 임의의 높이로 반전할 수는 있으나, 포크리프트(38)의 대기 스페이스 및 주행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대차(37)와 포크리프트(38)2대를 운전하는데 대단한 시간이 걸리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1대의 장치로 복수의 대차를 순차 반전시켜 스페이스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집하능률을 개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전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대차반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대차반전장치는 주행 자유로운 접지프레임과, 접지프레임에 세워설치한 포스트와, 대차가 승강가능한 대판과, 대판을 포스트에 대하여 승강자유롭게 지지하는 캐리지와, 캐리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대판을 수평축선의 주위에서 경사이동시키는 경사이동수단을 구비한 대차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를 상기 대판의 한쪽측에서 대차 탑재진입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캐리지에는 대차 탑재진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아암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암에는, 대판에서의 대차의 탑재 진입축과 반재측인 단부를 선회되게 고정하여 상기 대판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대판과 상기캐리지 사이에는 임의의 각도로 상기 대판을 경사시키는 경사이동 실린더를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대판과 상기지지아암 사이에 경사진 상기 대판을 하측으로 가하는 가제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대차를 대판상에 올려 승강시키기 때문에, 한 대의 장치로 복수의 대차를 순차 반전하여 대차의 내용물을 효율좋게 집하할 수가 있다. 대차 탑재진입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포스트에 캐리지의 구동수단이나 대판 경사이동의 제어장치등을 설치하기 때문에, 대판의 상측이나 하측에 장애물이 없어져, 대차를 임의의 높이로 반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과 대판사이에 설치된 가세수단에 의해 대판을 경사이동시킬 때, 지나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이동 후 수평위치로의 복귀작동도 안전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하, 이 고안을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장치(1)의 하부에는 평면 ㄷ자형의 접지프레임(2)이 설치되고, 이 접지프레임(2) 은 3개의 차륜(3)에 의하여 주행 자유롭고, 또한 2개의 나사식 스톱퍼(4)에 의하여 정지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2개의 차륜(3)에는 록레버(5)가 설치되어 있다.
접지 프레임(2)의 한쪽측에는 문 형태의 포스트(6)가 세워 설치되고, 그 포스트(6)에는 캐리지(7)가 승강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포스트(6)의 내측에 있어서, 접지프레임(2)에는유압실린더(8)가제워 설치되어 있고, 그 피스톤로드(9)의 상단에는 롤러(10)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10)에는 체인(11)이 걸쳐지고, 그 일단은 포스트(6)에, 타단은 캐리지(7)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8)는 구동수단을 구성하고, 피스톤로드(9)의 신축량의 2배의 스트로크 캐리지(7)를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캐리지(7)의 앞쪽측에는 지지아암(12)이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 지지아암(12)에는 수평축(13)을 거쳐 대판(14)이 전단에서 경사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대판(14)은 대차(15)를 탑재할 수 있도록, 후단이 개방된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대판(14)과 캐리지(7)와의 사이에는, 대판(14)을 수평축(13)의 주위에서 상하로 경사이동시키는 경사이동수단으로서 틸트실린더(16)가 설치되어 있다(제3도 참조). 또, 대판(14)과 지지아암(12)과의 사이에는 대판(14)을 아래쪽으로 가하는 스프링(17)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스트(6)는 대판(14)의 한쪽측에 있어서 대차(15)의 탑재진입 방향(재2도의 화살표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포스트(6)에 대하여 캐리지(7)가 대판(14)을 승강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포스트(6)에는 유압실리더(8) 및 틸트실린더(16)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18)이 장착되어 있다. 유압유닛(18)에는유압실린더(8)를 제어하여 캐리지(7)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작레버(9)와, 틸트실린더(16)를 제어하여 대판(14)을 경사이동시키는 경사이동조작레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차(15)로서는 제 4 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수동 주행식 대차가 사용된다. 이 대차(15)는 차체프레임(22)상에 버킷(23)을 탑재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체프레임(22)에는 4개의 차륜(24)과, 수동(손으로 미는)핸들(25), 스톱퍼 로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로드(26)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판(14)의 경사이동시에, 훅(27)에 걸어맞춰져 대차(15)를 대판(14)상에 걸어멈춰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훅(27)은 대판(14)상에 도시하지 않은 작동기에 의하여 기복(起伏)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반전장치(1)는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공장의 절단분말 회수라인에서 사용된다. 반전장치(1)는 회수상자(29)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대차(15)는 공작기계의 근방에서 그곳으로부터 나온 절단분말을 버킷(23)내에 수용한다. 절단분말이 가득하게 되면 대차(15)는 작업원에 의하여 밀려서 반전장치(1)까지 이동되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을 향한 채로 대판(14)상에 을려진다.
이 상태에서, 승강조작레버(19)를 상승측으로 조작하면, 유압실린더(8)로 부터 캐리지(7)를 거쳐 대판(14)과 함께 대차(15)가 회수상자(29)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어서, 경사이동조작레버(20)를 반전측으로 조작하면,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판(4)이 수평축(13)의 주위에서 상방으로 경사이동되어 대차(15)의버킷(23)이 반전되어 절단분말(C)이 회수상자(29)내로 방출된다. 이때, 접지프레임(2)을 나사식 스톱퍼(4)로 미리 지면에 고정시켜 두면, 방출시에 반전장치(1)가 이동할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방출후는 각 조작레버(19,20)가 역방향으로 조작되어, 대판(14)이 수평상태로 경사동한 후에 하강되어 대판(14)으로부터 대차(15)가 내려 놓여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전장치(1)에 의하면, 대차(15)를 대판(14)상에 탑재하여 승강하기 때문에 1대의 반전장치(1)로 복수의 대차(15)를 순차 반전시켜, 복수대의 공작기계(30)로부터 나온 절단분말(C)을 1개의 회수상자(29)에 능률좋게 집하할 수 있다. 또, 포스트(6)가 대차(15)의 탑재 진입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판(14)의 상방에 장해물이 없어져 대차(15)의 반전위치를 회수상자(29)의 높이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반전장치(1)의 폭에 상당하는 통로만 있으면, 그곳을 통하여 대차(15)가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포크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반전장치(1)를 좁은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대판을 전동기로 승강하거나, 대판을 전동기 또는 캠기구로 경사이동하거나, 먼지 집하용 혹은 부품 반송용의 반전장치에 적용하거나 하는등, 본 고안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형상 및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대차가 승강 가능한 대판을 포스트에 대하여 승강 및 경사이동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포스트를 대판의 한쪽측에서 대차 탑재 진입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하고 포스트측에 캐리지의 구동수단등의 부가장치를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판의 승강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반전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포스트와 대차의 간섭을 없게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대차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대차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치전체를 가능한한 소형화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과 작업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
- 주행 자유로운 접지 프레임과, 상기 접지 프레임에 세워 설치한 포스트와, 대차가 승강가능한 대판과, 상기 대판을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승강 자유롭게 지지하는 캐리지와 ,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대판을 수평축선의 주위에서 경사이동시키는 경사이동수단을 구비한 대차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를 상기 대판의 한쪽측에서 대차 탑재진입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캐리지에는 대차 탑재진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아암을 소정하고, 상기 지지아암에는, 대판에서의 대차의 탑재진입측과 반대측인 단부를 선회되게 고정하여 상기 대판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대판과 상기 캐리지 사이에는 임의의 각도로 상기 대판을 경사시키는 경사이동 실린더를 가설함과 동시에 상기 대판과 상기 지지아암 사이에 경사진 상기 대판을 하측으로 가하는 가세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2078565U JP2523555Y2 (ja) | 1992-10-15 | 1992-10-15 | 台車反転装置 |
JP92-78565 | 1992-10-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9861U KR940009861U (ko) | 1994-05-21 |
KR950009525Y1 true KR950009525Y1 (ko) | 1995-11-08 |
Family
ID=1366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0794U KR950009525Y1 (ko) | 1992-10-15 | 1993-01-21 | 대차 반전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523555Y2 (ko) |
KR (1) | KR950009525Y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02798A (ja) * | 1982-12-06 | 1984-06-13 | 久保 美国 | 擁壁の石積み装置 |
-
1992
- 1992-10-15 JP JP1992078565U patent/JP2523555Y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3
- 1993-01-21 KR KR2019930000794U patent/KR95000952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635292U (ja) | 1994-05-10 |
KR940009861U (ko) | 1994-05-21 |
JP2523555Y2 (ja) | 1997-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32456Y2 (ko) | ||
CA1046018A (en) | Low lift truck | |
US5158413A (en) | Car parking frame | |
JPH0640227Y2 (ja) | コンテナ移乗用リフト | |
JP3787351B1 (ja) | 荷搬出入装置 | |
KR950009525Y1 (ko) | 대차 반전장치 | |
US4643628A (en) |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ized articles | |
KR20210026927A (ko) | 지게차용 무인운반차 | |
US4431083A (en) | Apparatus for lifting a member using parallelogram mounted links | |
KR960013080B1 (ko) | 자주식 대차(自走式 臺車) | |
US5538387A (en) | Pallet assembly for a vehicle | |
CN1250006A (zh) | 货物搬运装置 | |
JP3247312B2 (ja) | 分別ゴミ収集車におけるゴミ投入装置 | |
JPH116322A (ja) | 櫛刃式立体駐車装置 | |
JPH06297991A (ja) | 車両搭載リフト | |
CN216997481U (zh) | 转运设备 | |
JP3096376B2 (ja) | 二段積みパレット変換装置 | |
CN209534843U (zh) | 一种带翻板的搬运车 | |
KR100465017B1 (ko) | 기계식입체주차장의텐테이블선회장치 | |
JPH0752109Y2 (ja) | トラック荷台用のリフト装置 | |
KR19990023787U (ko) | 운반용 대차 | |
CN216836961U (zh) | 一种专用的液压升降平台 | |
SU1664735A1 (ru) | Подъемник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JPS6260330B2 (ko) | ||
JP4200597B2 (ja) | 荷役用アタッチメ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121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