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17B1 - 살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17B1
KR950009517B1 KR1019880000910A KR880000910A KR950009517B1 KR 950009517 B1 KR950009517 B1 KR 950009517B1 KR 1019880000910 A KR1019880000910 A KR 1019880000910A KR 880000910 A KR880000910 A KR 880000910A KR 950009517 B1 KR950009517 B1 KR 95000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substituted
unsubstituted
residues
hal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749A (ko
Inventor
퇴프플 베르네르
니펠레르 로베르트
푀리 베르네르
Original Assignee
시바-가이기 아게
아놀드 자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가이기 아게, 아놀드 자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filed Critical 시바-가이기 아게
Publication of KR88000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36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with or without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39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살균제 조성물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다음 일반식(I)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로본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살진균제 및 살균제 조성물, 이들 유도체와 이들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물의 감염을 방제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경우에 따라 질소, 산소 또는 유황원자를 항유하며 또 가수분해 또는 산화반응에 의해 직접 티아줄에 결합된 키르복시잔기로 전환될 수 있는 40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유기라디칼이다.
티아졸-5-카로본산유도체는문헌에 공지되어있다. 2,4-디메틸티아졸-5-카르복시아미드는 미합중국특허 제3,725,427호에 살진균제로 기재되어 있으며; 2-클로로-4-토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유도체는 미합중국 특허 제4,1l9,506호, 동 제4,251,261호,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27,018호, 동제44,201호 및 동 제63,353호에서 강력한 제초제의 재배작물에 대한 식물독성 작용을 감소시켜주는 해독제로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식(I)의 2-클로로-4一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유도체가 특히 우수한 살균활성을 갖고 있으며 또 재배작물을 식불병원성 미생물 및 진균의 감염으로부터 치유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실온에서 안정하다. 이들 화합물은 농경지와 관련부지에서 해충방제용, 특히 식물병원성 미생불의 방제 및 예방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I)의 유도체는 광범위한 사용범위에 걸쳐 탁월한 살진균 활성을 갖고 있으며 또 취급상에 아무 문제점이 없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들 유도체는 이밖에 선충, 특히 식물병원성 선충의 방제용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살선충제 특성을 갖고 있다.
현저한 살균작용 때문에 잔기 R가 최대 25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일반식(I)의 유도체, 이 중 다음 일반식(Ia)에 속하는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a는 시아노,-COXR1,-CONR3R4또는 -COD중에서 선정한 라디칼로서, X는 산소 또는 유황, R1은 수소; 할로겐,-YR2기, A, 니토로, -N(R3)COA, -[N(R3)]m-C(A)=NC1-C4알킬, -[N(R3)]m-C(A)=NH, 또는 [N(R3)]m-CO-N[(CO)mR3]-NR3, -[N(R3)]m-CON[(CO)m-R3]-N(R3)m-(CO)mR4(지수 m중 1개는 0이어야 한다)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3시클로알킬로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은 또한 시아노, 잔기 -C(X)mXR10, -XCXR10, -(X)m-CXA, -(X)CXN(R3)N(R3)R4, -CHA-COOR10, -C(OR7)=(OR8)R9, -PO(R5)R6, C3-C8시클로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켄일로서 치환될 수 있고, R1은 이밖에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킬 또는 잔기 -CO(O)m-R10, -COA, -CON(A)R3또는 -PO(R5)R6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18시클로알켄일을 의미하며; R1은 이밖에 -(E)mU 또는 -(E)m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킨일을 의미하고; R2는 C1-C8알콕시, C1-C8알킬티오, C2-C8알콕시알킬,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잔기 -CX(X)mR10, -(X)m-CXA, -(X)mCXR10, -N(R3)COA, -[N(R3)]m-C(A)=NH, [N(R3)]m-C(A)=N-C1-C4알킬, A, -X-U 또는 X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며, R2는 이밖에 할로겐 또는 잔기 -(E)mU 또는 -(E)m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이고, m은 0 또는 1; Y는 산소, 유황, SO 또는 SO2; A는 -N(R3)R4라디칼, D는 -N(R3)N(R4)(CO)mR3라디칼;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콕시, C2-C8알콕시알콕시, C1-C8알킬티오,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C4알킬카르바모일,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롤리디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을 나타내며; R3및 R4는 이밖에 할로겐, C1-C8알콕시, C3-C8시클로알킬 또는 잔기 시아노,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바모일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을 나타내고; R3및 R4는 이밖에 U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킨일 또는 R3및 R4가 -(E)m-U 또는 -(E)m-Q의 라디칼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NH-, -N-C1-C4알킬, -CO- 또는 -C(OR7)OR8을 1회 또는 수회 포함할 수도 있고 또 할로겐, 아미노, C1-C8알콕시, 시아노,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잔기 -COOR10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5원 내지 9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C2-C4알콕시; R7및 R8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2 내지 4개 사슬 결합의 알킬렌 사슬을 형성하고; R9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알켄일, C2-C8알콕시알킬, C3-C8알콕시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3알킬렌)mU, -(C1-C3알킬렌)mQ, C1-C4할로알콕시이며; U는 할로겐, C1-C4알킬, -Y-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할로알콕시, 시아노, 니트로, 카로복시, -COOR7, -CONH2, -CONHR7, -CON(R7), -SO2NHR7, -SO2N(R7)2,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보닐로서 1회 또는 수회 치환되거니 또는 비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며; E는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에 의해서 또는 잔기 -CO(O)mR10, -(CO)mA, -(CO)mQ에 의해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되고, 또 -CO- 또는 -C(OR7)OR8-을 중간에 포함할 수도 있는 C1-C8알킬렌 또는 C2-C8알켄일렌 사슬이고; 또 Q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1개의 술피닐 또는 술포닐기와 결합된 1개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또 1개 내지 2개의 카로보닐기를 중간에 포함하거나 또 벤젠형 고리를 형성하도록 축합될 수 있는 5원 내지 12원 고리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 고리이다.
다음 일반식(Ib)의 유도체가 특히 우수한 살균작용을 갖는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은 앞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 일반식(Ic)의 유도체와 다음 일반식(Id)의 화합물이 또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2, R3및 R4는 앞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 일반식(Ia)에 해당하는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로본산유도체 중 일부화합물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a는 시아노, -COXR1', -CCR1', -CONR3'R4' 또는 -COD 라디칼로서, D 및 X는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고, R1'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할로겐, 잔기 -YR2, A, 니트로, -N(R3)COA, -[N(R3)]m-C(A)=NC1-C4알킬, -[N(R3)]m-C(A)=NH 또는 -[N(R3)]m-CON-[C(Om)R3]-N(R3), -[N(R3)]m-CON[(CO)m-R3]-N(R3)m-(CO)mR4(지수 m중 1개는 0이어야 한다)로서 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로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은 또한 시아노, 잔기 -C(X)m-XR10, -XCXR10, -(X)m-CXA, -(X)-CXN(R3)N(R3)R4, -CHA-COOR10, -C(OR7)(OR8)R9, -PO(R5)R6, C3-C8시클로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켄일로서 치환될 수 있고, 단 이들 잔기가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인 경우 -XR1'는 C1-C10할로알콕시, C2-C10알콕시알콕시 페닐티오 또는 벤질옥시가 아니며; R1'는 이밖에 -XR1'가 비치환된 C3-C5알켄일옥시가 아니 라는 조건하에서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킬 또는 잔기 -CO(O)mR10, -COA, -CON(A)R3또는 -PO(R5)R6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18시클로알켄일이고; R1'는 이밖에 비치한된 C3-C8알킨일; X가 유황인 경우에 R1'는 또한 잔기 -(E)mU 또는 -(E)m-Q이며; R2는 C1-C8알콕시, C1-C8알킬티오, C3-C8알콕시알콕시,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잔기 -CX(X기)mR10, -(X)m-CXA, -(X)mCXR10, -N(R3)COA, -[N(R3)]m-C(A)=NH, [N(R3)]m-C(A)=NC1-C4알킬, A, -XU 또는 -X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3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며; R2는 이밖에비치한되거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 또는 잔기 -(E)mU 또는 -(E)mQ이고, m은 0 또는 1; Y는 산소, 유황, -SO- 또는 -SO2-; A는 잔기 -N(R3)R4; D는 잔기 -N(R3)N(R4)(CO)mR3;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콕시, C2-C8알콕시알콕시,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C1-C4알킬카르바모일,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피페리디노카르브닐, 피롤리디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이며, R3' 및 R4'는 이밖에 할로겐, C1-C8알콕시, C3-C8시클로알켄일,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C4알킬카르바모일, U,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보닐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이고; R3' 및 R4'는 이밖에 R3' 및 R4'중 1개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라는 조건하에서 잔기 -(E)m-U 또는 -(E)m-Q이며; R3' 및 R4'는 또한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 유황, 질소, 이미노, C1-C4알킬이미노, -CO- 또는 -C(OR7)OR8-을 1회 또는 수회 분자중간에 포함하며 또 할로겐, 시아노, C1-C8알콕시,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COOR10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5원 내지 9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및 R6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C1-C4알킬 또는 C2-C4알콕시; R7및 R8은 독럽적으로 C1-C4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2내지 4원의 알킬렌 사술을 형성하고, R9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켄일, C3-C8알킨일, C2-C8알콕시알킬, C4-C8알콕시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3알킬)m-U, -(C1-C3알킬)mQ,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이며; U는 할로겐, C1-C4알킬, -Y-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할로알콕시, 시아노, 니트로, -COOH, -COOR7, -CONH2, -CONHR7, -CON(R7)2, -SO2NHR7, -SO2N(R7)2,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보닐에 의해 1회 또는 수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잔기이고, E는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또는 잔기 -CO(O)mR10, -(CO)mA 또는 -(CO)m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되고 또/또는 -CO- 또는 -C(OR7)OR8을 중간에 포함할 수도 있는 C1-C8알킬렌 또는 C2-C8알켄일렌 사슬이고; 또 Q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1개의 술피닐 또는 술포닐기와 결합된 1개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또 1개 또는 2개의 카르보닐기를 중간에 포함하거나 또는 벤젠형고리를 형성하도록 축합될 수 있는 5원 내지 12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 고리이다.
다음 일반식(Ib)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 유도체 또한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1'는 탈로겐 또는 C1-C5알킬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1'는 잔기 -XR2, A, 니트로, -N(R3)COA, -[N(R3)]m-C(A)=NC1-C4알킬, -[N(R3)]m-C(A)=NH, -[N(R3)]m-CON[(CO)mR3]-NR3, -[N(R3)]m-CON[(CO)m-R3]-N(R3)m-(CO)mR4(지수 중 1개는 0이어야 한다)으로 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로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은 또한 시아노, 잔기 -C(X)m-XR10, -(X)mCXA, -(X)CXN(R3)R4, -CHA-COOR10, -C(OR7)(OR8)R9, -PO(R5)R6, C3-C8시클로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켄일로서 치환될 수 있고; R1'는 이밖에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킬로서 또는 잔기 -CO(O)mR10, -COA, -CON(A)R3또는 -PO(R5)R6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18시클로알켄일이고, R1'는 이밖에 비치환된 C3-C8알킨일; R1'는 또한 -(E)m-U가 비치환된 벤질이나 또는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 아니라는 조건하에서 잔기 -(E)m-U 또는 -(E)m-Q이며; 또 m, X, Y, A, D, R3, R4, R5, R6, R7, R8, R9, R10, U, E 및 Q는 상기 일반식(Ia)에서 주어진 정의된 동일이다.
R1이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티오, C1-C4알콕시카르보닐, C1-C4알킬술포닐, C3-C8시클로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 또는 잔기 -(E)m-U 또는 -(E)m-Q에 의해 치환된 C3-C18알킬이며, 또 E, m, Q 및 U가 상기 일반식(Ia)에서 주어진 정의와 동일한 일반식(Ib)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유도체가 특히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며, 가장 활성인 화합물은 R1이 테트라히드로피란-2-일-메틸, 2,2-디메틸-1,3-디옥솔란-4-일메틸, 1,2-디히드로벤즈-1,4-디옥산-2-일메틸, 티오펜 -2-일-3,4-메틸렌디옥시벤질, 5-메틸티아졸-2-일에틸, 파라-톨릴에테르-1-일, 보밀, 노로보밀, 펜칠, 멘틸, 시아노에틸, 페녹시에틸, 메틸술포닐에틸, 페닐티오에틸, 에톡시카로보닐메타에톡시카르보닐에트-1-일, 5,5-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온-3-일, 2-옥소피롤리디노메틸, α-메톡시-카로보닐벤질, α-시아노벤질, α-벤조일벤질, α-메톡시카르보닐, α-페닐벤질 또는 모르폴리노메틸 라디칼인화합물이다.
R1'가 -(X)m-CXA(A, m 및 X는 상기 일반식(Ib)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함)에 의해 치환된 C1-C12알킬인 일반식(Ib)의 유도체가 또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밖에 다음 일반식(Ic)억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티오카르본산 유도체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2는 상기 일반식(Ia)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또한 다음 일반식(Id)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복시아미드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콕시, C1-C8알콕시알콕시, C1-C8알킬티오,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C4알킬카르바모일,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롤리디노카로보닐, 페피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1-C8시클로알킬이며; R3및 R4는 이밖에 할로겐, C1-C8알콕시, C1-C8시클로알킬 또는 잔기 시아노,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바모일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이고, R3및 R4는 이밖에 U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킨일이거나 또는 R3및 R4가 -(E)m-U 또는 -(E)m-Q의 라디칼이거나; R3및 R4가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NH-,-N-C1-C4알킬, -CO- 또는 -C(OR7)OR8를 1회 또는 수회 포함할 수 있으며 또 할로겐, 시아노, C1-C8알콕시,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잔기 -COOR10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5 내지 9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또 E, m, Q, R10및 U는 상기 일반식(Ib)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이들아미드중에서, -N(R3)R4가-N-디클로로벤질-N-메틸카르바모일, -N-벤질-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시클로헥실-N-메톡시카르바모밀에틸카르바모일,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카르바모일에트-1-일 또는 -N-(1-시클로펜트-1-일) -N-메틸카르바모일에 해당하는 아미드가 특히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밖에 다음 일반식(Ie)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보히드라지드가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9
(Ie)
상기식에서, m, 상호 독립적으로 각개 R3와 R4는 상기 일반식(Ia)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이들 화합물 중 다음 일반식(If)의 히드라지드가 특히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10
(If)
상기식에서, R3", R4" 및 R5"는 상호 독립해서 수소 C1-C8알킬, C3-C8시클로알킬, 페닐 또는 벤질로서, 페닐로서 벤질은 할로겐,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니트로, 카로복시, C1-C4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목시 또는 메틸카르바모일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될 수 있으며 , R3", R4"는 함께 또한 산소, 유황, 이미노 또는 C1-C4알킬이미노가 중간에 함유되고 또 C1-C4알킬에 의해 1회 또는 수회 치환될 수도 있는 4 내지 5원의 알킬렌 사슬이다.
이들 정의에서 별도 명시되지 않은 한 알킬잔기는 1개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 알킬잔기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다. 가장 통상적인 알킬 잔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3급부틸, n-펜틸, 이소펜틸, n-헥실 및 n-옥틸을 들 수 있다. 알켄일 및 알킨일잔기 또한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으며 또 3개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가장 통상적인 예로는 알릴, 메탈릴, 부텐, 부타디엔, 프로핀일, 메틸프로핀일, 1-부틴일과 2-부틴일을 들 수가 있다.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켄일 잔기는 3 내지 13개 탄소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벤젠 고리형태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전형적인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센일, 인단, 테트라히드로나프탈린, 데칼린을 들 수가 있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원자를 의미하며, 특히 불소 및 염소를 의미한다. 할로알킬 및 할로알켄일 잔기는 할로겐 원자로 단일치환 또는 다중치환된다.
전술한 잔기들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될 수 있으며, 이같은 잔기의 전형적인 치환체는 할로겐; 또는 산소, 유황 또는 이미노기를 통해 결합된 알킬, 알켄일, 알킨일,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잔기일 수 있다. 이 아릴잔기는 차례로 치환될 수 있다. 이들 잔기는 또한 술피닐-, 술포닐-, 카로보닐-, 카로보닐옥시-, 카로바모일-, 술파모일- 또는 아미노-옥시 브리지를 동해 지환족 탄화수소 잔기에 결합될 수 있다.
치한체 Q는 물론이지만 R3및 R4가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R3및 R4잔기도 5원 내지 12원 고리의 불포화 또는 포화 헤테로고리일 수 있으며, 이들 -고리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추가 헤테로원자 또는 술피닐- 또는 술포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고리 화합물은 이밖에 1개 또는 2개의 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또 벤젠고리 형태로 되고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능한 헤테로원자는 1개, 2개 또는 3개의 부가 질소원자, 2개까지의 산소 또는 유황원자일 수 있으며 2개 산소원자는 인접(Vic-)위치에 존재할 수 없다.
이같은 헤테로고리의 예들은 다음에 수록한다 : 피롤린, 피롤리딘, 이미다졸린, 이미다졸리딘, 피라졸린, 피라졸리딘, 이사졸린, 이사졸리딘, 옥사졸린, 옥사졸리딘, 이 소티아졸리딘, 티아졸린, 티아졸리딘, 디아티아졸리딘, 옥사디아졸리딘, 피페리딘, 피페라딘,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과 피라진, 모로폴린, 티오모르폴린, 티아진, 헥사히드로트리아진, 테트라히드로피라진, 옥사디아진, 옥사트리아진, 헥사히드로아제핀, 헥사히드로디아제핀, 디아제 핀, 헥사히드로디아제핀, 아자시클로옥탄, 인돌린, 이소인돌린, 벤조이미다졸린, 벤조인다졸린, 벤조옥사졸린, 벤조티아졸린, 벤조이소옥사졸린, 벤조티 아졸, 테트라히드로키놀린, 테트라히드로이소키놀린, 테트라히드로키나졸린, 테트라히드로키녹살린, 테트라히드로프탈라진, 벤조모르폴린, 벤조티오모르폴린, 테트라히드로벤조아제핀, 테트라히드로벤조디아제핀, 테트라히드로벤조옥사제핀, 1,5-디아비시클로[4.3.0]노난, 디히드로벤조옥사제핀, 1,6-디아비시클로[5.3.0]데칸, 1,4-디아비시클로[3.3.0]옥탄, 1,5-디아비시클로[4.4.0]데칸.
전술한 헤테로고리는 또한 치환체가 될 수 있다. 치환체로서 생성될 수 있는 헤테로고리계의 이밖의 예로는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이소옥사졸, 티아졸, 트리아졸, 옥사디아졸, 타아디아졸, 테트라졸, 옥사트리아졸, 티아트리아졸, 푸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솔, 디옥솔란, 옥사티올, 옥사티올란, 티오펜, 테트라히드로티오펜, 디티올란, 디티아졸, 피리딘, 피란, 티오피란,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테트라히드로피란,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 디옥신, 디옥산, 디티인, 디티안, 옥사진, 티아진, 옥사티인, 옥사티 안, 트리아진, 옥사디아진, 티아디아진, 옥사티아진, 디옥사진, 아제핀, 옥세핀, 티에핀, 디아제핀, 옥사제핀, 인돌,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인디졸, 벤조이미다졸, 벤조디옥솔, 벤조디티올, 벤조이소옥사졸, 벤조티아졸, 벤조옥사졸, 벤조옥사티올, 벤조트리아졸, 벤조옥사디아졸, 벤조푸라잔, 벤조티아디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크로멘, 크로만, 이소크로멘 이소크로만, 티오크로멘, 이소티오크로멘, 티오크로만, 이소티오크로만, 신놀린, 키나졸린, 키녹살린, 프탈라진, 벤조디옥신, 벤조디티인, 벤조옥사진, 벤조디옥산, 벤조옥사티안, 벤조트리아진, 벤조아제핀, 벤조디라제핀, 벤조옥사제핀, 푸린, 프테리딘, 페녹사진, 페노티아진을 들 수 있다.
이 헤테로고리 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치환시킬 수가 있다.
일반식(Ⅰ)의 일부 유도체는 문헌에 공지되었으며 또 공지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가 있다.
일반식(Ⅰ)의 티아졸유도체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199,506호에 따라 다음 일반식(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를 다음 일반식(Ⅲ)의 클로로카르보닐-술포닐클로라이드와 함께 다음 반응도식과 같이 축합반응시켜서 제조된다.
Figure kpo00011
수득된 2-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 유도체를 포스포로옥시 클로라이드와 함께 가열하여 반응조건 및 사용한 포스포로옥시클로라이드의 양에 따라 다음 일반식(Ⅰa)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 유도체 또는 다음 일반식(Ⅱa)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카로보클로라이드를 얻게된다.
Figure kpo00012
일반식(Ⅱ)의 아크릴산 유도체는 J.Het.Chem.9(1972)S13에 따라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를 아세토산나트륨 존재하의 비등용매중에서 트리플루오로메틸 니트릴과 다음 반응도식과 같이 축합반응시켜서 제조할수 있다.
Figure kpo00013
일반식(Ⅱa)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로보클로라이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다음 일반식(Ⅰ)의 활성 유도체를 공지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A 및 R1은 상기 일반식(Ⅰa)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며, 또 G는 할로겐원자 또는 저급알킬 술폭시잔기와 같은 불안정한 헥이탈잔기이다.
이들 반응에서는 비활성 용매가 사용되고 또 특정 반응조건을 맞추기 위하여 희석제가 사용된다. 그 예로는 다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프로판, 메탈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부탄, 클로로포름, 클로로나프탈렌, 디클로로나프탈렌,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펜타클로로에탄, 디플루오로벤젠, 1,2-디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에탄, 1,2-시스-디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플루오로벤젠, 브로모벤젠, 아이오도벤젠, 디클로로벤젠, 디브로모벤젠, 클로로톨루엔 및 트리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특히 염소화 탄화수소, 에밀 프로필 에테로, 메틸 3급 부틸 에테르, n-부틸에틸 에테르, 디-n-부틸 에테르, 디이소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아니솔, 페네톨, 시클로헥실 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클리콜 디메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티오아니솔과 디클로로디에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류; 니트로메탄, 니토로에탄, 니트로벤젠, 클로로니트로벤젠 및 o-니트로톨루엔과 같은 니트로히드로카본류, 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벤조니트릴과 m-클로로벤조니트릴과 같은 니트릴 ; 헵탄, 피난, 노난, 시몰, 70 내지 l90℃ 비점 범위내의 석유 분획,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데칼린, 석유에테르, 헥산, 리그로인, 트리메틸펜탄, 2,3,3-트리메틸펜탄과 옥탄과 같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및 이소부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포름아미드, 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아미드.
놀라웁게도, 본 발명의 일반식(Ⅰ) 화합물들은 농경지에 실제 사용시에 식물병원성 진균 및 세균에 대해 매우 유익한 살균 스팩트럼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매우 유익한 치로, 전신 특성, 특히 예방 특성을 갖고 있으며, 또 수많은 재배작물 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로서 상이한 유용작물에서 식물 또는 식물의 부분(과일, 꽃, 잎, 줄기, 덩이, 뿌리)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을 억제하거나 또는 사멸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후에 자라게 되는 식물의 부분들을 또한 이와같은 미생물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은 불완전균류(Fungi imperfecti)[예 : 보트리티스(Botrytis), 헬만토스포리움(Helminthosporium), 푸사리움(Fusarium), 세프토리아(Septoria), 세르코스포라(Cercospora), 피리쿨라리아(Pyricularia), 알테르나리아(Alternaria)] ; 담자균류(Basidiomycetes), [예 : 제네라 헤밀레이아(Genera Hemileia), 리조코토니아(Rhizocotonia), 푸씨니아(Puccinia)] ; 강(綱)에 속하는 식물병원성 균류; 특히 자낭균류(Ascomycetes)[예 : 벤투리아(Venturia), 프도수파에라(Podosphaera), 에리시페(Erysiphe), 모닐리니아(Monilinia), 운시눌라(Uncinula)] 강(網)에 대해 효과적이다. 이밖에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전신 작용을 갖는다. 이들 화합물은 진균 감염과 토양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종자(열매, 덩이, 알곡)와 꺾꽃이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드레싱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살균작용과는 별도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식물선충을 방제하는데 특히 적합한 살선충특성을 갖고 있다. 이 용도로서 본 발명 조성물은 치료제, 예방제 또는 전신작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각종 선충에 대해 광범위한 활성을 나타대며, 또 실용상의 요구조건을 만족하고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다음에 기술한 사용비율로서 식물에 특히 잘 허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살균제 조성물과 식물병원성 미생물, 특히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하거나 또는 이들 미생물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일반식(Ⅰ)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활성성분을, 본 명세서에 기재한 1개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 또는 1군의 화합물과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농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밖에 식물에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신규 조성물을 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식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보호되어야할 표적 작물은 다음 종류의 식물로 구싱된다 : 곡류(소맥, 보리, 호밀, 귀리, 벼, 수수 및 과련작물), 사탕수수(설탕제조용 사탕수수와 사료용 사탕수수), 이과(梨果 ; Pomes), 핵과(核果 ; Drupes) 및 소프트 푸르트(사과, 배, 플럼, 복숭아, 아몬드, 채리, 스트로베리, 라즈메리 및 블랙베리), 콩과 식물(강남콩, 편두(扁豆), 완두콩, 콩), 오일식물(유채, 겨자, 양귀비, 올리브, 해바라기, 코코낫, 피마자유 식물, 코코아비인, 땅콩), 오이식물(오이, 매로우(marrows), 멜론), 섬유식물(목화, 아마, 삼, 황마), 감귤류(오렌지, 레몬, 포도류, 밀감), 채소류(시금치, 상치,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당근, 양파, 토마토, 감자, 파프리카, 라우라세아(아보카도, 계피, 캠퍼), 또는 옥수수, 담배, 밤, 커피, 사탕수수, 차, 포도나무, 호프, 바나나와 같은 식물과 천연나무는 물론 관상용 식물(꽃, 관목, 낙엽송 및 침엽수).
앞에서 열거한 것은 이에 한정하기 위해 열거한 것이 아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통상 조성물 형태로 사용되며 또 처리하고져 하는 재배지 또는 식물에, 다른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비료 또는 미량영양소 공여체 또는 식물 성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제제일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본 제제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기타 담체, 계면활성제, 사용 증진 보조제를 갖는 선정된 제초제, 살충제, 살진균제, 살균제, 살선충제, 살연체동물제 또는 이들 몇몇 제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및 보조제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또 천연 또는 재생무기물질, 용매, 분산제, 습윤제, 점착제, 농조화제, 결합제 또는 비료등의 제재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물질에 해당된다.
일반식(Ⅰ)의 화합물 또는 이화합물을 1개 이싱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을 사용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엽면(Foliar) 사용이다. 사용회수와 사용율은 상응하는 병원균[진균류 종(種)]에 의한 감염위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식물의 소재지를 액체제제로서 함침시키거나 또는 토양에 이들 화합물을 고체 형태 예를들어 입상 형태로 가해줌으로써 (토양적용),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을 토양을 경유 뿌리를 통해 식물에 침투시켜 줄수가 있다(전신작용).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체제제로서 종자를 함침시키거나 또는 이들 종자를 고체 제제로서 피복시켜줌으로서 알반식(Ⅰ)의 화합물들을 종자에 또한 가해줄 수도 있다(피복). 특수한 경우에 식물 줄기 또는 봉오리의 선별 처리등과 같은 다른 사용 형태가 또한 가능하다.
일반식(Ⅰ)의 화합물들은 변형시키지 않은 원상태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제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보조제와 함께 사용되며, 또 따라서 공지방법에 따라 예를들어 유화 농축액, 피복 페이스트, 직접분무 또는 희석용액, 회석유화액, 습윤성분말, 가용성분말, 살포제, 입제로 제조할 수 있고 또 중합체물질등 내에 캡슐제로 조제할 수 있다. 조성물 특성에 따라, 분무, 원자화, 살포, 분산, 피복 또는 붓기와 같은 적용법이 의도하는 목적과 대치상황에 따라 선정된다. 유리한 사용율은 통상 헥트아르당 50g 내지 5㎏ 활성성분(a.i.), 바람직하게는 100g 내지 2㎏ a.i./ha,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g 내지 600a.i./ha이다.
일반식(Ⅰ)의 화합물(활성성분)과 적합한 경우 고체 또는 액체 보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제 또는 혼합물등의 제형들은 이 활성성분을 전개제, 예를들어 용매, 고제담체 및 적합한 경우 표면활성 화합물(계면활성제)와 균일하게 혼합하고 또/또는 연마하는 공지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적합한 용매의 예로는 크실렌 혼합물 또는 치환된 나프탈렌 등 바람직하게는 8개 내지 12개 단소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분획 ; 디부틸, 프탈레이트 또는 디옥틸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 시클로헥산 또는 파라핀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또는 모노에틸에테르와 같은 알코올 및 글리콜과 이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 시클로헥산은과 같은 케톤 ;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 술폭사이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강한 극성 용매는 물론 식물유 ; 또는 에폭시화 코코넛유, 해바라기기름 또는 콩기름과 같은 에폭시화 식물유 ; 또는 물을 들 수가 있다.
살포제 및 분산성 분말등에 사용되는 고체 담체는 통상 칼사이트, 탈크, 카올린,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에터펄자이트와 같은 천연 무기질 충전재이다. 물리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분산된 규산 또는 고분산된 흡수성 중합체를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입상 흡착성 담체는 기공형 담체로서 그 예로는 경석, 파쇄벽돌, 세피얼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들 수 있으며 ; 또 적합한 비흡착성 담체는 칼사이트 또는 모래와 같은 물질이다. 이밖에 다수의 입상으로 만든 무기 또는 유기질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백운석 또는 분쇄 식물 잔유물이 사용된다. 사용비율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특히 유리한 사용증진 보조제는 또한 예를들어 동물 또는 식물세포, 특히 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세탈린과 리시틴 계열의 천연(동물 또는 식물) 또는 합성 인지질(Phospholipids)이다. 유용한 물리적 형태의 예로는 포스파티딜 콜린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합성 인지질의 예로는 디옥타노일 포스파티딜 콜린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 콜린을 들 수 있다.
제형으로 만드는 일반식(Ⅰ)의 화합물 특성에 따라 적합한 표면활성 화합물은 우수한 유화, 분산 및 습윤특성을 갖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용어 "계면활성제"는 또한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위 수가용성 비누와 수가용성 합성 표면활성 화합물이다.
적합한 비누는 올레산 또는 스테아르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 또는 코코넛 오일 또는 공업용 우지(牛脂)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 지방산 혼합물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등의 고급지방산(C10-C22)의 알카리 금속염, 알카리토 금속염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암모늄염이다. 적합한 비누는 또한 지방산 메틸라우린염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그러나 흔히는 소위 합성 계면활성제, 특히 지방알코올 술포네이트, 지방알코올 술페이트, 술폰화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알킬 술포네이트가 사용된다.
지방알고올 술포네이트 또는 술페이트는 통상 알카리 금속염, 알카리토금속염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암모늄염이며 또 아실라디칼의 알킬잔기를 또한 함유하는 C8-C22알킬 라디칼을 포함하며, 그 예로는 리그노술폰산 또는 도데실술페이트의 나트륨 또는 칼슘염 또는 천연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알코올 술페이토 혼합물의 나트륨 또는 칼슘염을 들 수가 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술페이트화 및 술폰화 지방알코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의 염으로 구성된다. 술폰화 벤조이미다졸 유도체로는 2개의 술폰산기와 8 내지22개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개 지방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예로는 도데실벤젠술폰산,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의 나트륨, 칼슘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이나 또는 나프탈렌술폰산과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 칼슘 또는 트리에탄올 아만염을 들 수가 있다. 또한 p-노닐페놀과 4 내지 14몰 에탈렌옥사이드 부가물의 인산에스테르의 염과 같은 상응하는 인산염이 적합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 폴리글리콜 에테르 유도체가 3 내지 30개 클리콜 에테르기를 포함하며, 또(지방족) 탄화수소 잔기에 8개 내지 20개 탄소원자와 알킬페놀의 알킬잔기에 6개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알킬 페놀의 폴리글리콜 에테르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밖에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프로필렌 클리콜, 에틸렌디아미노-폴리프로필렌 클리콜 및 알킬사슬에 1개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폴리프로필렌 클리콜과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수용성 부가물로서 20 내지 250개 에틸렌 클리콜 에테르기와 10개 내지 100개 프로필렌 클리콜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부가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통상 프로필렌 클리콜 단위체 1개당 1개 내지 5개 에틸렌 클리콜 단위체를 포함하고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노닐페놀 폴리에톡시에탄올, 피마자유 폴리클리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옥시드 부가물, 트리부틸페녹시폴리에틸렌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을 들 수가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술비탄 트리올레이트 등 폴리옥시에틸렌 술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한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N-치환체로서 적어도 1개의 C8-C22알킬기, 또 기타 치환체로서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화된 알킬, 벤질 또는 히드록시 저급알킬기를 포함하는 4급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염은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벤질 디(2-클로로에틸)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등의 할로겐화물, 메틸술페이트 또는 에틸술페이트 형태가 바람직하다.
농약 조성물은 통상 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5중량%의 일반식(Ⅰ) 화합물, 99.9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99.8 내지 5중량%의 고체 또는 액체 보조제와 0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중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시판제품은 농축액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최종 소비자는 통상 회석제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 조성물은 또한 안정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결합제, 점착제는 물론 비료와 같은 기타 보조제 또는 특수한 효과를 얻기 위한 기타 활성성분을 함유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농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성한다.
다음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실시예에서 온도는 섭씨로, 압력은 밀리바(mbar)로 사용하였으며, 퍼센트와 부는 중량을 기준하였다.
[실시예 1.1]
2-클로로-5-(2-페녹시에톡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의 제조
Figure kpo00015
100㎖ 무수 톨루엔중에 11g(0.44몰)의 2-클로로-5-클로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을 용해시킨 용액을 교반하면서 6.3g(0.045몰)의 2-페녹시에탄올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 이 용액을 0 내지 5로 냉각시키고 또 교반하면서 3.6g(0.045몰)의 트리에틸아민을 적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에틸아민히드로클로라이드가 침전하였다. 모든 첨가가 종료된 후, 이 현탁액을 실온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하고 또 이어 얼음물에 부어 넣었다. 유기상을 분리시키고, 또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또 회전식 증발기내에서 농축하였다. 이 잔유물을 결점화시킨다. 이를 정제하기 의하여 이 결정을 석유 에테르에 현탁시키고 여과하여 건조하였다. 이같은 방식으로 8.7g(57%)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융점 70 내지 72℃
[실시예 1.2]
2-클로로-5-(N-벤질-N-이소프로필아미도)-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의 제조
Figure kpo00016
50㎖ 에틸아세테이트에 2.8g(0.027몰)의 트리에틸아민과 4.lg(0.027몰)의 N-이소프로필벤질아민을 용해시킨 용액을 0°내지 5℃에서 6.5g(0.025몰)의 2-클로로-3-클로로카로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 교반용액에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후, 황색 용액으로 변한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하고 또 이어 얼음물에 부어 넣었다. 유기층을 분리해서 황산 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활성탄으로 정제한 후 여과하고 또 회전식 증발기상에서 농축하였다. 적갈색 오일의 잔유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사용하는 실러카겔 칼람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분리로 정제하였다. 용리제 증발후에 정확한 화학 분석치를 갖는 무색 오일 6.5g(73%)이 잔유하였다.
[실시예 1.3]
2-클로로-5-(1-메톡시카로보닐-에트-1-일옥시-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의 제조
Figure kpo00017
50㎖의 무수 디메틸 포름 아미드에 현탁시킨 6.94g의 2-클로로-5-카르보닐-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 5g의 2-브로모 프로피온산-메틸에스테르와 4.5g의 단산칼륨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질소기류하의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또 이 여과액을 얼음물/에틸아세테이트(1 : 1)에 부어 넣었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얼음물로 3회 세척한 후 건조하고 또 회전식 증발기에서 농축하였다. 무색 오일상의 이 잔유물을 정제하기 위해 증류하였다. 비점 75 내지 80℃/0.015mbar의 무색 오일로서 표제 생성물 8.5g(75%)을 수득하였다.
이들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표 1a]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표 1b]
Figure kpo00020
[표 1c]
Figure kpo00021
[표 1d]
Figure kpo00022
[표 2]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표 3a]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표 3b]
Figure kpo00027
[표 3c]
Figure kpo00028
2. 일반식(Ⅰ)의 활성성분에 대한 조제예(%는 중량퍼센트임)
2.1 수화성 분말제
Figure kpo00029
활성성분을 보조제와 잘 혼합하고, 또 이 혼합물을 적합한 분쇄기내에서 잘 분쇄하였다. 물로 희석해서 필요로 하는 농도의 현탁액을 얻을 수 있는 수화성 분말제를 얻었다.
2.2 유화 농축액
Figure kpo00030
물로 희석해서 이 농축액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농도의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다.
2.3 살포제
Figure kpo00031
이 활성성분을 담체와 혼합하고, 또 이 혼합물을 적합한 분쇄기내에서 분쇄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살포제를 얻었다.
2.4 압출 입제
Figure kpo00032
활성성분을 보조제와 혼합하고 또 분쇄하여 이 혼합물을 물로 적셔주었다. 이 혼합물을 압출하고 또 이어 공기기류중에서 건조시켰다.
2.5 피복 입제
Figure kpo00033
혼합기내에 미분쇄 활성성분을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적셔준 카올린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이같은 방식으로 분진이 없는 피복 입제를 얻었다.
2.6 현탁 농축액
Figure kpo00034
미분쇄 활성성분을 보조제와 잘 혼합하였다. 이같은 방식으로 현탁 농축액을 제조하고 또 이를 물로 희석해서 필요로 하는 농도의 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다.
3. 생물학적 실시예
[실시예 3.l]
소맥에서 푸찌니아 그라미니스(Puccinia graminis)에 대한 작용
(a) 잔류 보호 작용
소맥 식물을 파종 6일후 시험 화합물의 수화성 분말 제제로서 제조한 분무 혼합물(0.06% 활성성분)로 처리하였다. 24시간후 처리식물을 진균의 여름 홀찌(Uredospore)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 감염 식물을 95 내지 100% 상대습도 및 약 2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또 이어 온실에서 약 22℃로 방치하였다. 감염 12일후에 녹균병 발포발생을 평가하였다.
(b) 전신작용
소맥식물을 파종 5일후 시험 화합물의 수화성 분말 제제로서 제조한 분무 혼합물(토양 체적을 기준해서 0.02% 활성성분)로 처리하였다. 48시간후, 이 처리 식물을 진균의 여름 홀찌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어 이 감염 식물을 95 내지 100% 상대습도 및 약 20℃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고, 또 이어 온실에서 약 22℃로 방치하였다. 감염 12일 후에 녹균병 발포발생을 평가하였다.
표 1 내지 3의 화합물들은 푸찌니아(Puccinia) 진균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푸찌니아 공격은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미처리 감염 대조 식물에서의 푸찌니아 공격은 100%이었다.
[실시예 3.2]
땅콩식물에서 세르코스포라 아라키디콜라(Cercospora aracbidicola)에 대한 작용
잔류 보호 작용
높이 10 내지 15㎝ 땅콩식물에 시험 화합물의 수화성 분말 제제로부터 제조한 분무 혼합물(0.02% 활성성분)로 분무하고 또 48시간후 진균의 분생자(分生子)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 감염식물을 약 2℃ 및 높은 습도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고 또 이어 전형적인 잎 반점이 발생될 때까지 온실에 방치하였다. 감염 12일 후에 살진균 작용을 평가하고 또 이 평가는 반점 수 및 크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미처리 감염 대조 식물과 비교할 때(반점 수 및 크기=100%), 표1 내지 3의 화합물로 처리한 따콩식물에서의 세르코스포라 공격은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1.009는 반점의 발생을 거의 완전하게 억제하였다(0 내지 10%).
[실시예 3.3]
보리에서 에리시페 그라미니스(Erysiphe graminis)에 대한 작용
(a) 잔류 보호 작용
높이 약 8㎝의 보리작물을 시험 화합물의 수화성 분말 제제로부터 제조한 분무 혼합물(0.006% 활성성분)로 분무하였다. 3 내지 4시간후 이 처리식물에 진균의 분생자를 살포하였다. 이 감염 보리작물을 온실에서 약 22℃로 방치하였다. 10일 후에 진균공격을 평가하였다.
표1 내지 3의 화함물들은 에리시페 진균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화합물 1.009, 1.012, 1.065, 1.115, 1.127, 1.137, 3.077, 3.084 및 3.086은 에리시페 공격을 거의 완전하게 억제하였다(공격=0 내지 10%). 한편 미처리 감염 대조균에서의 에리시페 공격은 100%이었다.
[실시예 3.4]
사과나무순(旬)에서 벤투리아 이나에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에 대한 잔류 보호 작용
잔류 보호 작용
10 내지 20㎝ 길이의 새순을 갖고 있는 꺾꽃이 사과나무를 시험 화합물의 수화성 분말 제제로서 제조한 분무 혼합물(0 02% a.i.)로 분무하였다. 24시간 후 이 식물을 진균의 분생자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어이 식물을 90 내지 100% 상대습도에서 5일간 배양하고 또 온실에서 20 내지 24℃로 10일간 추가 방치하였다. 감염 15일후, 붉은 곰팡이병 감염을 평가하였다.
표1 내지 3의 화합물은 벤투리아에 대하여 우수한 활 성을 나타내었다. 미처리 감염 순(旬)에 대한 공격은 100%이었다.
[실시예 3.5]
콩에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에 대한 작용
잔류 보호 작용
높이 약 10㎝의 콩작물을 시험 화합물의 수화성 분말 제제로부터 제조한 분무혼합물(0.02%)로 분무하였다. 48시간후, 이 처리식물을 진균의 분생자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 감염 식물을 95 내지 100% 상대습도 및 21℃에서 3일간 배양하고 또 이어 진균 공격을 평가하였다.
표 1 내지 3의 많은 화합물은 진균 공격을 매우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화합물 1.004, 1.012, 1.065, 1.115, 1.127, 1.137, 3.077, 3.084 및 3.086은 0.02%농도에서 충분히 효과가 있었다(공격 0 내지 5%). 미처리 감염 콩 식물에서의 보트리티스공격은 100%이었다.
[실시예 3.6]
벼 식물에서 피리클라리아 오리자에(Pyricularia oryzae)에 대한 작용
(a) 잔류 보호 작용
2주일된 벼식물을 시험하려는 물질의 수화성 분말로서 제조되고 활성 물질 0.006%를 함유하는 분무 혼합물로서 분무하였다. 48시간후, 이 처리식물을 진균의 분생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 감염식물을 24℃ 및 95 내지 100% 상대습도로 5일간 보관한 후 진균 감염을 평가하였다.
(b) 전신 작용
화분대의 2주일된 벼 식물을 시험하려는 물질의 수화성 분말을 필요로 하는 양의 물로 희석시켜 제조하고, 활성물질 0.006%를 함유하는 분무 혼합물로서 분무하있다. 이어 화분에 물을 가해서 벼작물의 줄기가 수중에 있게 만든다. 48시간후 이 벼 식물을 진균의 분생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으로 감염시킨다. 이 벼 식물을 약 24℃ 및 95 내지 100% 상대습도로 유지하면서 5일간 배양한 후에 진균 감염을 평가하였다
표1 대지 3의 화합물들은 피리클라리아 오리자에에 대해 매우 효과가 있었다. 감염은 되었으나 처리하지 않은 대조식물에서의 피리쿨라리아 감염은 100%이었다. 시험화합물, 특히 1.115 및 3.040은 벼작물에서 진균 공격을 0 내지 5%로 억제하였다.
[실시예 3.7]
소맥에서 틸레티아 카리에스(Tilletia caries)에 대한 작용
프로부스(Probus) 품종의 가을 보리를 보리 종자 ㎏당 건조 진균 홀씨 3g의 비율로 틸레티아 카리에스 홀씨로 감염시켰다. 이 감염된 종자를 건조시키고 또 이어 로울링 믹서(Rolling-mixer)내에서 시험하려는 화합물의 수용액으로 냉침(Maceration)시켜서 종자 중량에 대해 60ppm 활성물질을 도포해준다. 이어, 이를 종자를 건조시킨다. 이 감염되고 또 처리한 보리를 10월에 파종기를 사용해서 공한지에 파종하였다. 3열로된 2m 길이의 롯트를 3회 반복해서 배열하였다.
이 시험은 이삭이 숙성한 지점에서 틸레티아 카리에스로서 감염된 이삭의 퍼센트를 구해서 평가하였다.
표1 내지 3의 화합물들은 틸레티아 카리에스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었다. 감염은 되었으나 처리하지 않은 종자에서 성장된 식물들은 100% 틸레티아 감염이 있었음에 반해서, 시험 화합물은 이 감염을 0 내지 5%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3.8]
보리에서 헬민토스포리움 그라미네움(Helmintbosporium gramineum)에 대한 작용
천연적으로 헬민토스포리움 그라미네움으로 감염된 "C1" 품종의 가을보리를 로울링 믹서내에서 시험하러는 화합물 용액으로 처리해서 종자 중량에 대해 60ppm으로 도포하였다. 이 감염되고 또 처리한 보리를 10월에 파종기를 사용 공한지에 3열로 된 2m 길이의 롯트 식물을 3회 반복해서 배열되도록 파종하였다. 본시험은 이삭 발아시점에서 평가하였으며, 또 헬민토스포리움 그라미네움에 의해 감염된 줄기의 퍼센트를 계산하였다.
표1 내지 3의 화합물들은 헬민토스포리움그라미네움에 대해 매우 효과가 있었다. 감염되었으나 미처리한 종자로부터 생성된 식물들은 100% 핼민토스포리움 감염이 있었음에 반하여, 시험 화합물들은 이 감염을 0 내지 5%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3.9]
토마토 작물에서 피토프트라(Phytophtora)에 대한 작용
(a) 잔류 보호 작용
3주일된 토마토작물을 시험하려는 물질의 수화성 물질로서 제조하고 0.006%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분무용액으로 분무하였다. 이 처리식물을 진균의 홀씨주머니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이 감염식물을 이어 20℃ 및 90 내지 100% 상대습도로 보관하였다. 이 시험은 5일간의 배양기간이 경과한 후 피토프토라 감염 정도를 구해서 평가하었다.
(b) 잔류 치로 작용
3주일된 토마토작물을 피토프토라의 홀씨주머니 현탁액으로 감염시켰다. 20℃ 및 90 내지 100% 상대습도의 습도조절실내에서 22시간동안 배양한 후 감염식물을 건조시키고 또 0.008%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무용액으로 분무하였다.
표1 내지 3의 시험 화합물들은 이들 시험에서 피토프토라에 대해 괄목할만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l0]
벼작물에서 리족토니아 솔라니(토양진균 :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작용
(a) 토양적용, 국부보호작용
12일된 벼식물에 조합제를 희석시켜 제조한 0.006%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무용액을 지상의 식물부위에는 전혀 묻지 않도록 가해주었다. 이 처리 식물읕 감염시키기 위해서 리족토니아 솔라니 균사체 및 균핵의 현탁액을 이들 식물 주변 토양에 부어주었다. 온도 27℃(낮)과 23°(밤) 및 100% 상대습도의 습도조절실에서 6일간 배양한 후 엽초(Sheath : 葉
Figure kpo00035
), 잎 및 줄기에서의 진균 감염을 평가하였다.
(b) 엽(葉)적용, 국부 보호 작용
12일된 벼식물을 조합제를 물로 희석시켜 제조한 분무 용액으로 분무하였다. 1일후, 이들 식물에 리족토니아 솔라니 균사체 및 균핵의 현탁액을 분무하여 이들 식물을 감염시켰다. 온도 27°(낮)과 23°(밤) 및 100% 상대습도의 습도조절실에서 6일간 배양한 후, 엽초, 잎 및 줄기에서의 진균감염을 평가하였다.
표1, 2 및 3의 시험 화합물들은 본 시험에서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상의 보호는 화합물 3.040으로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11]
벼에서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Xantbomonas oryzae(Oryza sativa)]에 대한 작용
(a) 잔류 브호작용
3주일된 "Calora" 또는 "S6" 품종의 벼작물에 0.02%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무용액으로 온실내에서 분무하였다. 분무액 피막이 건조되고 1일후, 이 처리식물을 온도 24℃ 및 75 내지 85% 상대습도의 습도조절실에 넣고 이를 감염시켰다. 감염은 잎의 각 지점들을 가위로 절단하고 이를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 현탁액에 담가주었다. 10일간 배양한 후, 가장 좋은 것을 평가하였다. 감염된 이들은 오므라들고 또 괴사하였다. 병적증상의 정도로서 시험하려는 물질의 잔류 활성정도를 결정하였다.
(b) 전신작용
3주일된 "Calora" 또는 "S6" 품종의 벼 작물에 0.008%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무 용액으로 온실내에서 분무하였다. 3일후, 이 처리식물을 온도 24°및 75 내지 85% 상대습도의 습도조절실내로 옮겨서 감염시켰다. 감염은 잎들의 여러지점에서 가위로 절단하고 이를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 현탁액에 담가서 행하였다. 10일간 배양한 후 본 시험을 평가하였다. 감염된 잎들은 오므라들고 또 괴사하였다. 병적 증상의 정도로서, 시험하려는 물질의 전신 활성 정도를 결정하였다.
표1, 2 및 3의 시험화합물들은 크산토모나스 오리자에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합물 l.127 및 l.137은 진균 감염을 0 내지 20%로 감소시키는 한편 감염되었으나, 미처리한 대조식물들은 100% 감염되었다.

Claims (20)

  1. 비활성 담체와 계면활성제 이외에 활성성분으로서 효과량만큼의 하기 일반식(IA)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 및 살진균제 조성물 :
    Figure kpo00036
    상기식에서, Ra는 시아노, -COXR1, -CONR3R4또는 -COD중에서 선정한 라디칼로서, X는 산소 또는 유황, R1은 수소; 할로겐, -YR2기, A, 니트로, -N(R3)COA, -[N(R3)]m-C(A)=NC1-C4알킬, -[N(R3)]mC(A)=NH, 또는 [N(R3)]m-CO-N[(CO)mR3]-NR3, -[N(R3)]m-CON[(CO)m-R3]-N(R3)m-(CO)mR4(지수 m중 1개는 0이어야 한다)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1-C18시클로알킬로서; C1-C18알킬 또는 C1-C18시클로알킬은 또한 시아노, 잔기 -C(X)mXR10, -XCXR10, -(X)m-CXA, -(X)CXN(R3)N(R3)R4, -CHA-COOR10, -C(OR7)=(OR8)R9, -PO(R5)R6, C3-C8시클로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켄일로서 치환될 수 있고, R1은 이밖에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킬 또는 잔기 -CO(O)m-R10, -COA, -CON(A)R3또는 -PO(R5)R6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18시클로알켄일을 의미하며; R1은 이밖에 -(E)mU 또는 -(E)m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킨일을 의미하고; R2는 C1-C8알콕시, C1-C8알킬티오, C2-C8알콕시알킬,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잔기 -CX(X)mR10, -(X)m-CXA, -(X)mCXR10, -N(R3)COA, -[N(R3)]m-C(A)=NH, [N(R3)]m-C(A)=N-C1-C4알킬, A, -X-U 또는 X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며; R2는 이밖에 할로겐 또는 잔기 -(E)mU 또는 -(E)m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이고; m은 0 또는 1; Y는 산소, 유황, SO 또는 SO2; A는 -N(R3)R4라디칼; D는 -N(R3)N(R4)(CO)mR3라디칼,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콕시, C2-C8알콕시알콕시, C1-C8알킬티오,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4알킬카르바모밀,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롤리디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을 나타내며; R3및 R4는 이밖에 할로겐, C1-C8알콕, C3-C8시클로알킬 또는 잔기 시아노,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바모일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을 나타내고; R3및 R4는 이밖에 U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킨일 또는 R3및 R4가 -(E)m-U 또는 -(E)m-Q의 라디칼이거나; R3및 R4는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NH-, -N-C1-C4알킬, -CO- 또는 -C(OR7)OR8을 1회 또는 수회 포함될 수도 있고 또 할로겐, 시아노, C1-C8알콕시,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잔기 -COOR10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5원 내지 9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5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4알킬 또는 C2-C4알콕시, R7및 R8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2 내지 4개 사슬 결합의 알킬렌 사술을 형성하고, R9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알켄일, C2-C8알콕시알킬, C3-C8알콕시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3알킬렌)mU, -(C1-C3알킬렌)mQ, C1-C4할로알콕시이며; U는 할로겐, C1-C4알킬, -Y-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할로알콕시,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시, -COOR7, -CONH2, -CONHR7, -CON(R7), -SO2NHR7, -SO2N(R7)2,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보닐로서 1회 또는 수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이며, E는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에 의해서 또는 잔기 -CO(O)mR10, -(CO)mA, -(CO)mQ에 의해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되고, 또 -CO- 또는 -C(OR7)OR8-을 중간에 포함할 수도있는 C1-C8알켄일렌 또는 C2-C8알킬렌 사슬이고, 또 Q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1개의 술피닐 또는 술포닐기와 결합된 1개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또 l개 내지 2개의 카르보닐기를 중간에 포함하거나 또 벤젠형 고리를 형성하도록 축합될 수 있는 5원 내지 12원 고리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 고리이다.
  2. 다음 일반식(Ia)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릴-5-카르본산유도체:
    Figure kpo00037
    상기식에서, Ra는 시아노, -COXR1', -COR1', -CONR3'R4' 또는 -COD 라디칼로서, D 및 X는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고, R1'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1-C1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할로겐, 잔기 -YR2, A, 니트로, -N(R3)COA, -[N(R3)]m-C(A)=NC1-C4알킬, -[N(R3)]m-C(A)=NH 또는 -[N(R3)]m-CON-[C(Om)R3]-N(R3), -[N(R3)]m--CON[(CO)m-R3]-N(R3)m-(CO)mR4(지수 m중 1개는 0이어야 한다)로서 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로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은 또한 시아노, 잔기 -C(X)m-XR10, -XCXR10,-(X)m-CXA, -(X)m-CXN(R3)N(R3)R4, -CHA-COOR10, -C(OR7)(OR8)R9, -PO(R5)R6, C3-C8시클로알킬 또는 C5-C8시클로알켄일로서 치환될 수 있고; 단 이들 잔기가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인 경우 -XR1'는 C1-C10할로알콕시, C2-C10알콕시알콕시, 페닐티오 또는 벤질옥시가 아니며; R1'는 이밖에 -XR1'가 비치환된 C3-C5알켄일옥시가 아니라는 조건하에서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킬 또는 잔기 -CO(O)mR10, -COA, -CON(A)R3또는 -PO(R5)R6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18시클로알켄일이고; R1'는 이밖에 비치환된 C3-C8알킨일; X가 유황인 경우에 R1'는 또한 잔기 -(E)m-U 또는 -(E)m-Q이며, R2는 C1-C8알콕시, C1-C8알킬티오, C3-C8알콕시알콕시, 할로겐, 시아노 또는 잔기 -CX(X)mR10, -(X)m-CXA, -(X)mCXR10, -N(R3)COA, -[N(R3)]m-C(A)=NH, [N(R3)]m-C(A)=NC1-C4알킬, A, -XU 또는 -X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며; R2는 이밖에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 또는 잔기 -(E)mU 또는 -(E)mQ이고; m은 0 또는 1; Y는 산소, 유황, -SO- 또는 -SO2-, A는 잔기 -N(R3)R4; D는 잔기 -N(R3)N(R4)(CO)mR3,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콕시, C2-C8알콕시알콕시,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C4알킬카르바모일,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롤리디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이며; R3' 및 R4'는 이밖에 할로겐, C1-C8알콕시, C3-C8시클로알켄일,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C4알킬카르바모밀, U,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보닐에 의해 치환되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이고; R3' 및 R4'는 이밖에 R3' 및 R4'중 1개가 수소 또는 C1-C4알킬이라는 조건하에서 잔기 -(E)m-U 또는 -(E)m-Q이며, R3' 및 R4'는 또한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산소, 유황, 질소, 이미노, C1-C4알킨이미노, -CO- 또는 -C(OR7)OR8-을 1회 또는 수회 분자중간에 포함하며 또 할로겐, 시아노, C1-C8알콕시,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COOR10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5원 내지 9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및 R6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 C1-C4알킬 또는 C2-C4알콕시; R7및 R8은 독립적으로 C1-C4알킬이거나 또는 R7및 R8은 함께 2 내지 4원의 알킬렌 사슬을 형성하고; R9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3알킬, C3-C8시클로알킬, C3-C8시클로알켄일, C3-C8알킨일, C2-C8알콕시알킬, C4-C8알콕시알콕시알킬, C1-C4할로알킬, -(C1-C3알킬)m-U, -(C1-C3알킬렌)mQ,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C1-C4알킬이며; U는 할로겐, C1-C4알킬, -Y-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할로알콕시, 시아노, 니트로, -COOH, -COOR7, -CONH2, -CONHR7, -CON(R7)2, -SO2NHR7, -SO2N(R7)2,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보닐에 의해 1회 또는 수회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 또는 나프틸잔기이고, E는 할로겐, C1-C4알콕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또는 잔기 -CO(O)mR10, -(CO)mA 또는 -(CO)mQ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되고 또/또는 -CO- 또는 -C(OR7)OR8을 중간에 포함할 수도 있는 C1-C8알킬렌 또는 C2-C8알켄일렌 사슬이고; 또 Q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1개의 술피닐 또는 술포닐기와 결합된 1개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또 1개 내지 2개의 카르보닐기를 중간에 포함하거나 또는 벤젠형고리를 형성하도록 축합될 수 있는 5원 내지 12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 고리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Ib)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 및 살진균제 조성물.
    Figure kpo00038
    상기식에서, R1은 제3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4. 다음 일반식(Ib)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 유도체.
    Figure kpo00039
    상기식에서, R1'는 할로겐 또는 C1-C5알킬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R1'는 잔기 -XR2, A, 니트로, -N(R3)COA, -[N(R3)]m-C(A)=NC1-C4알킬, -[N(R3)]mC(A)=NH, -[N(R3)]m-CON [(CO)mR3]-NR3, -[N(R3)]m-CON[ (CO)m-R3]-N(R)m-(CO)mR4(지수 중 1개는 0이어야 한다)으로 치환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로서; C1-C18알킬 또는 C3-C18시클로알킬은 또한 시아노, 잔기 -C(X)m-XR10, -(X)mCXA, -(X)CXN(R)R4, -CHA-COOR10, -C(OR7)(OR8)R9, -PO(R5)R6, C3-C8시클로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로서 치환될 수 있고; R1'는 이밖에 할로겐, C1-C4알쿠시, C1-C4알킬티오, C1-C4할로알콕시, C1-C4할로알킬로서 또는 잔기 -CO(O)mR10, -COA, -CON(A)R3또는 -PO(R5)R6로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18시클로알켄일이고, R1'는 이밖에 비치환된 C3-C8알킨일; R1'는 또한 -(E)m-U가 비치환된 벤질이나 또는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 아니라는 조전하에서 잔기 -(E)m-U 또는 -(E)m-Q이며, 또 m, X, Y, A, D, R3, R4, R5, R6, R7, R8, R9, R10, U, E 및 Q는 상기 제1항에서 주어진정의와 동일하다.
  5. 제4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 시아노 C1-C4알킬티오, C1-C4알콕시카르보닐, C1-C4알킬술포닐, C3-C8시클로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 또는 잔기 -(E)m-U 또는 -(E)m-Q에 의해 치환된 C1-C18알킬이고 또 E, m, Q 및 U가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한 일반식(Ib)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 -티아졸-5-카르본산 유도체.
  6. 제5항에 있어서, R1이 잔기 테트라히드로피란-2-일메틸, 2,2-디메탈-1,3-디옥솔란-4-일메틸, 1,3-디히드로벤조-1,4-디옥산-2-일메틸, 티오펜-2-일메틸, 3,4-메틸렌디옥시벤질, 5-메탈티아졸-2-일에틸, 파라 툴릴-1-일, 보밀, 노르보밀, 펜칠, 메틸, 시아노메틸, 페녹시에틸, 메틸술포닐에틸, 페닐티오에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에트-1-일, 5,5-디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온-3-일, 2 -옥소피롤리디노메틸, α-메톡시카르보닐벤질, α-시아노벤질, α-벤조일벤질, α-메톡시카르보닐, α-페닐벤질 또는 모르폴리노 메틸인 일반식(Ib)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카르본산 유도체.
  7. 제4항에 있어서, R1'이 -(X)m-CXA로서 치환된 C1-C12알킬이며 또 A, m 및 X가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한 일반식(I b)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카르본산 유도체.
  8. 제7항에 있어서, m이 0이고, X가 산소이고 A가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한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카르본산 유도체.
  9. 제7항에 있어서, R1'이 아제피노메틸,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카르보닐에트-1-일)-카르바모일메틸 또는 2-피페리디노-에트-1-일 잔기인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카르본산 유도체.
  10.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Ic)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 및 실진균제 조성물.
    Figure kpo00040
    상기식에서 R2는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11. 다음 일반식(Ic) 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카르본산 유도체.
    Figure kpo00041
    상기식에서, R2는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12.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일반식(Id)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살균 및 살진균제 조성물.
    Figure kpo00042
    상기식에서 R3및 R4는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13. 다음 일반식 (Id)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 아미드.
    Figure kpo00043
    상기식에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8알콕시, C1-C8알콕시알콕시, C1-C8알킬티오, 시아노, 잔기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디-C1-C4알킬카르바모일,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롤리디노카르보닐, 페피리디노 또는 피롤리디노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1-C8알킬 또는 C3-C8시클로알킬이며; R3및 R4는 이밖에 할로겐, C1-C8알콕시, C3-C8시클로알킬 또는 잔기 시아노, -COOR10, C1-C4알킬카르바모일 또는 피페리디노카르바모일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켄일 또는 C3-C8시클로알켄일이고; R3및 R4는 이밖에 U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C3-C8알킨일이거나 또는 R3및 R4가 -(E)m-U 또는 -(E)m-Q의 라디칼이거나; R3및 R4가 이들이 결합되는 질소원자와 함께 -NH-, -N-C1-C4알킬, -CO- 또는 -C(OR7)OR8를 1회 또는 수회 포함할 수 있으며 또 할로겐, 시아노, C1-C8알콕시,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잔기 -COOR10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5 내지 9원 고리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또 E, m, Q, R10및 U는 상기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14. 제13항에 있어시, -N(R3)R4가 잔기 -N-2,4-디클로로벤질-N-메틸카르바모일, -N-벤질-N-이소프로필카르바모일, -N-시클로헥실-N-메톡시카르바모일에틸카르바모일, -N-2,6-디메틸페닐-N-메톡시카르바모일에트-1-일-카르바모일 또는 -N-(1-카노펜트-1-일)-N-메틸카르바모일인 일반식(Id)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 아미드.
  15. 다음 일반식(Ie)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보히드라지드.
    Figure kpo00044
    상기식에서, 각개 R5는 상호 독립적이며, R3및 R4는 제1항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16. 다음 일반식(If)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 히드라지드.
    Figure kpo00045
    상기식에서, R3", F4" 및 R5"는 상호 독립해서 수소 C1-C8알킬, C3-C8시클로알킬, 페닐 또는 벤질로서, 페닐과 벤질은 할로겐, C1-C4알킬, C1-C4할로알킬, C1-C4알콕시, C1-C4할로알콕시, 니트로, 카르복시, C1-C4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목시 또는 메틸카르바모일로서 치한되거나 또는 비치환일 수 있으며; R3" 및 F4"는 함께 또한 산소, 유황, 이미노 또는 C1-C4알킬이미노가 중간에 함유되고 또 C1-C4알킬에 의해 1회 또는 수회 치환될 수도 있는 4 내지 5원의 알킬렌 사슬이다.
  17. 촉매로서 나트륨 아세테이트 존재하의 비등용매중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토니트릴과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를 축합반응시기고, 이 반응혼합물에 클로로카르보닐 술펜옥시드를 첨가해서 2-아미노-3,3,3-트리플루오로부트-2-엔산 에스테르를 축합반응시켜 고리 화합물로 제조하고, 이 2-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로본산 에스테르를 포스포로스 트리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고, 또 산클로라이드를 공지방법에 따라 일반식(Ia)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2항에 따른 일반식(Ia)의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티아졸-5-카르본산유도체의 제조방법.
  18. 일반식(Ⅰ)의 활성물질과 적당량의 액체 또는 고체 담체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잘 연마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9. 식물, 종자 또는 그 소재지에 효과량만큼의 제1항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성 미생물을 방제하거나 또는 이들 미생물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재배작물을 보호하는 방법.
  20. 효과량만큼의 제1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감염식물 또는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식물에 사용하여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공격을 방제 또는 예방하는 방법.
KR1019880000910A 1987-01-30 1988-01-30 살균제 조성물 KR950009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351/87-6 1987-01-30
CH351/87-6 1987-01-30
CH35187 1987-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749A KR880008749A (ko) 1988-09-13
KR950009517B1 true KR950009517B1 (ko) 1995-08-23

Family

ID=418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910A KR950009517B1 (ko) 1987-01-30 1988-01-30 살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279239B1 (ko)
JP (1) JP2764265B2 (ko)
KR (1) KR950009517B1 (ko)
AT (1) ATE82275T1 (ko)
AU (1) AU610553B2 (ko)
BR (1) BR8800374A (ko)
CA (1) CA1338418C (ko)
DE (1) DE3875750D1 (ko)
ES (1) ES2052612T3 (ko)
IL (1) IL85236A (ko)
ZA (1) ZA88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59962B1 (en) * 1986-09-26 1994-05-04 Rohm & Haas Five-membered heterocyclic derivatives of n'-substituted-n, n'-diacylhydrazines
US4837242A (en) * 1987-01-20 1989-06-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hiazoles and pyrazoles as fungicides
US5135927A (en) * 1987-01-30 1992-08-04 Ciba-Geigy Corporation Microbicidal composition
JP2788458B2 (ja) * 1987-10-23 1998-08-20 三井化学株式会社 新規アミド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EP0335831A1 (de) * 1988-03-15 1989-10-04 Ciba-Geigy Ag Thiazol-5-carbonsäureamide zum Schützen von Kulturpflanzen vor der phytotoxischen Wirkung von stark wirksamen Herbiziden
WO1989012047A1 (en) * 1988-06-03 1989-12-14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Process for preparing thiazolecarboxylic acid chlorides
US5045554A (en) * 1988-11-29 1991-09-03 Monsanto Company Substituted thiazol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WO1991001311A1 (en) * 1989-07-25 1991-02-07 Monsanto Company Substituted carboxanilidothiazol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IL103614A (en) * 1991-11-22 1998-09-24 Basf Ag Carboxamides for controlling botrytis and certain novel such compounds
DE4301356A1 (de) * 1993-01-20 1994-07-2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Alkyl-4-fluormethyl-thiazolcarbonsäure-alkylestern
JPH0812653A (ja) * 1994-04-26 1996-01-16 Nissan Chem Ind Ltd カルボン酸オキシムエステル誘導体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3726306B2 (ja) * 1994-04-27 2005-12-1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ピラゾール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植物病害防除剤
GB9424379D0 (en) * 1994-12-02 1995-01-18 Agrevo Uk Ltd Fungicides
EP1652839A3 (en) * 1999-10-28 2006-07-05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rug efflux pump inhibitor
US7056917B2 (en) * 2001-04-26 2006-06-06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rug efflux pump inhibitor
JP2004269515A (ja) * 2003-02-18 2004-09-30 Nippon Nohyaku Co Ltd 置換複素環アミド誘導体、その中間体及び農園芸用薬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EP1548007A1 (en) 2003-12-19 2005-06-29 Bayer CropScience S.A. 2-Pyridinylethylcarbox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UY29723A1 (es) * 2005-08-05 2007-02-28 Basf Ag Uso de arilanilidas para tratamiento de semillas
EP1787981A1 (en) * 2005-11-22 2007-05-23 Bayer CropScience S.A. New N-phenethylcarboxamide derivatives
JP4848306B2 (ja) * 2007-04-12 2011-12-28 不二サッシ株式会社 開き窓における開口制限ストッパー装置
AR066162A1 (es) * 2007-07-31 2009-07-29 Bayer Cropscience Sa Derivados fungicidas de n- cicloalquil -n- carboxamida- biciclica
CN110483449B (zh) * 2019-08-30 2023-03-03 新乡学院 一种γ-内酯衍生物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5427A (en) * 1966-12-07 1973-04-03 Uniroyal Ltd Certain 2,4-dimethyl-5-carboxamido-thiazoles
US4199506A (en) * 1978-05-15 1980-04-22 Monsanto Company 2,4-Disubstituted-5-thiazole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US4308391A (en) * 1979-10-01 1981-12-29 Monsanto Company 2-Amino-4-substituted-thiazolecarboxyl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US4640702A (en) * 1980-07-14 1987-02-03 Monsanto Company 2-chloro-4-trifluoromethyl-thiazolecarbothioic acids useful as herbicidal safeners
EP0064353B1 (en) * 1981-04-22 1986-05-21 Monsanto Company Use of 2,4-disubstituted-5-thiazole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for reducing injury to crop plants by acetamide herbic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64265B2 (ja) 1998-06-11
AU1097488A (en) 1988-08-04
ZA88635B (en) 1990-07-25
ES2052612T3 (es) 1994-07-16
EP0279239A1 (de) 1988-08-24
IL85236A (en) 1992-12-01
IL85236A0 (en) 1988-07-31
CA1338418C (en) 1996-06-25
ATE82275T1 (de) 1992-11-15
JPS63201178A (ja) 1988-08-19
EP0279239B1 (de) 1992-11-11
BR8800374A (pt) 1988-09-20
AU610553B2 (en) 1991-05-23
KR880008749A (ko) 1988-09-13
DE3875750D1 (de) 199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517B1 (ko) 살균제 조성물
RU2733511C2 (ru) Галогензамещенные феноксифениламидин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фунгицидов
RU2735177C2 (ru) Феноксигалогенфениламидин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фунгицидов
KR100482919B1 (ko) 살충제로서의피리미딘-4-온유도체
KR970001478B1 (ko) 살균제
FI95376B (fi) Mikrobisidiset 2-anilino-pyrimidiinijohdannaiset
JP2017522290A (ja) ジフルオロメチル−ニコチン酸−インダニルカルボキサミド類
BG98637A (en) Triasolopyrimidine derivatives
JPH04288005A (ja) 複素環置換スルホン類を基材とした殺菌殺カビ剤
CZ232197A3 (en) Plant protection agent and method of protecting plants against diseases
JP2010529054A (ja) 殺真菌物質の組合せ
US5135927A (en) Microbicidal composition
JP2017512788A (ja) 殺菌剤としてのフェニルピペリジン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
PL150125B1 (en) Fungicidal specific
CS201517B2 (en) Fungicide means
US4992434A (en) Microbicidal composition
JPH10505824A (ja) 殺有害生物性ピリジン誘導体
JPS58116462A (ja) 新規ピロ−ル誘導体、その製法及び該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殺菌剤組成物
KR940011459B1 (ko) 티아지논 유도체의 제조 방법
EP0152131B1 (en) Carboxamid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fungicides
JP2909469B2 (ja) 病害に対する植物の防護剤
RU2070197C1 (ru) Производные тиазолил-5-карбонамида, фунг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борьбы с грибными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грибными болезнями растений
JP2017520523A (ja) 活性化合物組合せ
JPH08507500A (ja) 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有用なピリミジン誘導体
US4839356A (en) Thiazino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