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418Y1 - 야채즙 추출기 - Google Patents

야채즙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418Y1
KR950009418Y1 KR2019930004405U KR930004405U KR950009418Y1 KR 950009418 Y1 KR950009418 Y1 KR 950009418Y1 KR 2019930004405 U KR2019930004405 U KR 2019930004405U KR 930004405 U KR930004405 U KR 930004405U KR 950009418 Y1 KR950009418 Y1 KR 950009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crew
hopper
cutting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674U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201993000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418Y1/ko
Publication of KR940021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야채즙 추출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일부 절단하고 일부를 분리한 전체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력부 케이스 2 : 전방 하우징
3 : 연결 하우징 4 : 후방 하우징
5 : 망체 6 : 구동축
7 : 역 회동관 8 : 절단 스크류
9 : 압접 스크류 10, 10b : 베벨기어
10a : 동력전달 베벨기어 11 : 축봉
12, 12' : 절단날 13, 13' : 캠
14 : 강판 15 : 진동홉퍼
16 : 스프링 17 : 접면판
18 : 압력조절구 19 : 배출구
20, 20' : 상하부 홉퍼 M : 모우터
B : 베어링 구조
본 고안은 파일이나 구근식품을 포함하는 제반 야채류의 즙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야채즙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야채에서 추출되는 즙은 통상 녹즙이라 하여 건강식품으로써, 상당히 선호되고 있는 바, 무엇보다도 이와같은 녹즙은 영양분을 최대한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추출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야채의 녹즙을 추출하기 위하여 일반 가정에서는 대부분 믹서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믹서기는 칼날의 고속회전 구조로써, 상당한 영양분이 손실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또 가정에서는 적정크기의 철판에 무수히 날카롭게 타절된 강판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와 같은 구조는 고속의 회전칼날을 갖는 믹서기에 비하여 영양분의 파괴는 매우 개선되고 있으나 구조식품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도적 제한과 함께 일일이 수동으로 갈아주어야 하는 체력의 소모, 그리고 작업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영양분을 파괴하지 않는 야채즙의 추출수단으로써는 재래식 맷돌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나, 상기한 맷돌은 현재 거의 사장되어 가정에 비치하기가 불가능하며 이 또한 작업성이 결여되므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맷돌효과를 낼 수 있는 스크류 압압구조가 기계적 구동장치로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스크류 압압구조로써의 선행기술, 착즙기(실용신안공고 제91-4356호)에 의하면, 스크류 구조의 세절이송부 및 압착이송부가 연설된 구조로써, 이와 같은 구조는 투입된 재료가 세절이송부에 의해 세절되고 이에 압착이송부에 의해 압접되어 즙을 추출하는 작용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구조는 재료의 세절수단을 단순히 스크류 형태의 세절이송부에 의존함으로써 구조 식품의 경우 그 용이한 세절을 기대할 수 없고 따라서 그 이송된 입자가 과대하여 압압이송부에 의한 압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상당한 영양분이 그대로 배출되는 결점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구조는 구근식품이나 야채잎 등 재료의 선택에 따라 그 이송압력의 조절수단이 결여되므로써 구근식품의 경우 기기의 부하가 발생되고 야채잎의 경우 제대로 압접되지 못하고 그대로 진행되므로써, 녹즙의 추출효과가 극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지적되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송세절 스크류의 일단에 칼날을 횡착하여 투입되는 재료를 일단 절단한 다음 세절토록 하고 세절된 재료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강판에 의해 미세한 입자로 분쇄되도록 하였다.
특히 이와 같이 미세한 입자로 분쇄된 재료를 즙으로 추출하기 위한 압접 스크류는 전광후협의 형태로써, 후방으로 가면서 점차 그 압이 가중되게 하여 즙을 최대한 추출하는 한편 질긴 섬유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기기 내부의 압을 조절케 하였다.
또, 본 고안은 홉퍼에 있어서 홉퍼 내부에 별도의 진동홉퍼를 구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각 하우징을 횡 절단한 것으로, 즉, 동력부 케이스(1)에 장착된 전방 하우징(2)의 후방에는 망체(5)를 갖는 연결하우징(3) 및 후방하우징(4) 이 각각 나사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모우터(M) 및 모우터의 축과 연동되는 구동축(6)이 후방하우징(4)의 후단에까지 길게 형성된다.
동력부 케이스(1) 내측의 구동축(6) 상에는 베벨기어(10)가 일체로 형성되며, 동력부 케이스(1) 내측 중앙부 상면에 수직으로 용착된 축봉(11)의 하단에는 상기 베벨기어(10)와 치합되는 동력전달 베벨기어(10a)가 회동자재하게 축설된다.
또 전방하우징(2) 내측의 구동축(6) 외주상에는 절단 스크류(8)를 갖는 역회동관(7)을 형성하되 그 일측의 선단부쪽에는 상기 동력전달 베벨기어(10a)와 치합되는 베벨기어(10b)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동축(6)의 구동시 상기 동력전달 베벨기어(10a)와 치합되어 베벨기어(10b)로 회동되는 역회동관(7)이 구동축(6)과는 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구동축(6)의 중앙부에는 무수히 날카롭게 타절된 강판(14)을 착설하여 구동축(6)과는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이와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역회동관(7)의 절단 스크류(8) 후단에는 그 절단 스크류(8)의 측면 중앙부를 잇는 절단날(12)(12')을 2개 정도 횡착하여 역회동관(7)의 구동에 의한 이 절단날(12)(12')의 회동으로 투입되는 재료의 일차적인 절단 수단을 부여한다.
홉퍼는 상부홉퍼(20) 및 하부홉퍼(20')로 분리 결합하되 그 위치는 상기 절단날(12) (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 하부홉퍼(20)(20')내에는 진동홉퍼(15)를 내설하여 그 상단 각 모서리 부분이 상부 홉퍼(20)의 각 모서리 저면과 스프링(16)으로 탄접되게 하는 한편 그 저부 일측면은 접면판(17)을 하향되게 연장한다.
또, 구동축(6)의 전방 일단에는 대칭되는 캠(13)(13')을 일체로 돌설하고 구동축(6)의 회동시 상기 캠(13)(13')이 진동홉퍼(15)의 접면판(17)을 연속 타격하여 진동홉퍼(15)의 상, 하 진동을 유발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원할한 진행을 기한다.
한편, 후방하우징(4)은 전광후협의 형태로써 그 내측의 망체(5) 및 이를 지지하는 연결하우징(3), 그리고 구동축(6) 상의 압접 스크류(9)의 직경 등도 이와 부합되도록 점차 축소되는 구조로서 이와 같은 전광후협의 구조는 후방으로 진행하는 재료의 압력을 점차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후방하우징(4)의 후단에는 압력조절구(18)가 결합되는 바, 이 압력조절구(18)는 복수개의 형태로써 공히,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압력조절구(18)의 전단부는 후방하우징(4)에 고정결합되고 후단부는 회동가능하여 상기 배출구(18)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통상 재래식 연탄아궁이의 공기통로에 결합되는 공기조절구를 예상하면 그 구조의 이해가 빠를 것이다.
또 후방하우징(4)의 저부 일측에는 즙배출공(21)이 천공되며 그 저부에는 즙안내판(22)이 후방하우징(4) 저부에 경사지게 착설되어 있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된 부호 (B)는 각 구조의 원활한 구동을 위한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우터(M)의 가동으로 그 모우터축과 연동된 구동축(6)이 회동되며 이 구동축(6)에 축설된 강판(14), 그리고 압접 스크류(9) 등도 이 구동축(6)과 동일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 구동축(6)의 후방부 외주에 형성된 역회동관(7)은 구동축(6) 일단의 베벨기어(10) 및 이와 치합된 동력전달 베벨기어(10a), 그리고 이와 다시 치합되는 그 일단의 베벨기어(10b)의 구성으로 구동축(6)의 회동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고안의 홉퍼를 상, 하부 홉퍼(20)(20')로 분리, 결합되게 한 것은 그 내측에 설치되는 진동홉퍼(15)의 용이한 구성을 위한 것이며 이 진동홉퍼(15)는 그 일측면의 접면판(17)이 하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동축(6)상에 접면된 상태가 되며 또 그 상측의 연장된 각 모서리 상면에는 상부홉퍼(20)의 일단의 연장된 각 모서리저면부와 스프링(16)으로 탄접되어 있는 바 이 스프링(16)은 진동홉퍼(15)를 항상 하방쪽으로 탄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축(6)이 회동될때 그 캠(13)(13')이 진동홉퍼(15)의 접면판(17) 저부에 닿게 되면 그 캠(13)(13')의 돌출폭만큼 진동홉퍼(15)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주고(이때 스프링(16)은 약간 수축된다) 이어 이 캠(13)(13')이 상기 접면판(17)을 벗어나면 진동홉퍼(15)는 그 자중과 스프링(16)의 팽창력으로 다시 하향되게 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작동은 구동축(6) 및 캠(13)(13')의 고속회전에 따라 극히 순간적으로 연속반복되므로서 진동홉퍼(15)는 무수한 상, 하 이동작용으로 일종의 진동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홉퍼(15)가 진동됨에 따라 투입되는 재료가 각 상하부 및 진동홉퍼(20) (20') (15)내에 충만되더라도 전방하우징(2) 내측으로의 원활하고 신속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방하우징(2) 내측으로 유입된 재료는 역회동관(7)의 회동에 의한 절단 스크류(8)에 의해 세절되게 되나 이에 앞서 유입된 재료는 절단 스크류(8) 전방의 측면부 중앙에 횡착된 절단날(12)(12')에 의해 일차적으로 절단되게 되어 절단 스크류(8)에 의한 세절수단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세절된 재료는 절단 스크류(7)의 이송력으로 강판(14)쪽으로 계속 밀어주게 되는 바 이때의 강판(14)은 상기 역회동관(7)과는 반대방향, 즉 구동축(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강판(14)에 밀착되는 재료는 강판(14)에 비벼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재료는 무수히 그리고 날카롭게 타절된 구조를 갖는 강판(14)에 의해 갈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재료를 비벼서 갈아주는 상태는 통상 일반 가정에서 구근식품을 수동으로 강판에 갈아주는 수단과 동일한 바, 본 고안에서는 이를 기계적 구동으로 구근식품외에도 소채류의 잎도 갈아줄 수 있으며 특히 이와같은 즙추출수단은 영양분의 손실을 상당히 감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판(14)을 통과할 재료는 거의 액체(즙)에 근접한 상태가 되며 완전한 즙상태의 입자는 미세한 망체(5)를 통과하여 후방하우징(4) 내측으로 배출되며 이에 즙배출공(21) 및 즙안내판(22)을 통하여 회수하게 된다.
그리고 아직 즙상태에 이르지 못한 재료는 망체(5) 내벽과 거의 접하여 구동되는 압접 스크류(9)에 의해 지속적으로 갈아지면서 압접되어 즙의 상태로 변화되며 이때도 완전한 즙상태의 입자는 지속적으로 망체(5)를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계속적인 작동중에 미처 즙의 상태로 이르지 못한 재료는 압접 스크류(9) 구동에 의해 점차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 이때에는 후방하우징(4) 및 연결하우징(3)에 지지된 망체(5) 그리고 압접 스크류(9)의 직경 등이 후방쪽으로 점차 협소되게 된 전광후협의 형태로 되어 있어 이에 따라 망체(5)내의 재료는 더욱 강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압접 스크류(9)의 더욱 강한 압접에 의하여 일층 효과적인 즙의 추출수단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재료가 갖고 있는 녹즙을 최대한으로 추출하는 효과를 갖게 되며 최종적으로 질긴 섬유질이나 기타 찌꺼기 등은 압력조절구(18)의 배출구(19)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압력조절구(18)는 본 고안 구성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조작에 의하여 배출구(19)를 확대 또는 축소, 조절할 수 있는 바, 구근식품을 재료로 할 경우에는 그 분쇄 및 즙에 이르는 과정이 소채류의 잎에 비하여 시간이 지연되므로 기기내부에 상당한 압이 조성된다.
이 경우에는 기기의 부하가 예상되므로 상기 압력조절구(18)의 배출구(19)를 확대하여 찌꺼기의 입자가 다소 크더라도 신속히 배출하여 기기내부의 압력을 낮추어주고 반대로 소채류의 경우에는 구근식품에 비하여 신속히 짜지게 되므로 배출구(19)를 축소, 조정하여 재료가 기기내부에서 장시간 머물도록 하여 녹즙을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 구근식품 및 소채류의 잎 등을 불문하고 그 작동과정에서의 즙추출상태를 감안하여 기기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주므로서 즙추출상태의 최적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회전칼날의 고속회전에 의한 즙추출구조에서 지적되는 영양분의 파괴를 배제하고 스크류 압접구조에서 노출되는 세절 및 다음 공정인 압접 상태의 미흡함, 그리고 항상 일정한 압력에 따른 기기의 작동불량을 개선하게 되고 여기에 홉퍼의 개량으로 재료의 윈활한 투입효과를 갖게 되는 야채즙추출기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동력부 케이스(1) 및 이와 연설된 전, 후방 하우징(2)(4), 그리고 망체(5)가 구비되고 모우터(M)와 연동된 구동축(6) 상에 절단 스크류(8) 및 압접 스크류(9)가 구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절단 스크류(8)는 구동축(6)의 외주연에 형성된 역회동관(7)에 구성하되 역회동관(7) 일단의 베벨기어(10b)를 구동축(6)의 베벨기어(10) 및 동력전달 베벨기어(10a)로 연동시켜 역회동관(7) 및 절단 스크류(8)가 구동축(6)과는 역방향으로 회동되게 하고, 역회동관(7)의 홉퍼쪽에는 대칭되는 캠(13) (13')을 돌설하며, 그 상부에는 상, 하 홉퍼(20) (20')를 분리, 결합하되 그 내측에는 일단에 접면판(17)을 갖는 진동홉퍼(15)를 상부홉퍼(20)와 스프링(10')으로 탄접, 설치하는 한편 구동축(6)의 중앙부에는 강판(14)를 축설하고 후방하우징(4)의 후단에는 배출구(19)가 조절되는 압력조절구(18)를 결합하여 된 야채즙 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 스크류(8)의 홉퍼쪽 측면 중앙부에 2개의 절단날(12)(12')를 횡착하여서 된 야채즙추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후방하우징(4) 및 망체(5), 그리고 압접 스크류(9)의 직경을 공히 전광후협의 형태로구성하여 된 야채즙 추출기.
KR2019930004405U 1993-03-24 1993-03-24 야채즙 추출기 KR950009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405U KR950009418Y1 (ko) 1993-03-24 1993-03-24 야채즙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405U KR950009418Y1 (ko) 1993-03-24 1993-03-24 야채즙 추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674U KR940021674U (ko) 1994-10-19
KR950009418Y1 true KR950009418Y1 (ko) 1995-10-31

Family

ID=1935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405U KR950009418Y1 (ko) 1993-03-24 1993-03-24 야채즙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4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674U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CN103960954B (zh) 网筒和包括网筒的榨汁机
KR200274699Y1 (ko) 착즙 분쇄기
KR101178850B1 (ko) 주서 모듈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WO2015192744A1 (zh) 定量投料的慢速榨汁系统及方法
WO2015161815A1 (zh) 一种快速自动进料的挤压式榨汁机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100343399B1 (ko) 곡물탈피 및 분쇄장치
KR950009418Y1 (ko) 야채즙 추출기
KR20060102974A (ko) 녹즙 추출기
KR102349312B1 (ko) 착즙기
KR20080028085A (ko) 대용량 착즙기용 파쇄기
JP200516136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493891Y1 (ko) 착즙 주스기
CN110558808B (zh) 果蔬榨汁机
KR200257533Y1 (ko) 과즙 추출장치
KR20180085472A (ko) 착즙기
CN209202751U (zh) 一种榨汁机结构
KR100462908B1 (ko) 재료 분쇄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