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26B1 - 펌핑 전력반사기능을 지니는 저잡음용 광증폭기 - Google Patents

펌핑 전력반사기능을 지니는 저잡음용 광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26B1
KR950009326B1 KR1019900017486A KR900017486A KR950009326B1 KR 950009326 B1 KR950009326 B1 KR 950009326B1 KR 1019900017486 A KR1019900017486 A KR 1019900017486A KR 900017486 A KR900017486 A KR 900017486A KR 950009326 B1 KR950009326 B1 KR 95000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active
pumping
optical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468A (ko
Inventor
그라쏘
리헤티
폰타나
Original Assignee
쏘시에따 까비 피렐리 에스. 피. 에이.
피에르 지오반니 지안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시에따 까비 피렐리 에스. 피. 에이., 피에르 지오반니 지안네시 filed Critical 쏘시에따 까비 피렐리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91000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9Non-linear optics for parametric generation or amplification of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the pumped medium being a fib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50Machine tool, machine tool null till machine tool work handling
    • G05B2219/50372Load pallets manually, with visual instruction assist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50Machine tool, machine tool null till machine tool work handling
    • G05B2219/50373If pallet is not loaded conforming to instruction, war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s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펌핑 전력반사기능을 지니는 저잡음용 광증폭기
제1도는 공지 기술에 따른 광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광 증폭기의 능동섬유길이와 관련된 펌핑 전력 및 그에 해당하는 증폭 이득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증폭기로서, 반사기를 포함하는 광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광 증폭기로서, 특정 실시예에 따른 광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광 증폭기의 능동섬유 길이와 관련된 펌핑 전력 및 그에 해당하는 증폭이득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광섬유 원거리 통신 회선용 광 증폭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입력 펌핑 전력에 대한 이득으로서 나타나는 고효율 및 저잡음 지수를 지니는 광 전치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원거리 통신 회선이 분야에 있어서, 변조된 광신호를 입력하는 광섬유가 최근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광학 시스템은 장거리에 걸쳐 극히 적은 감쇠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라는 사실 때문에 특히 편리하다.
신호 전송 거리를 더 증가시키기 위한 광 증폭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광 증폭기는 소위 "능동(active)" 섬유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능동섬유내로 신호 에너지 보다 낮은 파장의 광 "펌핑(pumping)" 에지를 공급하는 경우, 이러한 펌핑 에너지는 능동섬유내부에 존재하는 도우펀트(dopant)를 레이저 방사 상태로 천이시킨다. 상기 레이저 방사 상태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신호의 존재는 도우펀트 원자를 레이저 방사 상태로부터 상기 신호와 일치하는 광방사와 관련이 있는 기저 상태로 감쇠시킴으로써 신호 증폭을 야기시킨다.
상기 광 증폭기는, 전자 장치, 신호를 광으로부터 전기로 변환시켜 이를 전기적으로 증폭시킨 후에 다시 이를 광신호로 변환시킬 필요성이 있어서, 사용된 전자 장치와 관련된 모든 제한을 원거리 통신 회선내로 도입시키고, 특히 전송 주파수를 한정하는 그러한 전자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능동섬유내에서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광 증폭기의 동작을 위하여는, 광 증폭기는 전송 파정보다 짧은 특정 파장의 펌핑 광원을 필요로하는데, 상기 펌핑광은 이색(dichroic) 커플러 또는 광멀티플렉서를 통해 신호 반송 섬유내로 도입되며, 주로 레이저 방사 상태에서 여기된 도우펀트로 에너지를 전달함으로 인해 섬유 길이를 따라 광 전력의 감쇠를 증가시키면서 능동섬유내로 확산된다.
그러므로, 광 증폭기 이득을 좌우하는 광펌핑 전력은 상기 능동섬유내에서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이 때문에 능동섬유 특성의 이용은 섬유 길이에 걸쳐 차츰 적어진다.
증폭이득을 얻도록 능동섬유의 각 부분에 필요한 최소 광전력은 한계 전력으로서 설정하고, 한계 전력 이상에서는 반전 분포(population inversion)가 생긴다. 즉, 여기된 레이저 방사 상태에서는 기저 상태에서 보다도 이온의 수가 많으므로, 신호 광자는 레이저 방사 상태에서 광 방사 기저 상태로 천이되어 이득을 유발시킨다.
이에 반하여, 광 전력이 한계 전력보다 낮을 경우에는, 이온수는 기저 상태에서 더 많으며, 신호 광자는 그 자체적으로 여기 상태로 천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득 대신에 신호 감쇠가 생긴다.
낮은 이득이 존재할 경우 신호와 무관한 광 방출이 "잡음(noise)"으로서 정의된 조건, 즉 펌핑 전력이 한계 전력보다 약간 높은 조건에서는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순간적으로 감소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높은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는 양호한 신호 전송을 저해한다. 사실상, 펌핑 전력값이 한계 값에 가까울 때, 즉 감소된 반전 분포의 조건에 있을 때, 다수이 이온은 순간적으로 감쇠되어 원점에서 이득까지의 유도천이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해서, 신호대 잡음비가 악화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능동섬유의 선택 길이는 단부에서 한계 전력을 이룰 수 있는 것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현저하게 짧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 펌핑 전력의 일부가 사용되지 않아서 증폭기 효율이 제한을받으며, 그 이외에도 이러한 전력이 증폭기의 전송 섬유 하향 스트림내로 확산되기 때문에, 특히 상기한 증폭기가 전송회선의 단부에 있으며 수신용 전자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전치 증폭기인 경우에는 단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저 잡음 지수, 즉 최대의 출력 신호대 잡음비를 지니며 증폭기 출력에서의 미사용 펌핑 전력을 제거할 수 있는 광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 전력에 대하여 높은 효율을 나타내며 능동섬유의 최대 이용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 상기 섬유의 전체 길이에 걸쳐 펌핑 전력값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능동섬유자체의 범위를 이탈하는 펌핑광의 전파를 방지하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거리 광통신 시스템의 광섬유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증폭기는 레이저 방사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일정길이의 능동형 광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일정 길이의 능동형 광섬유는 (a)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에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로부터 전송파장의 광을 수신하기에 적합하고, (b) 상기 전송파장 보다 짧은 펌핑 파장으로서, 능동섬유에 흡수될 수 있는 펌핑광의 펌핑파장으로 광원으로부터 공급되기에 적합한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능동섬유는 직접 입력 펌핑광의 부분 흡수에 필요한 것에 상당하는 길이를 지니며, 상기 능동섬유의 하향 스트림에서는 펌핑 파장의 광을 반사하고 전송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선택적인 거울(mirror) 소자가 존재한다.
상기 거울 소자는 전송 파장에서는 -40㏈보다도 낮고 펌핑 파장에서는 -10㏈보다도 높은 능동섬유 내의 반사성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울 소자는 이색(dichroic)거울과, 각각 능동섬유로부터 이색 거울로 광을 보내고 이색 거울로부터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로 광을 보내는데 적합한 2가지 집속(focusing) 그룹을 포함하는 개별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거울 소자는 1개 이상의 모놀리식(monolithic) 광섬유 소자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울 소자는 능동섬유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송 파장과, 단일 섬유내에서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된 펌핑 파장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입력 섬유 및 2개의 출력 섬유를 지니는 광 디멀티플렉서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상기 출력 섬유중 한 출력 섬유상에서 전송 파장을 분리시키며 타 출력 섬유상에서는 펌핑 파장을 분리시키는데 적합하고, 전송파장을 반송하는 출력 섬유는 원거리 통신 섬유에 접속될 수 있으며, 펌핑 파장을 반송하는 출력 섬유의 단부에는 적어도 펌핑 파장을 반사시키기에 적합한 거울을 구비하고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울은 신호파장에서는 -20㏈ 보다도 낮으며 펌핑 파장에서는 -5㏈ 보다도 높은 반사성을 지니는 이색 거울이며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전송 및 펌핑 파장사이를 -10㏈ 보다 높게 분리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것이다.
제1도에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 부호(1)는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1)에 λps파장의 전송신호가 보내진다. 상기 신호가 상기 섬유(1)의 일정길이를 거친 후에는 감쇠하기 때문에, 감쇠된 신호를 증폭할 목적으로 상기 신호는 이미 공지된 형태의 이색 커플러(2) 또는 광 멀티플렉서의 입력에 보내지는데, 이 경우에 상기 신호는 펌핑 레이저 방사기(3)에 의해 발생된 λs파장의 펌핑광(Lp)과 결합되어 각각의 섬유(4)를 통해 상기 커플러(2)의 입력에 보내지며, 결과적으로는 상기 이색 커플러(2)로부터 발생되어 동일한 섬유(5)상에서 결합된 2개의 파장은 능동섬유(6)내로 입력된다.
능동섬유(6)에 있어서, 광 펌핑 전력이 존재할 경우, 광 방사가 생기는데, 이는 λp파장으로 유도되어 능동섬유(6)에 보내진 전송신호(St)를 증폭시킨다. 이어서, 상기 전송 신호는 전송 섬유(7)로 도입되어 목적지, 즉 광 케이블의 다른 부분 또는 단자 수신 장치로 향하게 된다.
제1의 경우에는 상기 증폭기가 회선 증폭기로서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제2의 경우에는 상기 조립체가 "전치 증폭기(preamplifier)", 즉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전에 전송 회선의 단부에서 광 신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적합한 장치로서 한정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능동섬유에 내제하는 광 펌핑 전력(P)은 섬유 (1)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입력값(P1)으로부터 거의 선형적으로 전개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광 펌핑 전력(P)이 상기 섬유에 의해 차례로 흡수되어 상기 섬유에 함유된 도우펀트가 레이저 방사 상태로 초래되기 때문이다.
능동섬유의 부분(1s)을 통과한 후에, 그 내부에 존재하는 펌핑 전력은 포화 전력값(Ps)에 도달하는데, 이러한 값하에서는 상기 섬유에 내재하는 에너지 분포는 전송 신호 증폭, 즉 이득을 야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섬유의 능동물질의 여기 상태에 대한 천이에 기인하여 신호 광 에너지 자체에 유해한 신호 감쇠를 야기시키게 한다.
제2도에는 능동섬유의 길이에 의존하는 이득(G)의 양적인 전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포화길이(1s)에 근접하는 섬유길이에 대하여 이득은 값(Gmax)에 이르기까지 매우 작은 증가를 나타내는 반면에, 1s보다 긴섬유 길이에 대하여는 이득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실제 목적을 위하여는, 1s보다 작은 섬유 길이(1u)를 사용하여 신호에 대한 충분한 이득(Gv)을 지니고서, 레이저 방사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의 순간적 천이에 의해 야기되는 잡음의 도입을 최소화시킨다.
잡음은 실제로 상부 레이저 레벨내에 존재하는 이온수에 비례하며, 펌핑 전력이 섬유자체내에서 감소함에 따라서 섬유를 따라 덜 바른 속도로 감소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능동섬유에 있어서, 섬유의 단위 길이당 최대 도달 이득을 결정하는 최대 펌핑 전력(P1)은 섬유자체의 초기 영역에서만 생기는 반면에, 이후에는 펌핑 전력은 현저하게 낮아지는데, 이는 제2도의 이득 선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증폭 목적으로 이용가능한 능동섬유 길이의 이용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광 회선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수신 및 광-전기 신호 변환 부재의 상향 스트림에 바로 위치되어 있는 증폭기인 전치 증폭기의 경우에는, 전치 증폭기의 잡음이 수신 장치의 잡음보다 낮을 경우 수신의 응답 능력을 증가시킨다.
증폭기 잡음이 증폭기 이득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양 잡음기여가 서로 같은 이득값이 존재한다. 이는 수신의 응답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전치 증폭기에 사용될 최대 이득값이다.
그 반면에, 보다 높은 전치 증폭기 이득을 채택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해서 편리한데, 예를들면 신호 수신의 응답능력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전치 증폭기의 하향 스트림에 값이 덜 비싼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광 증폭기가 전치 증폭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섬유 단부에 펌핑 전력(P)을 공급하여 응답 능력의 증가와 동일한 레벨의 전체 이득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섬유 길이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색 커플러(2), 펌핑 레이저(3) 및 능동섬유(6)를 포함하는 증폭장치에 있어서, 선택(또는 이색) 거울 소자(8)가 상기 능동섬유(6)의 하향 스트림에 제공되어 있으며, 펌핑 파장(λp)을 반사시키는 반면에 전송파장(λs)을 변화되지 않게 통과시키는데 적합하다. 상기 거울 소자(8)의 출력에는 증폭된 신호를 반송하는 전송섬유(7)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 섬유(7)는 상기 증폭된 신호를 착신지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거울소자(8)는 능동섬유(6)의 일부(1p)의 단부에 존재하는 잔여 펌핑 전력(Pr)을 능동섬유내에서 반대방향으로 반사시켜, 반사된 전력(Prif)이 레이저(3)로부터 직접 방사된 펌핑전력(Pdir)과 합쳐져서 능동섬유내에 증가된 펌핑 전력값을 제공하게 하는데, 상기 증가된 펌핑 전력값은 상기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사용된 능동섬유의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하거나 완만한 경사로 감소한다.
그러므로, 전체의 섬유내에 높은 반전 밀도값을 유지하여 개선된 이득을 형성하며, 증폭기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이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거울 소자(8)는 단지 펌핑 파장만을 반사시키도록 처리된 판(plate)으로 형성된 선택 거울을 사용함으로써 "미소 광학(microoptic)"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선택 거울에는 광 섬유로부터 거울로 광을 전달하여 반사 파장에 대하여는 다시 거울로부터 거울의 상향 스트림에 있는 광 섬유로 광을 전달하며, 통과 파장에 대하여는 거울의 하향 스트림에 있는 전송 섬유로 광을 전달하는데 적합한 렌즈 접속 부재등이 장치되어 있다. 변형적으로는, 동일한 전송을 광섬유 또는 여러개의 광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거울 소자를 모놀리식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조립체의 안정성의 견지에서 볼 때 유리하다.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며, 거울 소자(8)는, 입력 섬유(10) 및, 전송 파장(λs) 및 펌핑파장(λp)을 각각 분리하는 2개의 출력 섬유(11, 12)를 갖는 제2의 이색 커플러(9), 또는 광디멀티플렉서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 섬유(11)에는 증폭기의 하향 스트림에 있는 전송용 광섬유(7)가 접속되어 있는 반면에, 거울(13)은 섬유(1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본 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디멀티플렉서는 단일 입력 섬유상에 2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수신하고 2개의 출력 섬유상에 분리된 동일 파장을 방사하는데 적합한 광소자를 말한다.
실제로 광 디멀티플렉서 또는 디커플링 장치는, 멀티플렉서 또는 이색 커플러와 동일한 방식으로 출력 파장사이를 어느정도 분리시킨다. 즉, 전송 신호의 소부분은 디멀티플렉서 분기(12)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러한 신호는, 일단 거울(13)에 의해 반사되어진 경우, 마찬가지로 증폭되어 전송 신호와의 간섭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송 회선 및 광섬유에서는 위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멀티플렉서가 파장사이의 낮은 분리도, 즉 20㏈보다 낮은 분리돌르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색형 거울(13), 즉 전송파장에서는 감소된 반사성, 즉-20㏈보다 낮은 반사성을 갖는 거울을 사용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디멀티플렉서(9) 및 이색 거울(13)로 형성된 거울 소자(8)에서는, 전체의 분리가 파장(λs)에서 대개 40㏈ 이상으로 된다.
파장(λs)의 광이 반사를 전후하여 디멀티플렉서를 2번 통과하므로, 디멀티플렉서의 분리는 거울에 의해 반사되어 섬유(6), 결과적으로는 전송 회선내에 공급되는 파장(λs)의 광 전력을 제헌하는데 2번 작용한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만약 디멀티플렉서가 20㏈ 보다 큰 분리도를 갖는 경우, 상기 디멀티플렉서는 회선내에 전송파장의 반사 잡음이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므로 거울(13)은 사용된 모든 파장을 반사시킬 수 있다.
편의상, 거울(13)은, 벽개면(壁開面)으로나 상기한 형태를 갖는 섬유(12)의 단부에 반사 표면 또는 영역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다른 공지된 기술에 따라 섬유(12)의 단부를 절단하여 이를 도금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는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에는 상기 구조가 완전히 광섬유로 제조됨으로써, 튼튼하여 시간이 경과하여도 소형화된 집속 장치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진동이나 변형에 반응을 잘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며, 디멀티플렉서의 분리 특성과 이색거울의 선택적 반사성의 조합은 설계시 자유도를 높여, 특히 펌핑 파장에서는 최대 반사를 제공하는 반면에 전송 파장에서는 최소 반사를 제공하는 특정의 용도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조된 증폭장치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사 부재가 없는 증폭 장치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양 장치에서는 1536㎚ 파장(λs)의 신호를 갖는 전송 회전과 10mW 전력 및 980㎚파장(λp)의 신호를 제공하는 펌핑 레이저 다이오드(3)가 사용되었다.
980-1536㎚의 광 멀티플렉서 또는 커플러(2)에서는 980㎚에서의 90% 커플링 및 15㏈분리가 사용되었다.
양 테스트에 있어서는, 스텝 인덱스(step index)형 Si/Ge 능동섬유(6)를 사용하여 Er3+이온으로 도우핑하였다.
제1도에 도시된 증폭장치에서는 9m 길이의 능동섬유를 사용한 반면에, 제4도에 도시된 증폭장치에서는 7m 길이의 능동섬유를 사용하였다.
제4도의 증폭기에서는, 980-1536㎚의 디멀티플렉서(9)가 980㎚에서 90%의 커플링 및 1536㎚에서는 90%의 커플링을 지녔으며 양 출력까지 모두상에서는 30㏈의 분리가 있었다.
거울(13)은 디멀티플렉서 섬유(11)의 단부를 금도금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9m 길이의 능동섬유를 갖는 구성의 이득(G1)은 20㏈을 제공하였으며 (S/N)i/(S/N)o로 한정되는 잡음 지수는 5㏈을 제공하였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7m 길이의 능동섬유를 갖는 구성의 이득(G2)은 20㏈로서 제1도의 경우와 동일하였으나, (S/N)i/(S/N)o되는 잡음지수는 3㏈로서 상기 잡음지수보다 2.0㏈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제4도에 도시된 증폭기로부터 전송회선내로 도입되는 잡음이 감소하기 때문에, 전송 신호의 품질에 중요한 개선을 이루었다.
그 이외에도, 디멀티플렉서(9)의 존재는 펌핑 파장을 회선(7)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데, 이는 필터등의 장치의 사용을 필요없게 한다.
제4도에 도시된 증폭기에 의하면, 펌핑 전력의 증가를 위해 고가이며 사용 가능하지 않은 보다 강력한 레이저 다이오드나 손상 및 고장이 잦은 2개의 결합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수신 장치의 응답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일반적으로, 제4도에 따른 증폭기에 의하면, 각각의 특정 용도의 특정 요구에 따라서, 동일 전력하에서 전송 잡음지수를 개선시키고, 가해진 전력이 동일할 경우 보다 높은 이득을 얻거나, 얻어진 이득을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보다 낮은 전력을 갖는 펌핑 광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광 전치 증폭기와 연관지어 기술하였지만, 상기 광 전치 증폭기에 국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선 안되는데, 그 이유는 사용된 광 섬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높은 펌핑 전력 레벨을 얻기에 편리한 회전 증폭기 및 유사한 장치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서도 여러 수정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7)

  1. 원거리 광통신 시스템의 광섬유(1)에 접속되기에 적합하며, 레이저 방사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능동 광섬유(6)를 포함하며, 상기 일정 길이의 능동 광섬유가, (a)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1)에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1)로부터 전송 파장의 광을 수신하기에 적합하며, (b) 상기 능동 광섬유(6)에서 흡수되는 펌핑광이 펌핑 광원으로부터 상기 전송 파장보다 짧은 펌핑 파장으로 공급되기에 적합한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능동섬유(6)의 하향 스트림에서 상기 펌핑 파장의 광을 반사하고 상기 전송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선택적 거울(mirror) 소자(8)가 존재하며, 상기 거울 소자(8)는 이색(dichroic) 거울과, 상기 능동섬유로부터 상기 이색 거울로 광을 보내고 상기 이색 거울로부터 상기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로 광을 보내는데 적합한 접속 소자를 포함하는 개별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능동섬유(6)는 내부에서 직접 입력 펌핑 광의 부분 흡수만이 생기는 길이(lp)를지니고, 상기 반사된 펌핑 파장의 광이 포화 전력값(Ps)에 이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소자(8)는 전송파장에서는 -40㏈ 보다도 낮고 펌핑파장에서는 -10㏈ 보다도 높은 능동섬유내의 반사성을 갖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입력 펌핑광이 부분 흡수만이 생기는 길이(lp)는 7m인 능동섬유형 광증폭기.
  4. 원거리 광통신 시스템의 광섬유(1)에 접속되기에 적합하며, 레이저 방사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일정 길이의 능동 광섬유(6)를 포함하며, 상기 일정 길이의 능동 광섬유가, (a)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1)에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원거리 통신용 광섬유(1)로부터 전송 파장의 광을 수신하기에 적합하며, (b) 상기 능동 광섬유(6)에서 흡수되는 펌핑광이 펌핑 광원으로부터 상기 전송 파장보다 짧은 펌핑 파장으로 공급되기에 적합한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능동섬유(6)의 하향 스트림에서 상기 펌핑 파장의 광을 반사하고 상기 전송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선택적 거울(mirror) 소자(8)가 존재하며, 상기 거울 소자는 1개 이상의 모놀리식(monolithic) 광섬유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능동섬유(6)는 내부에는 직접 입력 펌핑광의 부분 흡수만이 생기는 길이(lp)를 지니며, 상기 반사된 펌핑 파장의 광이 포화 전력값(Ps)에 이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소자(8)는 상기 능동섬유(6)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송파장과, 단일 섬유내에서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된 펌핑 파장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입력 섬유(10) 및 2개의 출력 섬유(11, 12)를 지니는 광 디멀티플렉서(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 디멀티플렉서(9)는 상기 출력 섬유중 한 출력 섬유상에서 전송 파장을 분리시키고 타 출력 섬유상에서는 펌핑파장을 분리시키는데 적합하며, 상기 전송파장을 반송하는 출력 섬유(11)는 원거리 통신섬유(7)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펌핑파장을 반송하는 출력 섬유(12)의 단부에는 적어도 펌핑파장을 반사시키기에 적합한 거울(13)을 구비하고 있는 능동섬유형 광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13)은 신호파장에서는 -20㏈ 보다 낮으며 펌핑파장에서는 -5㏈ 보다 높은 반사성을 지니는 이색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멀티플렉서(9)는 전송 및 펌핑파장 사이를 -10㏈ 보다 높게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섬유형 광 증폭기.
KR1019900017486A 1989-10-30 1990-10-30 펌핑 전력반사기능을 지니는 저잡음용 광증폭기 KR950009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2219689A IT1237135B (it) 1989-10-30 1989-10-30 Gruppo di amplificazione ottico a basso rumore, con riflessione della potenza di pompaggio.
IT22196/89 1989-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468A KR910008468A (ko) 1991-05-31
KR950009326B1 true KR950009326B1 (ko) 1995-08-19

Family

ID=1119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486A KR950009326B1 (ko) 1989-10-30 1990-10-30 펌핑 전력반사기능을 지니는 저잡음용 광증폭기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5138483A (ko)
EP (1) EP0426221B1 (ko)
JP (1) JP2963187B2 (ko)
KR (1) KR950009326B1 (ko)
CN (1) CN1018787B (ko)
AR (1) AR244918A1 (ko)
AT (1) ATE99841T1 (ko)
AU (1) AU636669B2 (ko)
BR (1) BR9005621A (ko)
CA (1) CA2028639C (ko)
CZ (1) CZ283653B6 (ko)
DE (1) DE69005794T2 (ko)
DK (1) DK0426221T3 (ko)
ES (1) ES2049915T3 (ko)
FI (1) FI97259C (ko)
HK (1) HK111394A (ko)
HU (1) HU210854B (ko)
IE (1) IE64719B1 (ko)
IT (1) IT1237135B (ko)
MY (1) MY107270A (ko)
NO (1) NO302328B1 (ko)
PE (1) PE5191A1 (ko)
PL (1) PL164795B1 (ko)
PT (1) PT95726B (ko)
RU (1) RU2085043C1 (ko)
SK (1) SK280517B6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742B2 (en) 2005-08-17 2011-01-04 Jong Koo Kim Cartridge of water supply val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9253C (en) * 1989-06-23 1994-01-11 Shinya Inagaki Optical fiber amplifier
JP2734209B2 (ja) * 1991-01-28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ファイバ増幅器
ES2079094T3 (es) * 1991-05-18 1996-01-01 Alcatel Nv Sistema optico de transmision de informacion con control optico de un amplificador optico o con conversion de la longitud de onda de la señal optica.
FR2679341A1 (fr) * 1991-07-17 1993-01-22 Alcatel Nv Amplificateur a fibre optique dopee a l'erbium.
JPH05142595A (ja) * 1991-11-22 1993-06-11 Nec Corp 光情報信号増幅装置
DE4214766A1 (de) * 1992-05-04 1993-11-11 Sel Alcatel Ag Faseroptischer Verstärker mit rückwirkungsunempfindlichem Pumplaser
JPH05347449A (ja) * 1992-06-12 1993-12-27 Ando Electric Co Ltd 信号光及び信号光と波長の違う連続光を増幅する光増幅器
US5283686A (en) * 1992-07-27 1994-02-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Jerrold Communications Optical systems with grating reflector
US6339191B1 (en) * 1994-03-11 2002-01-15 Silicon Bandwidth Inc. Prefabricated semiconductor chip carrier
DE69416396T2 (de) * 1994-04-11 1999-06-10 Hewlett Packard Gmbh Rauschpegelmessungsverfahren in Gegenwart von einem Signal
EP0729207A3 (en) * 1995-02-24 1997-10-15 At & T Corp Fiber optic amplifier comprising an optical circulator
EP1841022A3 (en) * 1995-03-20 2009-12-02 Fujitsu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optical signal
US6016213A (en) * 1996-07-08 2000-01-18 Di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amplifier gain and noise figure measurement
DE19723267A1 (de) * 1997-06-03 1998-12-10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Reduzierung des Pumplichts am Austritt eines Fiberlasers
US5991070A (en) * 1997-11-14 1999-11-23 Sdl, Inc. Optical amplifier with oscillating pump energy
JPH11275021A (ja) * 1998-03-20 1999-10-08 Fujitsu Ltd 光増幅装置
JP4179662B2 (ja) 1998-04-27 2008-11-12 富士通株式会社 光増幅器及び能動型光ファイバ
JPH11307844A (ja) * 1998-04-27 1999-11-05 Fujitsu Ltd 能動型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増幅器
EP1183757A1 (fr) * 1999-06-09 2002-03-0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Amplificateur optique
US6690507B2 (en) * 2002-01-30 2004-02-10 Corning Incorporated Double-pumped raman amplifier
AU2003221350A1 (en) * 2002-03-13 2003-09-22 Nikon Corporation Light amplify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light amplifying device, light treatment device using the light source device, and exposure device using the light source device
US7034387B2 (en) * 2003-04-04 2006-04-25 Chippac, Inc. Semiconductor multipackage module including processor and memory package assemblies
DE102005031897B4 (de) * 2005-07-07 2007-10-25 Siemens Ag Mehrstufiger Faserverstärker
CN102656827B (zh) * 2009-09-07 2016-08-03 骁阳网络有限公司 具有改进瞬变性能的光纤放大器
US11323105B2 (en) 2018-06-15 2022-05-03 Fermi Research Alliance, Llc Method and system for arbitrary optical pulse generation
JP7343806B2 (ja) * 2019-06-11 2023-09-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通信システム及び光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90A (ja) * 1982-06-28 1984-01-09 Hitachi Ltd Fmテレビジヨン信号の受信回路
US5048026A (en) * 1983-09-30 1991-09-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Fiber optic amplifier
US4674830A (en) * 1983-11-25 1987-06-2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Fiber optic amplifier
US4938556A (en) * 1983-11-25 1990-07-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uperfluorescent broadband fiber laser source
GB2151869B (en) * 1983-12-16 1986-12-31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Optical amplifiers
US4681396A (en) * 1984-10-09 1987-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power laser energy delivery system
US4637025A (en) * 1984-10-22 1987-01-13 Polaroid Corporation Super radiant light source
US4712075A (en) * 1985-11-27 1987-12-08 Polaroid Corporation Optical amplifier
AU6938687A (en) * 1986-01-31 1987-08-25 Advanced Lasers Ltd Fibre communication laser system
GB8613192D0 (en) * 1986-05-30 1986-07-02 British Telecomm Optical resonating device
GB8622745D0 (en) * 1986-09-22 1986-10-29 Plessey Co Plc Bistable optical device
US4782491A (en) * 1987-04-09 1988-11-01 Polaroid Corporation Ion doped, fused silica glass fiber laser
US4964131A (en) * 1988-12-16 1990-10-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dford Junior University Broadband optical fiber laser
US4963832A (en) * 1989-08-08 1990-10-16 At&T Bell Laboratories Erbium-doped fiber amplifier coupl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742B2 (en) 2005-08-17 2011-01-04 Jong Koo Kim Cartridge of water supply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05340A0 (fi) 1990-10-29
IT8922196A1 (it) 1991-04-30
KR910008468A (ko) 1991-05-31
HUT58418A (en) 1992-02-28
CN1018787B (zh) 1992-10-21
ES2049915T3 (es) 1994-05-01
NO904676D0 (no) 1990-10-29
HU906941D0 (en) 1991-05-28
BR9005621A (pt) 1991-09-17
AU6458790A (en) 1991-05-02
IE903836A1 (en) 1991-05-08
NO904676L (no) 1991-05-02
PT95726B (pt) 1998-07-31
EP0426221A1 (en) 1991-05-08
DE69005794T2 (de) 1994-07-14
IT8922196A0 (it) 1989-10-30
IT1237135B (it) 1993-05-24
CA2028639C (en) 1996-11-26
AU636669B2 (en) 1993-05-06
NO302328B1 (no) 1998-02-16
EP0426221B1 (en) 1994-01-05
DK0426221T3 (da) 1994-05-16
FI97259B (fi) 1996-07-31
CA2028639A1 (en) 1991-05-01
PE5191A1 (es) 1991-02-27
CS529590A3 (en) 1992-04-15
PL164795B1 (pl) 1994-10-31
CN1052234A (zh) 1991-06-12
ATE99841T1 (de) 1994-01-15
JP2963187B2 (ja) 1999-10-12
RU2085043C1 (ru) 1997-07-20
SK280517B6 (sk) 2000-03-13
DE69005794D1 (de) 1994-02-17
US5138483A (en) 1992-08-11
FI97259C (fi) 1996-11-11
JPH03166782A (ja) 1991-07-18
HK111394A (en) 1994-10-21
HU210854B (en) 1995-08-28
MY107270A (en) 1995-10-31
IE64719B1 (en) 1995-08-23
PT95726A (pt) 1992-06-30
AR244918A1 (es) 1993-11-30
CZ283653B6 (cs) 199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326B1 (ko) 펌핑 전력반사기능을 지니는 저잡음용 광증폭기
US5978130A (en) Dual-band fiber optic amplification system using a single pump source
EP0717478B1 (en) Optical amplifier
US6411431B2 (en) Optical amplifier for amplifying light in a long wavelength band
US5563733A (en)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US6263139B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ith group velocity dispersion compensation
US5598491A (en)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fiber transmission apparatus
CA2414951A1 (en) Cascaded pump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distributed raman amplification in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6295393B1 (en) Polarized light synthesizing apparatus, a polarized light splitting apparatus and a pump light outputting apparatus
US5392153A (en) Optical amplifier
US5801878A (en) Circuit having two optical amplifiers, in particular for a repeater in an underse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064515A (en) Feedback-type optical fiber amplifier using hybrid pumping light beams
US6016218A (en) Optical fiber amplifier
KR100438426B1 (ko) 무편광 다파장 광원
US6781748B2 (en) Long wavelength optical amplifier
US5235604A (en) Optical amplifier using semiconductor laser as multiplexer
KR100192229B1 (ko) 광섬유 전송 회선에서 광신호를 증폭하는 장치
KR100275780B1 (ko) 분산보상광섬유의 유도 브릴리언 산란을 이용한 전광 증폭 이득이 고정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JPH08181665A (ja) 光双方向伝送装置
JPH10117030A (ja) 光増幅器の挿入損障害を低減するための装置
JPH07221402A (ja) 信号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受光モジュールならびに光信号伝送システム
JPH08130509A (ja) 光双方向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