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35Y1 -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8635Y1 KR950008635Y1 KR2019930008586U KR930008586U KR950008635Y1 KR 950008635 Y1 KR950008635 Y1 KR 950008635Y1 KR 2019930008586 U KR2019930008586 U KR 2019930008586U KR 930008586 U KR930008586 U KR 930008586U KR 950008635 Y1 KR950008635 Y1 KR 9500086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ribution box
- diaphragm
- cover
- groove
- wi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 A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전함 30 : 분전함체
40 : 덮개 48 : 공간구획부
50 : 격판 50a : V홈
본 고안은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개배선작업시 분전함 덮개를 탈거시키지 않고 분전함체에 덮개가 고정된 상태로 하여 배선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분전함의 덮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함은 수용가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가정에서 전등이나 소켓(부하)에 공급되도록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과부하 또는 누전 등으로 이상이 발생되면, 이를 차단시키는 분기개폐기를 한곳에 모아 설치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2-21564호(1992. 11. 4)의 분전함 결합구조의 특징은 덮개를 분전함체에서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하여 배선작업시에는 덮개를 분전함으로부터 탈거시켜 배선작업을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에서 덮개의 착탈이 용이하여 덮개의 탈거를 쉽게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나, 배선작업시에는 반드시 덮개를 탈거시켜야만이 작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종래의 덮개의 공간구획부 양측에 형성된 격판이 일체로 형성됨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것으로, 덮개를 분전함체로부터 탈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배선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배선 또는 보수작업시을 신속하고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덮개에 형성되는 공간구획부의 양측 격판을 횡방향으로 V홈을 형성하여 이 V홈을 중심으로 격판이 회동가능하게 하여 덮개가 분전함체에 볼트체결된 상태에서 격판을 회동시켜 확대된 공간구획부를 통하여 분전함체에 형성된 각종 배선 등의 보수작업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10)은 크게 건축물의 벽에 고정설치되는 분전매몰박스(20)와 이 분전매몰박스(20)내에 삽입되는 분전함체(30)와 이 분전함체(30)를 덮는 덮개(40)로 대별된다.
상기 덮개(40)는 분전함체(30)를 보호함과 동시에 분전함체(30)에 내장된 각종 부품, 예를 들면, 차단기(p)와 같은 부품의 필요부분만을 밖으로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분을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덮개(40)는 요부(42)의 양측에 나사공(44)을 형성하여 나사(46)로 분전함체(30)에 결합된다. 상기 요부(42)의 측벽(42a)으로부터 이어지는 공간구획부(48)와 이 공간구획부(48)의 양측에는 격판(50)이 형성되어 이 분전함체(30)에 내장된 차단기(p)가 공간구획부(48)를 통하여 일부가 밖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부분은 격판(50)에 가려진 상태가 된다.
상기 결판(50)은 횡방향으로 V홈(50a)이 형성되며 격판(50)의 양측, 즉 측벽(42a)과 접하는 부분은 V홈(50a)까지 절개됨과 함께 단턱(50b)이 형성되어 측벽(42a)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2b)에 걸린상태로 된다. 따라서 격판(50)은 V홈(50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측벽(42a)에 형성된 로브(lobe : 42c)에 의하여 격판(50)이 원상태로 복귀시에 발생되는 반발력을 제지시켜주고 단턱(50b)이 로브(42c)에 걸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10)의 각종 배선 또는 차단기(p)의 보수작업을 실시하려면 덮개(40)가 분전함체(30)에 나사(46)로 체결된 상태에서 격판(50)을 당기게 되면 격판(50)은 V홈(5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공간구획부(48)가 크게 확대됨으로서 확대된 공간구획부(48)를 통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격판(50)이 가상선과 같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회동된 위치의 측벽(42a)에 상기 로브(42c)와 형태를 같이하는 로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수작업이 완료되어 격판(50)을 눌러 원상태로 복귀시키게되면 격판(50)의 단턱(50b)이 로브(42c)를 지나 로브(42c)와 걸림턱(42b)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며, 격판(50)의 반발력은 로브(42c)에 의해서 제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에 의하면 분전함의 최초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선 등의 보수작업시에는 덮개를 탈거할 필요없이 격판을 V홈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그 회동각만큼 확대된 공간구획부를 통하여 보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간단하고 신속한 작업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 분전함체에 나사결합되고 공간구획부와 격판이 형성된 분전함의 덮개에 있어서, 상기 격판(50)을 횡방향으로 V홈(50a)을 형성하고 격판(50)의 양측을 V홈(50a)까지 절개시킴과 함께 단턱(50b)을 형성하며 측벽(42a)의 하단부에 로브(42c)와 걸림턱(42b)을 형성하여 격판(50)이 V홈(50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하여서 격판(50)의 회동각만큼 공간구획부(48)를 확대시킬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8586U KR950008635Y1 (ko) | 1993-05-20 | 1993-05-20 |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8586U KR950008635Y1 (ko) | 1993-05-20 | 1993-05-20 |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7643U KR940027643U (ko) | 1994-12-10 |
KR950008635Y1 true KR950008635Y1 (ko) | 1995-10-12 |
Family
ID=1935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8586U KR950008635Y1 (ko) | 1993-05-20 | 1993-05-20 |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8635Y1 (ko) |
-
1993
- 1993-05-20 KR KR2019930008586U patent/KR9500086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7643U (ko) | 1994-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81727A1 (en) | A circuit breaker | |
KR950008635Y1 (ko) | 전기배선 분전함의 덮개구조 | |
KR100500409B1 (ko) | 전력기용 보호장치 | |
US6023030A (en) | Bus plug door interlock | |
CN110040081A (zh) |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 |
KR200392733Y1 (ko) |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 |
KR0125656Y1 (ko) | 배전반의 차단기 설치구조 | |
KR100459215B1 (ko) | 배선용 차단기 단자와 압착단자의 접속구조 | |
CN220492473U (zh) | 一种安装于控制柜内的电气安装机构 | |
JP4578462B2 (ja) |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 |
KR200220740Y1 (ko) | 분전반의 누전차단기 설치용 브라켓 | |
JP4291036B2 (ja) |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 |
JPH0730513U (ja) | 低圧配電盤 | |
KR200276991Y1 (ko) | 분전반의 도어 결합구조 | |
KR200287656Y1 (ko) | 단자대 | |
JPH11136900A (ja) | 電気機器の端子箱構造 | |
US3679854A (en) | Rotatably reversible connector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 |
JP3078512U (ja) | 分電盤 | |
KR100467059B1 (ko) | 상가용 분전반 | |
KR19990021000U (ko) |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커버 체결구조 | |
KR200302987Y1 (ko) | 상가용 분전반 | |
KR200341345Y1 (ko) | 분전반용 차단기 | |
JP4721712B2 (ja) | 開閉器 | |
KR200143975Y1 (ko) |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블럭 | |
KR20000002526U (ko) | 고압 케이블용 소켓이 구비된 분전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