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18B1 -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18B1
KR950008318B1 KR1019920012641A KR920012641A KR950008318B1 KR 950008318 B1 KR950008318 B1 KR 950008318B1 KR 1019920012641 A KR1019920012641 A KR 1019920012641A KR 920012641 A KR920012641 A KR 920012641A KR 950008318 B1 KR950008318 B1 KR 95000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para
mmol
methoxyi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254A (ko
Inventor
장문호
강한영
고훈영
차주환
심상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정욱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2001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318B1/ko
Priority to JP5175253A priority patent/JP2549494B2/ja
Publication of KR94000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반식(I)의 광범위한 항균력을 지닌 세파로스포린 화합물 및 그이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본 발명에서 합성된 화합물들은 그람양성균이나, 그람을 성균에서 뛰어난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세파로스포린 화합물 계열 의약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에서 R1은 수소 또는 페니실린이나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를 말하는데, 예를 들면, 트리틸, 3급-부톡시카르보닐(t-Boc), 벤질, 클로로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벤질옥시카르보닐, 파라-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포르밀, 그리고 트리플루오르아세틸 등의 포함된다. R2는 수소 또는 카르복시기의 유도체로서, 주로 에스테르를 만드는 기이거나, 염을 만드는 원자 혹은 카르복시보호기로 유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카르복시보호기는 페니실린이나,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의 분야에서 분자의 다른 부분에 특별히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도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염으로서는 무기염 및 유기염을 들 수 있는 바, 대표적인 무기염을 예를 들면, 나트륨 및 칼륨염이 있으며 유기염으로서는 알킬아민(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저급 아킬아민)의 염, 방향족 아민의 염(아닐린, 디에틸 아닐린 등의 염) 및 방향족 염기의 염(그 예로는 피콜린, 루티딘, 퀴놀린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시그룹의 보호기로서는 탄소수 1-8개가 치환된 경우를 포함한 아릴에스테르(그 예를 들면, 메틸, 메톡시메틸,에틸, 메톡시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헥실에스테르) 또는 페닐, 인다닐, 벤질, 시아노벤질, 할로벤질, 메틸벤질, 니트로벤질, 파라-메톡시벤질, 페닐벤질등의 에스테르이다. 의약품으로 유용한 카르복시 유도체는 금속염 또는 약학적으로 유용한 에스테르인 바, 이들은 경구용이나 주사제로서 쓰이며, 항생제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잘 알려진 탄소수 3-12의 1위치가 치환된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면, 알카노일옥시알킬에테르(좀 더 자세히는, 아세톡시메틸, 아세톡시에틸, 프로피오닐옥시에틸, 피발로일옥시메틸, 피발로일옥시에틸, 테트라히드로퓨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에스테르), 탄소수 3-8의 알콜시포르밀옥시알킬에스테르(예로서 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에스테르 등), 탄소수 7-15의 치환된 아랄킬에스테르(예로서 페나실, 프탈리딜에스테르), 탄소수 6-12의 치환된 아릴에스텔(예로서 페닐, 크실릴, 인다닐에스테르), 그리고 2-알케닐에스테르 (예로서, 알릴, 2-옥소-1,3-디옥솔-4-일메틸에스테르)들이다. R3, R4는 H 또는 페놀성 수산기의 보호기를 말한다. 또한 R3, R4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가 있다. 그 예로는 디페닐메틸, 파라-메톡시벤질등이 가능하다. Q는 일반적으로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에 유용한 치환체를 말한다. 즉, 수소, 할로겐, 혹은 C1-4알콕시와 같은 유기치환체, -CH2Q' 혹은 -CH=CH-Q'와 같은 치환체를 말한다. 이때 Q'는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메르캅토, 시아노, 카르복시, 카르복실릭에스테르, 카르바모일옥시, C1-4알킬옥시, 아릴, 탄소원자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헤테로고리 치환체, 혹은, 질소원자가 포함되어 있는 헤테로고리 치환체등을 말한다. 여기서 할로겐은 일반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등을 말한다.
헤테로고리 치환기로는 불포화된 5 또는 6환 헤테로고리기를 말한다. 이때 헤테로고리는 산소, 황, 질소 원자를 적어도 한개 이상 포함하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예로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티아졸릴티오, 이소티아졸릴티오, 티아디아졸릴티오, 트리아졸릴티오, 트리아지닐티오, 테트라졸릴티오, 트리아졸로피리미디닐티오, 1-치환된 피리디이윰-4-일-티오등을 말한다. 질소를 거쳐서 결합되어 있고 포함되어 있는 헤테로고리 치환기는 피리디늄기로서, C1-6알킬, C1-6알콕시, 히드록시알킬, C1-6알케닐, 알콕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술포닐알킬, 카르바모일메틸, 카르바모일, 트리플루오로메틸, 히드록시, 할로겐, 옥소, 혹은 치환되지 않았거나 1개 내지 2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아미노알킬기 등으로 치환된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I)식에서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파로스포린 유도체의 7위치에 치환되어 있는 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의 구조식(α)는 4,5-디히드록시-N-옥소피리딘의 구조식(β)와 서로 토오토머(tautomer)형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2가지의 화학적 구조는 본 발명 범위에 포함된다.
[반응식 1]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응식 2]
일반식(VII)의 케톤화합물과 일반식(VIII)의 아민화합물을 축합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의 반응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로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메틸렌클로리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등이 가능하고 반응시에는 부피비로 1 내지 3배의 물과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시킨다. 반응시 반응용액의 pH는 2에서 6정도가 가능한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pH가 4∼5정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반응용액의 pH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염기용액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가능한 염기로는 일반적으로 저급알킬 아민과 같은 유기염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알칼리금속 염기, 즉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과 같은 무기염기가 가능하다. 반응온도로는 -10℃∼30℃가 적당하다. 반응시간으로 5 내지 24시간정도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식 3]
[반응식 4]
본 발명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신규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신규 아미노티아졸계열 화합물과 일반식(III)에서 세파로스포린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I)에서 R1은 수소 또는 페니실린이나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도는 보호기를 말하는데, 예를 들면 트리틸, 3급-부톡시카르보닐(t-Boc), 벤질, 클로로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벤질옥시 카르보닐, 파라-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포르밀, 그리고 트리플루오르아세틸등의 포함된다. R3, R4는 H 또는 페놀성 수산기의 보호기를 말한다. 또한 R3, R4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가 있다. 그 예로는 디페닐메틸, 파라-메톡시벤질등이 가능하다.
일반식(III)의 세파로스포린에서의 R2와 Q는 일반식(I)의 R2와 Q와 서로 동일하다.
[반응식 5]
반응식(1)에서 보는 바와같이 일반식(II)의 산화합물과의 아실화반응은 통상적인 반응공정을 거쳐서 얻게 된다. 이러한 아실화반응에서 일반식(II)의 화합물들을 할성화된 상태로 만들어 반응시키는 경우, 사용 가능한 반응 용매로는 물, 아세톤,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피리딘등이 유용하며, 유기염기나 무기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킨다. 사용 가능한 염기의 예로는 알칼리금속히드록시드, 알칼리금속아세테이트, 트리-(저급)알킬아민, 피리딘, N-저급알킬모르포린, N,N-(저급)알킬벤질아민, N,N-디-(저급)알킬아닐린 등을 들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이나 저온이 적당하다. 여기서 일반식(VI)의 카르복실산의 활성하를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세팔로스포린 합성에 이용되는 활성화 과정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활성화된 유도체로서는 산무수물,예를 들면 대칭형이거나 혼합형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때 일반식(II)의 카르복실산과 산무수물을 이루는 화합물들로서는 무기산(예를 들면 인산, 황산, 할로겐산,카르보닐반쪽산등)들이던가, 유기산(예를들면, 알킬산, 아라알킨산, 술폰산), 분자내 산무수물(예를들면 케텐, 이소시아네이트 등과의 무수물을 말한다), 산 할라이드, 반응성을 가진 에스테르인 알케닐에스테르(예를들면, 비닐에스테르, 이소프로페닐에스테르), 아릴에스테르(예를들면 피리딜에스테르, 벤조트리아졸릴에스테르), N-히드록시화합물과의 에스테르, 디아실히드록시아민에스테르(예를들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에스테르), 티오에스테르(예를들면 아랄킬티올에스테르, 헤테로고리를 가진 티올에스테르), 혹은 반응성을 갖는 아미드(예를들어 이미다졸, 트리아졸, 2-에톡시-1,2-디히드로퀴놀린과의 아미드, 디아실아닐리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아실화반응에서 유기산이나 염 상태에서 결합보조제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아실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시클로헥실-N-모르포리노-에틸카르보디이미드, N-시클로헥실-N-(4-디에틸아미노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카르보닐비스(2-메틸이미다졸), 펜타메틸렌케텐-N-시클로헥실아민, 에톡시아세틸렌, 에틸폴리포스페이트, 포스포로 스트리클로리드, 포스포로스옥시클로리드, 티오닐클로리드, 옥살릴클로리드, 트리페닐포스핀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일반식(I)의 세파로스포린 화합물의 카르복실기가 R2그룹으로 보호된 호합물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응식(II)에서와 같이 화합물들을 염기나 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면 R2가 수소원자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되는 산은 아세트산, 포름산,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또는 염화알루미늄 등의 루이스산이 적합하며 첨가량은 일반식(I)의 세파로스포린화합물에 대해 당량으로 1∼1000배의 산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5∼100배가 좋다.
또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응식(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일반식(II)의 화합물과 일반식(IV)의 세펨화합물과 반응식(2)에서아 같이 아실화 반응을 거쳐 일반식(V)의 화합물을 합성하고, 3위치에 치환기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Nu:(친핵성 헤테로고리화합물)와반응시켜 일반식(VI)의 화합물을 얻는다. 최종적으로는 반응식(3)에서와 같은 반응공정으로 보호기를 제거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이다. 상기 일반식에서 X는 클로로, 브로모, 요오드, 또는 아세톡시를 말한다. R1, R2, R3, R4, Q, Q'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다음의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얻어진 일반식(I)의 구조를 지니는 대표적인 화합물들을 보여준다.
화합물 1.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2.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틸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3. 파라-메톡시벤질(6R,7R)-7[(Z)-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ㅣ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에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요오드.
화합물 4.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5.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6.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7.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8.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메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요오드.
화합물 9.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합물 10.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에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합물 11.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합물 12.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합물 13.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합물 14.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및 나트륨염.
화합물 15.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카르복시메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시산 및 나트륨염.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더욱 상세히 예증하여 줄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브로모메틸-3-(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반응식 6]
건조된 테트라히드로퓨란 20ml에 5-히드록시메틸-3-(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0.2g(0.38mmol)을 녹이고 0℃로 냉각한다. 카본테트라브로미드 0.28g(0.76mmol)과 트리페닐포스핀 0.2g(0.76mmol)을 가하고 20℃로 올려 2시간 저어준다. 고첼 여과하여 제거하고 초산에틸 50ml와 포화소금물 50ml를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소금물로 3번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다. 감압증류하여 관크로마토그래피를(n-Hex:EA=1:5) 사용하여 목적화합물 132mg(0.22mmol)을 얻었다.
수율 : 60%
1H-NMR(CDCl3,δ) : 3.8(3H,s,-PhOCH3), 4.5(2H,s,-CH2Br), 5.1(2H,s,-OCH2Ph), 6.4(1H,s,이소옥사졸-H), 6.9(1H,s,-CH Ph2), 7.0(1H,s,피리돈-H), 7.3-7.7(14H,m,Ph), 8.1(1H,s,피리돈-H).
[실시예 2]
5-프탈이미도옥시메틸-3-(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반응식 7]
테트라히드로퓨란 30ml와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ml에 5-브로모메틸-3-(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1.2g(2.03mmol)과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0.35g(2.15mmol)을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300ml(2.17mmol)을 가하고 22℃에서 15시간 저어준다.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고 초산에틸 100ml를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소금물 50ml식 3번 씻어준다. 포화된 티오황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으로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여과하고 감압증류하여 진공 펌프로 건조하면 목적화합물 1.16g(1.71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85%
1H-NMR(CDCl3,δ) : 3.8(3H,s,-PhOCH3), 5.1(2H,s,-OCH2Ph), 5.3(2H,s,--OCH2Ph), 6.5(1H,s,이소옥사졸-H), 6.8(1H,s,-CH Ph2), 7.0(1H,s,피리돈-H), 7.2-8.0(19H,m,Ph-H,피리돈-H).
[실시예 3]
5-아미노옥시메틸-3-(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반응식 8]
디클로로메탄 5ml에 5-프탈이미도옥시메틸-3-(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170mg(0.25mmol)을 녹이고 -15℃로 냉각한다. 히드라진 38mg(0.76mmol)을 에탄올 300μl에 섞어 적가한다. 21℃에서 2시간 저어준 뒤 고체를 여고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디클로로메탄 30ml와 포화소금물 20ml에 가하고 유기층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씻어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하여 진공펌프로 건조하면 목적화합물 100mg(0.19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73%
1H-NMR(CDCl3,δ) : 3.9(3H,s,-PhOCH3), 4.8(2H,s,-CH2ONH2), 5.2(2H,s,-OCH2Ph), 6.5(1H,s,이소옥사졸-H), 6.9(1H,s,-CHPh2), 7.0(1H,s,피리돈-H), 7.2-7.7(14H,m,Ph), 8.0(1H,s,피리돈-H).
[실시예 4]
(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초산
[반응식 9]
클로로포름 1ml와 에탄올 1ml에 5-아미노옥시메틸-3-(4-디페닐메톡시-5-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 100mg(0.19mmol)을 녹이고 에탄올 1ml와 클로로포름 5ml에 2-트리틸아미노 티아졸-4-일-글리옥실릭산 77mg(0.19mmol)을 녹여 가하고 21℃에서 1.5시간 저어준다. 감압증류하여 농축하고 디클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트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150mg(0.16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80%
1H-NMR(CDCl3,δ) : 3.8(3H,s,-PhOCH3), 5.1(2H,s-CH2), 5.3(2H,s,-OCH2Ph), 6.4(1H,s,이소옥사졸-H), 6.6(1H,s,-CH 티아졸-H), 6.8(1H,s,-CH Ph2), 7.0(1H,s,피리돈-H), 7.1-7.8(29H,m,Ph), 8.5(1H,s,피리돈-H).
[실시예 5]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2]
디클로로메탄 20ml에 (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530mg(0.57mmol)과 디페닐메틸-7-아미노-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250mg(0.57mmol)을 녹이고 0℃로 냉각한다. 피리딘 90mg(2.8mmol)을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적어준 뒤 -20℃로 냉각하고 포르포스옥시클로리드 90mg(0.57mmol)을 적가하는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 뒤 초산에틸 80ml와 포화소금물 80ml을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포화소금물로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 농축하여 관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n-Hex:EA=1:5) 분리하면 목적화합물 480mg(0.35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63%
1H-NMR(CDCl3,δ):2.00(3H,s,-OCOCH3), 3.31(2H,ABq, C2-H), 3.83(3H,s,-PhOCH2Ph), 4.75(2H,ABq, C3-CH2), 5.02(1H,d,C6-H), 5.10(2H,s,-OCH2Ph), 5.38(2H,d,-OCH2), 5.9(1H,q, C7-H), 6.37(1H,s,이소옥사졸-H), 6.6(1H,s,-CH Ph2), 6.71(1H,s,-CH Ph2), 6.90(2H,d, -PhOCH3), 6.91(1H,s,티아졸-H), 7.25-7.52(37H,m,피리돈-H,Ph), 7.96(1H,s,피리돈-H).
[실시예 6]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크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3]
디클로로메탄 30ml에 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500mg(0.53mmol)과 파라-메톡시벤질-7-아미노-3-크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200mg(0.53mmol)을 가하고 0℃로 냉각한다. 피리딘210mg(2.65mmol)을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다. -20℃로 냉각하고 POCl348μl(0.53mmol)을 적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다. 초산에틸 80ml와 포화소금물 80ml에 반응혼합물을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중탄산나트륨으로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감압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리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530mg(0.42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67%
1H-NMR(CDCl3,δ):3.36(2H,ABq, C2-H), 3.75(3H,s, -PhOCHPh3), 3.81(3H,s, -PhOCH3), 4.35(2H,ABq, -CH2Cl), 4.95(1H,d, C6-H), 5.12(2H,s, -OCH2Ph), 5.22(2H,d, -OCH2Ph), 5.35(2H, s, -OCH2), 5.83(1H,q, C7-H), 6.37(1H,s, 이소옥사졸-H), 6.68(1H,s, -CH Ph2), 5.35(2H,s, -OCH2), 5.83(1H,q,C7-H), 6.37(1H,s, 이소옥사졸-H), 6.68(1H,s, -CH Ph2), 6.86(1H,s, 티아졸-H), 6.89(2H,d, -OCH3Ph), 6.90(2H,d, -OCH2Ph), 7.24-7.52(30H,m,Ph,피리딘-H), 7.95(1H,s,피리딘-H).
[실시예 7]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에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요오드
[화학식 4]
테트라히드로퓨란 6ml에 파라-메톡시벤질-7-[(Z)-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0mg(0.12mmol)과 요오드화나트륨 18mg(0.12mg), 1-에틸-4-피리도티온 17mg(0.12mmol)을 가한다. 21℃에서 1.5시간 저어준 뒤 디클로로메탄 3ml과 포화소금물 3ml에 반응혼합물을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소금물로 씻어준 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암농축하여 진공펌프로 건조하고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145mg(0.10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82%
1H-NMR(CDCl3,δ):1.51(3H,t, -CH2CH3), 3.5(2H,ABq,C2-H), 3.76(3H,s,-PhOCH2Ph), 3.80(3H,s,-PhOCH3), 4.30(2H,ABq,-CH2S), 4.55(1H,q,CH2CH3), 5.01(1H,d,C6-H), 5.15(4H,s,-OCH2Ph), 5.43(2H,s,-OCH2), 5.70(1H,q,C7-H), 6.60(1H,s,이소옥사졸-H), 6.80(2H,q,-PhOCH3), 6.85(1H,s,티아졸-H), 6.86(2H,d,-PhOCH3), 7.2-7.6(30H,m,Ph,피리돈-H), 7.65(1H,d,-NH), 7.8(2H,d,피리딘-H), 8.20(1H,s,피리돈-H), 8.66(2H,d,피리딘-H).
[실시예 8]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틸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요오드
[화학식 5]
테트라히드로퓨란 8ml에 파라-메톡시벤질-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0mg(0.12mmol)과 요오드화나트륨 19mg(0.13mmol), 1-디페닐메톡시카르보닐-4-피리도티온 43mg(0.13mmol)을 가한다. 18℃에서 2시간 저어준뒤 디클로로메탄 50ml와 포화소금물 30ml에 반응혼합물을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소금물로 씻어준 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농축하여 진공펌프로 건조하고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133mg(0.07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67%
1H-NMR(CDCl3,δ):3.39-3.615(2H,ABq,C2H), 3.75(3H,s,PhOCH3), 3.79(3H,s,-PhOCH3), 4.20-4.21(2H,ABq,-CH2S), 4.96(1H,d,C6-H), 5.09(4H,s,-OCH2Ph), 6.63(1H.s.-CHPh2), 6.81-7.43(36H,m,리피딘-H, 이소옥사졸-H, 티아졸-H), 7.61(2H,d,피리딘-H), 7.97(1H,s,피리딘-H), 8.50(2H,d,피리딘-H).
[실시예 9]
파라-메톡시벤질(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6]
테트라히드로퓨란 6ml에 파라-메톡시벤질-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50mg(0.12mmol)가 요오드화나트륨 36mg(0.24mmol), 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올 28mg(0.24mmol)을 가하고 19℃에서 2.5시간 저어준다. 디클로로메탄 30ml와 포화소금물 30ml에 반응혼합물을 가하고 포화소금물로 씻어준 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95mg(0.07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59%
1H-NMR(CDCl3,δ):3.6(2H,ABq,C2-H), 3.80(3H,s,-PhOCH3), 3.83(3H,s,-PhOCH3), 3.85(3H,s,N-CH3), 4.23(2H,ABq,-CH2S), 4.95(1H,d,C6-H), 5.13(2H,s,-OCH2Ph), 5.21(2H,d,-OCH2), 5.39(2H,s,-OCH2Ph), 5.82(1H,q,C7-H), 6.40(1H,s,이소옥사졸-H), 6.70(1H,s,-CHPh2), 6.86(2H,d,티아졸-H), 6.89(1H,s,티아졸-H), 6.91(2H,d,-PhOCH3), 7.27-7.52(30H,m,Ph-H,피리돈-H), 8.05(1H,s,피리돈-H)
[실시예 10]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7]
디클로로메탄 10ml에 (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200mg(0.21mmol)과 디페닐메틸-7-아미노-3-클로로-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81mg(0.21mmol)을 녹이고 0℃로 냉각한다. 피리딘 85mg(1.05mmol)을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 뒤 -20℃로 냉각하고 POCl3, 20μl(0.21mmol)를 적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 뒤 초산에틸 50ml와 포화소금물 50ml를 가하고 유기층을 포화된 중탄산나트륨, 포화소금물로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265mg(0.20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96%
1H-NMR(CDCl3,δ):3.45(2H,ABq,C2H), 3.82(3H,s,-PhOCH3), 5.03(1H,d,C6-H), 5.09(2H,s,-OCH2Ph), 5.44(2H,s,-OCH2), 5.88(1H,q,C7-H), 6.38(1H,s,이소옥사졸-H), 6.62(1H,s,-CHPh2), 6.77(1H,s,-CHPh2), 6.9(2H,d,-PhOCH3), 6.93(1H,s,티아졸-H), 7.26-7.53(38H,m,Ph-h,피리돈-H), 7.98(1H,s,피리돈-H).
[실시예 11]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8]
디클로로메탄 10ml에 (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초산 200mg(0.21mmol)가 디페닐메틸-7-아미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81mg(0.21mmol)을 녹이고 0℃로 냉각하고 피리딘 84mg(60.6mmol)을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 뒤 -20℃로 냉각하고 POCl3, 20μl(0.21mmol)를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다. 초산에틸 50ml와 포화소금물 50ml를 반응혼합물에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중탄산나트륨과 포화소금물로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140mg(0.10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51%
1H-NMR(CDCl3,δ):3.32(2H,ABq,C2-H), 3.82(3H,s,-PhOCH3), 4.94(1H,d,C6-H), 5.08(2H,s,-OCH2Ph), 5.39(2H,s,-OCH2), 5.92(2H,s,-OCH2), 5.92(1H,q,C7-H), 6.39(1H,s,이소옥사졸-H), 6.58(1H,d,d,티아졸-H), 6.73(1H,s,-CH Ph2), 6.89(1H,s,-CH Ph2), 6.93(1H,s,티아졸-H), 6.94(2H,d,-PhOCH3), 7.26-7.54(38H,m,Ph,피리돈-H), 7.96(1H,s,피리돈-H).
[실시예 12]
디페닐메틸(6R,7R)-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9]
디클로로메탄 10ml에 (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시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산 200mg(0.21mmol)과 디페닐메틸-7-아미노-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87mg(0.21mmol)을 녹이고 0℃로 냉각하고 피리딘 85mg(1.05mmol)을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 뒤 -20℃로 냉각하고 POCL3, 20μl(0.21mmol)을 가하고 동 온도에서 1시간 저어준다. 초산에틸 50ml와 포화소금물 50ml을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중탄산나트륨과 포화소금물로 씻어주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암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과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하면 목적화합물 230mg(0.17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82%
1H-NMR(CDCl3,δ):3.44(2H,ABq,C2-H), 3.82(3H,s,-PhOCH3), 5.03(1H,d,C6-H), 5.09(2H,s,-OCH2Ph), 5.22(1H,d,비닐-H), 5.39(H,d,비닐-H), 5.41(2H,s,-HOC2), 5.88(1H,q,C7-H), 6.36(1H,s,이소옥사졸-H), 6.75(1H,s,-CHPh2), 6.89(1H,s,-PhOCH3), 6.92(1H,s,티아졸), 6.96(1H,d,d,비닐-H), 7.25-7.53(28H,m,Ph,피리돈-H), 8.01(1H,s,피리돈-H).
[실시예 13]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학식 10]
아니솔 1.9g(17.6mmol)에 디페닐메틸-7-[(Z)-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아세톡시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400mg(0.29mmol)을 녹이고 -10℃로 냉각한 뒤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9ml(116.8mmol)을 적가하고 21℃에서 2시간 저어준다. 감압하여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은 제거하고 이소프로필에테를 사용하여 고체화한다. 고체를 5% 중탄산나트륨에 녹여 pH=7∼8을 유지한 뒤 C18역상크로마토크래피(H2O:Me0H=4:1)로 분리하고 동결전조하면 목적화합물 110mg(0.17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58%
1H-NMR(D2O,δ):2.01(3H,s,-OCOCH3), 3.17(2H,ABq,C2-H), 4.59(2H,ABq,-CH2OC), 5.10(1H,d,C6-H), 5.35(2H,s,-OCH2), 5.75(1H,s,C7-H), 6.91(1H,s,이소옥사졸-H), 6.99(1H,s,티아졸-H), 7.01(1H,s,피리돈-H), 7.58(1H,s,피리돈-H).
[실시예 14]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에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화학식 11]
아니솔 1.63g(5.8mmol)에 파라-메톡시벤질-7-[(Z)-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에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요오드 140mg(0.09mmol)을 녹이고 -10℃로 냉각한 뒤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4.44g(38.94mmol)을 적가하고 21℃에서 1.5시간 저어준 뒤 0℃로 냉각하고 이소프로필에테르 3ml를 가한다. 고체를 여과하여 5% 중탄산나트륨에 녹여 pH=7∼8을 유지하면서 녹이고 HP-20 관크로마토그래피(H2O:MeOH=4:1)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면 목적화합물 35mg(0.05mmol)를 얻을 수 있다.
수율 : 51%
1H-NMR(D2O,δ):1.42(3H,5,-CH2CH3), 3.10(2H,ABq,C2-H), 4.07(2H,ABq,-CH2s), 4.30(2H,q,-CH2CH3), 5.05(1H,d,C6-H), 5.36(2H,s,-OCH2), 5.67(1H,d,C7-H), 6.93(1H,s,이소옥사졸-H), 6.97(1H,s,티아졸-H), 7.13(1H,s,피리딘-H), 7.56(1H,s,피리딘-H), 7.65(2H,d,피리딘-H), 8.35(2H,d,피리딘-H).
[실시예 15]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이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카르복시메틸피리디니움-4-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학식 12]
아니솔 0.5g에 파라-메톡시벤질-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요오드 120mg(0.07mmol)을 가하고 -10℃로 냉각한 뒤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3ml(38.94mmol)을 적가하고 20℃에서 2.5시간 저어준다. 0℃로 냉각하고 이소프로필에테르를 가한다. 고체를 여과하여 5% 중탄산나트륨에 녹여 pH=7∼8을 유지하면서 녹이고 C18-역상 관크로마토그래피(H2O:MeOH=4:1)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면 목적화합물 33mg(0.04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60%
1H-NMR(D2O,δ):3.19-3.63(2H,ABq,C2-H), 4.13(2H,ABq,-CH2s), 5.02(2H,s,-NCH2), 5.12(1H,d,C6-H), 5.41(2H,s,-OCH2), 5.74(1H,d,C7-H), 6.97(1H,s,이소옥사졸-H), 7.04(1H,s,티아졸-H), 7.16(1H,s,피리돈-H), 7.60(1H,s,피리딘-H), 7.74(2H,d,피리돈-H), 8.33(2H,d,피리딘-H).
[실시예 16]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학식 13]
아니솔 0.43g(3.98mmol)에 파라-메톡시벤질-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메틸-1H-테트라졸-5-일-티오메틸)-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90mg(0.07mmol)을 가하고 -10℃로 냉각하여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2ml를 적가하고 21℃에서 2시간 저어준 뒤 0℃로 냉각하고 이소프로필에테르를 20ml 가한다. 고체를 여과하여 포화된 중탄산나트륨으로 pH=7∼8을 유지하면서 녹이고 C18역상 관크로마토그래피(H2O:MeOH=4:1)로 분리하면 목적화합물 33mg(0.05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67%
1H-NMR(D2O,δ):3.26(2H,ABq,C2-H), 3.93(2H,ABq,-CH2S), 3.96(3H,s,NCH3), 5.08(1H,s,C6-H), 5.38(1H,s,-OCH2), 5.69(1H,d,C7-H), 6.97(1H,s,이소옥사졸-H), 7.02(1H,s,티아졸-H), 7.12(1H,s,피리돈-H), 7.62(1H,s,피리돈-H).
[실시예 17]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학식 14]
아니솔 1ml(9.2mmol)에 디페닐메틸-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클로로-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200mg(0.15mmol)을 가하고 -10℃로 냉각한 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7ml(61.4mmol)을 적가하고 21℃에서 2시간 저어준 뒤 감압하여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제거하고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한다. 고체를 5% 중탄산나트륨으로 pH=7∼8을 유지하면서 녹이고 C18역상 관크로마토그래피(H2O :MeOH=4:1)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면 목적화합물 80mg(0.13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87%
1H-NMR(D2O,δ):3.34(2H,ABq,C2-H), 5.19(1H,d,C6-H), 5.37(2H,s,-OCH2), 5.76(1H,d,C7-H), 6.96(1H,s,이소옥사졸-H), 7.01(1H,s,티아졸-H), 7.08(1H,s,피리돈-H), 7.64(1H,s,피리돈-H).
[실시예 18]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학식 15]
아니솔 0.5ml에 디페닐메틸-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비닐-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40mg (0.11mmol)을 가하고 -10℃로 냉각한 뒤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5ml을 적가하고 20℃에서 2시간 저어준 뒤 감압하여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을 제거하고 이소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여 고체화한다. 고체를 여과하여 5% 중탄산나트륨으로 pH=7∼8을 유지하면서 녹이고 C18역상 관크로마토그래피(H2O:MeOH=4:1)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면 목적화합물 50mg(0.08mmol)로 얻을 수 있다.
수율 : 76%
1H-NMR(D2O,δ):3.50(2H,s,C2-H), 5.16(1H,d,C6-H), 5.18(1H,d,비닐-H), 5.23(1H,d,비닐-H), 5.42(2H,s,-OCH2), 5.75(1H,s,C7-H), 6.65(1H,dd,비닐-H), 7.01(1H,s,이소옥사졸-H), 7.05(1H,s,티아졸-H), 7.16(1H,s,피리돈-H), 7.66(1H,s,피리돈-H).
[실시예 19]
(6R,7R)-7-[(Z)-2-(2-아미노티아졸-4-일)-2-{(1,5)-디히드록시-4-피리돈-2-일)이소옥사졸-5-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 및 나트륨염
[화학식 16]
아니솔 3ml(9.2mmol)에 디페닐메틸-7-[(Z)-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2-{(4-디페닐메톡시-5-파라-메톡시벤질옥시-N-옥소피리딘-2-일)이소옥사졸-5-일-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레이트 120mg (0.09mmol)을 녹이고 -10℃로 냉각 후 트리플르오르아세트산 15ml를 가하고 21℃에서 2시간 저어준 뒤 이소프로필에테르를 20ml을 가하고 여과하여 얻고, 5%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pH=7∼8을 유지하면서 녹인다. C18역상 관크로마토그래피(H2O:MeOH=4:1)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하면 목적화합물 25mg(0.04mmol)을 얻을 수 있다.
수율 : 45%
1H-NMR(D2O,δ):3.41(2H,ABq,C2-H), 5.15(1H,d,C6H), 5.42(2H,s,-OCH2), 5.84(1H,s,C3-H), 6.97(1H,s,이소옥사졸-H), 7.07(1H,s,티아졸-H), 7.11(1H,s,피리돈-H), 7.66(1H,s,피리돈-H).
생체의 항균활성 시험:본 발명에서 합성된 대표적인 화합물들의 생체의 항균력은 물러 힌튼 아가(Mueller Hinton Agar)를 사용한 한천희석(Agar dilution)방법에 의해 37℃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그 2배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접종한 평판을 일렬로 나열하고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기화합물의 최소발육 억제농도(MiC)를 정하였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의 표에 제시한다.
[표 1]
합성된 화합물들의 항균력

Claims (3)

  1. 다음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세파로스포린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 R1은 H, 또는 트리틸, 3급 부톡시 카르보닐, 포르밀기이고, R2는 수소, 파라-메톡시벤질, 디페닐메틸이거나 Na나 K와 같은 염을 만드는 원자이고, R3,R4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1H 또는 파라-메톡시벤질, 디페닐메틸기이고, Q는 수소, 클로로, 비닐, 아세톡시메틸, 할로메틸, N-에틸피리디니움일티오메틸, N-카르복시메틸피리디니움일티오메틸, N-메틸-테트라졸릴티오메틸이다.
  2. 일반식(II)의 화합물과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아실화 반응시키는 것이 특징인 제1항의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1,R2,R3,R4및 Q는 각각 제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3. 일반식(VII)의 화합물과 일반식(VIII)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이 특징인 일반식(I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1,R2,R3,R4및 Q는 각각 제1항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KR1019920012641A 1992-07-15 1992-07-15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641A KR950008318B1 (ko) 1992-07-15 1992-07-15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175253A JP2549494B2 (ja) 1992-07-15 1993-07-15 ピリドンイソオキサゾールセフェ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641A KR950008318B1 (ko) 1992-07-15 1992-07-15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254A KR940002254A (ko) 1994-02-17
KR950008318B1 true KR950008318B1 (ko) 1995-07-27

Family

ID=1933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641A KR950008318B1 (ko) 1992-07-15 1992-07-15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49494B2 (ko)
KR (1) KR950008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005B1 (ko) * 2002-08-29 2004-12-17 박형갑 마늘 파종판
KR20080050029A (ko) * 2006-12-01 2008-06-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컨넥팅 로드의 소단부 가공구조
JP6422164B2 (ja) 2013-12-26 2018-11-14 塩野義製薬株式会社 含窒素6員環誘導体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254A (ko) 1994-02-17
JPH06179683A (ja) 1994-06-28
JP2549494B2 (ja) 199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618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s-oxider och -dioxider av 7-(2-(2-aminotiazol-4-yl)-2-oxiimino-acetamido)-cef-3-em-4-karboxylsyraderivat
CA1283404C (en) Cephalosporin compoun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antibacterial agents
DK145157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penicilliner
US4546176A (en) 7-Carboxymethoxyphenylacetamido-3-cephem derivatives and antibacteri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 same
US4785090A (en) Cephalosporin derivatives
HU184140B (en) Process for preparing 7-cef-3-em-4-carboxylic acid derivatives
HU205121B (en) Process for producing cefalosporing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compounds
EP0264091A2 (en) 3-Propenylcephem derivative, preparation thereof, chemical intermediates there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GB2051810A (en) Cephalosporin compoun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antibacterial drugs containing them
KR950008318B1 (ko) 피리돈이소옥사졸 세펨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4971962A (en) Cephalosporin compounds
HU189792B (en) Process for producing ceph-3-em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289002B1 (en) Novel cephalosporin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gents
DE3330605A1 (de) Cephalosporinderiv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988686A (en) Cephem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gent
PT88276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acidos 3-propenil substituido-7-(amino-tiazolilacetamido)-3-cefem-4-carboxilicos e dos seus esteres
US5438053A (en) Cephem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
HU184680B (en) Process for producing ceph-3-eme-4-carboxylic acid derivatives containing amino-thiazolyl group in the side chain
KR100215548B1 (ko) 세팔로스포린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22570A (ja) 1−メタンスルホニルオキシ−6−トリフルオロメチル−1h−ベンゾトリアゾ−ル及び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の製造方法
IE53116B1 (en) Cephem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0380324B1 (ko) 새로운 세펨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30007813B1 (ko) 피리돈계 알케닐 세팔로스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0380322B1 (ko) 새로운 이소티아졸 세펨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950008319B1 (ko) 디히드록시알릴세펨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