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114B1 -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 Google Patents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114B1
KR950008114B1 KR1019890006666A KR890006666A KR950008114B1 KR 950008114 B1 KR950008114 B1 KR 950008114B1 KR 1019890006666 A KR1019890006666 A KR 1019890006666A KR 890006666 A KR890006666 A KR 890006666A KR 950008114 B1 KR950008114 B1 KR 950008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enter
telephone
telephon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446A (ko
Inventor
마사또 아리즈미
노리오 오자와
야스오 하루따
시노리 마부찌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스기 노무미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고스기 노무미쓰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0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114B1/ko
Publication of KR90001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센터측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단말축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측 발신의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5도는 마찬가지로 센터측 발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제7도는 종래의 단말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제8도는 종래의 센터 발신 방식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제9도는 제6도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공중 전화망 20 : 센터 장치
30 : 센터측 어댑터 장치 12,40 : 단말측 어댑터 장치
3,50 : 비전화계 단말(검침 단말) 60 : 전화기
5,11 : 관리 센터 18 : 회선
본 발명은 공중 전화방을 이용한 관리 센터와 단말간 통신, 특히 단말측의 1개의 전화회선에 전화기와 가스 검침 단말등의 비전화제 단말을 접속한 경우의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방식에서는, 주거내에 설치된 전화기와 역시 주거내에 설치된 비전화계 단말을 단말측 어댑터 장치를 통해서 동일한 전화회선에 접속하고, 그 접속 절환은, 단말측 어댑터 장치에서 행한다.
또, 비전화계 단말로서는, 예로서 가스 검침 단말이 있다. 이 가스 검침 단말 설치의 목적은 검침의 자동화에 의한 업무의 간소화이며, 가스 검침 단말에 축적한, 사전에 일시에 발신되는 데이터 및 가스 누출시에 즉시 발신되는 경보 정보 등을 공중전화망을 통해서 가스 관리 센터(이하, 단순히 센터라 함) (4)에 전송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착 어댑터 장치에는 단말 발신형의 통신 방식이 많이 채용되어 왔다.
제7도는 종래의 단말 발신 방식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중 (1)은 공중전화망, (2)는 전화기, (3)은 LP 가스의 검침 단말, (4)는 전화기(2)와 검침 단말(3)을 공중전화망(1)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단말 어댑터, (5)는 공중전화망 (1)과 접속되어 감침 단말(3)을 관리하는 관리 센터이다.
LP 가스 공급 업무의 운용시에 검침 단말(3)에서는 정기적으로 검침 데이터등의 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요구된다. 관리 센터(5)가 데이터 전송에 의하여 관리하는 항목으로서는예를들면 수집된 데이터에 이상치가 발견되었을 때의 검침 단말(3)의 체크, 이용자가 장기 부재일 때 등의 가스 밸브의 온/오프 제어, LP 가스의 사용 상황의 수시체크, 검침 카운터의 제로 리세트, 관리 센터(5)의 전화 번호의 변경 통지, 단말 어댑터(4)가 내장되어 있는 시계의 시각 수정 등이 있다. 이러한 것은 검침 단말(3)이 관리 센터(5)에 대하여 발신되어 왔을 때 통신로가 설정되는 것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하여 지시하여도 충분한 것과 수시로 관리 센터(5)의 지시를 필요로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단말 방식에 있어서는 관리 센터(5)로부터의 발신은 불가능하므로, 상기의 수시로 지시를 필요로 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어떤 대체 수단, 예를들면 전화에 의한 연락이라든지, 계원의 파견등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상기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는, 센터 발신, 단말 착신의 통신 방식을 들 수가 있다. 센터로부터 발신하여 가스 검침 단말을 호출하는 경우, 센터측으로부터 단말측 어댑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주거의 전화번호를 단순히 호출하거나, 주거측으로부터 하면 이 호출만으로서는 가스 검침 단말을 호출하는 것인지 전화기를 호출하는 것인지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노 링잉(No ringing) 통신 서어비스의 인터페이스(안)](닛뽕 전신 전화 주식회사 62.5.26)에 게시되어 있는 방식이 채용된다. 이 방식은 시내 교환기에 단말 식별 신호 송출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사전에 설정한 특정 주파수 신호가 사용되며, 주거측에서는, 시내 교환기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특정 주파수 신호가, 가스 검침 단말을 지정하고 있는 것을 식별하면 가스 검침 단말과 공중전화망과의 접속을 행하는 것이다.
제8도는 상기의 센터 발신 방식에 의한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2)는 전화기, (5)는 관리 센터, (6)은 발신측의 시내교환기, (7)은 착신측의 시내 교환기, (8)은 단말 어댑터, (9)는 검침 단말, (10)은착신측의 시내 교환기(7)에 형성된 노 링잉 트렁크이다.
상기의 노 링잉 트렁크(10)는 검침 단말(9)을 호출하기 위하여 착신측의 시내 교환기(6)에 특별히 형성한 것이며, 관리 센터(5)에서 검침 단말(9)을 호출하여 지정하면 노 링잉 트렁크(10)에서 특정 주파수의 호출 신호를 단말 어댑터(8)를 향하여 송출하고, 단말 어댑터(8)가 이것을 받아 검침 단말(9)에 대한 호출임을 식별하여 전화 회선을 검침 단말(9)에 접속한다.
상기 노 링잉 통신 서어비스에 의하면, 이 서어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시내 교환기에 단말 식별신호 송출기능을 필요에 따라서 부가하지 않으면 않된다. 그러나, 이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고가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많은 수의 이용자가 모이지 않으면 설치도입되지 못하며, 또 이용자에게는, 이용료의 지불이 의무가 되어 있어,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가 장치의 설치를 할 필요가 없고, 공중 전화망을 사용하여 주거측에서 전화와 비전화계 단말과의 선택접속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약속한 방식으로 착신측에 대하여 전화번호로 호출을 하고, 착신측이 이것을 식별하여 전화 회선이 자동적으로 비전화계 단말과 접속되도록 하여 종래의 시스템을 변경하는일 없이 교신을 가능하게한 비전화계 단말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리 센터와 비전화계 단말을 공중 전화망을 통해서 접속하고, 착호에 따라서 공중전화망과 전화기 및 비전화계 단말과의 접속 절환을 하는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에서, 관리 센터로부터의 착호 접수 시간대를 미리 설정하여 두고, 상기 시간대 내에 센터로부터의 착호가 있으면 공중 전화망과 비전화계 단말을 접속시키고, 상기 시간대 외의 착호 및 센터로부터의 착호가 아니면, 전화기와 공중전화망을 접속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중 전화망에 접속되는 관리 센터와 공중 전화망의 회선에 접속된 단말 어댑터에 의하여 전화기와 함께 선택 제어되어 당해 회선에 접속되는 비전화 단말과의 사이에서 교신하는 통신 방식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센터는 상기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전화기의 전화 번호로 호출하고 그 호출에 대한 호출 신호를 확인한 것으로 상기 관리 센터로의 호출을 행함과 동시에 상기 비전화 단말을 회선에 접속하는 통신 방식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센터로부터의 착호 접수 시간대를 미리 설정하여 둠으로서, 관리 센터로부터의 접속 요구인가, 일반 가입 전화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인가를 타이머 등을 사용하므로 착신 시간으로 식별할수가 있고, 설정 시간대 내에 착호가 있으며, 이 착호가 관리 센터로부터의 것이라고 식별이 되면, 공중 전화망과 비전화계 단말을 접속하고, 일반 가입 전화기로부터의 착호라고 식별이 되면, 공중 전화망과 전화기를 접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센터는 비전화계 단말을 호출시에 비전화계 단말과 반대가 되어 있는 전화기의 전화 번호를 호출하면 공중 전화망으로부터 호출하여 신호가 반송되고, 관리 센터 그 호출신호를 확인하여 호출을 정지하고, 회선이 복구된다. 상기 호출에 의하여 단말 어댑터가 호출되고, 그 호출이 소정의 시간내에 정지한 것으로 단말 어댑터에 의하여, 관리 센터가 호출되고 또한 비전화계 단말이 회선에 접속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제1도에서 참고번호 10은 공중 전화망(이하, 단순히 전화망), 참고번호 20은 가스 관리 센터의 센터 장치, 참고번호 30은 센터측 어댑터 장치이며, 센터장치(20)는 어댑터장치(30)를 통해서 전화망(10)에 접속되어 있다. 참고번호 40은 단말측 어댑터장치, 참고번호 50은 미터, 센터류등이 접속된 비전화계 단말, 예를들면 검침 단말(이하, 단순히 단말), 참고번호 60은 전화기로서 단말(50) 및 전화기(60)는 어댑터장치(40)를 통해서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다.
제2도는 센터측 어댑터장치(30)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어댑터장치(3 0)는 센터장치(20)와의 인터페이스인 센터측 인터페이스회로(31)와, 센터장치(20)와 단말(50)과의 발수신의 제어를 하는 제어회로(32)와, 단말전화번호에 상당하는 다이얼 신호를 제어회로(32)로 출력하는 신호송출회로(33)와, 발신용 국선 인터페이스회로(34)와, 수신용 국선 인터페이스회로(35)와, 각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36), 예를들면 상용 AC 100V 전원으로서 구성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센터측의 동작을 설명하면, 센터장치(20)로부터의 단말(5 0)에 대한 발신요구는 인터페이스회로(31)를 통해서 제어회로(32)에 입력된다. 제어회로(32)는 해당 단말 전화번호에 상당하는 다이얼신호를 신호송출회로(33)로부터 독출하고, 국선 인터페이스회로(34)를 통해서 발신 즉 호출을 한다. 여기에서, 호출한 상대 전화기가 통화중이며, 제어회로(32)가 통화중임을 식별하면, 호출처리를 일시 정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재차 호출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단말축 어댑터장치(40)와의 접속이 완료하면, 어댑터장치(30)는 센터 식별번호 CS를 단말측 어댑터장치(40)에 송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계속해서 센터장치(20)와 단말(50)로 데이터 송수가 이루어진다.
제3도는 단말측 어댑터장치(40)의 구서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어댑터장치( 40)는 정전시등에 전화망(10)과 전화기(60)를 직결하도록 절환을 행하는 절환스위치 (41)와, 착신검출을 행하는 국선 인터페이스회로(42)와, 단말(50) 및 전화기(60)와 전화망(10)과의 접속절환, 발착신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43)와, 전화기(60)와 제어회로(43), 즉 전화망(10)과의 인터페이스이며, 발신검출, 전화기(60)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화기 이터페이스회로(44)와, 단말(50)과, 제어회로(43, 즉 전화망(10)과의 인터페이스이며, 단말(50)의 발신검출, 순서제어, 단말에 대한 전력공급을 하는 단말 인터페이스회로(45)와, 센터 전화번호의 다이얼 신호를 제어회로(43)에 출력하는 신호송출회로(46)와, 타이머(47)와 각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전원(48), 즉 상용 AC 100V 전원등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어댑터장치(40)의 제어회로(43)에 있어서, 착호를 전화기(60)에 접속할 것인가, 단말(50)에 접속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기준은 시각에 따른다. 즉, 미리 설정한 시간대, 예를들면 오전 3시∼오전 4시의 시간대를 밀 설정하여 두고, 이 시간대내에 받은착호(시간은 타이머(47)로 확인)은 약 1초 호출하고 음을 받은후 오프훅크(off hook)상태로 하며, 어댑터장치(30)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송출되어 오는 센터식별신호 CS를 확인하고, 이 센터식별신호 CS에 응답하기 위한 단말 식별신호 TS를 어댑터장치(30)로 송출한 후, 단말(50)과 전화망(10)과의 접속을 행한다. 한편, 상기 시간대 오전 3∼오전 4시) 이외에 받은 착호에 대해서는 오프훅크 상태로 하지 않고, 그대로 전화기(6 0)와 전화망(10)과의 접속을 행한다. 또, 설정된 시간대내에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착호가 있으면, 오프훅크상태로 하여 소정 시간내에 센터식별신호 CS가 송출되어 오지 않음을 확인하고 전화기(60)의 벨을 올린 다음, 다시 발호자측에도 호출음을 송출하여, 수화기가 오프훅크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여, 흡출음 송출을 종료한다. 또한 시간대의 설정은 센터장치(20)와 단말축 어댑터장치(40) 사이에서 통신을 하고 있을 때에, 센터장치(20)로부터 시간대치의 갱신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시각수정도 할 수 있다. 시간대치의 갱신이 행해지지 않으면,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가 그대로 매일의 유효시간대로 된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단말측의 동작을 제4도 및 제5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단말측 발신에 대하여 제4도에 의해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전화기(60)를 사용하여 발호를 행할 경우 수화기가 오프훅크 상태로 되면(S1), 전화기 인터페이스회로(44)는 이 오프훅크 상태를 검출하여(S2), 통화중인 것을 제어회로(43)에 통지한다(S3), 여기서 제어회로(43)는 전화기(60)의 전화망(10)에의 접속절환을 하여(S4), 오프훅크 상태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국선 인터페이스회로(42), 절환스위치(41)를 통하여 전화망(10)으로 송출하고(S5), 그 후는 통상의 전화발신, 통화가 행해진다(S6), 한편, 단말(50)로부터 센터장치(20)로의 송신요구는 단말 인터페이스회로(45)를 통하여 제어회로(43)에 입력된다(S7). 제어회로(43)는 전화기가 오프훅크 상태인가 아닌가의 판별을 하여(S8), 오프훅크 상태가 아니면 오프훅크 상태인 뜻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화망에 송출하여, 해당 센터 전화번호의 다이얼 신호를 신호송출회로(46)로부터 읽어내어(S9), 그 전화번호를 국선 인터페이스회로( 42), 절환스위치(41)를 통하여 전화망(10)에 송출하고(S10), 그 후는 센터장치(20)와 단말(50)과의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S11).
다음에, 센터측 발신에 대하여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센터장치(20)로부터의 발신은 센터측 어댑터장치(30), 전화망(10)을 통하여, 단말측 어댑터장치(40)에 있어서 호출음으로서 수신된다(ST1). 이 호출음은 절환스위치(41), 국선 인터페이스회로(42)를 통하여 제어회로(43)에 입력되어, 제어회로(43)는 입력이 호출음인 것을 인식한다(ST2). 제어회로(43)는 호출음을 인식하면, 타이머(47)에 의해 시각을 읽어내어(ST3), 미리 설정된 시간대내에 호출음의 수신이 행해졌는가 아닌가의 판별을 하여(ST4), 설정시간대내에 수신되었다고 판별했다면, 소정 시간, 예를들면 1초 호출음을 받은 후 오프훅크 상태로 하고(ST5), 어댑터장치(30)로부터의 센터식별신호 CS를 확인하여(ST6), 확인되었다면, 어댑터장치(30)에의 응답을 위해 단말 식별신호 TS를 전화망(10)을 통하여 반송한다(ST7). 이 반송이 완료되었다면, 전화망(10)과 단말(50)과의 접속을 행한다(ST8). 한편, 스텝 ST4에 있어서, 설정시간대내의 수신이 아니라고 판별되었다면, 다른 전화기로부터의 발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전화기(60)와 전화망(10)의 접속을 행한다(ST9). 또한 스텝 ST6에 있어서, 센터식별신호 CS의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전화기(60)와 전화망을 접속한다.
또한, 센터장치(20)의 어떠한 고정에 의하여, 설정시간대외에 어댑터장치(30)가 발신해 버려 이것을 어댑터장치(40)에서 수신한 경우에는, 어댑터장치(30)는 약 1초간의 호출을 해해도 단말측은 오프훅크 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무저건 호출을 중지한다. 또한 약 1초이내에 단말측에서 사람에 의해 오프훅크 상태로 된 때에는 센터식별신호 CS를 송출해도 단말식별신호 TS에 의한 응답이 없기 때문에, 어댑터장치(30)는 동일하게 호출을 중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장치(20)로부터의 착호를 접수하는 시간대를 미리 설정해 놓고, 이 시간대 이외의 착호에 대해서는 전화기(60)에 접속하여, 더구나, 일반 전화기로부터의 발호가 상기 설정 시간대내에 있으면, 전화기(60)에 전화망(10)을 접속하므로 고가의 정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싼 값에 또한 기능이 뛰어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장치로부터의 발호의 접수시간을 오전 3시부터 오전 4시로 한 것은 가스검침등의 목적을 위한 센터장치로부터 단말에 발호가 행해지는 것은 주거등에서의 전화기의 사용률이 낮은 심야 시간대이기 때문에 선택한 것으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설정시간대는 오전 3시 30분부터 오전 4시, 오전 4시 30분부터 오전 5시와 같이 복수의 시간대로 나누어 설정해도 좋다. 또한, 센터측 및 단말측 어댑터장치의 전원으로서는 상용 AC 100V 전원을 사용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지 혹은 옥외 설치의 경우에는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설명상 단말측 어댑터장치와 비전화계 단말을 다른 장치로 했으나, 이들은 동일 장치에 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센터와 비전화계 단말을 공중 전화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착호에 따라 공중 전화망과 전화기 및 비전화계 단말의 접속절환을 하는 자동절환 씽방향 통신방식에 있어서, 관리 센터로부터의 착호 접수시간대를 미리 설정해 놓고, 상기 시간대내에 센터로부터의 착호가 있으면 공중 전화망과 비전화계 단말을 접속하고, 상기 시간대외의 착호 및 센터로부터의 착호가 아니면, 전화기와 공중 전화망을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관리 센터로부터의 접속요구인지, 인지를 착신시각으로 식별할 수 있어, 타이머등 값싼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더구나 노링잉 통신 서어비스를 받지 않고도 좋으므로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 증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화이용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 뛰어난 시스템을 실현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며은 각종 자동검침, 홈안전시스템(home security system) 센터와 단말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퍼스널컴퓨터에 의한 통신 혹은 팩시밀리 통신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응용분야도 넓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1)은 제7도와 같은 공중 전화망이며, 이하 동일하게 (2)는 전화기, (3)은 비전화계 단말로서의 LP 가스의 검침 단말이다. (11)은 검침 단말(3)을 호출하고, 이어서 비전화계 단말로부터의 발신을 기다려 교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호출시에는 후술한 바와 같이 호출한 후, 그 호출 신호를 확인하여 호출을 정지하고, 회선을 복구한다. (12)는 단말 어댑터이고, 국선 인터페이스(13), 제어 회로(14), 선택 신호 송출 회로(15), 전화기 인터페이스회로(16), 비전화계 단말 인터페이스회로(17)등으로 구성된다. 국선 인터페이스회로(13)는 이 전화기(2)와 검침 단말(3)에 대한 공통의 회선(국선)(18)에 접속되어 그 회선의 감시나 착신의 검출 등을 행한다. 제어 회로(14)는 발/착신의 제어, 충돌의 감시, 회선의 절환 등을 행하는 것이며, 회선의 절환시에는 당해 회선(18)에 의한 호출히 있으면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기동하고, 소정의 시간내에 호출이 정지하였을 때는 관리 센터(11)를 호출하고, 그호출에 대하여 반응이 있으므로 회선(18)을 검침 단말(3)에 접속하고, 또는 당해 회선에 의한 호출이 계속되었을 때는 전화기(2)에 접속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의 호출에서 그 정지까지의 시간을 감시하는 제1타임을 설정하고 있다. 선택 신호 송출기 인터페이스회로(16)는 제어 회로(14)에서의 회선(18)의 선택 신호를 감시하여 회선(18)을 전화기(2)에계 단말 인터페이스회로 (17)는 제어회로(14)에서의 회선(18)의 선택신호를 감시하여 회선(18)을 검침 단말(3)에 접속하고, 또는 검침 단말(3)에 의한 발신을 감시하여, 제어 회로(14)를 통하여 회선(18)과 접속한다. 그리고 또, 검침 단말(3)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순서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제6도의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동작을 설명한다. 제9도는 제6도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제9도의 순서도는 관리 센터( 11) 또는 외부로부터 발신하였을 때의 단말 어댑터(12)의 동작을 나타내고, 관리 센터 (11)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중에 ( )로 표시하고 있다.
먼저 관리 센터(11)에서, 전화기(2)의 전화 번호로 호출하면, 제어 회로(14)는 그 호출음을 받아(스텝 S1)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기동한다(S2). 관리 센터(11)는 그 호출 중에 공중 전화망(시내 교환기)(1)으로부터 송출되는 호출 신호를 감시하고, 그 호출 신호가 확인되면 곧 호출을 정지하여 회선(18)을 복구한다. 제어 회로(14)는 상기 타이머가 제1타이머가 오우버 되기 전에 그 호출음을 확인하면(S3,S4), 검침단말 (3)의 호출로 간주하여 관리 센터(11)의 전화 번호에 의한 호출을 행한다(S5). 그 호출에 대하여 관리센터(11)가 응답하면(S6), 타이머를 리세트하여(S7) 회선(18)을 검침 단말(3)에 접속한다(S8). 그리고 관리 센터(11)와 검침 단말(3)과의 사이에서 설정된 순서를 따라 정보의 전달이 행해진다. 상기의 검출 단말(3)에서의 호출은 이것에 앞서 관리 센터(11)에서의 호출에 대하여 응답하는 일 없이 행해지므로, 관리 센터(11)에 의한 호출에 대해서는 요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텝 S6에 있어서 응답이 없이 제2타임 오우버가 되었을 때(S9)는 타이머를 리세트하여(S10) 새로운 호출음을 기다린다(S1).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호출음이 정지하지 않고 제1타임 오우버가 되었을 때는 (S4), 제어 회로(14)는 외부로부터의 전화 호출이라고 간주하여 타이머를 리세트하고 (S11), 회선(18)을 전화기(2)에 접속한다(S12).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전화계 단말로서 검침 단말(3)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비전화계 단말은 홈 세큐러티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 또는 팩시밀리, 퍼스컴 등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 센터로부터 비전화계 단말을 호출할 경우는 한번 호출하자 곧 정지하고, 착신측의 단말 어댑터가 이 호출과 정지를 확인한 것으로서 비전화계 단말에 접속하도록 하였으므로, 공중 전화망(시내 교환기)의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기능을 첨가하는 일 없이 관리 센터와 비전화계 단말이 접속되어 상호의 교신이 가능해지고, 그리고 그 접속제어는 시간을 감시하여 절환을 행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따라서 센터 발신 방식을 토대로 한 통신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관리 센터와 단말 어댑터를 공중 전화망을 통하여 접속하고, 당해 단말 어댑터가 착호에 따라 공중 전화망과 전화기 및 비전화계 단말의 접속 절환을 하는 자동 절체 쌍방향 통신 방식에 있어서, 관리 센터로부터의 착호 접수 시간대를 미리 설정해 놓고, 상기 시간대 내에 센터로부터의 착호가 있으면 공중 전화망과 비전화계 단말을 접속하고, 상기 시간대 외의 착호 및 센터로부터의 착호가 아니면, 전화기와 공중 전화망을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2. 관리 센터와 단말 어댑터를 공중 전화망을 통하여 접속하고, 당해 단말 어댑터가 착호에 따라 공중 전화망과 전화기 및 비전화계 단말의 접속절환을 하는 자동 절체 쌍방향 통신 방식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센터는 상기 전화기의 전화번호로 호출하고 그 호출에 대한 호출신호를 확인한 것으로 그 호출을 정지하여 회선을 복구하고, 상기 단말 어댑터는 상기 호출이 소정의 시간간내 정지한 것으로 상기 관리 센터로의 호출을 행함과 동시에 상기 비전화계 단말을 회선에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KR1019890006666A 1989-05-16 1989-05-16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KR950008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666A KR950008114B1 (ko) 1989-05-16 1989-05-16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666A KR950008114B1 (ko) 1989-05-16 1989-05-16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446A KR900019446A (ko) 1990-12-24
KR950008114B1 true KR950008114B1 (ko) 1995-07-25

Family

ID=1928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666A KR950008114B1 (ko) 1989-05-16 1989-05-16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1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446A (ko) 199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3598C (en) Telemetry access arrangement
US5204896A (en) Outbound telemetry device
JP2981075B2 (ja) 通信方法および交換機
US4995109A (en) Communication with a non-telephone terminal via a telephone switching network using two consecutive calls
KR950008114B1 (ko)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JPS6256710B2 (ko)
JPH01130658A (ja) 自動切替双方向通信方式
KR0133069B1 (ko)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JPH0466143B2 (ko)
JPH0513417B2 (ko)
JPH021417B2 (ko)
JPH0420318B2 (ko)
JP3760522B2 (ja) 回線端末装置
JP2838321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S6256711B2 (ko)
KR950004415B1 (ko) 주택내 정보통신 장치
JPH048989B2 (ko)
JP3160687B2 (ja) 電話回線の構内オフライン化用カード課金電話アダプター
JPH0821991B2 (ja) 公衆電話網による非電話系端末の通信方法
JP2001136297A (ja) 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端末網制御装置及びセンタ制御装置
JP3553626B2 (ja) 宅内用カード課金アダプター
JP2877922B2 (ja) リモートメインテナンスのプロテクション方式
JP3098355B2 (ja) 集合住宅用ノーリンギング通信システム
JP2680100B2 (ja) 画像信号中継装置
JP3564017B2 (ja) データ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