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069B1 -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069B1
KR0133069B1 KR1019890007470A KR890007470A KR0133069B1 KR 0133069 B1 KR0133069 B1 KR 0133069B1 KR 1019890007470 A KR1019890007470 A KR 1019890007470A KR 890007470 A KR890007470 A KR 890007470A KR 0133069 B1 KR0133069 B1 KR 013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terminal
network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445A (ko
Inventor
마사또 아리주미
노리오 오자와
야스로 후까와
Original Assignee
고스기노부미쓰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기노부미쓰, 오끼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스기노부미쓰
Priority to KR101989000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069B1/ko
Publication of KR90001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전기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선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스템내에 포함된 단말 어댑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한 신호 파형도.
제4도는 실시예의 비전화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한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와 유사한 블록선도.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에 포함된 중앙 어댑터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블록선도.
제7도는 제5도의 실시예에 또한 포함된 단말 어댑터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선도.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파형도.
제9도는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비전화 단말이 호출을 발신하는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제10a 및 제10b도는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감시중앙부가 비전화 단말을 호출하는 상세한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부(center) 12 : 전화교환망(telephone switch network)
14,30 : 중앙어댑터(center adapter)18 : 판독 단말(reading adapter)
20 : 전화(telephone) 22,34 : 단말 어댑터(terminal adapter)
32a,32b,24,16 : 선(line)
본 발명은 전화 이외의 다른 단말, 즉 교환되는 전화 통신망 혹은 그와 유사한 전화교환망에서 사용하는 비전화 단말과, 복수의 비전화 단말들을 제어하면서 역시 전화 통신망도 조절하고 있는 중앙부 사이에 전기 통신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PG(액화 석유 가스) 계량기의 조사는, 예를들면 전화와 같은 선에 연결된 판독 단말을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그리고 전기 통신 기술에서 이미 제시된 바와같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단말로 경종 정보를 보내거나 또는 요구된 것으로서의 다양한 또다른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판독 단말을 제어하는 감시 중앙부에서 전화 교환망을 통하여 단말과 통신하도록 조절함에 의하여 자동계측시킬 수 있었다.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그와 같은 전기통신을 실행시키기 위한 주요방식으로 단말 발진 시스템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단말 호출 발진형 시스템은, 즉 단말어댑터는, 교환되는 전화 회로망을 조절한 전화선 또는 국선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판독 단말 및 가입자 전화기는 단말 접속기에 접속되어 있다. 판독 단말은 단말 어댑터를 통해 전화 통신망을 호출시키므로 전화 교환망을 통해 감시 중앙부에 접근할 수 있다. 단말 어댑터는 전화와 판독 단말을 선택적으로 전화 교환망에 접속시키는 통신망 제어 유니트 역할을 한다.
자동 LPG 공급 시설에 따르는 선행조건은, 판독 단말이 판독 내용 및 유사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중앙부로 전송하는 한편, 중앙부는 데이터를 판독 단말로 전송한다는 것이다. 데이터를 판독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중앙부는, 수집된 데이터가 특별할 때 단말을 점검한다거나, 가입자의 장기 부재시에 가스 밸브를 온 - 오프 제어한다거나, 필요되어지는 때에 LPG의 사용 상태들을 검사한다거나, 단말에 장착된 카운터를 영으로 리세트시킨다거나 단말에 중앙부 자체의 전화번호의 변화를 알린다거나, 및 단말 어댑터 내에 설치된 시계를 교정하는 것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을 위하여 판독 단말을 통제하게 된다. 이 제어항목들 중 어떤 것들은, 데이터 형태의 한 지령이 단말로부터 감시 중앙부로 전송하기 위해 설정한 통신선로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있는 중이라 할지라도 충분히 전송시킬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항목들은, 만약 중앙부에서 별도의 호출을 할 때마다 지령을 내리지 않는다면 실행시킬 수가 없다. 그러나, 단말 호출 발신형 시스템은, 감시 중앙부가 단말로 호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된 바와 같이 지령의 특별한 전달을 다양하게 필요로 하는 제어항목들은, 전화상으로의 대화 또는 단말에의 담당자의 급송과 같은 어떤 선택된 수단에 의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에 비추어,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 Ltd. 는 중앙부가 임의의 시간에 단말을 호출하는 것을 실행시킬 수 있는 Interface for No-Ringing Communtion Service 즉 중앙호출 발신형 시스템을 제안했다. 제안된 중앙 호출발신형 시스템에서, 비링잉 트렁크에는 단말기 어댑터를 통하여 판독 단말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국부 스위치, 즉 수신 국부 스위치가 제공한다. 판독 단말 호출용 국부 스위치 내에 설치된 비링잉 트렁크는 국부 스위치의 도입 및 유출 단부내에서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상황을 가진다. 중앙부가 판독 단말로 의도된 호출을 발신할 때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링잉은 트렁크로부터 단말 어댑터로 전송된다. 링잉 수신시, 단말 어댑터는 호출이 관련된 판독 단말로 전송되었음을 인식하게 되고 그 즉시 전화선을 단말에 접속시킨다.
중앙 호출 발신형 시스템이 가지는 결점은 수신 국부 스위치내에 설치된 특별한 비링잉 트렁크가 전체 스위치의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특히, 국부 스위치로 조절되는 비전화 단말들의 수는 비교적 작기 때문에 비용 효율성은 국부 스위치내에 비링잉 트렁크물 설치시킴으로써 대폭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것은 감시 중앙부에 의한 비전화 단말들의 제어어작용의 확장된 적용을 방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은 목적은, 감시 중앙부와 비전화 단말이 현존하는 교환시스템을 수정하지 않고서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중앙부는 가입자 장비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미리 재배치한 시스템을 근거로 가입자 장비를 호출하게 된다. 그러면 호출을 인식한 가입자 장비는 가입자 장비와 관련된 비전화 단말로 전화선을 접속시킨다.
본 발명의 전기 통신시스템은, 복수의 전화선을 교환시키기 위한 전화교환망, 전화교환망에 접근가능한 전화, 전화교환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시키기 위한 비전화 단말, 전화 및 비전화 단말 및 전화 교환망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전화선들 중 제1전화선에 접속되어 있는 제1회로망 제어 유니트, 비전화 단말로의 데이터 통신을 감시하기 위한 중앙장비, 그리고 중앙장비 및 전화교환망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전화선들 중 제2전화선에 접속된 제2회로망 제어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2회로망 제어 유니트는 전화에 부여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중앙장비에 응하여 전화 교환망으로 호출을 발신할 수 있다. 전화 교환망은 가입자번호에 응답하여 제1전화선에서 호출을 종료시키고, 제2전화선을 거쳐 제1전화선에서의 종료를 제2회로망 제어 유니트에 알린다. 제2회로망 제어 유니트는 제1전화선에서 종료를 검출했을 때 호출을 해제하고, 그후에 국번을 사용함으로써 다시 전화 교환망으로 호출을 발신한다. 전화 교환망은 국번에 응답하여 호출을 종료시킨다. 제1회로망 제어 유니트는 제1전화선을 통한 종료를 검출했을 경우 그 즉시 호출을 해제하고, 그 다음에 다시 종료를 검출했을 경우, 제1회로망 제어 유니트는 후자의 종료에 응답하여 비전화 단말을 제1전화선에 접속시킨다. 전화 교환망은 제1회로망 유니트로부터의 회답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전화선들 사이에 접속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전화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비전화 단말과 쌍을 이루는 전화기의 가입자 번호 또는 전화번호를 사용함에 의하여 전화교환망으로 제1호출을 발신한다. 응답으로, 전화교환망은 중앙부로 링잉톤을 회귀시킨다. 링잉톤을 확인한 즉시, 중앙부는 제1호출을 종료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하여 제2호출을 발신한다.
한번 호출된 단말 어댑터는, 제1호출의 해제후 소정의 시간 구간내에 제2호출을 검출한 즉시, 비전화 단말을 전화선으로 접속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전기 통신 제어 시스템은 전화 교환망내에 조절되는 제1 및 제2전화선을 접속시키는 선 종료용 유니트, 전화 교환망을 거쳐 중앙장비에 접속된 비전화단말기로의 데이터 통신을 감시하는 중앙장비를 연결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그리고 중앙장비에 응하여 선 종료용 유니트 및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는 중앙장비에 응답하여, 비전화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하여 실제로 같은 시간에 제1 및 제2전화선을 통하여 전화 교환망으로 호출들을 시작한다. 제어기는 제1 및 제2전화선 중의 어느 하나에서 통화음을 검출한 즉시, 제1및 제2전화선상에서 호출을 해제하고, 그 다음에 가입자 번호 사용하여 전화 교환망을 재호출한다. 비전화 단말과 중앙장비는 그때 서로와 데이터 통신하도록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중앙부와 전화교환망은, 중앙부가 동일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함으로서 동시에 두선을 통하여 제1호출을 실행할 수 있도록, 두 전화선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만약 호출된 단말이 통화중이 아니라면, 통화중 톤은 두 선중 한선을 통하여 중앙부로 회귀되고 링잉톤도 다른 한선을 통하여 회귀되어진다. 통화중임을 확인한 즉시, 중앙부는 소정의 시간 주기가 만기될 때 제1호출을 종료하고, 그 다음에 동일 가입자 번호를 사용함에 의하여 제2호출을 실행한다. 단말 어댑터는 중앙부로부터 연속적인 제1 및 제2호출을 확인할 때에, 전화 교환망과 비전화 단말기를 접속시켜서 중앙부와 단말이 데이터를 서로 상호 교환하는 것을 실행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제1도를 참조하며,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전기통신 시스템에서는 감시 중앙부에 의해 관리되도록된 중앙장비와 단말들이 통상적으로 교환되는 전화통신망을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중앙장비 또는 감시 중앙부(10)은 중앙 어댑터(14) 및 전화선(16)을 통해 전화 교환망(12)에 접속되어 있다. 비전화 단말(18)과 그들과 관련된 전화 또는 가입자 전화기(20)는 전화선 또는 전화가입자선(24)에 순차적으로 접속된 단말어댑터(22)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중앙부(10)는 비전화 단말 또는 판독 단말기(18)와 통신하게 된다. 판독 단말(18)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10)가 제1호출을 바처럼 유효한 링잉톤 또는 청취 가능한 링잉 신호의 확인, 그리고 링잉의 확인을 계속하는 제2호출 발신을 실행한다.
제2도는 단말 어댑터(22)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처럼, 단말어댑터(22)는 전화 단말(20) 또는 판독 단말(18)에 의해 나누어진 전화선 또는 가입자선(24)에 접속된 내선 또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220)을 가진다. 가입자선 인터페이스(220)은 가입자선(24)의 상태를 감시하고, 호출의 종료를 검출하고, 또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제어기(222)는 호출발신과 호출 종료를 제어하고, 호출들의 불일치를 검출하며, 그런 선의 접속 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킨다. 접속 제어와 관련하여, 제1호출에 응답하는 제어기(222)는 그 호출의 종료와 제2호출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하여 거기에 접속된 타이머(224)를 개시시킨다. 감시 중앙부(10)으로부터 제2호출이, 타이머(224)에 의해 카운트 되어짐으로써 주어지는 소정의 시간주기내에 전화가입자선(24)를 통하여 수신될 때, 제어기(222)는 전화선(24)를 단말기(18)에 접속시킨다. 다른 한편, 중앙부(10)로부터의 제1호출이 계속될 때, 제어기(222)는 전화선(24)를 전화(20)에 접속시킨다. 특히, 타이머(224)는 제1호출 및 제2호출의 발생 사이의 그 구간을 감시하기 위한 한 판독 시간으로 설정되어 진다.
선택 신호 출력회로(226)는 감시중앙부(10)에 접극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소망의 목적지 선택신호들로 설정되어 있다. 제어기(222)로부터의 선 스위치 전화 지령에 응답하여, 선택신호 출력회로(226)는 지령과 관련된 선택신호들중 어떤 것이라도 제어기(222)에 공급한다. 전화 인터페이스(228)은 제어기(222)로부터 선(24)으로 공급된 선택신호를 검출함에 의하여 전화가입자선(24)를 전화(20)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전화(20)을 제어기(222)를 거쳐 선(24)을 판독 단말(18)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단말(18)에 의한 호출 시작을 감시함에 의하여 단말(18)을 제어기(222)를 걸쳐 선(240)에 접속시킨다. 비전화 단말 인터페이스(230)은, 제어기(222)로부터 선(23)을 통해 전송된 선택신호를 검출함에 의하여 가입자선(24)을 판독 단말(18)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단말(18)에 의한 호출 시작을 감시함에 의하여 단말(18)을 제어기(222)를 걸쳐 선(240)에 접속시킨다. 비전화 단말 인터페이스(23)에 부여된 또 다른 기능은 판독 단말기(18)로부터 데이터 전송의 과정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전기 통신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화 교환망(12)는, 총 3초의 주기, 즉 투입 1.0초 및 차단 2.0초의 주기에서 선(16) 및 (24)의 각각으로 링잉과 링잉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말 어댑터(22)의 가입선 인터페이스(22)와 관련하여 가입자선(240)를 통하여 입력되는 링잉을 검출하고, 그것에 의하여 단지 0.3초동안 링잉을 수신한 즉시 호출의 종료를 인식하도록 배열이 이루어진다.
감시 중앙부(10)가 판독 단말(18)을 호출하려고 할 때, 중앙 어댑터(14)는 단말(18)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자동적으로 다이얼함에 의하여 호출을 발신하게 된다. 링잉톤이 호출을 발신한 후 중앙 어댑터(14)에 도달하기 시작했을 경우, 어댑터(14)는 판독 단말(18)로 호출하는 것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약 2.5초 경과한 즉시 호출을 해제한다. 이 호출은 이하에서는 편의상 오호출로서 언급될 것이다. 오호출로 인하여 링잉을 수신하는 단말 어댑터(22)는 약 5초 동안 단순히 무시함에 의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링잉이 5초 이상동안 계속될 때, 단말 어댑터(22)는 전화(20)의 벨이 울리도록 전화(20)로 링잉을 발송한다. 만약 링잉이 5초가 경과하기 전에 종료한다면, 전화(20)는 전혀 소리를 내지 않게 된다. 단말 어댑터(22)가 오호출의 검출후 또다른 링잉을 수신할 때, 그것은 후속의 호출이 감시 중앙부시간으로의 호출이라고 결정짓고, 판독 단말(18)를 전화 통신망(12)에 접속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 판독 단말이 감시 중앙부(10)와 데이터를 상호교환하기 위하여 감시 중앙부(10)을 호출하려고 할 때, 단말 어댑터(22)는 통상 데이터 통신과정에서처럼 중앙부(10)의 전화번호 또는 가입자 번호의 다이얼을 돌린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1 및 2도에 도시된 전기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설명하고 있다. 상기 순서도는 감시중앙부(10) 혹은 또다른 외부설비에 의하여 발신된 호출에 응답하여 단말어댑터(22)를 동작시키는 방식이 설명되어 있고, 중앙부(10)의 동작은 괄호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시된 것처럼, 감시 중앙부(10)가 처음에, 관련된 전화(20)에 부여된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함에 의하여 판독 단말(18)을 호출할 경우, 단말 어댑터(22)의 제어기(222)는 유효한 링잉(스텝 S1)을 수신하고, 그리고 그때에 타이머(224)(S2)를 개시시킨다. 제1호출 또는 오호출동안, 중앙부(10)는 전화 교환망(국부 스위치)(12)으로부터 회귀되도록 되어 있는 링잉톤을 감시한다. 링잉톤을 확인한 즉시, 중앙부(10)은 선(16)을 해제시키고, 그 다음에 동일목적지 번호를 사용함에 의하여 제2호출을 발신한다. 제어기(222)는 오호출로 인한 링잉이 종료했고(S3) 그 다음에 제2호출로 인한 링잉의 도달을 대기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제어기(222)가 타이머(224)의 시간이 만료되기전(S4 및 S5)에 제 2 호출과 관련된 링잉을 확인할 경우, 제2호출이 판독 단말(18)로 가는 것임을 결정하고, 호출에 응답한다(S6). 동시에 제어기(222)는 타이머(224)를 리세트하고(S7) 가입자선(24)를 판독 단말기(18)에 접속시킨다(S8). 다음에 중앙부(10) 및 판독 단말(18)가 데이터를 상호 교환시키기 위한 소정의 과정이 계속된다. 전화 교환망(12)는, 호출이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해제되기 때문에, 중앙장비(10)가 제1호출 또는 오호출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은 고려해야만 한다.
타이머(224)의 시간이 스텝 S5에 결정된 대로 만료되었을 때, 제어기(222)는 타이머(224)를 리세트시키고(S9), 또 다른 제1호출과 관련된 링잉의 도달(S1)을 다시 기다린다. 더욱이, 제1호출로 인한 링잉이 스텝 S3에 의해 결정된 대로 소정의 기간 만기후에도 계속될 때, 제어기(222)는 종료된 호출이 감시 중앙부(10) 이외의 설비물로부터 나왔다고 간주하고, 그래서 타이머를 리세트하며(S11) 전화(6)을 가입자선 24에 접속시킨다(S12).
중앙 어댑터(14)가 링잉톤을 확인한 후 2.5초 경과했을 때 오호출을 해제한 이유 및 단말 어댑터(22)가 5초 동안 링잉을 무시한 이유가 제3도에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제3도에서 호출부로 회귀된 링잉톤과 호출부로 발신된 링잉은 항상 확실히 서로 동기되지는 않는다. 제3도에 나타난 것처럼, 최대 2.6초의 시간 주기는 단말 어댑터(22)가 링잉이 수신되어졌다는 것을 인식하기에 충분하다(도면에서 (2) 및 (3) 사이의 구간). 비록 중앙 어댑터(10)가 호출을 인식한 후 2.3초 경과했을 때 호출을 해제한다 할지라도, 단말 어댑터(22)는 호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비록 중앙어댑터(10)가 0.3초 경과했을 때 호출을 해제한다 할지라고, 링잉톤 및 링잉신호가 서로 늘 동기되지는 않기 때문에 중앙 어댑터(14)가 링잉톤을 확인하기 전에 링잉이 호출된 부서에 도달할 우려가 있다. 그때, 링잉은 호출된 부서에 의해 최대 4.9초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어진다(도면에서 (1) 및 (3) 사이의 구간). 이런 점에 비추어, 단말 어댑터(22)는 전화(20)가 감시 중앙부(10)으로부터의 오호출에 응답하여 울리는 것으로부터 억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약 5초동안 링잉을 무시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그것은 단말 어댑터가 5초 미만의 링잉을 무시하는 동안 그 시간 주기를 감소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또 다른 전화상에서 전화(20)로 향한 호출을 발신하는 가입자를 오랜 대기 시간에서 해제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성분들 또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표시하고, 중복된 기술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될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전기 통신시스템은 쌍을 이루는 전화선(32a)과 (32b)에 의해 전화 교환망(12)에 접속된다.
제6도는 감시 중앙부(10) 및 전화 교환망(12)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망 제어 유니트인 중앙 어댑터(30)의 상세한 구조를 제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중앙 어댑터(30)은, 중앙 어댑터(30)를 감시 중앙부(10)로 인터페이스 접속하는 중앙 인터페이스(302)를 가진다. 제어기(304)는 감시 중앙부(10)와 판독 단말(18) 사이에서 호출의 발신과 종료를 제어한다. 신호 출력회로(306)은 제어기(304)로 가입자 전화번호 또는 목적지를 나타내는 다이얼 신호를 전달한다. 호출하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308)와 호출된 가입자선 인터페이스(310)는 또한 중앙어댑터(30) 내에 설치되고 설명된 바와같이 접속된다. 전원(312)은 상용 전원 AC 100볼트 전원에 의해 수행되고 중앙 어댑터(30)의 각각의 블록들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중앙 어댑터(3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감시 중앙부(10)로부터 요구된 호출 발신은 중앙 인터페이스(302)을 거쳐 중앙 어댑터(30)의 제어기(304)에 공급된다. 응답으로 제어기(304)는 신호출력 회로(306)로부터 목적지(18)로 부여된 가입자 전화번호를 판독한다. 목적지(18)의 전화번호에 자동으로 다이얼을 돌림에 의하여, 제어기(304)는 두 전화선(32a) 및 (31b)를 통하여 발신된 호출들중 어느 하나는 단말 어댑터(34)의 선(24)에서 종료되어질 것이다. 이 조건에서, 통화중 톤은 전화 교환망(12)로부터 선(32a) 및 선(32b) 중 하나를 통하여 중앙 어댑터(30)로 회귀되어지고, 그와 동시에 링잉톤도 다른 선을 통하여 회귀된다. 이 상세한 실시예에서, 전화 교환망(12)으로부터 회귀된 통화중 톤은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며 주기 1초, 즉, 투입시간 및 차단 시간이 각 0.5초인 주기에서 발생하는 톤으로서 수행된다. 통화중 톤 및 링잉톤이 가입자선 인터페이스(308)을 호출함에 의하여 검출되는 한편, 그들은 인식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의 주기는 본 실시예에서 최대로 0.3초보다 길지 않다.
통화중 톤을 인식한 즉시, 제어기(304)는 통화중 톤이 회귀되어지는 선(32a) 및 선(32b) 중의 어느 하나, 예를들면 선(32a)상의 호출을 해제시킨다. 소정의 시간주기가 만료된 후, 제어기(304)는 링잉톤이 회귀되는 다른 선(32b)상의 호출을 해제시킨다. 이것은 오호출 과정의 종료이다. 오호출 과정후 소정의 시간주기, 예를들면 40초가 만료되기 전에, 제어기(304)는 동일 가입자 전화 번호의 다이얼링 함에 의해 선(32a) 및 선(32b) 중의 하나를 통하여 동일 단말기(18)에 대해 의도된 호출을 발신하게 된다. 중앙 어댑터(30)이 감시 중앙부(10)을 판독 단말(18)에 접속시키는데에 성공하는 즉시, 중앙부(10)은 이를테면 2초 정도의 소정 시간주기 내에 중앙 식별(ID) 신호 CS를 단말(18)로 전송시킨다.
단말(18)로부터 회답을 수신하는 즉시, 중앙부(10)은 단말기(18)와 데이터를 상호교환하기 위해, 단말(18)과 통신관계에 들어간다. 통화중 톤이 오호출시에 전화 교환망(12)로부터 선(32a) 및 선(32b)의 양쪽을 통하여 회귀될 때, 감시 중앙부(30)의 제어기(304)는 소정의 시간주기 경과시 오호출 과정을 반복시킨다.
판독 단말(18)은 중앙장비(10)로 계획된 호출을 발신할 때, 제어기(304)는 데이터가 감시 중앙부(10)로부터 단말(18)로 전송됨에 따라 호출된 국선 인터페이스(310)을 거쳐 호출의 종료를 통보받는다. 호출하고 호출되는 국선 인터페이스(308) 및 (310)의 각각은 제6도내의 독립된 블록에 도시되는 한편, 그들은 물론 시스템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단일 유니트로서 수행되어진다. 제7도에 의하면, 전화(20)와 판독 단말(18) 및 전화 교환망(12)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망 제어 유니트로서 제공되는 단말 어댑터(34)의 상세한 구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 어댑터(34)는 전력 부족시 동작되는 예를들면, 전화(20)을 전화 교환망(12)에 직접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치(342)을 가진다. 가입자선 인터페이스(344)는 호출의 종료를 검출한다. 제어기(346)은 호출의 발신과 종료뿐만 아니라 판독 단말(18)과 전화(20) 및 전화 교환망(12)의 접속에 대한 스위치 전환을 제어한다. 전화 인터페이스(348)는 호출의 발신을 검출하고 전화(2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화 교환망(20)을 제어기(346)에 연결시켜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전화 교환망(12)에 인터페이스 접속시킨다. 단말 인터페이스(350)는 판독 단말(18)을 제어기(346)에 연결시켜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전화 교환망(12)에 인터페이스 접속시켜서, 단말(18)로부터의 호출을 검출하고, 프로토콜(protocol)을 제어하고, 단말(18)에 전력을 공급한다.
신호 출력 회로(352)는 제어기(246)에 예를 들면, 감시 중앙부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다이얼 신호를 전달한다. 전원(354)은 단말 어댑터(34)의 각각의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전원은 상용전원 AC 200볼트에 의하여 수행되어진다.
제어기(346)이 전화 교환망(12)로부터 전화(20)로 또는 판독 단말(5)로 투입되는 호출을 종료해야하는지 어떤지는 제1호출, 즉 오호출과 관련된 링잉의 지속기간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링잉을 인식하는 즉시 제어기(346)은, 링잉의 수신 순간부터 카운터되어지는 3.4초 동안의 그것은 무시하고, 링잉이 3.4초 동안 계속될때에는 전화(20)을 전화 교환망(12)에 접속시키도록 한다. 링잉이 3.4초내에 사라질 때에, 제어기(346)은 감시 중앙부(10)가 오호출을 발신했다고 결정함에 의해 중앙 호출 대기 모우드를 설정하게 된다. 제어기(346)은 링잉의 소멸후 40초내에 수신된 재 호출을 중앙부(10)로부터의 호출인 것으로 인식한다. 만약 어떤 호출도 40초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어기(346)은 통상적인 모우드를 복원한다. 오호출후 중앙부(10)으로부터 호출이 발생하리라고 예상되지 않는 소정의 시간구간동안에는, 제어기(346)는 중앙부(10)으로부터 제2호출을 기다리는 순서가 중앙부(10)외의 다른 설비물로부터 수신되는 호출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오프후크 상태 또 통화중 상태를 지속 시킨다. 그러한 특별한 시간 주기를 제외하고, 호출이 40초 내에 수신될 때, 제어기(346)은 오프후크 상태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서, 2초 내로 상기 언급한 바 있는 중앙 ID 신호 CS가 수신되는 즉시, 제어기(346)는 판독 단말(18)를 전화 교환망(12)과 접속된다.
제8도는 전에 언급된바 있는 것처럼 중앙 어댑터(30)가 통화중 톤의 확인후 2.3초 경과시 오호출을 해제시킨 이유와 단말 어댑터(34)가 3.4초 동안 링잉을 무시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된다. 도면에서, 중앙 어댑터(30)는 통화중 톤의 확인후 2.3초 경과시 오호출을 해제시킬 때, 단말 어댑터(34)는 2.6초 동안 호출되고, 이 시간주기 동안, 링잉은 하강호출이 수신되어짐을 알기 위하여(도면에서 (2) 및 (3) 사이 구간) 적어도 한 번 정도는 인식되어질 수 있다. 비록, 중앙부로 회귀된 통화중 톤과 단말부로 전송된 링잉이 항상 동일한 위상으로 동기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단말 어댑터(34)는, 만약 호출이 최대 3.4초 (도면에서 (1) 및 (3) 사이구간) 내에 해제된다면 유입되는 호출이 감시 중앙부(10)으로부터의 호출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때, 단말 어댑터(34)는 3.4초 동안 링잉을 무시하고, 만약 링잉이 3.4초 이상 계속된다면, 전화(20)로 링잉을 전송한다. 그 결과, 전화(20)는 사람에게, 들어온 호출이 통산적가입자 전화 상에서 발신되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울린다.
중앙부로 통화중 톤의 전송 및 단말부로 링잉의 전송이 동시에 시작하는 것처럼 도시되고 기술되는 한편, 통화중 통의 전송은, 예를 들면 중앙부 및 단말부사이에 있는 스위치 수에 따라 때때로 지연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통화중 톤의 시작 및 링잉을 수신한 호출의 해제 사이의 구간 2.3초는 지연에 보상하여 감소되어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말 어댑터(34)가 링잉을 무시하는 동안의 시간주기를 변환시킬 필요는 없다.
제9, 10a 및 10b도는 제5도에 도시되는 전기 통신 시스템의 단말부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첫째, 제9도는, 단말 상에서 호출의 발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다. 가입자 전화(20)가, 오프후크 상태로 유지되는 송수화기로 호출을 발신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전화 인터페이스(348)는 오프후크 상태를 감지하여(S22), 제어기(346)에 통화중 지시를 명령한다(S23). 응답하여, 제어기(346)은 전화(20)를 전화 교환망(12)에 접속시키고(S24), 오프후크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가입자 인터페이스(344) 및 스위치(41)을 거쳐 전화 교환망(12)으로 전송한다(S25). 그 다음에, 전화(20)상에서 통상적 통신이 뒤따른다(S26).
판독 단말기(18)로부터 감시 중앙부(10)로의 요구된 호출발신은 비전화 단말 인터페이스(350)을 거쳐 단말 어댑터(34)의 제어기(346)로 전송된다(S27). 응답에 있어서, 제어기(346)는 전화(20)가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S28) 그 다음에 오프후크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화 교환망(12)에 전송한다. 제어기(346)은 감시 중앙부(10)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다이얼 신호를 신호 출력 회로(46)로부터 판독한다(S29).
이 다이얼 신호는 가입자선 인터페이스(344) 및 스위치(342)를 거쳐 가입자선(24)으로 제공되고, 그후 데이터 통신이 감시 중앙부(10) 및 판독 단말(18) 사이에 유지된다.
감시 중앙부(10)에서 호출의 발신은 제10a 및 10b도에 참조 설명된다. 감시 중앙부(10)로부터의 호출은 중앙 어댑터(30), 선(32a), (32b) 및 전화 스위칭 회로망(12)를 거쳐 링잉의 형태로 단말 어댑터(34)에 의하여 수신되어진다(ST1). 제어기(346)는 입력신호가 링잉임을 인식함에 따라 링잉은 스위치(41) 및 가입자선 인터페이스(42)를 거쳐 제어기(346)로 전송된다(ST2). 링잉을 인식한 즉시, 제어기(346)은, 만약 그 순간부터 카운터하여 2.3초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3). 만약 2.3초가 경과되지 않았다면, 제어기(346)은 링잉을 무시하고(ST4), 링잉은 링잉의 인식후 3.4초 내에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추가로 판단한다(ST5). 만약 링잉이 스텝(ST5)에 의해 결정될 때 종료되지 않았다면, 프로그램은 스텝 ST3으로 회귀한다. 만약 링잉이 상기된 시간주기내에 종료되었다면, 제어기(346)은 전화(20)을 전화 교환망(120)에 접속시키고 그럼으로써 후에 링잉이 울리게 된다(ST6).
만약 링잉이 스텝 ST5에서 판단할 때 3.4초 내에 종료되었다면, 제어기(346)은 링잉이 감시 중앙부(10)으로 부터의 오호출을 나타낸다고 판단하고(ST7), 그 다음에 중앙호출 대기 모드를 취한다(ST8, 제10b도). 그때 제어기(346)은 호출이 링잉의 종료후 40초 내에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T9) 판단결과가 부정일 때, 통상 모드로 복귀된다(ST10). 만약 제어기(346)가, 스텝 S9 내에서 수신된 호출이라고 판단하였다면, 가입자 국선(24)의 상태를 온 후크로부터 오프후크로 전환시킨다(ST11). 그때 제어기(346)은 중앙 ID 신호 CS가 2초 내에 수신되었는지를 살펴보고(12), 신호 CS가 수신되기 전에 2초가 만기했을 때, 즉시 단말 어댑터(34)로부터 선(24)를 분리시키고 통상적 모우드로 회귀한다. 만약 스텝(ST12)에서 긍정의 판단이 나면, 제어기(346)은 비전화 단말인터페이스(350)을 거쳐 선(24) 및 판단 단말(18)을 접속시킨다(ST13). 그 후, 데이터는 중앙부(10) 및 판독 단말(18) 사이에서 상호교환된다.
이 상세한 실시예에서, 감시 중앙부(10)에서 발신된 호출은 동시에 선(32a) 및 (32b)의 쌍을 통하여 판독 단말(18)로 발송된다. 이것은 링잉이 무시되는 동안의 시간주기를 감소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감시 중앙부(10) 이외의 설비물상에서 발신되어 들어오는 호출과 관련된 대기시간으로부터 최소의 영향을 받는 시스템을 실행시킨다.
단말 어댑터(34)가 3.4초 동안 링잉을 무시하도록 구성되어지는 한편, 그런 시간주기는 단지 도식적이며, 사용된 전화 교환망(12)의 특별한 특성에 부합되는 관계에 있는 시스템을 근거로 적절히 선택되기도 하고, 심지어는 필요할 때에 교체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중앙부와 단말 어댑터(30) 및 (34)에 전원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 AC 100볼트 전원은 전지로, 혹은 야외 설비시 태양 전지로 대체되기도 한다.
단말 어댑터(34)와 비전화 단말기(18)는 독립 유니트들에 의해 실행되어지는 것처럼 도시되나, 물론 그들은 결합하여 하나의 단일 유니트가 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전기 통신시스템은, 중앙부가 단말로 두 개의 연이은 호출을 전송하도록 함에 의하여 감시 중앙부가 비전화 단말기를 호출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단말 어댑터가 두 개의 병행된 호출을 확인하게 될 때, 그 단말이 호출되어지고 있다고 판단됨에 의하여 가입자선을 그 단말기에 접속시킨다. 그러므로, 감시 중앙부 및 비전화 단말은 어떤 특별한 기능 또는 기존시스템의 어떤 수정에 의존하지 않고도 통신을 유지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 접속이 시간을 검출함에 의해 스위치 전환되기 때문에, 구조는 중앙 호출 발신형 전기 통신 시스템을 실행시키기에 충분히 단순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면에서, 감시 중앙부 및 전화 교환망은 두 선들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중앙부는 동시에 두선을 통하여, 동일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링함에 의하여 제1호출을 방출하고, 제1호출에 응답하여 두선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회귀통화중 톤을 확인한 즉시, 소정의 시간주기가 만료되었을 때 제1호출을 종료한다. 그때, 중앙부는 동일 가입자번호를 사용함에 의하여 제2호출을 전송한다. 단말 어댑터가 연속적으로 제1호출 및 제2호출을 확인할 경우, 단말 어댑터에 접속되어 있는 비전화 단말기와 교환망을 접속시킨다. 그러나 구성은 단말 어댑터가 전화 및 비전화를 전환시키기 위해 링잉을 무시하는 동안의 소정시간을 감소시키는데 바람직스럽고, 그럼으로써, 통신용 전화 설비물의 사용을 더욱 유효하게 하는 시스템이 실현되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데이터가 전화 교환망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상호교환되어지기 때문에, 그것은 다양한 종류와 자동 원격측정 뿐만 아니라 단말기들이 전화선들로 조절되는 온라인 시스템과 중앙부 및 단말이 데이터를 상호교환되는 가정 안전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시스템은 심지어 통신 중앙부와 개인 컴퓨터들, 팩시밀리 중앙부 및 팩시밀리 단말기들 등의 사이의 통신을 전화 교환망을 통하여 실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그들 실시예의 의해 제한되지 않고 부가된 청구범위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변형 혹은 변경 실시예도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8)

  1. 복수의 전화선을 교환하기 위한 전화 교환망; 상기 전화 교환망에 접근할 수 있는 전화 단말; 상기 전화 교환망을 거쳐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비전화 단말; 상기 전화 단말 및 상기 비전화단말과 상기 전화 교환망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화선들 중 제1전화선에 접속된 제1회로망 제어수단; 상기 전화교환망을 통해 제1전화선에 착신된 호출상의 상기 비전화 단말로의 데이터 통신을 감시하기 위한 중앙장비; 및 상기 중앙장비 및 상기 전화 교환망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화선들 중 제2전화선에 접속된 제2회로망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 단말에 부여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중앙장비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 교환망으로 제1호출을 발신하는 수단을 가져 상기 전화 교환망은 가입자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전화선에서 상기 제1호출을 착신시키고, 상기 제1전화선에서의 상기 제1호출 착신을 상기 제2전화선을 거쳐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에 알리고;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은 상기 제1전화선에서의 착신을 검출시 상기 제1호출을 해제하고, 그후, 상기 가입자번호를 사용함에 의해 상기 전화 교환망으로 제2호출을 발신하는 수단을 거치며; 상기 전화 교환망은 상기 가입자번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호출을 착신시키고; 상기 제1회로망 제어수단은 제1전화선에서의 상기 제1호출의 착신과 후속의 상기 제1호출의 해제 검출하고, 그런 다음 상기 제2호출의 착신을 검출하며, 상기 제2호출의 상기 착신에 응답하여 상기 비전화 단말을 상기 제1전화선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호출에 회답하는 수단을 가져 상기 전화 교환망이 상기 제1회로망 제어수단에 대한 상기 회답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화선 사이에 접속을 설정하며 아울러 상기 제1회로망 제어수다은 상기 비전화단말을 상기 제1전화선에 접속하여 상기 비전화단말과 상기 중앙장비간의 데이터 통신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단말이 가스 계량기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사용된 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교환망은 상기 제1전화선에서의 호출 착신시, 상기 제1전화선으로 링잉을 전송하고 상기 제2전화선에 링잉톤에 전송하며,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은 상기 링잉톤을 검출시 상기 호출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망 제어수단은 링잉이 소정의 시간주기 동안 계속될 때 상기 전화 단말을 상기 제1전화선에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톤이, 투입 1초, 차단2초로 구성된 3초의 주기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시간주기는 최소한 2.3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전화선 중 제3전화선에 의하여 상기 전화 교환망이 추가로 접속되고;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은, 상기 중앙장비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단말의 상기 가입자번호를 사용함에 의하여 상기 제2전화선을 통하여 상기 제1호출을 발신할 경우, 상기 제2전화선을 통하여 상기 제1호출과 실제로 동시에 상기 가입자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3전화선을 통하여 상기 전화교환망에 제3호출을 발신하며; 상기 전화 교환망은, 상기 가입자번호 응답하여 상기 제1전화선에 링잉을 전송하고, 그와 동시에 링잉톤을 상기 제2 및 제3전화선중의 하나에, 통화중 톤을 상기 제2 및 제3전화선중 다른 하나에 전송하며; 상기 제2회로망 제어수단은, 통화중 톤을 검출시, 상기 제3 및 제3전화선에 호출을 해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망 제어수단은, 소정의 시간주기 동안 링잉이 계속될 때, 상기 전화 단말을 상기 제1전화선에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톤은 투입 1초 차단 2초로 구성된 3초의 주기를 가지는 한편, 통화중 톤은 투입 0.5초 차단 0.5초로 구성된 1초의 주기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적어도 2.3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9. 전화 교환망내에서, 수용된 전화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선착신 수단; 전화 단말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 수단; 전화 교환망을 거쳐 설정된 호출에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는 비전화 단말을 접속시키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 수단; 및 전화선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 착신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인터페이스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선 착신 수단을 거쳐 전화선을 통하여 제1호출의 착신을 검출하고, 뒤이은 상기 제1호출의 해제를 검출시, 제2호출이 상기 전화선을 통하여 수신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제1호출 이래로 제1소정의 시간주기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제2호출의 착신을 검출시, 상기 제2호출의 착신에 응답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선 착신 수단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단말이 가스 계량기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사용된 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선 착신 수단을 경유한 전화선을 통한 상기 제1호출의 링잉 및 후속의 상기 제1호출의 해제를 검출시, 상기 제2호출의 링잉이 상기 전화선을 통하여 다시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호출의 링잉이 소정의 제2시간주기동안 계속될 때,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선 착신수단에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잉이 투입 1초, 차단 2초로 구성된 3초 주기를 가지고, 소정의 제2시간주기는 적어도 2.3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의 제1시간주기를 카운트하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개시되어지는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선 착신 수단을 경유한 전화선을 통하여 상기 제1호출의 링잉의 도달을 검출시 상기 타이머 수단을 개시시키며; 상기 제어수단은, 전화선을 통하여 상기 제1호출의 링잉의 도달 및 상기 타이머가 상기 제1소정시간주기가 만료됨을 나타내기 전에 후속의 상기 제1호출 해제를 검출시, 상기 타이머 수단이 상기 제1소정시간주기의 만료를 나타낼 때까지 상기 제2호출의 링잉이 상기 전화선을 통하여 재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호출의 해제에 이은 상기 제2호출의 링잉의 도달을 검출시, 상기 제1소정시간주기보다 더 짧은 제3소정시간주기 동안 전화선 상에서 통화중 상태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소정시간주기는 만료되기전 상기 제2호출의 착신을 검출하고, 그런 다음 상기 제1소정시간주기는 후속하는 제4소정시간주기가 만료되기 전에 전화선을 통하여 소정 신호의 도달을 검출시,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선 착신수단에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시스템.
  17. 전화 교환망에서 수용된 제1 및 제2전화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종료수단; 데이터 통신을 감시하는 중앙장비를, 상기 전화 교환망을 거쳐 상기 중앙장비에 접속되는 비전화 단말에 접속시키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중앙장비에 응답하여 상기 선 종료 수단 및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중앙장비에 응답하여, 상기 비전화 단말과 관련된 가입자 번호를 사용함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1 및 제2전화선을 통하여 전화 교환망으로 호출을 발신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전화선들중 어느 하나상에서의 통화중 톤을 검출 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전화선들상의 호출을 해제하고, 그런 다음 상기 가입자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화 교환망을 호출하며, 그에 의하여 상기 비전화 단말 및 상기 중앙장비는 그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화 단말이 가스 계량기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사용된 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장비는 상기 가스 계량기 판독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 제어 장치.
KR1019890007470A 1989-05-31 1989-05-31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KR013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470A KR0133069B1 (ko) 1989-05-31 1989-05-31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470A KR0133069B1 (ko) 1989-05-31 1989-05-31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445A KR900019445A (ko) 1990-12-24
KR0133069B1 true KR0133069B1 (ko) 1998-04-21

Family

ID=1928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470A KR0133069B1 (ko) 1989-05-31 1989-05-31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0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445A (ko) 199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508B1 (ko) 전화 교환 시스템과, 데이터 액세스 장치로부터 고객 구내 장치를 액세스 하는 방법
US5563938A (en) Subscriber telephone diverter switch
US4995109A (en) Communication with a non-telephone terminal via a telephone switching network using two consecutive calls
KR0133069B1 (ko) 연속의 두 호출을 사용한 전화 교환망에 의한 비전화 단말과의 전기 통신 시스템
KR950008114B1 (ko) 자동 절환 쌍방향 통신 방식
JPH1174988A (ja) 端末網制御装置
JP3760522B2 (ja) 回線端末装置
JP3091065B2 (ja) ノーリンギングによりデータ伝送を行う通信装置
JP3233216B2 (ja) Wllシステムの発信加入者番号表示サービス付加入者端末の着信呼処理方法とその装置
US8050390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feeding electric devices from a telephone line
JP3092332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JP4128072B2 (ja) 自動遠隔検針システム及び端末網制御装置
JP2651059B2 (ja) アナログ端末回線集線装置
KR0135491B1 (ko) 전화 교환 시스템과, 데이타 액세스 장치로부터 고객 구내 장치를 액세스하는 방법.
JP2680425B2 (ja) データ伝送装置
JP3249802B2 (ja) ノーリンギング通信装置
JP4178914B2 (ja) 回線端末装置
JPH0821990B2 (ja) 公衆電話網による非電話系端末の通信方法
JPH10285302A (ja) 空き時間利用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7104269A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1130658A (ja) 自動切替双方向通信方式
JPH0821991B2 (ja) 公衆電話網による非電話系端末の通信方法
JPS6282858A (ja) 網制御方式
JPS63142956A (ja) 電話回線を利用するデ−タ伝送装置
JPS6318854A (ja) 通信用端末装置の遠隔保守・運用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