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821Y1 - 박판 체결용 스프링 - Google Patents

박판 체결용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821Y1
KR950007821Y1 KR92023820U KR920023820U KR950007821Y1 KR 950007821 Y1 KR950007821 Y1 KR 950007821Y1 KR 92023820 U KR92023820 U KR 92023820U KR 920023820 U KR920023820 U KR 920023820U KR 950007821 Y1 KR950007821 Y1 KR 950007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spring
fastening
plate
thi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025U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92023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821Y1/ko
Publication of KR940014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판 체결용 스프링
제1도는 종래의 나사에 의해 박판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제2a,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박판 체결용 스프링에 의해 체결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및 단면도.
제3a,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박판 체결용 스프링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박판 10a : 나사구멍
11 : 나사 20 : 상면박판
20a : 사각공 30 : 측면박판
30a, 30b : 전, 후방 사각공 30c,30d : 돌기, 가이드 돌기
40 : 스프링 40a,40b : 전, 후방 돌출부
이 고안은 박판 체결용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OA 기기 및 전자제품의 주요부품이나 외관케이스 등의 박판을 탄성력이 있는 스프링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조립 및 분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박판 체결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A 기기의 모니터나 전자제품의 TV 수상기등 주요부품의 외관케이스에 사용되는 박판들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의 박판(10) 일측에 다수의 나사구멍(10a)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박판(10)에 형성된 나사구멍(10a)과 나사구멍(10a)의 중심을 일치시켜 체결부재인 나사(11)로 조여 고정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각의 박판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치수공차가 불일치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었고, 또한, 박판 체결시 다수의 나사부재로 조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박판간의 나사 체결시 접촉면적이 적어 전자파 간섭(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등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나사체결에 의해 박판을 체결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에 의해 각각의 박판이 체결되는 것으로써 조립작업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전자파 간섭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박판 체결용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OA기기의 모니터나 전자제품의 TV수상기 등 주요부품의 외관케이스에 사용되는 다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상, 측면 박판을 나사체결에 의해 조립되는 박판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상면박판에는 사각공이 형성되고, 측면 박판은 직각으로 절곡하고 전, 후방 사각공 및 전, 후방으로 소정길이에 돌기 및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 측면 박판을 체결하는 수단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의 중앙부가 원형으로 밴딩되고, 전, 후방 양끝단의 소정위치에 전, 후방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a,b도는 이 고안에 따른 박판들을 스프링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 측면 박판(20)(30)을 조립시에는 먼저 상기 상면박판(20)에 형성된 사각공(20a)에 측면박판(30)에 형성된 돌기(30c)를 끼워 고정시키고,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중앙부에 원형의 밴딩부(40c)를 갖는 스프링(40) 전방끝단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전방돌출부(40a)를 상면박판(20)에 형성한 사각공(20a)과 측면박판(30)에 형성된 전방사각공(30a)에 삽입하고, 상기 전방 돌출부(40a)의 끝단이 측면박판(3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40) 후방끝단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후방돌출부(40b)의 끝단을 측면박판(30)에 형성된 후방사각공(30b)에 삽입하고 가이드 돌기(30d)의 저면에 밀착하게 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 측면박판(20)(3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상, 측박판(20)(30)을 분리코져 할 때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40)의 중간 원형 밴딩부위(40c)을 압압하면 제3a도와 같이 측면스프링이 최초 가상선의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변형된다. 즉, 측면박판(3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0d) 저면에 밀착고정되어 있는 후방돌출부(40b)가 가이드 돌기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며 이후 측면스프링판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40d)을 잡고 제3b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가성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바뀌게 된다. 즉, 측면스프링판의 후방돌출부(40b)가 측면박판(30)의 후방 사각공(30b)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이후 압압하고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중앙 밴딩부(40c)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판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어지며 이후 스프링(40)을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박판(20)과 측면박판(3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별도의 공구사용없이 손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 측박판(20)(30)의 조립시 체결되는 면적이 넓어 전자판 간섭(EMI)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 측박판을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으로 체결함으로써 종래의 나사체결에 의한 나사구멍의 치수공차 불일치 및 전자파 간섭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원가 절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OA기기의 모니터나 전자제품의 TV수상기 등 주요부품의 외관케이스에 사용되는 다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상, 측면 박판을 나사체결에 의해 조립되는 박판 체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상면박판(20)에 사각공(20a)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박판(30)을 직각으로 절곡하고 전, 후방 사각공(30A)(30B) 및 전, 후방으로 소정길이에 돌기(30c) 및 가이드 돌기(30d)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 측면 박판(20)(30)을 체결하는 수단으로 중앙부가 원형으로 밴딩(Bending)되고, 전, 후방 양끝단의 소정위치에 전, 후방 돌출부(40a)(40b)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4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체결용 스프링.
KR92023820U 1992-11-30 1992-11-30 박판 체결용 스프링 KR950007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820U KR950007821Y1 (ko) 1992-11-30 1992-11-30 박판 체결용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820U KR950007821Y1 (ko) 1992-11-30 1992-11-30 박판 체결용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025U KR940014025U (ko) 1994-06-29
KR950007821Y1 true KR950007821Y1 (ko) 1995-09-21

Family

ID=1934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820U KR950007821Y1 (ko) 1992-11-30 1992-11-30 박판 체결용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8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025U (ko) 199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232A (en) Computer body with a fixing device
KR950003752Y1 (ko) 전기, 전자제품의 기판 고정장치
EP0342961A3 (en) Light-emitting diode assembly
KR950007821Y1 (ko) 박판 체결용 스프링
US8144268B2 (en) Display device
US20070013275A1 (en) Coupl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tilizing the same
JP2500662B2 (ja) 積み重ね式スタッド
KR100285811B1 (ko) 전자기기
KR0126463Y1 (ko) 전자제품의 레그 조립구조
JPH06310881A (ja) プリント配線板と筐体との接地接続ならびに位置決め取り付け構造
KR100362812B1 (ko) 스냅 결합식 탄성 체결구
US20230155238A1 (en) Battery accommodating member, battery module and battery fixing structure
US20240029969A1 (en) Key structure
KR940004192B1 (ko) 두개의 기판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량된 전기커넥터
GB2114370A (en) Electrical leaf switch mounting construction
KR0131209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0135873Y1 (ko)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KR960009862Y1 (ko) 텔레비젼의 프레임-피씨비기판 고정장치
KR0138937Y1 (ko) 택트스위치용 버튼조립체의 장착구조
JPH048104A (ja) スイッチカバー
KR870000167Y1 (ko) 안테나 단자판의 러그단자 고정장치
KR970003854Y1 (ko) 전자제품의 접지판 고정구조
KR0123657Y1 (ko) 인쇄회로 기판 고정장치
KR950002909Y1 (ko) 전자레인지의 디지트론 고정구조
JP2512360Y2 (ja) 板状物の係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